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648Y1 - 영상기기의 오디오 뮤트회로 - Google Patents

영상기기의 오디오 뮤트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648Y1
KR920001648Y1 KR2019880022427U KR880022427U KR920001648Y1 KR 920001648 Y1 KR920001648 Y1 KR 920001648Y1 KR 2019880022427 U KR2019880022427 U KR 2019880022427U KR 880022427 U KR880022427 U KR 880022427U KR 920001648 Y1 KR920001648 Y1 KR 9200016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ute
vertical synchronization
audio
synchroniz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224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3838U (ko
Inventor
서정훈
김광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224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1648Y1/ko
Publication of KR9000138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38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6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6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8Sepa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from pictur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영상기기의 오디오 뮤트회로
제 1 도는 본 고안의 구체 회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각 부 동작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직동기분리부 20 : 수평동기 분리부
31 : 클럭발생부 32, 61 : 카운터
33 : 디코더 50 : 플립플롭
40, 71 : 앤드게이트 62 : 고정비교치발생부
63 : 비교기 72 : 트랜지스터
73 : 트랜스 74 : 스위치
본 고안은 영상기기의 뮤트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직 및 수평동기 신호의 검출에 따라 영상신호의 상태를 판단하여 오디오 신호를 뮤트할 수 있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ideo Tape Recorder)또는 텔리비젼등의 영상기기에서는 영상신호로 부터 분리된 수평동기신호가 연속적으로 검출되지 않는 기간을 카운트하여 일정기간 수평동기 신호가 분리검출되지 않는경우, 영상신호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여 오디오신호(Audio Signal)을 뮤트(mute)처리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오디오 뮤트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수직동기 신호와 무관하게 수행되었다. 이로인해 텔리비젼과 같은 영상기기에서 전파수신상태가 불량한 경우나 VTR의 경우 신호 재생상태가 불량한 경우, 영상신호의 다양한 손상상태에 대응되도록 음성 신호를 뮤트처리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영상신호로 부터 검출 분리된 수직동기신호의 유무상태에 따라 영상신호의 상태를 분석하여 오디오 신호를 뮤트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1개의 수직동기 신호 구간동안 검출 분리된 수평동기 신호의 수에따라 영상신호의 상태를 분석하여 오디오 신호를 뮤트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구체회로도로서, 영상신호로 부터 수직동기신호를 분리 검출하는 수직동기분리부(10)와, 영상신호로 부터 수평동기신호를 분리 검출하는 수평동기 분리부(20)와, 소정 클럭을 발생하는 클럭 발생부(31)와, 상기 클럭 발생부(31)의 클럭에 의해 최대수직동기주기의 구간을 카운트하여 소정 계수 초기화신호에 의해 클리어되는 카운터(32)와, 상기 카운터(32)의 출력을 디코딩하여 소정 카운트값 이상일시 수직동기 주기를 초과했음을 나타내는 의사 수직동기신호를 발생하는 디코더(33)와, 상기 수직 동기신호 및 의사 수직동기 신호의 상태에 따라 수직동기주기 초과시 제1뮤트신호를 발생하는 플립플롭(50)과, 상기 수직동기분리부(10) 및 디코더(33)의 출력을 논리곱하여 상기 상기 계수 초기화신호를 발생하는 앤드게이트(40)와, 상기 수평동기 분리부(20)의 출력에 의해 수평동기 신호를 카운트하며 상기 계수 초기화 신호에 의해 클리어되는 카운터(61)와, 1수직 동기신호 주기내에 발생하는 정상적인 수평동기 신호값을 저장하는 고정 비교치 발생부(62)와, 상기 수직동기 분리부(10)의 수직동기 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되며, 상기 카운터(61) 및 고정 비교치발생부(62)의 출력을 비교하여 카운터(61)출력이 작을시 제2뮤트신호를 발생하는 비교기(63)와, 상기 플립플롭(50) 및 비교기(63)의 출력을 논리곱하여 오디오 뮤트신호를 발생하는 앤드게인트(71)와, 상기 앤드게인트(71)의 출력상태에 따라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스위칭하는 스위치(74)를 온/오프 제어하는 트랜지스터(72) 및 트랜스(73)를 구성된다.
상기 구성중 클럭발생부(31), 카운터(32) 및 디코더(33)는 소정 초기화 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클럭을 카운트하고 카운트값이 허용최대 수직동기신호 주기 초과시에만 의사 수직동기신호를 발생하는 뮤트주기 설정부(30)가 되며, 앤드게이트(40)는 수직 동기 신호 또는 의사 수직 동기 신호 발생시 상기 카운터(32, 61)를 초기화시키기 위하여 계수 초기화 신호를 발생하는 게이트(40)이고, 플립플롭(50)은 상기 의사 수직동기 신호 발생시 제1뮤트신호를 발생하는 제1뮤트제어부(50)가 되며, 카운터(61), 고정비교치발생부(62) 및 비교기(63)는 상기 수직동기신호의 발생 주기단위로 상기 카운터(61)의 출력을 소정 고정비교치와 비교하여 1수직 동기 주기내의 수평동기신호수에 이상이 있을시 제2뮤트 신호를 발생하는 제2뮤트제어부(60)가 되고, 앤드게이트(71), 트랜지스터(72), 트랜스(73) 및 스위치(74)는 구성되어 상기 제1뮤트제어부(30) 또는 제2뮤트제어부(60)에서 뮤트 신호 출력시 오디오 라인을 단절하여 오디오신호를 뮤트하는 오디오 뮤트부(70)가 된다.
제 2 도는 상기 제 1도의 각부 동작에 따른 파형도로서, 2A)는 수직동기 분리부(10)의 출력이고, 2B)는 디코더(33)의 출력이며, 2C)는 앤드게이트(40)의 출력이고, 2D)는 플립플롭(50)의 출력이며, 2E)는 수평동기분리부(20)의 출력이고, 2F)는 비교기(63)의 출력이며, 2G)는 앤드게이트(71)의 출력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고안을 제 2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영상신호가 수직동기분리부(10) 및 수평동기분리부(20)로 인가되면, 상기 수직동기분리부(10)는 복합 영상신호중에서 (2A)와 같이 수직동기신호(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를 분리 검출하고, 상기 수평동기분리부(20)는 복합 영상 신호중에서 (2E)와 같이 수평동기신호(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를 분리 검출한다.
상기 수직동기분리부(10)가 수직동기신호를 발생하면, 앤드게이트(40)는 "로우"신호를 발생하여 카운터(32,61)를 초기화시킨다.
상기 카운터(32)는 클럭발생부(31)에서 발생하는 소정 클럭을 카운팅하며, 디코더(33)는 상기 카운터(32)의 출력을 디코딩하여 상기 카운터(32)의 출력값이 소정 카운트값을 초과하는 순간 플립플롭(50)의 리세트단에 "로우"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카운터(32) 및 디코더(33)는 상기 수직동기분리부(10)가 수직동기주기 동안 수신되는 복합 영상 신호로 부터 수직동기신호를 검출하지 못했을 경우 의사 수직동기신호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 신호는 영산신호의 수직동기신호 불량에 따라 오디오 신호를 뮤트하기 위한 제1뮤트신호가 된다.
또한 상기 카운터(61)는 수평동기 분리부(20)에서 출력하는 수평동기신호를 카운트하여 1수직동기 신호 주기내에 발생하는 수평동기 신호를 계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비교기(63)는 상기 수직동기분리부(10)에서 수직동기 신호 발생시(A)비교 입력단자로 상기 카운터(61)의 출력을 수신하고, (B)비교 입력단자로 고정 비교치 발생부(62)에서 발생하는 고정 비교치 출력을 수신한후, 두 입력값을 비교한다. 이때 상기 고정비교처 발생부(62)의 출력보다 상기 카운터(61)의 출력이 작을경우, 상기 비교기(10)는 수평동기 신호 불량에 따라 오디오 신호를 뮤트하기 위한 제2뮤트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면 앤드게이트(71)는 상기 플립플롭(50) 및 비교기(63)의 출력을 수신하여 논리곱하는데, 상기 제1뮤트신호 또는 제2뮤트신호가 발생되면 트랜지스터(72)를 턴오프시켜 오디오 신호라인의 연결을 단절시키므로서 오디오 신호를 뮤트시킨다.
상기의 과정중 먼저 정상적인 경우의 동작을 살펴본다.
상기 수직동기 분리부(10)가 (2A)의 (t1)시점에서 수직동기 신호를 발생한 후 정상적으로 수직동기신호를 발생해야할 (t2)시점에서 다시 수직동기 신호를 발생했다면, 앤드게이트(40)는 (2C)와 같이 "로우"신호를 발생하여 카운터(32) 및 카운터(61)를 리세트시킨다. 이때 상기 카운터(32)의 출력은 의사 수직동기 신호를 발생할 수 없는 값이 되므로 디코더(33)는 플립플롭(50)의 리세트단에 (2B)와 같은 "하이"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플립플롭(50)은 세트단으로 수직동기분리부(10)에서 발생하는 (2A)의 (t2)시점에서 발생하는 "로우"신호를 입력하여(2D)와 같이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수평동기분리부(20)에서 검출하는 수평동기신호를 입력하는 카운터(61)은 1수직동기신호의 주기동안에 발생한 수평동기 신호의 수를 카운트하여 비교기(63)로 인가하며, (t2)시점에서 상기 비교기(63)는 상기 카운터(61)의 출력과 고정 비교치 발생부(62)의 출력을 비교하여 카운터(61)의 출력이 고정 비교치 발생부(62)의 출력보다 클시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앤드게이트(71)는 상기 플립플롭(50) 및 비교기(63)에서 "하이"신호를 출력할시 수직동기신호 및 수평동기신호가 정상적으로 검출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트랜지스터(72)를 "온"시켜 트랜스(73)를 통한 공급전원(Vcc)의 전류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트랜지스터(73)에 의해 스위치(74)가 "온"상태에 있게되어 오디오 신호를 정상적으로 공급한다.
두번째로 동기신호 또는 수평동기 신호가 불량상태인 경우의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수직동기분리부(10)가 (2A)의 (t2)시점에서 수직동기신호를 발생한 후 복합영상신호에서 수직동기신호를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 카운터(32)는 상기 클럭 발생부(31)의 출력을 계속 카운트하는 상태이므로 치코더(33)는 상기 카운터(32)의 출력에 따라 정상적인 수직동기신호 주기를 초과했음을 알게 된다. 즉, 상기 카운터(32)의 출력이 설정한 수직동기신호의 발생주기를 초과한 값을 출력하는 순간 디코더(33)는 (2B)의 (t3)시점에서 "로우"펄스를 발생한다. 따라서, 이구간은 시스템에서 허용한 수직동기신호의 최대주기구간을 초과한 경우가 된다.
상기 (2B)의 t3시점에서 발생한 "로우"신호는 의사수직 동기신호로서 앤드게이트(40) 및 플립플롭(50)의 리세트단에 인가되는데, 앤드게이트(40)의 출력에 의해 상기 카운터(32) 및 카운터(61)은 초기화되어 다시 각각 클럭발생부(31) 및 수평동기 분리부(20)의 출력을 카운트하며 플립플롭(50)은 (2D)와 같이 영상신호중 수직동기신호에 이상이 발생했음을 알리는 "로우"상태의 제1뮤트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비교기(63)는 상기 수직동기분리부(10)에서 (2A)와 같이 수직동기 신호를 발생하지 못하는 상태이므로 (2G)와 같이 전상태의 출력을 그대로 유지한다. 이때 앤드게이트(71)는 상기 플립플롭(50)의 "로우"출력에 의해 트랜지스터(72)를 "오프"시키며, 상기 트랜지스터(72)의 "오프"상태에 따라 스위치(74)도 "오프"상태가 되므로 오디오 신호는 단절되어 뮤트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수직동기분리부(10)가 (2A)의 t2시점같이 정상적인 주기의 수직동기신호를 발생하더라도 수평동기 신호에 이상이 발생하면 오디오 뮤트신호를 발생하게 되는데, 이 과정을 살펴본다.
상술한 바와같이 고정 비교치 발생부(62)는 1수직 동기신호 발생주기내에 발생하는 수평동기 신호중 오차를 허용할 수 있는 범위의 수평동기신호수를 출력하는데, 정상적인 경우 1수직동기신호 주기(lfield)에는 262.5개의 수평동기신호가 발생된다. 따라서 고정비교치 발생부(62)의 출력은 상기값에 따라 적정하게 설정하면된다. 또한 카운터(61)는 상기 앤트게이트(40)의 출력에 의해 클리어되므로 수직동기신호주기 또는 의사수직동기 주기단위로 상기 수평동기 분리부(20)에서 검출하는 수평동기신호를 세게된다. 상기 카운터(61) 및 고정 비교치 발생부 (62)의 출력을 입력하는 비교기(63)는 상기 수직동기분리부(10)에서 수직동기신호 발생시 두입력을 비교 출력하는데, 1수직동기신호 주기동안 수평동기신호의 발생횟수가 상기 고정 비교치보다 적을시 영상신호중의 수평동기신호에 이상이 있음을 나타내는 "로우"상태의 제2뮤트신호를 발생한다. 비교기(63)에서 제2뮤트신호 발생시에도 앤드게이트(71)는 "로우"신호를 발생하므로 제1뮤트신호 발생시와 동일하게 오디오 뮤트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영상신호로 부터 수직동기신호와 수평동기 신호를 분리 검출한 후, 수직동기신호의 발생유무 상태 그리고 1수직동기신호 주기(Field)동안 1카운트한 수평동기 신호의 갯수등에 따라 영상신호의 상태를 분석하여 필드단위로 오디오 신호를 뮤트처리함으로써 영상신호의 유무 및 안정도에 따라 정확하게 영상기기의 오디오 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영상기기의 오디오 뮤트 회로에 있어서, 복합 영상 신호로 부터 수직 동기 신호를 검출 출력하는 수직동기 분리부(10)와, 상기 복합 영상 신호로 부터 수평 동기 신호를 검출 출력하는 수평 동기 분리부(20)와, 소정 클럭을 계수하고 계수 초기화 신호 발생시마다 초기화 되며, 상기 계수 클럭수를 디코딩하며 특정 계수값에서 의사 수직 동기 신호를 발생하는 뮤트 주기 설정부(30)와, 상기 수직 동기 분리부(10) 및 뮤트 주기 설정부(30)의 출력을 논리 조합하여 상기 게수 초기화 신호를 발생하는 게이트(40)와, 상기 수직 동기 신호에 의해 세트되며, 상기 의사 수직 동기 신호 수신시 리세트되어 제1뮤트 신호를 발생하는 제1뮤트 제어부(50)와, 상기 검출되는 수평동기 신호를 계수하고 상기 계수 초기화 신호에 의해 초기화되며, 상기 수직 동기 신호 수신시 상기 계수된 수직 동기 신호수와 기준 수평 동기 신호수를 비교하여 상기 기준 수평 동기 신호수가 많을시 제2뮤트 신호를 발생하는 제2뮤트 제어부(60)와, 상기 제1뮤트 제어부(50) 및 제2뮤트 제어부(60)의 출력을 수신 및 논리 조합하며, 상기 제1 또는 제2뮤트 신호 발생시 스위칭되어 인가되는 오디오 신호의 통로를 차단하는 오디오 뮤트부(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오디오 뮤트회로.
KR2019880022427U 1988-12-31 1988-12-31 영상기기의 오디오 뮤트회로 KR9200016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2427U KR920001648Y1 (ko) 1988-12-31 1988-12-31 영상기기의 오디오 뮤트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2427U KR920001648Y1 (ko) 1988-12-31 1988-12-31 영상기기의 오디오 뮤트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838U KR900013838U (ko) 1990-07-06
KR920001648Y1 true KR920001648Y1 (ko) 1992-03-06

Family

ID=19282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22427U KR920001648Y1 (ko) 1988-12-31 1988-12-31 영상기기의 오디오 뮤트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164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838U (ko) 199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8061B1 (ko) 비디오 신호용 잡음 감소 장치
KR920001648Y1 (ko) 영상기기의 오디오 뮤트회로
JPH088662B2 (ja) 同期切換装置
KR870010748A (ko)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출력회로
US7599005B2 (en) Method for synchronizing video signals
KR100238221B1 (ko) 동기 신호 분리 장치 및 그 방법
KR960007680B1 (ko) 방송방식에 따른 방송채널 자동절환장치
KR100195977B1 (ko) 멀티 비디오 카셋트 레코더의 방송방식 자동 절환회로
KR960001153B1 (ko) 무신호시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표시장치
JPH0723304A (ja) 映像信号選択回路の信号検出回路
KR0145891B1 (ko) 시스템 디텍터를 내장한 색신호 처리 집적회로
KR0158821B1 (ko) Tv의 수직동기신호 판별방법
KR0169855B1 (ko) 트리거보드의 리셋신호제어장치
KR0134912B1 (ko) 이중 반송과 음성다중 방송에서의 방송 상태 판별 회로
KR960009708Y1 (ko) 텔레비젼/비디오 모드의 자동전환회로
KR920006065B1 (ko) 텔레비젼의 멜로디 발생 및 알람 발생장치 및 방법
KR970000833B1 (ko) Av 기기 내장용 위성방송 수신기
KR100226477B1 (ko) Tv 음성 신호 제어 회로
KR930002903Y1 (ko) 비데오 영상자동 이득 제어회로
JPH04307872A (ja) 非標準同期信号検出回路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0174929B1 (ko) 피디피에서의 영상처리 장치
JPS56149869A (en) Synchronism separation circuit
JPH08251445A (ja) 弱電界検出回路
JPH06168501A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H0556303A (ja) 同期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