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213Y1 - 휴대형 절첩식 침대 - Google Patents

휴대형 절첩식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213Y1
KR950006213Y1 KR92010119U KR920010119U KR950006213Y1 KR 950006213 Y1 KR950006213 Y1 KR 950006213Y1 KR 92010119 U KR92010119 U KR 92010119U KR 920010119 U KR920010119 U KR 920010119U KR 950006213 Y1 KR950006213 Y1 KR 9500062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eat
connector
hinged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01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0257U (ko
Inventor
배석규
Original Assignee
황주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주황 filed Critical 황주황
Priority to KR920101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6213Y1/ko
Publication of KR9400002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2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2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2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64Travelling or camp beds
    • A47C17/70Travelling or camp beds the bed frame being foldable about a horizontal axis
    • A47C17/72Travelling or camp beds the bed frame being foldable about a horizontal axis having cross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64Travelling or camp beds
    • A47C17/74Travelling or camp beds the bed being foldable about a ver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 F16B2012/446Leg joints; Corner joints with three-dimensional corner element, the legs thereof being inserted in hollow fram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휴대형 절첩식 침대
제 1 도는 본 고안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시트를 보여주는 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골격조립체를 보여주는 사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골격조립체의 연결구를 중심으로 나타낸 일부절결 분해사시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조립상태 종단면도.
제 6 도는 제 3 도 및 제 4 도에 도시한 연결구의 결합상태 사시도.
제 7 도는 본 고안의 절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제 8 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받침간 9 : 하부연결구
10 : 골격조립체 11 : 단턱
12 : 결합공 13 : 본체
14 : 개방요홈부 15 : 회전연결부재
16 : 요홈부 18 : 봉재부
20 : 시트
본 고안은 다수의 받침간과 연결구를 힌지연결구성하여 골격조립체를 구성하고 이 골격조립체에 시트를 결합하여 펼쳐서 사용하고 절첩이 용이하도록 한 휴대형 절첩식 침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다양한 형태의 절첩식이나 조립식의 침대가 안출된 바 있고, 예를들어 본고안자의 선고안인 국내실용신안공개 제 87-15926 호(공고번호 제 90-2894 호)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침대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절첩과정이나 조립과정이 번거로우며 절첩후와 분해후에 차지하는 용적이 비대하여 휴대나 보관이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자의 선출원인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0-9049 호의 경우에는 펼쳐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머리와 발부분이 위치하게되는 양측의 받침간이 중앙하부의 연결구로부터 양단에 위치한 상부연결구를 거쳐 좌우 대칭형상으로 힌지연결이 되어 있는 관계로, 시트를 조립하여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의 머리부분과 발부분이 상향경사형태로서 동일높이에 위치하게 되고 신체가 허리부분을 중심으로 활처럼 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안락함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받침간의 힌지연결구성상 절첩시 차지하게 되는 길이를 고려하여 볼 때 양측 받침간의 길이에 제한을 받게 되므로 시트의 길이에도 제한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인체의 신장이상으로 시트길이를 충분하게 확보하고자 하는 경우엔 양측받침간의 길이를 과다하게 길게하여야 하는 폐단이 노출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골격조립체중 양측에 위치하는 받침간중 일측의 받침간을 X자로 힌지결합하고 하부연결구중 일측 한쌍에 연결하여 시트를 결합할 수 있게 함으로서 시트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더라도 받침간의 길이를 별도로 길게 연장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수용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신장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받침간의 길이는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골격조립체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어 절첩시 그 크기를 보다 소형화 할 수 있고 운반 및 휴대가 용이하며, 펼쳐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발부분이 위치하는 시트부위를 머리부분이 위치하는 시트부위보다 낮게 형성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보다 안락감을 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절첩식 침대는 본 고안자의 선출원인 국내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0-9049 호와 유사하게 적정길이를 갖는 다수의 받침간(1, 2, 3, 4, 5)과 이들받침간(1, 2. 3, 4, 5)을 힌지연결시켜주는 다수의 상, 하부연결구(6, 7, 8, 9)의 조립체로 이루어지는 골격조립체(10)와 이 골격조립체(10)의 상부에 시트(20)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전술한 골격조립체(10)에 있어서 받침간(1, 2, 3, 4)과 상, 하부연결구(6, 7, 8) 및 시트(20)는 선출원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0-9049 호와 같이 구성되어지나 본 고안인 절첩식 침대는 골격조립체(10)에 있어서 받침간(5, 5)은 서로 X자로 힌지연결된 상태에서 받침간(5, 5)의 상부는 자유끝단 형태로 구성하고 받침간(5, 5)의 하부는 하부연결구(9, 9)의 회전연결구(15)에 힌지결합하고, 회전연결구(15)는 하부연결구(9, 9)의 본체(13)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워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부연결구(9, 9)는 서로동일한 형태로서 제 4 도 내지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체(13)의 결합공(12)에 회전연결부재(15)의 하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결합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공(12)엔 단턱(11)이 형성되고 회전연결부재(15)는 개방부(14)에 받침간(5, 5)이 힌지결합되며 상기 단턱(11)과 요홈부(16)가 맞닿은 상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즉 회전연결부재(15)는 상기 개방요홈부(14)와 상하부에 서로 단턱을 이루는 요홈부(16)가 형성되어 본체(13)와의 결합시엔 상기 회전연결부재(15)를 본체(13)의 결합공(12)에 억지끼워 맞춤하여 단턱(11)이 상기 요홈부(16)와 서로 맞닿은 상태로 결합되고 서로 빠지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회전 연결부재(15)가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시트(20)는 골격조립체(10)에 있어서 받침간(1, 5)의 자유끝단을 봉재부(17, 18)에 끼워 결합하고 중간부는 상부연결부(7, 8)에 고정부재(19)(19)를 각각 조립하여 본 고안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인 절첩식 침대는, 다수의 받침간(1, 2, 3, 4, 5)과 상하부 연결구(6, 7, 8, 9)가 링크연결구성된 골격조립체(10)의 상부에 시트(20)가 결합된 상태로 이루어져 절첩시엔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피가 축소된 상태에서 휴대,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펼쳐서 사용하는 경우엔 제 1 도 및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손쉽게 펼쳐놓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받침대(5, 5)은 상호 X자로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전체연결구(6, 7, 8, 9)중에서 하부연결구(9, 9)에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하부연결구(9, 9)의 본체(13)와 회전연결부재(15)가 갖는 구조적인 특성상, 회전연결부재(15)와 상기 받침간(5, 5)은 접고, 펼치는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회전연결부재(15)는 본체(13)의 결합공(12)내부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되므로, 골격조립체(10)를 펼치거나 절첩하는 경우 시트(20)와 함께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절첩시에 휴대 및 운반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내에서라면 제작시 시트(20)의 크기에 따라 펼쳤을 때 받침간(5, 5)의 수평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고 받침간(5, 5)의 길이에 따라 시트(20)의 길이도 미리 조절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하여 받침간(5, 5)의 길이를 작게 할수 있으며, 결국 절첩시 차지하는 길이 내지 용적을 줄일수 있게 된다.
때에 따라서는 시트(20)의 길이를 길게하더라도 전체를 펼쳤을 때 받침간(5, 5)이 하부연결구(9, 9)와 이루는 각도가 변화되면서 받침간(5, 5)의 자유 끝단이 끼워진 봉재부(18)가 위치하는 수평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아진 상태에서 펼쳐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적절하게 맞추어 제작, 활용할 수 있게 되며, 결국 펼쳤을 때 사용자의 발부분이 위치하는 시트부위가 반대측의 머리부분이 위치하는 시트부위보다 낮아지게 되고 사용자에게 보다 안락감을 부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연결구(9, 9)에 있어서, 결합공(12)을 갖는 본체(13)와 개방요홈부(14)에서 받침간(5)이 힌지 연결되는 회전연결부재(15)의 결합구성은 전술한 바와같이 절첩식 침대에서 응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호 연결구성상 예를들면 절첩식 의자, 테이블등과 같은 회전 및 힌지운동이 요구되는 어떠한 형태의 구조를 갖는 물품이라면 적절하게 응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두고자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인 절첩식 침대는 골격조립체(10)중 양측에 위치하는 받침간(1, 1)(5, 5)중 일측의 받침간(5, 5)을 X자로 힌지결합하고 하부연결구(7, 8, 9)중 일측의 하부 결구(9, 9) 한쌍에 연결하면서 받침간(5, 5)의 자유 끝단을 시트(20)의 봉재부(18)에 끼워결합하여 이루어지므로 시트(20)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도 상기 받침간(5, 5)을 상대적으로 보다 길게 형성하지 않고도 소정범위내에서 받침간(5, 5)의 설치각도만 조정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장에 구애받지 않고 대처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받침간(5, 5)의 길이를 길게하지 않아도 되므로 절첩시 그 길이를 축소할 수 있어 운반 및 휴대가 보다 간편해 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에 따라 받침판(5, 5)이 위치하는 시트(20)의 일측부위 즉, 사용자의 발부분이 위치하는 부위의 높이를 보다 낮게 할 수 있어 사용자가 보다 안락하게 이용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다수의 받침간과 다수의 상, 하부 연결구의 조립체로 구성되는 골격조립체(10)와 골격조립체(10)의 상부에 시트(20)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통상의 절첩식 침대에 있어서, 상기 골격조립체(10)의 받침간(5, 5)을 서로 X자로 힌지연결한 상태에서 받침간(5, 5)의 상부는 자유끝단에 형태로 구성하고, 받침간(5, 5)의 하부는 하부연결구(9, 9)의 회전연결구(15)에 힌지결합하고 회전연결구(15)는 하부연결구(9, 9)의 본체(13)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워결합되며, 받침간(5, 5)의 자유끝단을 시트(20)의 봉재부(18)에 끼워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절첩식 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연결구(9, 9)는 본체(13)의 결합공(12)에 회전연결부재(15)의 하부를 회전가능하도록 끼워결합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공(12)엔 단턱(11)이 형성되고, 회전연결부재(15)는 개방부(14)에 받침간(5, 5)이 힌지결합되며, 상기 결합공(12)의 단턱(11)과 회전연결부재(15)의 요홈부(16)가 맞닿은 상태로 끼워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절첩식 침대.
KR92010119U 1992-06-08 1992-06-08 휴대형 절첩식 침대 KR9500062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0119U KR950006213Y1 (ko) 1992-06-08 1992-06-08 휴대형 절첩식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0119U KR950006213Y1 (ko) 1992-06-08 1992-06-08 휴대형 절첩식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257U KR940000257U (ko) 1994-01-03
KR950006213Y1 true KR950006213Y1 (ko) 1995-08-04

Family

ID=19334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0119U KR950006213Y1 (ko) 1992-06-08 1992-06-08 휴대형 절첩식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62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7515A1 (en) * 2000-12-15 2002-06-20 Joo-Hwan Hwang One-touch collapsible co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574B1 (ko) * 2009-06-05 2011-08-11 문도주 분해조립 및 휴대가 가능한 침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7515A1 (en) * 2000-12-15 2002-06-20 Joo-Hwan Hwang One-touch collapsible cot
US6763534B2 (en) 2000-12-15 2004-07-20 Joo-Hwan Hwang One-touch collapsible c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257U (ko) 199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9568A (en) Multi-way portable writing desk
WO1986000206A1 (en) Folding chair and table structure
EP0790791B1 (en) Collapsible support structure
US6618879B1 (en) Portable bed frame
KR200425508Y1 (ko) 세탁물 건조대의 접이식 받침대
KR950006213Y1 (ko) 휴대형 절첩식 침대
US2896695A (en) Convertible seat
JP2859443B2 (ja) 折畳み椅子
KR200296016Y1 (ko) 절첩식 간이 테이블
CN212479817U (zh) 一种减少晃动的连接结构
KR910004411Y1 (ko) 절첩식 의자
CN216907559U (zh) 一种折叠架
JP3225173U (ja) サークル付き折畳式ベッド
JP2769782B2 (ja) 二脚折畳式座卓
CN216723902U (zh) 一种折叠床架结构
KR200409716Y1 (ko) 휴대용 접철식 보면대
JP2005065898A (ja) 組立式テーブル
JP2875194B2 (ja) 台板に対する脚の取付構造
KR960005292Y1 (ko) 낚시대 받침대가 부설된 의자
KR910004412Y1 (ko) 절첩식 의자
KR880002220Y1 (ko) 휴대용 의자
JP3079321U (ja) 折畳み机の脚枠
KR100196782B1 (ko) 다목적 매트
JPH1175941A (ja) 折畳み式テーブル
KR960000323Y1 (ko) 휴대용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DISMISSAL OF TRIAL FOR INVALIDATION IN ENTIRETY REQUESTED 19980619

Effective date: 1998112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