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837B1 - 브라운관의 외광반사 방지액 - Google Patents

브라운관의 외광반사 방지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837B1
KR920001837B1 KR1019890013543A KR890013543A KR920001837B1 KR 920001837 B1 KR920001837 B1 KR 920001837B1 KR 1019890013543 A KR1019890013543 A KR 1019890013543A KR 890013543 A KR890013543 A KR 890013543A KR 920001837 B1 KR920001837 B1 KR 920001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t
film
panel
weight
silic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3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7061A (ko
Inventor
김헌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filed Critical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13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1837B1/ko
Priority to MYPI90001238A priority patent/MY111868A/en
Priority to CN90106617A priority patent/CN1056639C/zh
Publication of KR910007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8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8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provided with coatings on the walls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 coatings

Landscapes

  • Paints Or Remover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브라운관의 외광반사 방지액
본 발명은 브라운관의 외광반사 방지액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브라운관 표면에 미세한 다수의 용기를 가진 투명한 규소피막을 형성시켜 외광을 난반사하도록 함으로써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는 브라운관의 외광반사 방지액에 관한 것이다.
통상 브라운관은 그 패널표면이 매끄러운 면으로 되어 있어 외광을 강렬하게 정반사하고, 전등이나 창등의 밝은 물체가 브라운관 표면상에 비쳐 화상을 보기가 매우 어렵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정반사를 방지하기 위해 브라운관 표면을 미세한 요철상의 면으로 하여 외광을 난반사시키는 방법으로 종래 여러가지 제안된 바 있다.
예를들면, 브라운관 패널표면의 유리를 불산에 의해 선택에칭하여 요철을 만드는 화학적 방법이 있으나, 이 방법은 공해문제를 발생하기 쉽고, 패널이 손상되기 쉬우며 처리 불량의 경우 재생처리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고; 연마제를 사용한 샌드브라스트법으로 패널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방법은 일정한 품질을 얻는 것, 재생이 불가능한 것, 연마제등의 이물질혼입의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고; 플라스틱 필름을 피복시키는 방법은 패널표면에 상처를 입히기 쉽고, 유기용제가 용출되기가 쉬운 문제점이 있고; 규산의 알칼리염 수용액(물유리라고도 함)을 브라운관의 패널 표면에 스프레이등에 의해 도포하고 열처리하여 표면에 요철상의 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수용액상태로 있기 때문에 스프레이를 이용하여도 유동상태로 되기 쉽고, 알칼리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공기중의 수분과 반응하여 백탁(白濁)해지고 표면에서 결정수가 용출되는 문제가 있었다.(일본실공소 44-11150호 참조)
이에 대하여 공해, 품질유지 및 생산단가의 문제를 해결하는 대응책으로 실리카 유도체를 패널표면에 스프레이 도포하여 150℃이하의 온도에서 소성시키는 소위 외광 반사 방지액을 도포하는 방법이 실시되어 왔다.
이와 같은 종래의 외광반사 방지액의 일례로는 브라운관 패널의 표면에 4염화규소와 알코올류 또는 에스테르류와의 혼합용액을 스프레이하여 미세한 요철상의 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었다. 이 방법은 양호한 피막을 얻을 수 있지만 염산용액으로 인해 스프레이 노즐이 손상되고, 제조공정에 있어서, 설비, 용액의 취급등에 많은 문제가 있고 염산등의 할로겐이온은 브라운관의 생명인 발광성능을 저하시키므로 그 잔류분의 철저한 제거공정이 필요할 뿐 아니라 생산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었다.(일본 실공소 50-26277호 참조) ; 다른 예로서 브라운관 패널의 표면에 Si(OR)4(식중 R은 알킬기이다)의 알코올 용액을 도포한 후, 80 내지 150℃(패널의 표면온도)의 저온에서 소성함으로써 Si-O-Si의 실옥산 구조의 일부로 ≡Si-OH의 실라놀기가 일부 잔존하므로 대전방지효과가 얻어지고, 또한 HNO3를 첨가함으로써 매우 큰 막접착강도를 얻었으나 가열조건에 따라 막접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일본 특개소 61-29051호 및 61-11892호 참조) ; 또 다른 예로서는 브라운관 패널의 표면에 폴리알킬실옥산을 함유하는 용액을 도포하고 축합반응시켜 패널표면에 SiO2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고중합체의 특성을 이용하여 막강도의 향상을 꾀하였으나, 통상 사용하는 에틸 실리케이트 단량체는 피막강도가 약하므로 산의 첨가량, 물의 첨가량 또는 소성조건의 변화등의 조건을 수반해야할 뿐 아니라 그 조건도 매우 까다로우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제시된 폴리알킬실리케이트 4량체는 피막강도가 크나 150℃의 저온에서는 소성후 채색이 맑은 투명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약간의 백탁색을 나타내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상술한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막접착력과 투명한 채색을 갖춘 반사 방지막을 용이하고 안정하게 형성할 수 있는 브라운관의 외광반사 방지액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외광반사 방지액은 100% 에틸실리케이트 단량체나 100% 폴리에틸실리케이트 4량체를 단독으로 사용하지 않고, 알코올용매, 산촉매, 물등으로 되어 있는 용액에 에틸실리케이트 단량체와 폴리에틸실리케이트 4량체를 적당한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준비하고, 여기에 물을 첨가하여 가수분해하고 염산 또는 질산등의 산을 첨가하여 중축합반응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외광반사 방지액은 바람직하기로는 에틸실리케이트 단량체 대 폴리에틸실리케이트 4량체의 부피비를 80 : 20 내지 20 : 80으로 하여 혼합한 규소 유도체를 1 내지 20중량% 준비한뒤, 여기에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및 부탄올등의 알코올류를 55 내지 95중량%로 첨가하여 교반하고, 다음에 얻어진 실리케이트와 알코올과의 혼합물에 3 내지 20중량%의 물을 첨가하여 가수분해하고, 염산 또는 질산등의 산을 첨가하여 중축합 반응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반사방지도포액을 브라운관의 패널표면에 스프레이하여 도포한다.
본 발명에서 에틸실리케이트 단량체와 폴리에틸실리케이트 4량체의 부피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범위외, 즉 100∼80 : 0∼20 또는 0∼20 : 100∼80인 경우에는 막강도가 저하되고 피막표면 색깔이 변화하여 외광반사 방지액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메틸기나 에틸기는 가수분해하기 용이하고, 주요 조성으로는 가수분해 반응을 촉진하기 위해 산 또는 알칼리 및 물을 첨가한 알코올 용액으로 사용한다. 브라운관의 패널 표면에의 도포방법에는 스프레이법, 분산법 및 침지법등이 있는데 어느 방법이라도 균일한 도포가 가능한한 무방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표 1은, 알코올 55 내지 95중량%에 에틸실리케이트 단량체와 폴리에틸실리케이트 4량체(80 : 20 내지 20 : 80의 부피비) 1 내지 20중량%, 물 3 내지 20중량% 및 질산 1 내지 3중량%를 첨가하여 형성된 반사방지도포액을 스프레이법으로 브라운관 패널 표면에 도포하고, 150℃의 온도에서 30분간 소성하여 평균피막두께가 1㎛인 반사방지막을 형성한 다음, 1kg/cm2의 하중에서 고무 테스트하여 250회 정도의 막강도를 얻었으며 각각의 에틸실리케이트 단량체, 폴리에틸실리케이트 4량체 및 혼합형 실리케이트의 피막 강도를 비교하였다. 표 2는 피막 색깔을 비교하였다.
[표 1]
Figure kpo00001
[표 2]
Figure kpo00002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혼합형 실리케이트를 주요 성분으로 하는 외광반사 방지액을 브라운관 패널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우수한 막 접착력의 투명한 채색을 갖춘 외광반사 방지막을 용이하고 안정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외광반사도 감소시켜 브라운과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고 작업성도 크게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브라운관의 패널 표면에 도포되어 미세한 요철을 갖는 투명피막을 형성하기 위한 외광반사 방지액에 있어서, 55 내지 95중량%의 알코올계 용매와, 3 내지 20중량%의 물 및 산촉매를 포함하는 용액에 에틸실리케이트 단량체와 폴리에틸 실리케이트 4량체를 20 : 80 내지 80 : 20의 부피비로 혼합한 규소 유도체를 1 내지 20중량% 첨가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의 외광반사 방지액.
KR1019890013543A 1989-09-20 1989-09-20 브라운관의 외광반사 방지액 KR920001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3543A KR920001837B1 (ko) 1989-09-20 1989-09-20 브라운관의 외광반사 방지액
MYPI90001238A MY111868A (en) 1989-09-20 1990-07-25 Non-glare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lor cathode ray tube using same.
CN90106617A CN1056639C (zh) 1989-09-20 1990-07-30 用防眩涂料合成物制造彩色阴极射线管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3543A KR920001837B1 (ko) 1989-09-20 1989-09-20 브라운관의 외광반사 방지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7061A KR910007061A (ko) 1991-04-30
KR920001837B1 true KR920001837B1 (ko) 1992-03-05

Family

ID=19290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3543A KR920001837B1 (ko) 1989-09-20 1989-09-20 브라운관의 외광반사 방지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183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7061A (ko) 1991-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96745A (en) Non-glare coating
EP0342233B1 (en) Processing solution for preventing reflection of optical parts and process for preventing reflection using the solution
EP0597490B1 (en) Reflectance reducing film and method of forming same on glass substrate
US5750054A (en) Anti-glare, anti-static coating for a reflective-transmissive surface
US4694218A (en) Non-glaze coating for a cathode ray tube
US5413865A (en) Water-repellent metal oxide film and method of forming same on glass substrate
JP2009526881A (ja) 反射防止コーティング
JPH0637283B2 (ja) 酸化物薄膜の成膜方法
US3689312A (en) Spray method for producing a glare-reducing coating
KR920001837B1 (ko) 브라운관의 외광반사 방지액
EP0272639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athode-ray tube
US4723091A (en) Technique for preventing reflections in a cathode ray tube
JPH0572692B2 (ko)
JP2866063B2 (ja) 透明導電性溶液の製造方法
JPH0585714A (ja) 低温焼成でシリカコート膜を形成し得るアルコール性シリカゾルの製法
JP3628802B2 (ja) 防曇性薄膜及びその形成法
JPS61293232A (ja) コ−ティング組成物
JPS63193101A (ja) 反射防止膜
KR930010601B1 (ko) 음극선관의 코팅막 형성방법
JPH0652796A (ja) 低温焼成によるシリカコート膜の形成法
JPH0346939B2 (ko)
KR20150131499A (ko) 저굴절률막 형성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저굴절률막의 형성 방법
JP2609607B2 (ja) 陰極線管の製造方法
JPH10340689A (ja) 陰極線管用コーティング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ーティング方法
CN1056639C (zh) 用防眩涂料合成物制造彩色阴极射线管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6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