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814Y1 - 사출금형의 이중언더커트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사출금형의 이중언더커트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814Y1
KR920001814Y1 KR2019900001091U KR900001091U KR920001814Y1 KR 920001814 Y1 KR920001814 Y1 KR 920001814Y1 KR 2019900001091 U KR2019900001091 U KR 2019900001091U KR 900001091 U KR900001091 U KR 900001091U KR 920001814 Y1 KR920001814 Y1 KR 9200018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slide
plate
slide core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10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4076U (ko
Inventor
이흥주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010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1814Y1/ko
Publication of KR9100140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40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8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8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3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inclined, tiltable or flexible undercut forming elements driven by the eject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29C2045/363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using a movable core or cor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사출금형의 이중언더커트 처리장치
제 1 도 및 제 2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 1 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사출금형의 부분 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 작동상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요부 확대단면도.
제 4 도는 종래 이중언더커트 처리장치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고정형판 14 : 가동형판
15 : 가동코어 16, 17 : 슬라이드코어
20 : 유압실린더 21 : 피스톤로드
22 : 안내홈 23 : 스프링
24 : 정지턱 25 : 정지핀
본 고안은 사출금형의 언더커트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이격된 양측면에 성형되는 언더커트부를 하나의 유압실린더로서 처리할수 있도록 한 사출금형의 이중언더커트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금형은 고정설치판(1)에 고정형판(2)을 설치하고, 가동설치판(3)에는 가동형판(4)과 가동코어(5)를 설치하여 제품(P)을 사출성형하고 있다.
이러한 사출금형에서 제품(P)의 서로 이격된 양측면에 성형되는 언더커트부(U)를 처리하기 위하여는 2개의 슬라이드핀(6)(7)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종래에는 상기 양측의 슬라이드핀(6)(7)을 슬라이드 진퇴시키기 위하여 양측에 각각 유압실린더(8)(9)를 설치하고 그 피스톤로드(8')(9')선단에 상기 슬라이드코어(6)(7)를 고정설치하여 각각의 유압실린더(8)(9)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슬라이드코어(6)(7)를 진퇴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이중언더커트 처리장치에서는 금형의 양측에 반드시 2개의 유압실린더(8)(9)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이의 작동에 필요한 유압호스 연결 및 기타 부수적인 유압 시스템을 각각 별도로 형성해야 함에 따른 제작비 및 설치비, 그리고 유지비용이 증가되어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금형탈착 및 보수점검등의 취급이 번거롭게 될 뿐만 아니라 취급중 유압실린더가 외부 충격을 받기 쉬워 유압실린더가 파손될 염려가 있으며, 사출작업시 양측으로 연장설치된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작업에 지장을 주어 작업성이 저하되고, 공장내의 작업공간 활용상 지장을 주게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2개의 실린더 라인중1개라도 이상이 발생할 경우 전체적으로 사출작업 불능이 되므로 고장발생빈도가 높게되고, 제작원가 상승은 물론 보수, 유지비용이 증가된다고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1개의 유압실린더만으로써 서로 이격된 양측언더커트부를 동시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출금형의 탈착과 보수, 관리 및 사출작업이 간편하게 되고, 공장내의 공간활용에도 효과적이며, 유압실린더의 파손위험이 배제되고, 고장발생의 빈도가 크게 줄게 되며, 제작원가 및 보수, 유지비용을 절감할수 있도록 한 사출금형의 이중언더커트처리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정설치판에는 고정형판을 설치하고, 가동설치판에는 가동형판과 가동코어를 설치하며, 상기 고정형판의 양측에는 제품의 이격된 양측 언더커트부를 처리하기 위한 슬라이드코어를 가동코어에 천공된 안내공에 관통설치하여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진퇴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실린더를 고정형판의 일측에만 설치하여 그 피스톤로드의 선단에는 일측 슬라이드코어를 고정연결하고, 상기 가동코어에는 안내홈을 형성하며, 양측 슬라이드코어를 상기 안내홈에서 접면시키고, 상기 슬라이드코어는 스프링에 의하여 상시 후퇴방향으로 탄력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의 이중언더커트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코어의 내측단에는 접면판을 일체로 확대형성하여 양측의 슬라이드코어가 원활하게 접면할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안내홈에는 일측 슬라이드코어의 과다후퇴방지용 정지 수단을 설치하여 슬라이드코어가 불필요하게 과다 후퇴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슬라이드코어의 정지수단은 상기 안내홈에 일체로 형성되는 정지턱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별도의 정지핀을 돌출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사출금형의 이중언더커트 처리장치를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 및 제 2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고정설치판(11)에는 고정형판(12)을 설치하고, 가동설치판(13)에는 가동형판(14)과 가동코어(15)를 설치하며, 상기 고정평판(12)의 양측에는 제품(P)의 이격된 양측 언더커트부(U)를 처리하기 위한 슬라이드코어(16)(17)를 가동코어(15)에 천공된 안내공(18)(19)에 관통설치하여 유압실린더(20)에 의하여 진퇴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18)를 고정형판(12)의 일측에만 설치하여 그 피스톤로드(21)의 선단에는 일측 슬라이드코어(16)를 고정연결하고, 상기 가동코어(15)에는 안내홈(22)을 형성하며, 양측 슬라이드코어(16)(17)를 상기 안내홈(22)내에서 접면시키고, 상기 슬라이드코어(17)는 스프링(23)에 의하여 상기 후퇴방향으로 탄력 설치하여서 되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드코어(17)의 내측단에는 접면판(17')을 일체로 확대형성하여 타측 슬라이드코어(16)와의 접면이 원활하게 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스프링(23)일단이 걸리도록 하는 역할을 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안내홈(22)에는 일측 슬라이드코어(17)가 스프링(23)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후퇴될때 과다하게 후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지수단을 설치한다.
상기 슬라이드코어(17)의 정지수단으로서,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안내홈(22)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정지턱(24)으로 구성하여 슬라이드코어(17)가 불필요하게 과다 후퇴되지 않도록 한다.
제 3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드코어(17)의 정지수단을 안내홈(22)내에 돌출설치되는 정지핀(25)으로 구성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6은 밀판, 27은 밀핀, P는 완제품, U, U'는 언더커트부를 각각 표시한다.
본 고안의 이중언더커트 처리장치가 적용된 사출금형에 의하여 제품(P)을 사출성형함에 있어서는, 고정형판(11)과 가동형판(14)을 형폐시킨 상태에서 유압실린더(20)의 피스톤로드(21)를 전진시켜 일측 슬라이드코어(16)를 가동코어(15)내의 안내홈(22)내로 진입시킴으로써 일측 슬라이드코어(16)가 언더커트부(U)의 처리위치로 유지되게 하면, 슬라이드코어(16)의 선단이 타측 슬라이드코어(17)의 후단을 밀어 타측 언더커트부(U')의 처리위치로 정위치하게 된다.
이상태에서 사출이 완료되어 유압실린더(20)의 피스톤로드(21)를 후퇴시키면 피스톤로드(21)에 직결된 슬라이드코어(16)가 제 2 도와 같이 후퇴되어 제품(P)의 언더커트부(U)로 부터 이격되며, 이와 동시에 슬라이드코어(16)의 후퇴에 따라 슬라이드코어(17)를 밀고 있던 힘이 소멸되므로 슬라이드코어(17)는 스프링(23)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후퇴하여 언더커트부(U')로 부터 이격되어 제품(P)의 추출을 위하여 형개될 때 슬라이드코어(16)(17)가 언더커트부(U)(U')를 훼손시키지 않게 되는것이다.
상술한 슬라이드코어(17)의 후퇴시에는 안내홈(22)내에 설치되는 정지수단 즉, 정지턱(24) 또는 정지핀(25)에 의하여 정지되어 더 이상의 과다한 후퇴가 저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1개의 유압실린더만으로써 서로 이격된 양측 언더커트부를 동시 처리할 수 있으므로 사출금형의 탈착과 보수, 관리 및 사출작업이 간편하게 되고, 공장내의 공간활용에도 효과적이며, 유압실린더의 파손위험이 배제되고, 고장발생의 빈도가 크게 줄게 되며, 제작원가 및 보수,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고정설치판(11)에는 고정형판(12)을 설치하고, 가동설치판(13)에는 가동형판(14)과 가동코어(15)를 설치하며, 상기 고정평판(12)의 양측에는 제품의 이격된 양측 언더커트부(U)(U')를 처리하기 위한 슬라이드코어(16)(17)를 가동코어(15)에 천공된 안내공(18)(19)에 관통설치하여 유압실린더(20)에 의하여 진퇴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18)를 고정형판(12)의 일측에만 설치하여 그 피스톤로드(21)의 선단에는 일측슬라이드코어(16)를 고정연결하고, 상기 가동코어(15)에는 안내홈(22)을 형성하며, 양측 슬라이드코어(16)(17)를 상기 안내홈(22)내에서 접면시키고, 상기 슬라이드코어(17)는 스프링(23)에 의하여 상기 후퇴방향으로 탄력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의 이중 언더커트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코어(17)의 내측단에는 접면판(17')을 일체로 확대 형성하여서 된 사출금형의 이중 언더커트 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22)에는 일측 슬라이드코어(17)의 과다후퇴방지용 정지수단을 설치한 사출금형의 이중 언더커트 처리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코어(17)의 정지수단은 상기 안내홈(22)에 일체로 형성된 정지턱(24)인 사출금형의 이중 언더커트 처리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코어(17)의 정지수단은 상기 안내홈(22)에 돌출설치된 정지턱(25)인 사출금형의 이중 언더커트 처리장치.
KR2019900001091U 1990-01-31 1990-01-31 사출금형의 이중언더커트 처리장치 KR9200018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1091U KR920001814Y1 (ko) 1990-01-31 1990-01-31 사출금형의 이중언더커트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1091U KR920001814Y1 (ko) 1990-01-31 1990-01-31 사출금형의 이중언더커트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4076U KR910014076U (ko) 1991-08-30
KR920001814Y1 true KR920001814Y1 (ko) 1992-03-20

Family

ID=19295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1091U KR920001814Y1 (ko) 1990-01-31 1990-01-31 사출금형의 이중언더커트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181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4076U (ko) 199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3346A (en) Mechanism for the attachment of interchangeable molds in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US4832307A (en) Injection mold
KR100200977B1 (ko) 성형기의 클램핑장치
US4206799A (en) Oblique core locking mechanism for die casting machines
CA2348830C (en) Compact slide actuation mold
CN205310732U (zh) 一种新型二板式锁模装置
US5322112A (en) Casting-thickness variable mold for continuous casting
US4025264A (en) Die closing unit with retractable tie rods
KR920001814Y1 (ko) 사출금형의 이중언더커트 처리장치
US2691799A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JP3067123B2 (ja) ダイカストマシンの型締装置
KR100304237B1 (ko) 사출성형기의타이바구조
US4030186A (en) Method for facilitating access to the mold halves of a molding machine
DE3335036A1 (de) Kernzug fuer formen der kunststoff-verarbeitung
CN209832481U (zh) 一种注塑模具用滑块防退结构
KR100203397B1 (ko) 성형제품의 이젝트장치_
KR20050064973A (ko) 슬라이드캠을 이용한 사출 성형장치
US612072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amping a mold
KR101196521B1 (ko) 사출금형에서의 슬라이드 구동 장치
CN206568426U (zh) 一种分拆抽芯机构
JP2529892Y2 (ja) 射出成形機のエジェクタ装置
CN220992766U (en) Mould and die casting equipment of backward release loose core
KR950005719B1 (ko) 사출성형기의 복식형체 실린더
KR200227970Y1 (ko) 사출금형의 제품취출장치
JPH052864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