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639Y1 - 박형카아트리지용 코넥터 - Google Patents

박형카아트리지용 코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639Y1
KR920002639Y1 KR2019890004444U KR890004444U KR920002639Y1 KR 920002639 Y1 KR920002639 Y1 KR 920002639Y1 KR 2019890004444 U KR2019890004444 U KR 2019890004444U KR 890004444 U KR890004444 U KR 890004444U KR 920002639 Y1 KR920002639 Y1 KR 9200026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all portion
connector
cartridg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44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9384U (ko
Inventor
노리오 이찌쯔보
Original Assignee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filed Critical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93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93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6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6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directly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박형카아트리지용 코넥터
제 1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코넥터의 일부를 생략한 정면도.
제 2 도는 동 평면도.
제 3 도는 동 측면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제 5 도는 코넥터와 카아트리지를 표시한 사시도.
제 6 도는 코넥터의 사용상태를 표시한 종단측면도.
제 7 도는 제 6 도의 Ⅶ-Ⅶ선에 다른 부분단면도.
제 8 도는 박형카아트리지의 변형예의 일부를 파단해서 표시한 분해사시도.
제 9 도는~제 11 도는 코넥터 및 카아트리지의 여러가지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 1 벽부 2 : 제 2 벽부
4 : 콘텍트 9 : 홈부
10 : 모방부 15, 152 : 리세스부
100 : 박형카아트리지 110 : 프레임
111 : 측벽부 114 : 하부벽부
140 : 프린트기판 141 : 단자
150 : 가장자리프레임 160 : 안내부
170 : 직립리브 C : 코넥터
S : 공간
본 고안은, IC메모리카아트리지등의 카아트리지, 특히 박형카아트리지에 사용되는 코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코넥터는 콘덱트를 구비한 코넥터 전체를 카아트리지의 프레임에 형성된 선단개구에 삽입하므로서, 프레임에 실장된 프린트기판의 단자에 상기 콘택트를 접속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그런데, 종래의 코넥트를 사용하면, 상기 프레임의 선단개구의 크기, 즉 가로세로의 크기를 코넥터의 가로세로의 크기보다도 크게 하는 것이 불가결해져서, 카아트리지가 두껍게되어, 그 박형화를 추진하기가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카아트리지의 프레임의 선단부로부터 프린트기판만을 돌출시켜두면, 상기한 바와 같이 코넥터의 전체를 카아트리지의 내부에 삽입할 필요가 없어지므로서 카아트리지의 박형화를 추진하기 쉽지만, 그와 같이 가면 프린트기판의 선단부표면에 패턴배열된 단자가 외부로 노출하여, IC의 정전파괴를 발생하기 쉬운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카아트리지의 박형화를 추진하기 쉬우면서도, 프린트기판을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돌출시켜서 그 단자를 외부에 노출시킬 필요성이 없어지는 박형카아트리지용 코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제 1 의 고안은, 프레임에 장착된 프린트기판의 선단부표면에 단자가 패턴배열되고, 이 단자의 상부에 상기 프레임의 선단개구에 연통하는 공간이 형성되어서 이루어진 박형카아트리지에 사용되는 코넥터로서, 프레임의 선단개구를 통해서 상기 공간에 삽입되는 제 1 벽부와, 제 1 벽부가 상기 공간에 삽입되어 있을때에 제 1 벽부와의 사이에 상기 프린트기판을 내포하는 상태로 상기 프레임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제 2 벽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단자에 접촉되는 콘택트가 상기 제 1 벽부에 유지되고, 또 제 1 벽부 또는 프레임에 콘택트와 단자를 위치맞춤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제 2 의 고안은, 제 1 의 고안의 박형카아트리지용 코넥터에 있어서, 프레임의 선단개구를 둘러싸는 가장자리프레임의 하부벽부의 끼워 맞춤을 허용하는 오목형상의 리세스부가 제 1 벽부와 제 2 벽부의 측벽부 상호간에 구비되어 있다.
제 3 의 고안은, 제 1 의 고안의 박형카아트리지용 코넥터에 있어서, 프레임의 선단개구를 둘러싼 가장자리프레임의 측벽부분에 형성된 오목형상의 리세스부에 제 1 벽부가 끼워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4 의 고안은, 제 1 의 고안의 박형카아트리지용 코넥터에 있어서, 위치맞춤하는 수단이 프레임의 선단개구를 둘러싼 가장자리 프레임에 형성된 안내부와 제 1 벽부에 형성된 모방부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제 5 의 고안은, 제 1 의 고안의 박형카아트리지용 코넥터에 있어서, 위치맞춤하는 수단이 제 1 벽부에 형성된 홈부와 프레임의 선단개구를 둘러싸는 가장자리 프레임에 형성된 직립리브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하면, 코넥터의 제 1 벽부만을 카아트리지의 프레임의 선단개구에 삽입하는 것뿐이고, 종래와 같이 코넥터의 전체를 상기 선단개구에 삽입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만큼 카아트리지를 박형화할수 있다. 또, 제 1, 제 4 및 제 5 의 고안에 의하면, 카아트리지에 실장된 프린트기판인 단자와 코넥터의 콘택트와의 위치결정정밀도가 향상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코넥터(c)의 일부를 생략한 정면도, 제 2 도는 동 평면도, 제 3 도는 동 측면도이다. 이 코넥터(c)는 제 1 벽부(1)와, 제 2 벽부(2)를 구비하고, 이들 벽부(1), (2)는 그 후단부에서 일체화되어 있다. 제 1 벽부(1)에는 그 내면에서 개구되는 다수의 유지홈(3)이 가로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으며, 이들 유지홈(3)의 각각에 콘택트(4)가 유지되어 있다. 제 4 도에 상세히 표시한 바와 같이 콘택트(4)는 골짜기 모양으로 구부러진 접편(5)과 접편(5)에 대해서 거의 직각으로 구부러진 리이드(6)와 접편(5)의 선단에 형성된 걸어두기편(7)을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걸어두기편(7)이 상기 유지홈(3)의 턱진 부분(8)에 탄성적으로 걸려있는 동시에, 리이드(6)가 제 2 벽부(2)의 후단부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 제 1 벽부(1)의 폭방향 중앙부분보다도 좌우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개소에 좁은 폭의 홈부(9)가 형성되고, 또 제 1 벽부(1)의 좌우의 단부내면에는 제 2 벽부(2)쪽으로 돌출하는 모방부(10), (10)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벽부(2)의 내면에는 상기 홈부(9)의 후단면과 거의 동일한 위치에 턱진 형상의 상승면(11)이 형성되어 있다. (12) (12)는 장착시트로서, 나사삽입구멍(13), (13)을 구비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코넥터(C)는 제 5 도~제 7 도에 표시한 박형카아트리지(100)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박형카아트리지(100)는 세로방향의 전체길이에 걸친 좌우의 측벽(111), (111)과 상부벽부(113) 및 하부벽부(114)를 가진 프레임(110)의 상부면개구와 하부면개구를 시일드판(120), (130)으로 폐쇄하고, 프레임(110)의 하부면개구부에 배치한 프린트기판(140)의 한쪽면을 프레임(110)의 보강리브(112)에 의해서 압압하고, 또 프레임의 선단부에 형성한 가장자리프레임(150)에 의해서 선단개구를 형성하고 있는 동시에, 가장자리프레임(150)의 알쪽 코오너부 내면에는 홈형상의 안내부(160), (160)가 형성되고, 또, 상기 선단개구의 중앙부분보다도 좌우 어느 한쪽에 치우친 위치에 보강을 겸한 직립리브(17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부(160), (160)는 상기한 코넥터(C)쪽의 모방부(10), (10)에 대응하고, 상기 직립리브(170)는 코넥터(C)쪽의 홈부(9)에 대응한다. 이와 같은 박형카아트리지(100)에 있어서, 프린트기판(140)의 선단부 표면에는 다수의 단자(141)가 가로로 나란히 배열된 상태로 패턴배열되어 있으며, 그 배열개소와 도시하지 않은 IC등의 전기부품의 실장개소가 상기 보강리브(112)에 의해서 구획되어 있다. 따라서, 이 보강리브(112)는 전기부품의 실장개소에 먼지등이 침입하는 것을 저지하는 차폐벽으로도 도움이 되고 있다.
다음에 작용을 설명한다.
제 1 벽부(1)를 프레임(110)의 선단개구를 통해서 공간(S)에 삽입하면, 제 6 도 및 제 7 도와 같이, 제 1 벽부(1)와 제 2 벽부(2)와의 사이의,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의 리세스(recess)부 (15), (15)에 프레임(110)의 가장자리프레임(150)의 하부벽부(114), (114)가 끼워지고, 또한 제 2 벽부(2)가 프레임(110)의 바깥쪽에 배치되어서 상기 프린트기판(140)을 제 1 벽부(1)와의 사이에 내포한다. 그리고, 콘택트(4)의 각각의 접편(5)이 프린트기판(140)의 각각의 단자(141)에 따로따로 탄성접촉하고, 전기적 도통이 도모된다.
제 1 벽부(1)를 상기 공간(S)에 삽입할때에는, 안내부(160), (166)에 모방부(10), (10)가 끼워져서 카아트리지(100)와 제 1 벽부(1)가 가로방향으로 위치맞춤되고, 이 위치맞춤작용에 의해서 상기 콘택트(4)의 각각과 단자(141)의 각각이 고정밀도로 위치결정된다. 특히 이 실시예에서는, 좌우의 모방부(10), (10)가 프린트기판(140)의 좌우양단면에 접촉해서 이 프린트기판(140)을 직접 끼워 넣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들면 프린트기판(140)과 프레임(110)과의 위치결정정밀도가 그다지 높지않아도 콘택트(4)와 단자(141)가 고정밀도로 위치맞춤되는 이점이 있다. 또, 콘택트(4)와 단자(141)는 홈부(9)가 직립리브(170)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서도 정밀도좋게 위치맞춤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홈부(9)와 직립 리브(170)와의 감합구조를 채용하므로서 예를들면 카아트리지(100)를 뒤집어서 삽입한다고하는 역삽입이나 부적합한 종류의 카아트리지를 삽입한다고 하는 착오삽입이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도 있다. 또, 콘텍트(4)와 단자(141)를 위치맞춤시키는 수단으로서는, 제 1 벽부(1)의 좌우의 바깥쪽면과 상기 가장자리프레임(110)의 좌우의 측벽(111), (111)의 내면을 이용하여, 양자가 유격없이 감합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제 8 도와 같이, 단자(141)와의 관계에서 프린트기판(140)의 2개소 또는 3개소이상의 복수개소에 고정밀도로 뚫어 형성된 기준구멍(143), (143)을 프레임(110)에 일체적으로 형성한 돌기(115)에 끼워넣어서 프린트기판(140)을 프레임(110)에 고정밀도로 위치맞춤해두고, 이와 같은 박형카아트리지(100)에 대해서 상기한 각각의 위치맞춤 수단을 이용하므로서 단자(141)와 콘택트(4)와의 위치맞춤을 행하는 구성으로해도 된다.
제 9 도는 상기한 코넥터(C)와 박형카아트리지(100)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것으로서, 동도면과 같이 코넥터(C)는, 제 1 벽부(1)과 제 2 벽부(2)의 측단부의 상호간에 리세스부(15), (15)가 구비되고, 이 리세스부(15), (15)에 박형카아트리지(100)에 있어서의 프레임(110)의 선단개구를 둘러싼 가장자리 프레임(150)의 하부벽부(114), (114)가 끼워 맞춤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나, 제 10 도와 같이 코넥터(C)의 상기 리세스부(15)를 제 1 벽부(1)과 제 2 벽부(2)의 한쪽편의 측단부의 상호간에만 구비시키고, 다른쪽편의 측단부에는 측벽(16)을 구비시켜 두어도 된다. 이런 구성의 경우, 박형카아트리지(100)에는 동도면과 같이 가장자리프레임(150)의 한쪽편의 측벽 부분에 제 1 벽부(1)가 끼워지는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의 리세스부(152)를 형성해 둔다. 또, 제 11 도와 같이 코넥터(C)의 측벽(16)을 제 1 벽부(1)와 제 2 벽부(2)의 좌우 양쪽의 측단부의 상호간에 구비시켜도 되며, 이런 구성의 경우에는, 박형카아트리지(100)의 좌우양쪽의 측벽부분에 제 1 벽부(1)가 끼워지는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의 리세스부(152), (152)를 형성해둔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카아트리지의 박형화를 용이하게 추진가능하게 되며, 바꾸어말하면 카아트리지의 카아드화를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아트리지쪽의 프린트기판에 패턴배열된 단자를 외부에 노출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프린트기판에 실장한 IC등의 정전파괴를 발생하기 곤란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 프린트기판의 단자와 코넥터의 콘택트가 정밀도좋게 위치맞춤되는 이점도 있다.

Claims (5)

  1. 프레임(110)에 장착된 프린트기판(14)의 선단부표면에 단자(141)가 패턴배열되고, 이 단자(141)의 상부에 상기 프레임(110)의 선단개구에 연통하는 공간(S)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박형카아트리지에 사용되는 코넥터에 있어서, 프레임(110)의 선단개구를 통해서 상기 공간(S)에 삽입되는 제 1 벽부(1)와, 제 1 벽부(1)가 상기 공간(S)에 삽입되어 있을때에 제 1 벽부(1)와의 사이에 상기 프린트기판(140)을 내포하는 상태로 상기 프레임(110)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제 2 벽부(2)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단자에 접촉되는 콘택트(4)가 상기 제 1 벽부(1)에 유지되고, 또 제 1 벽부(1) 또는 프레임(110)에 콘택트(4)와 단자(141)를 위치맞춤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카아트리지용 코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110)의 선단개구를 둘러싼 가장자리프레임(150)의 하부벽부(114)의 끼워 맞춤을 허용하는 오목하게 들어간 현상의 리세스부(15)가 제 1 벽부(1)와 제 2 벽부(2)의 측단부의 상호간에 구비되어 있는 박형카아트리지용 코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110)의 선단개구를 둘러싼 가장자리프레임(150)의 측벽부분에 형성된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의 리세스부(152)가 제 1 벽부(1)가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박형카아트리지용 코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위치맞춤하는 수단이 프레임(110)의 선단개구를 둘러싼 가장자리프레임에 형성된 안내부(160)와 제 1 벽부(1)에 형성된 모방부(10)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박형 카아트리지용 코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위치맞춤하는 수단이 제 1 벽부(1)에 형성된 홈부(9)와 프레임(110)의 선단개구를 둘러싼 가장자리프레임(150)에 형성된 직립리브(170)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박형카아트리지용 코넥터.
KR2019890004444U 1988-04-11 1989-04-10 박형카아트리지용 코넥터 KR92000263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8048469U JPH055671Y2 (ko) 1988-04-11 1988-04-11
JP63-48469 1988-04-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9384U KR900019384U (ko) 1990-11-09
KR920002639Y1 true KR920002639Y1 (ko) 1992-04-27

Family

ID=12804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4444U KR920002639Y1 (ko) 1988-04-11 1989-04-10 박형카아트리지용 코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932904A (ko)
JP (1) JPH055671Y2 (ko)
KR (1) KR920002639Y1 (ko)
GB (1) GB22196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5461Y2 (ja) * 1990-10-05 1999-05-31 株式会社セガ・エンタープライゼス カートリッジのコネクタ挿入構造,コネクタ並びにこのコネクタに挿入するカートリッジ、及びこの構造を有するゲーム機
US5164880A (en) * 1991-03-01 1992-11-17 Polaroid Corporatio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device for a printed circuit board
DE69526783T2 (de) * 1994-02-15 2002-11-28 Berg Electronics Mfg Abgeschirmtes leiterplatten-verbindermodul
JPH11185897A (ja) * 1997-12-17 1999-07-09 Jst Mfg Co Ltd 薄型カートリッジ用コネクタ
US7529519B2 (en) * 2003-02-10 2009-05-05 Leapfrog Enterprises, Inc. Interactive handheld educational apparatus with stylus
WO2005038749A2 (en) 2003-10-10 2005-04-28 Leapfrog Enterprises, Inc. Display apparatus for teaching writin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3765A (en) * 1957-11-25 1960-09-20 United Carr Fastener Corp Electrical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
US3024436A (en) * 1958-02-17 1962-03-06 Gen Motors Corp Receptacle for printed circuit boards
NL266090A (ko) * 1960-06-22
US3289148A (en) * 1964-07-29 1966-11-29 Litton Systems Inc Connectors
GB1381550A (en) * 1972-04-06 1975-01-22 Plessey Co Ltd Electrical edge connector
JPS51134875A (en) * 1975-05-19 1976-1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connector device for printed wiring board
GB2060280B (en) * 1979-10-06 1983-12-07 Dunlop Ltd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 of complementary electrical components
US4367006A (en) * 1980-12-10 1983-01-04 Amp Incorporated Connector for flat cable
US4537456A (en) * 1982-06-07 1985-08-27 Methode Electronics Inc. Electrical connector
US4703991B1 (en) * 1986-01-10 1997-05-13 Stewart Connector Systems Inc Low profile jack
US4688865A (en) * 1986-04-02 1987-08-25 Teradyne, Inc. Circuit device for connection to contacts in a row
DE3631115A1 (de) * 1986-09-12 1988-03-24 Licentia Gmbh Elektrische steckverbindung fuer leiterplat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19699A (en) 1989-12-13
JPH01152482U (ko) 1989-10-20
JPH055671Y2 (ko) 1993-02-15
US4932904A (en) 1990-06-12
GB2219699B (en) 1992-10-14
KR900019384U (ko) 1990-11-09
GB8907794D0 (en) 1989-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0603A (en) Integrated circuit card and connector arrangement using same
US4647136A (en) Modular plug and printed circuit connector
KR101832599B1 (ko) 커넥터
US4118094A (en) Zero-entry force connector
US4556264A (en) Telephone connector
KR950007429B1 (ko) 카드 연부 콘넥터 어셈블리
US7048573B2 (en) Plug-type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or comprising the same
JP2570351Y2 (ja) 基板用コネクタ
KR100347242B1 (ko) 일체형지지구조를갖춘전기커넥터
EP1536526A2 (en) Electrical connector
US20210175665A1 (en) Connector
KR910004400Y1 (ko) 전화용코넥터
KR100531221B1 (ko) 프린트 배선판용 커넥터
KR920002639Y1 (ko) 박형카아트리지용 코넥터
EP1467439B1 (en) Electrical connector
JP2001052785A (ja) スライダ及びこれを含むコネクタ
TWI269496B (en) Module socket
US3421136A (en) Electrical contact and edge connector having such a contact
US6431898B1 (en) Card connector
JPH0626179U (ja) 多極平型電線とコネクタとの接続構造
US5110309A (en) Multi-pole electrical connector
US6383030B1 (en) Electrical connector
JPH11135179A (ja) コネクタソケット
EP0391408A1 (en) Coaxial connector for connecting coaxial cable contacts with printed circuit boards
JPS5846550Y2 (ja) 集積回路実装板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05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