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552Y1 - 휴대용 절첩테이블의 의자지지부재 절첩구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절첩테이블의 의자지지부재 절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552Y1
KR920002552Y1 KR2019890010920U KR890010920U KR920002552Y1 KR 920002552 Y1 KR920002552 Y1 KR 920002552Y1 KR 2019890010920 U KR2019890010920 U KR 2019890010920U KR 890010920 U KR890010920 U KR 890010920U KR 920002552 Y1 KR920002552 Y1 KR 9200025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chair
lower support
folded
le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09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2143U (ko
Inventor
박태영
Original Assignee
박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영 filed Critical 박태영
Priority to KR20198900109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2552Y1/ko
Publication of KR9100021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1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5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5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47C4/045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foldable side to side on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4Foldable table and seat unit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휴대용 절첩테이블의 의자지지부재 절첩구조
제 1 도는 본 고안이 장착된 휴대용 절첩테이블의 일부를 도시한 저면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요부확대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부재가 절첩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의자 2 : 연결부재
3 : 테이블 4 : 씨이트
5 : 다리 6 : 지지부재
7, 8 : 상부ㆍ하부지지부대 9 : 연결핀
10 : 받침대 11 : 힌지
12 : 돌기 13 : 회동핀
14 : 상당부 15 : 곡률미끄럼부
16 : 걸림홈 17 : 측벽
18 : 오목부
본 고안은 휴대용 의자부착 절첩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자의 씨이트에 작용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면서 의자의 다리가 간단히 펼쳐질 수 있도록 된 휴대용 절첩테이블의 의자지지부재 절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절첩테이블은, 이 테이블을 사용할 경우에는 테이블에 절첩식으로 연결된 의자를 펼쳐 사용하다가 사용치 않을 때는 의자를 접어넣어 휴대하기 편하도록 되어 있다.
이과 같은 휴대용 절첩테이블의 의자는 사용자가 앉게 되는 씨이트와 씨이트에 작용되는 하중을 지지하는 2쌍의 다리 및 이들 씨이트와 다리를 횡방향으로 연결시켜 씨이트에 가해지는 하중을 다리로 분산시켜 보강지지해주는 지지부재로 이루어지면서, 이 지지부재가 상부지지부재와 하부지지부재로 분할구성되어져 있는데, 여기서 이들 상, 하부지지부재는 연결핀을 매개로 회동할 수 있게 상호 연결되어 접히거나 나란히 펼쳐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휴대용 절첩테이블의 의자는, 다리가 씨이트에 걸리는 하중을 충분히 지탱하지 못하고 좌우로 요동하게 됨으로서 의자구조에 찌그러짐현상이 일어나게 되어 안정감을 해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상기 상부 및 하부지지부재의 연결핀주위에 슬라이딩부재를 씌워, 의자가 펼쳐졌을때 상부 및 하부지지부재가 일직선으로 되면서 그 연결부위가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의해 압착시켜지도록 함으로써 상, 하지지부재가 안정화되도록 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조로 된 의자를 접거나 펼칠때 손으로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밀어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 및 하부지지부재와 슬라이딩부재사이에 일정간극의 틈새가 발생하게 되어 상기 지지부재가 씨이트에 작용되는 하중을 견고히 지탱하지 못하고 하중에 따라 변위가 발생하게 되어 요동하게 된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실용신안등록 제 34081 호와 같이, 상, 하지지부재가 펼쳐지게 되면, 하부지지부재의 상부에 인장 형성된 클립부재에 상부지지부재가 억지끼움되어 고정시켜지도록 된 것도 있으나, 이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에 어려움이 따르고, 오래사용되면 클립부의 탄성에 저하되어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씨이트와 다리를 연결하는 상부 및 하부 씨이트에 가해지는 하중을 견고하게 지탱해서 안정감을 높여주도록 된 휴대용 절첩테이블의자의 지지부재절첩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휴대용 테이블에 절첩식으로 연결되면서, 씨이트와 2쌍의 다리를 갖춘 의자에 각각 1쌍의 다리의 중간부와 상기 씨이트의 하중 중간부위를 보강지지해주는 지지부재가 경사지게 설치되는바, 이 지지부재는 상부 및 하부지지부재로 분할되어 상부지지부재가 힌지를 매개로 시이트의 하부중간부위에 회동되도록 연결되고, 이 상부지지부재의 하단에는 양쪽옆으로 2개의 돌기가 돌출형성되는 한편, 상기 하부지지부재에는 상기 상부지지부재가 접혀지거나 펼쳐졌을 때 상기 돌기를 수용해서 걸어주도록 된 오목부 및 걸림홈이 각각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의자의 다리를 펼치게 되면 상기 상부지지부재의 돌기가 하부지지부재의 걸림홈에 긴밀히 끼워지면서, 이들 상, 하부지지부재가 견고히 연결되어져, 씨이트에 작용되는 하중을 다리로 분산시킴과 동시에 견고하게 지탱해 주게 되고, 의자를 접게되면 상기 돌기가 상기 걸림홈으로 부터 해제된 다음 상기 오목부에 끼워지게 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지지부재를 상기 다리 및 씨이트와 함께 콤팩트하게 접어 휴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서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의자(1)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2)를 매개로 테이블(3)에 절첩되게 연결되면서, 앉아서 용무를 볼 수 있도록 된 씨이트(4)와, 이 씨이트(4)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해주도록 이 씨이트(4)와 핀(도시안됨)을 매개로 힌지결합시켜진 4개의 다리(5) 및, 상기 씨이트(4)의 하부중간부위다리(5)사이를 연결해서 보강해주는 지지부재(6)를 갖추고 있는바, 제 2 도 및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지지부재(6)는 상부지지부재(7)와 하부지지부재(8)로 분할되어 연결핀(9)을 매개로 서로 절첩시켜질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지지부재(7)는 그 상단이 상기 씨이트(4)의 중앙부위 아랫쪽에 나란히 부착된 2개의 받침대(10) 길이방향 중간부에 힌지(11)를 매개로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이 상부지지부재(7)의 하단에는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와 그 길이방향에 직각이 되도록 일정위치에 돌기(12)가 양쪽으로 돌출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하부지지부재(8)는 대체로 3각 형상으로 하단부의 2개의 꼭지점이 다리(5)의 중앙부위에 회동핀(13)을 매개로 절첩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상기 하부지지부재(8)의 상단부(14)에는 상기 상부지지부재(7)의 돌기(12)가 미끄럼 접촉되면서 긴밀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곡률미끄럼부(15) 및 걸림홈(1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부지지부재(8)의 하부면중앙에는 이 하부지지부재(8)를 보강해주면서 상기 의자(1)를 접을때 상기 상부지지부재(7)를 수용할 수 있도록 된 측벽(17)이 나란히 형성되고, 이 측벽(17)에는 상기 의자(1)를 접을 때 상부지지부재(7)의 돌기(12)를 수용하도록 오목부(18)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 휴대용 절첩테이블 의자의 지지부재 절첩구조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의자(1)를 펼쳐 사용하기 위해 2쌍의 다리(5)를 수직되게 펼치게 되면,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부지지부재(7, 8)가 연결핀(9)을 중심으로 서로 회동되면서 펼쳐지게 된다. 즉 상부지지부재(7)의 양옆에 형성된 돌기(12)가 하부지지부재(8)의 곡률미끄럼부(15)를 따라 미끄럼이동한 다음 하부지지부재(8)의 상단부(14)에 형성된 걸림홈(16)에 긴밀히 안착되게 되므로, 상기 상부지지부재(7) 및 하부지지부재(8)가 일직선상으로 연결되면서 씨이트(2)의 받침대(10)에 작용하는 하중을 다리(5)로 분산시켜주게 된다.
한편, 상기 의자(1)를 접기 위해 상기 연결핀(9)을 중심으로 상, 하부지지부재(7, 8)에 서로 반대방향의 힘을 가하게 되면, 상부지지부재(7)의 돌기(12)가 하부지지부재(8)의 걸림홈(16)으로부터 빠져나와 곡률미끄럼부(15)를 타고 완전히 해제되게 됨으로서 상, 하부지지부재(7, 8)를 상호 접을 수 있게 되는바, 이대 상기 다리(5)를 씨이트(4)안쪽으로 밀어넣어 완전히 접어주게 되면 상부지지부재(8)가 하부지지부재(8)하부면에 형성된 측벽(17) 내에 끼워지게 됨과 동시에 상기 돌기(12)가 측벽(17)에 형성된 오목부(18)에 끼워지게 되어, 다리(5)와 지지부재(6)가 씨이트(4)와 함께 콤팩트하게 접혀져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된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부지지부재(7)에 형성된 돌기(12)가 하부지지부재(8)에 형성된 걸림홈(16)에 끼워지거나 벗겨지게 되는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의자(1)를 펼칠 때 상기 돌기(12)가 걸림홈(16)에 걸려 끼워져 상, 하부지지부재(7, 8)의 연결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씨이트(4)와 다리(5)가 효과적으로 보강될 수 있게 되고, 의자(1)를 접게 되면 상기 걸림홈(16)으로부터 돌기(12)가 간단히 해제시켜질 수 있게 되어 간편히 절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연결부재(2)를 매개로 테이블(3)에 연결된 의자씨이트(4)와 다리(5)사이에 상, 하부지지부재(7, 8)로 분할된 지지부재(6)가 연결핀(9)으로 연결되어 절첩될 수 있도록 된 휴대용 절첩테이블의 의자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부재(7)의 하단 일정위치는 그 길이방향과 직각이 되도록 양쪽 옆으로 돌기(12)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하부지지부재(8)의 상단부(14)에는 상기 돌기(12)가 미끄럼접촉되면서 끼워 걸려질 수 있도록 골률미끄럼부(15) 및 걸림홈(16)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지지부재(8)의 상단부(14) 반대쪽 하부면중앙에는 상부지지부재(7)가 접혀질때 상기 돌기(12)가 끼워질 수 있도록 오목부(18)가 대응되게 형성된 측벽(17)이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절첩테이블의 의자지지부재 절첩구조.
KR2019890010920U 1989-07-27 1989-07-27 휴대용 절첩테이블의 의자지지부재 절첩구조 KR9200025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0920U KR920002552Y1 (ko) 1989-07-27 1989-07-27 휴대용 절첩테이블의 의자지지부재 절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0920U KR920002552Y1 (ko) 1989-07-27 1989-07-27 휴대용 절첩테이블의 의자지지부재 절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143U KR910002143U (ko) 1991-02-25
KR920002552Y1 true KR920002552Y1 (ko) 1992-04-25

Family

ID=19288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0920U KR920002552Y1 (ko) 1989-07-27 1989-07-27 휴대용 절첩테이블의 의자지지부재 절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255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143U (ko) 199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2553Y1 (ko) 휴대용 절첩테이블
US4798411A (en) Collapsible combined table and chair assembly
US5504951A (en) Foldable baby playyard
US4700987A (en) Folding table mechanism
US6386627B1 (en) Rear leg-supported foldable chair
US4819568A (en) Multi-way portable writing desk
WO1996014777A3 (en) Collapsible support structure
EP0966216A1 (en) Folding table
US6488119B1 (en) Folding sawhorse with locking shelf
KR920002552Y1 (ko) 휴대용 절첩테이블의 의자지지부재 절첩구조
JPH01305903A (ja) テーブル折畳み機構
KR920007465B1 (ko) 유아용 절첩식 등걸이
WO2004058003A2 (en) Table with expandable table top
CN217471568U (zh) 一种折叠凳
JPS5927165Y2 (ja) 折畳式テ−ブル
KR960005292Y1 (ko) 낚시대 받침대가 부설된 의자
JPS63102715A (ja) 基本用途がスツールである折畳家具
KR950006213Y1 (ko) 휴대형 절첩식 침대
JPH0212921Y2 (ko)
KR910004412Y1 (ko) 절첩식 의자
JPS6225152Y2 (ko)
JPH0621439Y2 (ja) アイロン台
JPH0350776Y2 (ko)
KR950009835Y1 (ko) 휴대용의자의 머리받침장치
JPS5911634Y2 (ja) 折りたたみテ−ブルにおける支脚の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