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137Y1 - 개폐가 용이한 조립식 장롱 - Google Patents

개폐가 용이한 조립식 장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137Y1
KR920002137Y1 KR2019890007611U KR890007611U KR920002137Y1 KR 920002137 Y1 KR920002137 Y1 KR 920002137Y1 KR 2019890007611 U KR2019890007611 U KR 2019890007611U KR 890007611 U KR890007611 U KR 890007611U KR 920002137 Y1 KR920002137 Y1 KR 9200021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door
outer plate
shutter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76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9800U (ko
Inventor
인천성
Original Assignee
인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성 filed Critical 인천성
Priority to KR20198900076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2137Y1/ko
Publication of KR9000198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98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1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1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개폐가 용이한 조립식 장롱
제 1 도는 본 고안의 조립식 장롱문을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장롱문을 열어놓은 상태의 사시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정면도.
제 4 도는 제 2 도의 A부 확대도.
제 5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셔터식 장롱문의 각마디 상하단에 착설되는 상하단 협지구의 사시도.
제 6 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로울러 협지구의 사시도.
제 7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장롱문의 요부 분해 사시도.
제 8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장롱문의 결합상태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롱문 2 : 천정프레임
3 : 바닥프레임 4, 4', 10a, 11b, 1b : 요홈
9 : 가이드레일 10 : 협지구
10b, 11c : 몸체 10d : 마찰부
11 : 로울러 협지구 11b : 로울러
12a : 외측판재 12b : 내측판재
14 : 보강재 15 : 돌출턱
17 : 걸림턱
본 고안은 개폐가 용이한 조립식 장롱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장롱 상부의 천정 프레임과 하부의 바닥 프레임의 주연부 상.하면에 요홈을 형성하여 이 요홈내에 가이드 레일을 형성하고, 미닫이 셔텨식으로 되어 있는 장롱문을 형성하는 각각의 외측 판재 상하단에 협지구를 설치하여 이 협지구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도록 장롱문을 결합함으로써, 장롱문의 개폐를 용이하게 한 조립식 장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장롱은 장롱문의 좌우측 단부에 경첩을 착설하여 여닫을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여닫치 개폐 형식이 대부분인데 이와 같은 장롱을 제작할 경우에 있어서는 먼저, 장롱 본체를 제작한후, 장롱문을 일일이 맞추어서 제작해야 하는 어려움과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장롱의 여닫이 문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좌우측 단부에 착설되어 장롱문을 장롱본체와 연결하여 주는 경첩의 나사가 장롱문의 열림시 그 하중에 의해서 쉽게 풀려지게 되어, 장롱본체와 장롱문이 어긋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고 잘 열리거나 닫이히 않아서 무리하게 힘을 주어 장롱문을 여닫게 되므로, 고가로 구입한 장롱을 얼마 사용치 못하고 쉽게 망가뜨려 버리는 경우가 허다하였다.
한편, 종래의 샤터식 문을 갖는 조립식 수납기구가 있었으나, 이들 수납가구의 셔터를 형성하는 마디가 장방형으로 측면이 전, 후면에 대해서 90°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각 마디를 연결할때 약 2∼5㎜이상의 틈새를 띄어놓지 않으면 곡면 부분을 이동할때 마디끼리 맞닿아서 곡면부분을 통과할수 없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셔터의 마디와 마디사이를 될수 있는 한 넓게 띄우지 않으면 안되고, 이동될 부분을 될수 있는 대로 직선운동으로 한정하든가 또는 큰 둔각으로 하여야 하거나 또는 마디 부분을 가능한 얇게 형성하여야 하는 수 밖에 없다. 한정하든가 또는 큰 둔각으로 하여야 하거나 또는 마디 부분을 가능한 얇게 형성하여야 하는 수 밖에 없다. 이와같이 마디로 형성한 문은 마디사이의 틈새가 크기 때문에, 먼저, 불순물등이 들어가 장농이나 수납장의 내부를 더럽히기 때문에 현재까지 셔터식의 가구는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장롱과 장롱의 문은 재질이 모두 목재인 관계로 인하여, 오랜기간 사용시 나무내부에 잔존하고 있던 수분이 빠져나가 변형을 일으키게 되어 장롱본체와 장롱문이 잘 들어 맞지 않게 되는 경우가 많은 등의 여러 제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여닫이 형식 장롱문의 문제점을 볼때 오랜기간을 사용하여도 장롱본체와 장롱문이 어긋나지 않고, 장롱문의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수 있으며, 장롱문 틈새로 먼지등의 이물질이 침입되지 않는 장롱문이 요망된다고 인식한 본 고안자는 장롱의 문을 미닫이 셔터식하면 종래 문제점을 완전해소할 수 있다는 데에 착안하여 본 고안을 안출하게 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장롱 상부의 천정 프레임과 하부의 바닥 프레임의 주연부 상하면에 각각 요홈을 형성하여 이 요홈내에 레일을 형성한 후 미닫이 셔터식으로 되어 있는 장롱문을 형성하는 각각의 외측 판재 상하단에 미끄럼 마찰에 의해 장롱문의 좌우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협지구를 설치하여 이들 협지구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착되도록 장롱문을 설치함으로써, 손잡이를 잡고 장롱을 열경우, 상기의 가이드 레일과 및 생산단가를 현저하게 격감시키고, 또한 경량이면서 조립이 용이하여 손쉽게 해제 및 조립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된 마디의 틈새가 거의 없는 장롱문이 구성된 장롱을 제공하는데 그의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의류 및 침구류 등을 수납 보관하는 공지의 장롱(20)에 있어서, 그 장롱(20)의 문을 미닫이 셔터식으로 형성하되, 장롱(20)의 상부 천정프레임(2)과 하부 바닥 프레임(3)의 주연부 상하면에 요홈(4) (4')을 각각 형성하고 이의 요홈(4) (4')에 가이드 레일(9)을 형성하여, 이에 제 7 도 및 제 8 도에서와 같이, 다수의 외측판재(12a) 및 내측판재(12b)와 보강재(14) 및 합성수지재의 실 또는 고무재 등의 밴드(13)등으로 구성되는 셔터식 장롱문(1)을 미끄럼 마찰에 의해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한 구성이다.
상기에서 장롱문(1)의 상하단이 안착 결합되도록 천정 프레임(2) 및 바닥프레임(3)의 주연부에 형성되는 요홈(4) (4')은 제 4 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요홈 중앙부에 요홈의 길이 방향에 따라 가이드 레일(9)을 형성함으로써, 가이드 레일(9)의 양측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협지구(10) (11)를 좌우 이동시 이들을 안내할수 있도록 구성된다.
장롱문(1)은 제 7 도 및 제 8 도에서와 같이 내외측 판재(12b) (12a) 및 보강개(14), 합성수지재의 실(13)등으로 구성되는데, 이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일측면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턱(15)이 형성되고, 타측면 중앙부로 상기의 돌출턱(15)이 삽입면되어 적정각도로 유동 절첩될 수 있는 크기의 요홈(16)이 형성된 다수의 내측판재(12b)들을 하나의 내측판재(12b)요홈(16)에 다른 내측판재(12b)의 돌출턱(15)이 삽입되는 구조로 필요한 만큼 연속적으로 결합한 후 이들 내측 판재(12b)의 외측면에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그물 형상의 실 또는 고무재 등의 밴드(13)을 접착제로 일체 압착함으로써 내측판재(12b)의 각 마디들이 서로 떨어지지 않고 연결되게 한다. 그런다음 상기 합성수지재의 실 또는 고무재 등의 밴드(13)의 외측면에는 좌우측 내단에 걸림턱(17)이 형성된 외측판재(12a)을 부착하여 상기 내, 외측 판재(12b) (12a)의 마디 부분이 적정각도로 접혀질수 있도록 구성한 셔터식 장롱문(1)으로서 상기 외측 판재(12a)의 외측면에는 이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그 양단으로 상기 걸림턱(19)에 대응하여 끼워질수 있는 절곡부를 갖는 알루미늄등의 경량 금속재로서 장롱문(1)의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할수 있는 보강재(14)가 부착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장롱문(1)의 상, 하단부에는 장롱문(1)이 장롱 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좌우 개폐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협지구(10) (11)가 설치되어 지는데, 각각의 외측 판재(12a)상하단에 설치되는 협지구(10)는 제 5 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몸체(10b)의 중간부에 걸림턱(18)을 두고 상측으로 고정구(10c)가 입설되며 몸체(10b) 하측중앙부로는 가이드 레일(9)이 삽입되는 요홈(10a)이 형성되고 그 상측으로는 일정곡률을 갖고 곡면으로 형성되어 가이드 레일(9)과 원활한 미끄럼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마찰부(10d)를 형성한 것으로서, 이의 협지구(10)는 장롱문(1)의 외측판재(12a)상하단 외측부에 형성된 요입부(19)에 고정구(10c)가 걸림턱(18)까지 끼워져 외측판재(12a)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보강재(14)에 의해 결합 고정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장롱문(1)의 외측판재(12a)각 마디의 하단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중간 중간에 상기 협지구(10)와 마찬가지로 설치되는 로울러 협지구(11)는 제 6 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몸체(11c)의 중간부에 걸림턱(18)을 두고 상측으로는 고정구(11d)가 입설되며 몸체(11c)의 하측 중앙부로 가이드 레일(9)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요홈(11a)내에 로울러(11b)를 설치한 구성으로서, 외측판재(12a)의 하단에 형성된 요입부(19)에 고정구(11d)가 걸림턱(18)까지 끼워져 상기 협지구(10)과 마찬가지로 보강재(14)에 의해 결합 고정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요홈(10a) (11a)의 크기는 가이드 레일(9)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장롱문(1)은 상하단부에 고정 설치된 협지구(10) (11)의 요홈(10a) (11a)이 장롱(20)의 천정프레임(2)과 바닥 프레임(3)에 형성된 요홈(4) (4')내의 가이드 레일(9)에 끼워지도록 결합하면 제 1 도 내지 제 3 도와 같이 장롱(20)본체에 결합되어 지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5는 손잡이이고, 6은 배면지지 프레임, 7, 7'는 중앙지지 프레임, 8, 8'은 측면지지 프레임으로 장롱(20)본체의 골격을 이루는 조립식 프레임들로써 공지의 기술인바, 그 구성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장롱문(1)은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미닫이 형식으로 개폐하게 되는데, 장롱문(1)이 닫혀진 상태에서 열고자 할 때에는 손잡이(5)를 잡고서 제 3 도의 화살표와 같이 열면, 장롱문(1)은 상하 협지구(10) 및 로울러 협지구(1)가 가이드 레일(9)에 올려진 상태에서 이들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좌우측으로 용이하게 열리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장롱문(1)을 닫고자 할 때에는 화살표의 반대 방향으로 닫으면 장롱문(1)을 상기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 닫히게 된다.
이와 같은 장롱문(1)의 열고 닫는 동작에서 상.하협지구(10)의 동작은 마찰부(10d)가 가이드 레일(9)의 상면에 올려져 면접촉이 아닌 선접촉이 이루어짐으로써 마찰 저항이 극히 작아 장롱문(1)의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면, 또한 장롱문(1)의 하단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중간 중간에 로울러 협지구(11)를 설치하였는바, 이의 로울러(11b)가 가이드 레일(9)의 상면에서 구르게 되므로써, 장롱문(1)이 적은 힘으로도 개폐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장롱문(1)의 개폐동작에 있어서, 장롱(20)본체의 모서리 부분에서는 장롱문(1)을 구성하는 내.외측 판재(12b) (12a)들의 각 마디 부분이 일정한 각도로 접혀지면서 이동하게 되므로 장롱문(1)은 요홈(4) (4')과 가이드 레일(9)을 따라 유연하게 장롱(20)의 뒤쪽에서 이동하거나 전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장롱의 문을 미닫이 형식의 셔터식 장롱문으로 형성하였는바, 종래의 미닫이 형식의 셔터식 장롱문이나 여닫이 형식에 의한 장롱문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장롱문의 개폐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여 제작 공정 및 생산단가를 현저하게 격감시킴은 물론 경량이면서 조립이 용이하여 손쉽게 해체 및 조립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의류 및 침구류등을 수납 보관하는 공지의 장롱(20)에 있어서, 장롱(20)의 천정 프레임(2)과 하부의 바닥프레임(3)의 주연부 상하면에 요홈(4) (4')을 형성하여 이의 요홈(4) (4')에 가이드레일(9)을 형성하여 이에 다수의 외측판재(12a) 및 내측판재(12b)로 구성되는 셔터식 장롱문(1)의 셔터식 장롱문(1)의 각 외측판재(12a)상하단에 미끄럼마찰에 의해 원활하게 좌우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다수의 협지구(10)와 로울러 협지구(11)의 요홈(10a) (11b)이 상기 가이드 레일(9)에 삽입되게 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용이한 조립식 장롱.
  2. 제 1 항에 있어서, 장롱문(1) 각각의 외측판재(12a)상하단에 설치되는 협지구(10)는 몸체(10b)의 하측 중앙부로 형성된 요홈(10a)의 상측으로 일정곡률을 갖는 곡면 마찰부(10d)를 형성하고, 장롱문(1)의 하단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는 로울러 협지구(11)는 몸체(11c)의 하측 중앙부로 형성된 요홈(11a)내에 로울러(11b)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용이한 조립식 장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셔터식 장롱문(1)은 중간부에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그물눈 형상의 실 또는 고무재등의 밴드(13)를 두고 그 양측으로 다수의 외측판재(12a)와 내측판재(12b)접착제로서 연속적으로 일체 압착하여 구성되며, 상기의 내측판재(12b)의 일측으로는 길이 방향으로 돌출턱(15)을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상기 돌출턱(15)을 삽입할수 있는 요홈(16)을 형성하여 이 내측판재(12b)를 연속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각 마디 부분에서 일정량 만큼 접혀질수 있도록 구성된 장롱문(1)이 설치된 것이 특징인 장롱.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재(12a)의 내측 좌우단으로 걸림턱(17)을 형성하여 그위로 보강재(14)를 삽착한 것이 특징인 개폐가 용이한 조립식 장롱문(1)이 장착된 장롱.
KR2019890007611U 1989-05-31 1989-05-31 개폐가 용이한 조립식 장롱 KR9200021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7611U KR920002137Y1 (ko) 1989-05-31 1989-05-31 개폐가 용이한 조립식 장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7611U KR920002137Y1 (ko) 1989-05-31 1989-05-31 개폐가 용이한 조립식 장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9800U KR900019800U (ko) 1990-12-12
KR920002137Y1 true KR920002137Y1 (ko) 1992-03-28

Family

ID=19286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7611U KR920002137Y1 (ko) 1989-05-31 1989-05-31 개폐가 용이한 조립식 장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213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9800U (ko) 1990-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37765A (en) Sliding shelf structure
US4630664A (en) Insulated roll-up door
EP0428589A4 (en) Connection system
US10669769B2 (en) Device for coordinated control and operation of double doors
US5690157A (en) Rigid panel folding shower door assembly having improved horizontal track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CA2715561A1 (en) Spring biased roller for a shower door or the like
US3643529A (en) Furniture construction
US3994330A (en) Releasably restrained folding door for showers and the like
US6634727B2 (en) Closet doors with integrated shelves
US4340106A (en) Strip door hanging system
KR920002137Y1 (ko) 개폐가 용이한 조립식 장롱
EP1419306A1 (en) A reversible window, use thereof and a guide device for a reversible window
KR102649935B1 (ko) 손끼임 방지 장치
US6779858B2 (en) Drawer stop device with dual-side mountable roller
JPH04131485A (ja) 扉装置
KR100351517B1 (ko) 조립식 스크린 도어장치
JPH0644443U (ja) 引き出しの取付け構造
JPS6133116B2 (ko)
KR200334958Y1 (ko) 장식장 여닫이문장치
EP1243731A2 (en) Device for joining a rotating leaf to a fixed wall
KR920006448Y1 (ko) 씽크대의 걸레받이판
JP3643545B2 (ja) 引き手部材、引き手装置及び建具
KR101035605B1 (ko) 수납장의 코너 도어용 힌지
JP3039112U (ja) アコーデオンドアの収納ホルダー
JP3085644B2 (ja) 浴室戸の上部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