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622Y1 - 보일러의 폐가스 강제 배기장치 - Google Patents

보일러의 폐가스 강제 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622Y1
KR920001622Y1 KR2019890015391U KR890015391U KR920001622Y1 KR 920001622 Y1 KR920001622 Y1 KR 920001622Y1 KR 2019890015391 U KR2019890015391 U KR 2019890015391U KR 890015391 U KR890015391 U KR 890015391U KR 920001622 Y1 KR920001622 Y1 KR 9200016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fan motor
combustion
waste gas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53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기
Original Assignee
김순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기 filed Critical 김순기
Priority to KR20198900153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16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6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622Y1/ko

Links

Landscapes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보일러의 폐가스 강제 배기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강제 배기장치가 설치된 보일러를 보인 개략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강제 배기장치를 발췌하여 보인 개략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강제 배기장치의 요부인 댐퍼부를 발췌하여 그의 동작상태를 보인 요부확대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강제 배기장치의 제어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배기관 5 : 팬모타
6 : 회전발전기 7 : 댐퍼
7a : 개폐부재 9 : 마그네트
10a, 10b : 리드스위치 12 : 팬모타구동부
13 : 최대구동제어부 14 : 연소제어부
15 : 연소부
본 고안은 보일러내의 연소부에서 연료를 연소시킬 경우에 발생되는 폐가스를 외부로 강제 배기시키는 보일러의 폐가스 강제 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가스보일러의 적당하도록한 보일러의 폐가스 강제 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들은 가스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폐가스를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배기가스를 인체에 매우 유독할 뿐만 아니라 많은양의 폐가스가 보일러내에 축적되어 있을 경우에는 연소부가 가스를 정상으로 연소시키는데 많은 지장을 주고, 심할 경우에는 보일러가 폭발하게 되는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가스보일러등은 반드시 강제 배기장치를 구비하고 폐가스를 외부로 배기시키도록 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강제 배기장치에 있어서, 종래에는 사용자가 가변저항을 가변시킴에 따라 구동속도가 가변되는 팬모타를 이용하여 가쉐의 연소시 발생되는 폐가스를 흡입 및 댐퍼를 통해 외부로 배기시키고 있다.
그러나, 팬모타만을 이용하게되면, 외부에서 강한 역풍이 불어 댐퍼가 폐쇄될 경우에 팬모타는 구동되어도 폐가스가 외부로 배기되지 않고 그대로 보일러내에 남게 있게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염려가 있었으며, 또한 강한 역풍이 불어 댐퍼가 폐쇄될 경우에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고 가변저항을 조절하여 팬모타가 최대로 구동되고, 댐퍼가 다시 개방되며, 폐가스가 외부로 배기되게 할 수도 있으나, 이는 사용자에게 많은 번거로움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댐퍼에 리미트스위치를 설치하고, 강한 역풍이 불어 댐퍼가 폐쇄될 경우에 리미트스위치가 동작하면서 보일러의 연소부의 연소동작을 정지시켜 폐가스가 발생되지 않도록한 것도 있으나, 이는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기계식 스위치인 리미트스위치에 이물질이 끼어 오동작을 하게 되고 내구성이 없으며, 강한 역풍이 불어 댐퍼가 폐쇄될때마다 연소부의 연소동작이 정지되고 보일러가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많은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외부에서 강한 역풍이 불어 댐퍼가 폐쇄될 경우에 자동으로 팬모타를 최대로 구성시켜 댐퍼가 다시 개방되고, 폐가스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기되도록하는 강제 배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목적은 팬모타가 구동될 경우에만 연소부가 가스를 연소시키도록 하여 가스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폐가스를 모두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강제 배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팬모타를 최대로 구동시켜도 역풍이 매우 강하게 불어 댐퍼가 폐쇄될 경우에는 연소부이 연소동작을 정지시켜 폐가스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강제 배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가지는 본 고안의 강제 배기 장치는 마그네트를 설치하여 댐퍼의 개폐에 따라 마그네트가 이동되게 하고 마그네트의 근접위치에는 두 개의 리드스위치를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설치하여 마그네트의 자력으로 두 개의 리드스위치가 댐퍼의 폐쇄직전 및 완전폐쇄를 각기 검출하게 된다.
하나의 리드스위치가 댐퍼의 폐쇄직전을 검출하게 되면, 최대구동 제어부가 팬모타 구동부를 제어하여 팬모타를 최대로 구동시키고, 댐퍼가 다시 개방되게 된다.
다른 하나의 리드스위치가 댐퍼의 완전폐쇄를 검출하게 되면, 보일러의 연소부의 연소동작을 정지시켜 폐가스가 발생되지 않도록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은 팬모터의 회전축을 연장하여 회전발전기를 설치하고, 그 회전발전기의 출력전압으로 연소부의 연소동작을 제어함으로서 팬모타가 정상으로 구동될 경우에만 연소부가 동작하여 가스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폐가스를 모두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게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고안의 강제 배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강제배기장치가 설치된 가스보일러를 보인 개략도이다.
여기서, 보호 1은 보일러 본체이고, 부호 2는 보일러본체(1)의 상부에 설치된 강제 배기부로서, 보일러 본체(1)내의 연소부(15)가 가스를 연소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폐가스를 배기관(3)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되어있다.
상기 강제 배기부(2)는 제 2 도 및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중앙에 팬(4)을 회전시키는 팬모타(5)가 고정되고, 팬모타(5)의 회전축(5A)이 상부로 연장되어 타코 제너레이타등과 같은 회전발전기(6)가 설치되며, 팬(4)과 배기관(3)의 사이에는 댐퍼(7)가 설치되어, 상기 팬모타(5)의 회전구동에 따라 개폐되면서, 흡입관(8)을 통해 연소부(15)에 흡입된 폐가스를 배기관(3)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댐퍼(7)의 개폐부재(7A)는 상부가 연장되어 연장편(7B)이 형성되고 연장편(7B)의 선단부에는 마그네트(9)가 설치되어 개폐부재(7A)의 개폐동작에 따라 마그네트(9)가 이동되며, 마그네트(9)의 대향위치에는 두 개의 리드스위치(10A)(10B)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마그네트(9)의 자력으로 리드스위치(10A)는 댐퍼(7)의 폐쇄직전을 검출하고, 리드스위치(10B)는 댐퍼(7)의 완전폐쇄를 검출하게 된다.
제어부(10)는 상기 리드스위치(10A)(10B)의 동작상태에 따라 팬모타(5)와 연소부(15)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4 도는 본 고안의 강제 배기장치의 제어부의 상세회로도로서 교류전원(AC)을 정류하여 동작전원(B')을 공급하는 전원부(11)와, 팬모타(5)에 인가되는 교류전원(AC)을 위상제어하여 팬모타(5)의 구동속도를 조절하는 저항(R1-R3), 콘덴서(C1,C2), 트라이악(TR1), 다이악(DI) 및 가변저항(VR)로된 팬모타 구동부(12)와, 리드스위치(10A)가 댐퍼(7)의 폐쇄직전을 검출함에 따라 상기 팬모타 구동부(12)가 팬모타(5)를 최대로 구동시키게 하는 다이오드(D1), 릴레이(RY1) 및 릴레이스위치(RYS1)로된 최대구동 제어부(13)와, 회전발전기(6)의 출력전압으로 연소부(15)의 연소동작을 제어하고 리드스위치(10B)가 댐퍼(7)의 완전폐쇄를 검출함에 따라 연소부(15)의 연소동작을 정지시키는 다이오드(D2, D3), 콘덴서(C4), 저항(R4, R5), 트랜지스터(RT), 릴레이(RY2) 및 릴레이스위치(RYS2)로된 연소제어부(14)로 구성하였다.
상기에서 리드스위치(10A)는 마그네트(9)의 자력이 인가됨에 따라 접속되고, 리드스위치(10B)는 개방되며, 릴레이스위치(RYS1)(RYS2)는 그의 릴레이(RY1)(RT2)가 구동됨에 따라 각기 접속되며, 릴레이스위치(RY2)가 접속될 경우에 연소부(15)는 연소동작을 수행하여 가스를 연소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강제 배기장치는 교류전원(AC)이 인가된 상태에서 전원스위치를 온하면 전원부(11)는 교류전원(AC)을 정류하여 동작전원(B+)을 공급하고, 팬모터 구동부(12)는 팬모타(5)를 통한 교류전원(AC)이 저항(R2, R3), 가변저항(VR) 및 콘덴서(C2)로 설정된 시정수에 따라 다이악(DI)을 통하여 트라이악(TRI)의 게이트를 트리거시켜 줌으로써, 상기 트리이악(TRI)이 턴온되는 위상각에 의해 팬모터(5)를 위상제어하여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가변저항(VR)의 값을 작게함에 따라 팬모타(5)는 빠른 속도로 구동된다.
이와 같이 팬모터(5)가 구동되면, 팬(4)이 회전되면서 발생하는 바람에 의해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7)의 개폐부재(7A)가 순간적으로 개방되고, 이 개폐부재(7A)의 개방에 따라 마그네트(9)는 하방으로 회동되어 마그네트(9)는 리드스위치(10A)(10B)에 자력을 미치지 않게된다.
따라서 리드스위치(10A)는 개방되고, 리드스위치(10B)는 접속된 상태로 있게되므로서 릴레이(RY1)가 구동 되지 못하고, 릴레이스위치(RYS1)가 개방되어, 팬모타 구동부(12)는 가변저항(VR)의 가변에 따른 교류전원(AC)으로 위상제어되면서 팬모타(5)를 계속구동시키게 된다.
또한 팬모타(5)의 구동에 따라 회전발전기(6)가 구동되어 일정전압을 발생하고, 발생한 일정전압은 연소제어부(14)의 다이오드(D2) 및 콘덴서(C3)에 의해 정류되고, 저항(R4, R5)에 의해 분할된 후 리드스위치(10B)를 통해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TR)를 온시키게 되므로 릴레이(RY2)가 구동하면서, 릴레이스위치(RYS2)를 접속시키게 되며, 연소부(15)가 정상동작하여 가스를 연소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연소부(15)에서 가스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폐가스는 팬모타(5)의 구동에 따라 흡입관(8)을 통해 팬(4)으로 흡입된후 댐퍼(7) 및 배기관(3)을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강한 역풍이 불어 댐퍼(7)의 개폐부재(7A)가 폐쇄직전에 위치되면, 마그네트(9)이 자력에 의해 리드스위치(10A)가 접속되어, 릴레이(RY1)가 구동되며, 이로인해 릴레이스위치(RYS1)가 접속되어 가변저항(VR)의 양단자가 접속상태로 되므로 팬모터(5)를 통한 전압이 가변저항(VR)를 통하지 않고 다이액(D1)를 통해 트라이액(TRI)을 트리거시켜 교류전원(AC)을 위상제어시키게 되어 팬모터(5)를 최대 속도로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팬모터(5)가 최대속도로 구동되어도 외부에서 매우 강한 역풍이 불어 댐퍼(7)의 개폐부재(7A)가 완전 폐쇄되면, 즉 마그네트(9)가 리드스위치(10B)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마그네트(9)의 자력이 리드스위치(10B)이 미치게되므로 리드스위치(10B)는 개방되고, 반면에 리드스위치(10A)는 접속되며, 리드스위치(10A)의 접속에 따라 릴레이(RY1)가 구동되고 렐레이스위치(RYS1)가 접속되어 팬모타 구동부(12)는 팬모터(5)를 계속 최대로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리드스위치(10B)의 개방됨에 따라 트랜지스터(TR)가 오프되고, 릴레이(RY2)의 구동이 정지되며, 릴레이스위치(RYS2)가 개방되어 연소부(15)의 동작이 정지되므로 가스의 연소가 정지되어 폐가스가 발생되지 않게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강한 역풍이 불어 댐퍼가 폐쇄될 경우에 자동으로 팬모타를 최대로 구동시켜 댐퍼를 다시 개방시킴으로서 가스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폐가스를 원활하게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고 또한 팬모타를 최대로 구동시켜도 매우 강한 역풍이 불어 댐퍼가 폐쇄된 경우에는 연소부의 동작을 정지시켜 가스의 연소를 정지시켜주게 되므로, 폐가스가 발생되지 않아 보일러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팬모타가 구동될 경우에만 연소부가 가스를 연소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스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폐가스를 모두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는 등이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연소부(15)에서 가스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폐가스가 팬모타(5)의 구동에 따라 댐퍼(7) 및 배기관(3)을 통해 외부로 배기되는 보일러의 폐가스 강제 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팬모타(5)의 구동에 따라 발전하는 회전발전기(6)와, 상기 댐퍼(7)의 개폐부재(7A)에 설치되어 개폐부재(7A)의 개폐에 따라 이동되는 마그네트(9)와, 상기 마그네트(9)의 자력으로 상기 댐퍼(7)의 폐쇄직전 및 완전페쇄를 각기 검출하는 두 개의 리드스위치(10A)(10B)와, 상기 리드스위치(10A)가 댐퍼(7)의 폐쇄직전을 검출함에 따라 팬모타 구동부(12)가 팬모타(5)를 최대속도로 구동시키게 하는 최대구동제어부(13)와, 상기 회전발전기(6)가 일정전압을 발전함에 따라 상기 연소부(15)를 동작시키면서 상기 리드스위치(10B)가 댐퍼(7)의 완전폐쇄를 검출함에 따라 연소부(15)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연소제어부(14)로 구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폐가스 강제 배기장치.
KR2019890015391U 1989-10-23 1989-10-23 보일러의 폐가스 강제 배기장치 KR9200016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5391U KR920001622Y1 (ko) 1989-10-23 1989-10-23 보일러의 폐가스 강제 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5391U KR920001622Y1 (ko) 1989-10-23 1989-10-23 보일러의 폐가스 강제 배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622Y1 true KR920001622Y1 (ko) 1992-03-06

Family

ID=19291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5391U KR920001622Y1 (ko) 1989-10-23 1989-10-23 보일러의 폐가스 강제 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16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994B1 (ko) * 2001-05-21 2004-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장치용 뷰파인더 및 이를 구비한 캠코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994B1 (ko) * 2001-05-21 2004-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장치용 뷰파인더 및 이를 구비한 캠코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80878B (zh) 燃气设备的风机控制方法及装置
CA2269001A1 (en) Controller for a door operator
JPH05264031A (ja) 暖房機器の作動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とhavcシステム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
CN101213367A (zh) 启动安全点火系统
CA2214819C (en) Fume hood exhaust terminal having an electrically driven linear actuator
KR920001622Y1 (ko) 보일러의 폐가스 강제 배기장치
KR870004237A (ko) 엔진 스로틀밸브의 자동제어장치
US7026729B2 (en) Exhaust fan timeout system
KR100385025B1 (ko) 후드모터의 안전제어장치
KR870007399A (ko) 연소장치
KR920000664Y1 (ko) 엔진과열방지용 덕트자동개폐장치
JP2647840B2 (ja) 燃焼器の制御回路
US4856984A (en) Time-delay for automatic reset of furnace
JP2977656B2 (ja) ガス燃焼機器の空焚き防止装置
KR0133001Y1 (ko) 가스오븐렌지의 냉각팬제어장치
JPS585844Y2 (ja) クウキチヨウワソウチ
KR970005179Y1 (ko) 가스보일러의 연도가스 환류장치
KR950005238B1 (ko) 배기팬의 역풍방지 제어회로
KR960014605B1 (ko) 송풍모터 제어방법
KR930002658Y1 (ko) 팬모터의 속도제어 회로
KR100280652B1 (ko) 절단용 전기톱의 안전장치
KR840001913B1 (ko) 가스센서를 이용한 가스 경보 장치
JPS5812020Y2 (ja) 燃焼制御装置
JPS6143087Y2 (ko)
KR0134553Y1 (ko) 난방기기의 연소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