KR920002819B1 - 관이음매 - Google Patents
관이음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20002819B1 KR920002819B1 KR1019890013144A KR890013144A KR920002819B1 KR 920002819 B1 KR920002819 B1 KR 920002819B1 KR 1019890013144 A KR1019890013144 A KR 1019890013144A KR 890013144 A KR890013144 A KR 890013144A KR 920002819 B1 KR920002819 B1 KR 9200028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ng
- tapered surface
- male
- extension portion
- male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only by friction of the parts being joined
- F16L37/0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only by friction of the parts being joined with an elastic outer part pressing against an inner part by reason of its elasticit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9/00—Joints or fittings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본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도는 암, 수부재를 분리한 상태의 반단면 측면도,
제2(a)도는 코터링의 1예의 사시도,
제2(b)도는 리테이너링의 사시도,
제3(a)도는 암, 수부재의 결합 초기상태를 도시하는 반단면도,
제3(b)도는 양부재의 결합완료상태를 도시하는 반단면 측면도,
제4(a) 및 (b)도는 각각 코터링의 변경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위 설명
A : 암부재 B : 수부재
1a : 접속부 1c : 지지통부
2a : 유체통과구멍 2b : 중간직경 끼워맞춤구멍
2c : 테이퍼구멍 2d : 대직경 끼워맞춤구멍
3 : 링캡 3a : 신장부
3b,4a,6b : 테이퍼켠 4 :코터링
5 : 리테이너링 6a : 중간직선통부분
8 : 고리형상링
본 발명은 각종의 산업기계나 차량 등의 압력유체 유니트의 배관에 있어서, 암,수 이음매를 용이 , 신속하게 결합되도록한 관이음매에 관한 것이다.
압력유체 이용기기의 관이음매로서, 암, 수부재의 결합을 나사끼움식으로 행하는 것(예컨대 실용공개소60-127185호)과, 스틸보올을 이용하여 끼워넣기식으로 행하는 것(예컨대 특허공개소 59-32711호)이 공지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나사끼움식의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하기 쉬우며 견고한 이점을 갖는반면, 결합시의 작업성이 나쁘며 특히 좁은 장소에서는 사용하기 어려운 결점이 있고, 한편, 보올이용의 끼워넣기식의 것으로서는 양 부재의 결합부 주위면에 다수위 테이퍼진 보올수용구멍을 뚫어설치하고, 그 중에 결합용의 스틸보올을 이동이 자유롭게 또한 이탈하지 않도록 수납하지 않으면 안되고, 그 가공이 까다롭고 전용기계를 필요로하며, 고가의 것이 될뿐더러 그들 보올과 수부재측의 수납홈과는 점접촉이 되며, 수압부의 면압응력이 과대하게 되어 변형하기 쉽고, 수명이 짧은 난점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며 제작이 쉽고 암, 수부재의 결합을 용이, 신속하게 행할 수 있고, 더구나 내부압력을 받으면 받을수록 암, 수부재의 결합이 견고해지며, 장기의 사용에 견디는 관이음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하에 본 발명은 관이음매로서, 한쪽을 접속부로하고 다른한쪽을 지지통보부로한 원통형상체로 이루어지는 암부재의 지지통상부에, 이 원통부끝으로부터 결합측으로 뻗는 신장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신장부안쪽에 앞이 오므라지는 테이퍼면을 설치한 링을 붙이고 떼기가 가능하게 부착하고, 상기 신장부의 내부에는 신장부보다 짧고 바깥면이 신장부 안쪽 테이퍼면의 선단부내면에 일치하는 테이퍼면을 갖는 탄성 코터링을 방사방향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열설치하고, 이 탄성코터링을 상기 암부재에 삽입가능한 앞통부분과 테이퍼면 및 중간직선통부분을 귑한 통형상체로 이루어지는 수부내의 중간직선토부분을 구비한 통형상체로 이루어지는 수부재의 중간직선통부분의 일정위치에 형성된 고리형상홈에 끼워맞춤시키는 동시에 코터링의 체이퍼면을 상기 링캡의 테이퍼면에 압접되도록한 것 특징으로 하고, 또 경우에 따라 상기 신장부의 내부에 코터링의 결합측에 확대축소가 자유로운 리테이너링을 나란히 배열설치하여, 코터링과 함께 수부재의 고리형상홈에 끼워맞춰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암, 수부재의 결합에 있어서, 수부재의 선통부를 암부재의 링캡의 개구끝으로부터 삽입해가면, 링캡의 신장부내에 배치설계된 코터링이 선통부위에 끼워넣어지고, 계속되는 삽입에 의해 수부재의 테이퍼면에 의해 코터링이 밀려 열려지고, 그 안쪽에 고리형상홈이 위치한데서 코터링이 축소하면서 홈속으로, 끼워맞추어지고, 그 상태에서 수부재를 약간 후퇴시키면 코터링의 테이퍼면이 링캡의이 테이퍼면에 눌러 접합한 암,수부재는 결합된다.
그리고, 코터링의 결합측에 확대, 축소가 자유로운 리테이너링을 병설했을때에는 , 리테이너링이 링켑의개구끝으로부터 빠져나와서 그 끝으로부터 빠져나와서 그 끝면에 걸쳐서 수부재를 부동의 상태로 유지한다.
도면을 참고로하여 그 실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1도에 있어서 A는 단차부의 원통형체로 되는 암부재로, 기기측 매니폴드 또는 배관에 부착하기 위해 바깥둘레에 나사를 갖춘 접속부(1a)와, 큰직경의 다각형 손잡이부(1b) 및 링캡(3)을 부착하기 위한 중간직경의 지지통부(1c)로 이루어지며, 접속부(1A)의 안쪽에는 유체관통구멍(2a)이 설치되고, 손잡이부(1b)의 안쪽으로부터 지지통부(1c)의 중앙부에 걸쳐서, 후술하는 수부재(B)의 앞통부분이 끼워맞추어지는 중간직경의 끼워맞춤구멍(2b)이 형성되고, 또한 지지통부(1c)의 안쪽 가장자리부에는 수부재(B)의 중간직선부통분의 바깥직경에 거의 같은 큰직경의 폭이좁은 끼워맞춤구멍(2b)이 설치되는 동시에, 이 큰직경 끼워맞춤구멍(2b)과 중간직경 끼워맞춤구멍(2b)과의 사이에는 수부재(B)위 테이퍼부에 일치하는 테이퍼구멍(2c)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통부(1c)위에는 링캡(3)이 나사붙임되어 있고, 이 링캡(3)은 나사붙임 기초부로부터 수부재(B)와의 결합측에 뻗는 신장부(3a)를 구비하고, 그 신장부(3a0의 안쪽에는, 앞쪽이 오므라들어서 수부재(B)의 삽입이 가능한 테이퍼면(3b)이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신장부중에는 제2도(a)와 같이 일부가 떼어져서 C자형상을 하고, 폭이 신장부(3a)길이의 반정도로, 바깥둘레면이 신장부내 테이퍼면(3b)의 앞쪽반부분에 거의 일치하는 테이퍼면(4a)을 이루고 안쪽직경이 수부재(B)의 중간직통부에 설치되는 고리형상홈의 홈직경에 거의 일치하는 단면받침형상의 탄성 코터링(4)과, 바깥직경이 코터링(4) 중간부의 바깥직경에 거의 같은 얇은 확대, 축소가능한 리테이너링(5)이 방사방향과 축방향으로 일정범위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병렬하여 배치설계되어 있다.
한편, 수부재(B)는 암부재(A)의 유체관통구멍(2a)에 거의 같은 직경의 동일한 유체관통구멍(7)을 갖는 가늘고긴 원통형체를 하고, 결합측 끝부에는 암부재(A)의 중간직경 끼워맞춤구멍(2b)의 길이와 직경을 거의 같게하고, 도중에 O링(9)을 매설한 앞통부분(6a)과, 그것에 계속하여 암부재(A)내의 테이퍼구멍(2c)의 내면에 일치하는 테이퍼면(6b) 및 대직경 끼워맞춤구멍(2d)에 거의 같은 바깥직경의 중간직선통부분(6c)이 설치되고, 상기 직선통부분(6c)의 도중에는 결합측단면으로부터의 거리 12가 암부재(A)내의 유체관통구멍(2a)과 중간직경 끼워맞춤구멍(2b)과의 경계단차로부터 지지통부(1c)위 끝면까지의 거리 11와 비슷한 위치에, 폭이 코터링(4)의 폭과 리테이너링(5)의 두께를 더한것과 거의 같고, 홈직경이 코터링(4)의 안쪽직경에 거의 같고, 또한 깊이가 코터링의 두께보다 작은 고리형상홈(8)이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중간직선통부분(6c)보다 비결합측에 다각형 큰직경의 손잡이부와 바깥둘레에 나사를 형성한 배관등의 접속부(6e)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배관접속부에는 나사를 설치함이 없이 원통체상에 소켓을 부착하고,원통체와 소켓사이에 호스를 죄어붙일 수도 있다.
또 O링(9)은 앞통부분(6a)상에 설치함이 없이 암부재(A)의 중간직경 끼워맞춤구멍(2b)내면에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그래서, 암, 수부재(A,B)의 결합에 있어서, 수부재(B)의 손잡이부를 거머쥐고 앞통부분(6a))을 암부재(A)의 링캡(3)의 개구리끝에서 중간직경 끼워맞춤구멍(2b)으로 향하여 삽입해가면, 링캡(3)의 신장부(3a)내에 배치설계된 코터링(4)과 리테이너링(5) 이 앞통부분(6a)상에 끼워지고, 계속되는 수부재(B)의 삽입에 의해 리테이너링(5)과 탄성 코터링(4)이 수부재(B)의 테이퍼면(6b)에 의해 밀려 열려지면서, 암,수부재의 축선에 꼭맞도록 반직경방향으로 약간 이동하고, 수부재(B)의 앞끝이 제3도(a)와 같이 암부재(A)의 중간직경 끼워맞춤구멍(2b)의 경계단차부에 부딪치면, 마침 고리형상홈(8)이 코터링(4)과 리테이너링(5)의 안쪽에 위치하게되고, 테이퍼면(6b)에서 확장된 코터링(4)과 리테이너링(5)이 축소하면서 고리형상 (훔((8)중에 빠져서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수부재(B)를 제3도(b)와 같이 끌어내리면 코터링(4)과 리테이너링(5)도 동시에 끌어내린 방향으로 이동하고, 탄성 코터링(4)의 테이퍼 바깥면(4a)이 링캡(3)의 테이퍼면(3a)의 개구단부내면에 긴밀하게 눌러 접합함과 동시에 리테이너링(5)이 직경을 축소하면서 링캡(3)의 개구끝부터 빠져나와, 그 끝면에 걸려서 수부재(B)는 암부재(A)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사용시에는 압력유체에 의해 코터링(4)의 테이퍼면(4a)이 링캡(3)의, 테이퍼면(3a)에 눌려붙여지게 되고, 쐐기작용이 발생하여, 암, 수부재(A,B)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된다.
한편, 이 결합상태에 있어서 링캡(3)을 암부재(A)의 지지통부(1c)로부터 나사되돌림하고, 수부재(B)를 중간직경 끼워맞춤구멍(2b)으로부터 빼어냄으로써, 암, 수부재(A,B)는 분리되나, 그때에는 링캡(3)이나 코터링(4), 리테이너링(5)은 수부재(B)와 함께 암부재(A)로부터 이탈된다.
그래서, 그 분리상태에 있어서 리테이너링(5)을 직경을 축소시키(3도 a의 상태)면서 링캡(3)을 후퇴시켜, 드라이버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코터링(4)과 리테이너링(5)을 열어서 고리형상홈(8)으로부터 떼는 동시에 링캡(3)을 수부재(B)에서 떼어내고, 이것들을 다시 제1도와 같이 암부재(A)의 지지통부(1c)에 조립함으로써 좁은 장소에서 재사용된다.
그러나, 최근의 산업기계나 차량에서는 유체 유니트에 혼입된 다수의 배관을 한번 접속하면, 고장이 없는 한 떼고 붙이지 않는 것이 보통으로 처음의 부착이 가장 중요하게 된다.
또한, 테이퍼 바깥면(4a)을 구비한 코터링(4)으로서는 제4도(a)와 같이 전체원주방향으로 두껍게 할 필요없이 원둘레방향에 간격을 두고 두꺼운부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고, 또 도면(b)과 같이 두꺼운 코터링(4)을 복수의 섹터(4')로 분할하고, 이들을 링스프링(10)으로 확대, 축소가 자유롭게 한데 모으게 해도 무방하다.
또, 코터링(4)에 리테이너링(5)을 병렬설치하면, 결합시에 있어서의 수부재(B)의 암측에의 움직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나, 사용시에는 암, 수부재(A,B)에 이들을 분리하도록 내압이 작용하고, 코터링(4)이 링캡(3)의 테이퍼면(3a)에 밀어붙여져, 암, 수부재(A,B)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므로, 그 밀어붙이는 힘의 큰 고압유체의 경우에는, 리테이너링(5)은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암부재의 지지통부상에 상기 통부끝으로부터 결합측으로 뻗는 신장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신장부의 안쪽에 앞쪽이 오므라지는 테이퍼면을 설치한 링캡을 착탈가능하도록 부착하고, 신장부의 내부에는 신장부보다 짧고 바깥면이 신장부 안쪽 테이퍼면의 선단부내면에 일치하는 테이퍼면을 갖는 탄성 코터링을 방사방향과 축방향으로이동가능하게 배치설계하고, 이 탄성 코터링을 원통형체로 이루어지는 수부재의 중간직선통부분의 일정위치에 형성한 고리형상홈에 끼워맞춤하는 동시에, 그 테이퍼 바깥면을 링캡의 테이퍼면에 눌러 접합되도록 하였으므로, 암부재와 수부재의 결합에 있어서는, 나사끼움에 의하지않고 수부재의 끼워넣기에 의해 용이, 신속하게 결합시킬 수가 있고, 그리고 결합용의 코터링과 수부재의 고리형상홈 하고는, 점접촉에 의함이 없이 면접촉을 하고 있기 때문에, 면압응력이 보올이용의 것처럼 과대하게 되지않고 변형의 염려없이, 더구나 코터링의 테이퍼면과 링캡의 테이퍼면의 눌러접합하는 관계에 의한 쐐기작용으로, 암,수부재에 압력유채로부터의 분리력이 작용하면 할수록, 양부재의 결합이 강하된다.
또, 코터링에 합하여 확대, 축소가능한 리테이너링을 사용하면, 수부재에 충격등이 가해졌다고 해도, 이것을 부동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Claims (2)
- 한쪽을 접속부(1a)로하고 다른쪽을 지지통부(1c)로 한 원통형체로된 암부재(A)의 지지통부(1c)위에,상기 통부끝으로부터 결합측으로 뻗는 신장부(3a)를 구비하는 동시에, 신장부 안쪽에 앞쪽이 오므라지는 테이퍼면(3b)을 설치한 링캡(3)을 착탈가능하게 부착하고, 상기 신장부(3a)의 내부에는 신장부보다 짧고 바깥면이 신장부 안쪽 테이퍼면(3b)의 앞쪽단부내면에 일치하는 테이퍼면(4a)을 갖는 탄성 코터링(4)을 방사방향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설계하고 이 탄성 코터링(4)을 상기 암부재(A)에 삽입가능한 앞통부분(6a)과 테이퍼면(6b) 및 중간직선통부분(6c)을 구비한 원통형체로 이루어지는 수부재(B)의 중간직선통부분(6c)의 일정위치에 형성된 고리형상홈(8)에 끼워맞추는 동시에 코터링(4)의 테이퍼면(4a)을 상기 링캡(3)의 테이퍼면(3a)에 눌러 접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A)의 지지통부(1c)에 부착한 링캡(3)의 신장부(3a)의 내부에, 코터링(4)의 결합측에 리테이너링(5)을 나란히 배치설계하고, 코터링(4)과 함께 리테이너링(5)을 수부재(B)의 중간직선통부분(6c)의 고리형상홈(8)에 끼워맞춰지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90013144A KR920002819B1 (ko) | 1989-09-11 | 1989-09-11 | 관이음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90013144A KR920002819B1 (ko) | 1989-09-11 | 1989-09-11 | 관이음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06653A KR910006653A (ko) | 1991-04-29 |
KR920002819B1 true KR920002819B1 (ko) | 1992-04-04 |
Family
ID=19289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90013144A KR920002819B1 (ko) | 1989-09-11 | 1989-09-11 | 관이음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20002819B1 (ko) |
-
1989
- 1989-09-11 KR KR1019890013144A patent/KR92000281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06653A (ko) | 1991-04-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69936B2 (en) | Pipe coupling | |
KR920000663B1 (ko) |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 |
US6991265B2 (en) | Device for gripping a pipe or bar | |
CN100402912C (zh) | 管接头 | |
JPH022035B2 (ko) | ||
JP2004526911A5 (ko) | ||
EP0536844B1 (en) | Connector for the fluid-tight locking of plain pipes to threaded coupling elements | |
JP2009103169A (ja) | 継手 | |
US6688655B1 (en) | Quick connection-release coupling | |
CN101709816A (zh) | 一种内缩式快速接头 | |
KR920002819B1 (ko) | 관이음매 | |
JP4787780B2 (ja) | 流体管継手 | |
GB2166508A (en) | Pipe joints | |
US7562648B1 (en) | High pressure fuel line with connection head and method for forming | |
US11796097B2 (en) | Coupling part for a hose coupling | |
JPH0315907Y2 (ko) | ||
JP4486343B2 (ja) | 樹脂管継手のパイプ保持部材 | |
JP4081165B2 (ja) | 樹脂パイプ用継手 | |
JP4579147B2 (ja) | 管接続用補助具 | |
JP2005308139A (ja) | 管継手構造 | |
KR100630544B1 (ko) | 관 조인트 | |
JP2000110978A (ja) | ホース継手 | |
JPH045835Y2 (ko) | ||
JP4387179B2 (ja) | ホース固定金具 | |
US20060163872A1 (en) | Pipe coupl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