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439Y1 - 음식재료 유출장치 - Google Patents

음식재료 유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439Y1
KR920001439Y1 KR2019910021234U KR910021234U KR920001439Y1 KR 920001439 Y1 KR920001439 Y1 KR 920001439Y1 KR 2019910021234 U KR2019910021234 U KR 2019910021234U KR 910021234 U KR910021234 U KR 910021234U KR 920001439 Y1 KR920001439 Y1 KR 9200014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housing
outlet port
blade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12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이찌 히라바야시
Original Assignee
레온 지도끼 가부시끼가이샤
하야시 도라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813003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5455Y2/ja
Application filed by 레온 지도끼 가부시끼가이샤, 하야시 도라히꼬 filed Critical 레온 지도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20199100212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14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4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4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003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roller with radially arranged vanes dividing the pressing space in separate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식재료 유출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 장치의 도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라인 A-A'를 따라 자른 장치의 단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장치내에 사용된 드럼의 사시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라인 B-B'를 따라 자른 장치의 출구의 확대단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의 단면도.
제 6 도는 제 5 도 장치내에 사용된 드럼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치 2 : 호퍼
5 : 음식재료 7 : 하우징
9 : 드럼 11 : 축
13 : 슬릿 15 : 블레이드
17 : 리세스 19 : 편심캠
21 : 스텝 23 : 출구 포트 혹은 출구 통로
27 : 스페이스 31 : 내부챔버
본 고안은 음식재료, 즉 유동하는 음식재료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유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식재료의 양과 밀도를 균일하게 연속 공급하는 동시에, 공정한 트랩된 공기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합중국 특허공보 제4,801,258호는 음식 재료의 균일한 유출장치를 서술하고 있다. 이러한 장치에서, 상기 재료는 다수의 드럼 및 하우징의 측벽사이에 형성된 스페이스 속으로 유입된다. 상기 드럼은 이것의 내벽 및 다수의 캠사이에 내부 챔버를 갖는다. 한쌍의 블레이드가 드럼의 외축부내의 격벽 및 내부 챔버내의 격벽으로부터 드럼상의 슬릿형성 삽입된다.
상기 드럼의 외측부에 있는 격벽내의 스페이스의 크기는 출구포트를 향하여 감소되는 반면에, 내부 챔버는 증가하며, 외부 격벽내의 압력은 내부 챔버의 압력보다 더욱 크다. 따라서, 상기 재료의 에어는 슬릿의 벽 및 블레이드 트레일링면상의 리세스사이에 형성된 통로를 경유하여 내부 챔버속으로 외부 격벽의 외부로 배출된다.
균일한 양과 밀도의 원통형 재료 동체의 경과로 공기가 연행되지 않고 외부 포트로부터 유출된다.
통상적으로, 한 열의 출구 포트가 다수의 원통형 음식재료 동체를 유출시키기 위해서 하우징상에 제공된다. 이러한 출구 포트는 하우징의 축방향내에 배열된다. 그러나 상기 재료가 출구 포트중의 하나를 막을 때, 출구 포트로부터 유출되는 재료가 이동하고 이것의 인접 포트로부터 유출되고, 따라서 다른 출구포트로부터 유출된 재료가 변화하게 된다. 더구나, 빵가루 반죽 혹은 잘게 썬 고기와 같은 음식재료는 출구를 막히게 하는 경향이있다. 따라서, 재료가 다수의 포트로부터 유출된 종래 기술의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 음식재료의 균일한 공급이 보장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목적은 다수의 출구 포트가 종래기술의 상기 장치에 제공될 때 음식재료의 균일한 공급을 보장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라서, 음식 재료 유출 장치는 다음을 포함한다.
(가) 음식재료용 호퍼와, (나) 호퍼와 대면되는 상부에서 개방되는 원통형 측벽과 두개의 단두벽(25)을 가지고, 호퍼로 부터 멀리 위치되어 하우징(7)의 축방향으로 원통형 측벽상에 배열된 출구 포트 수단(23)을 갖는 호퍼의 바닥에 장착되고 편심적으로 형성된 원통형 하우징(7)과, (다) 원통형 동체를 통하여 방사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슬릿(13)을 가지고 원통형 동체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드럼(9)의 회전방향으로 출구 포트수단(23)의 하향으로 서로에 대해서 미끄럼 가능하게 계합되며, 또한 상기 하우징의 측벽이 드럼의 회전 방향으로 호퍼의 하향 하우징의 측벽 내면 및 다수의 드럼이 상기 출구 포트 수단(23)을 향하여 이것의 횡단면으로 점차 좁아지는 공간(27)을 한정하며, 또한 드럼(9)의 회전방향으로 출구 포트 수단(23)의 하향으로 서로에 대해서 미끄럼 가능하게 계합되도록 형성되는, 모터에 차례로 접속된 축에 작동가능하게 접속되어 하우징내에 위치된 회전가능한 중공의 원통형 드럼과, (라) 슬릿(13)속으로 미끄럼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한정된 횡단 디멘존 및 길이가 드럼의 원통형 통체의 두께보다 더 큰 이것의 트레일링 면상에 리세스(17)와 함께 블레이드가 제공되어 상기 각각의 슬릿(13)속으로 삽입된 다수의 블레이드(15)와, (마) 캠의 원주가 상기 블레이드의 방사방향 폭과 동일한 거리에 의하여 하우징의 측벽의 내면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이격되며, 드럼의 상부에서 드럼(9)의 원주 동체와 계합되며, 하우징의 단부벽(25)과 함께 내부 챔버(31)를 한정하는 드럼의 회전방향으로 원주로부터 점차로 분리되며, 출구 포트 수단을 향하여 이것의 횡단면내에서 확대되는 하우징(7)의 단부벽(25)에 고정장착된 편심 원통형 캠(19) 및, (바) 상기 내부 챔버를 호퍼에 접속시키는 출구 통로(33)를 포함하며, 각각의 블레이드는 드럼(9)이 편심 캠(19)의 원주 및 하우징의 측벽 내면을 따라 회전할 때 미끄럼 이동가능하고, 결국 상기 회전이 블레이드를 호퍼의 바닥과 대면시킬 때 블레이드의 외향부가 음식 재료를 상기 스페이스(27)내로 유입시키도록 상기 호퍼내로 돌출되게 배열되며, 상기 블레이드상의 상기 리세스(17)는 상기 두 인접 블레이드(15) 및 드럼(9)과 하우징(7)에 의하여 형성된 격벽내에 트랩된 공기를 내부 챔버속으로 해탈시키도록 상기 내부 스페이스(27)로부터 상기 내부 챔버로의 통로를 제공하며, 상기 블레이드의 외향부는 또한 블레이드가 상기 출구 포트를 지나서 이동할 때 드럼(9)의 원주와 평면이되는 포인트로 수축되도록 배열된, 음식 재료의 정량적인 유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구 포트 수단(23)은 구획벽(22)에 의해 상호 분리된 다수의 출구 포트로 구성되고, 상기 드럼(9)은, 상기 출구 포트의 상부 영역에서는 플랜지(14)는 상기 포트의 수와 같은 수의 섹션으로 상기 스페이스(27)를 분할하도록 상기 하우징(7)의 내면과 미끄럼계합되게 연장되며, 상기 출구 포트의 영역에서는 플랜지의 외향단부는 각각의 출구 포트와 연통되는 섹션을 제공하도록 상기 출구 포트(23A, 23B, 23C 및 23D)의 상기 구획벽(22)의 단부와 미끄럼 계합되고, 상기 출구 포트의 하부 영역에서는 상기 플랜지의 외향 단부는 상기 하우징(7)의 내부벽내에 제공된 원호형 홈내에 미끄럼 수용되도록, 드럼(9)의 원통형 동체로부터 외향 돌출되는 다수의 플랜지(1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식 재료가 이속으로 유입되는 스페이스가 섹션들로 분기된다. 이러한 섹션들은 인접된 플랜지쌍 혹은 하나의 플랜지 및 하우징의 인접 단부벽에 의하여 밀봉되는데, 이러한 섹션들은 드럼의 원주 동체 및 하우징의 측벽사이에서 부가로 한정된다. 상기 드럼의 회전 스테이지에서, 각각의 섹션내의 격벽은 블레이드의 인접쌍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재료가 하나의 출구 포트를 막을 때 조차도, 상기 출구 포트와 연통되는 섹션내의 재료는 상기 섹션을 둘러싸게 되며, 따라서 인접 섹션 속으로 흐를 수 없게된다. 따라서, 상기 재료는 인접 출구 포트로부터 유출을 막게된다. 그러므로, 음식재료의 불균일한 공급은 완전히 종료가능해진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서술된다.
상기 장치(1)는 유식재료(5)용 호퍼(3) 및, 호퍼 바닥상에 일체로 장착된 편심 형성의 원통형 하우징(7)을 포함한다. 제 1 도에서, 하우징(7)의 벽은 호퍼(3)의 벽에 접속된다. 상기 하우징(7)은 이것 속에서 회전하는 중공원통형 드럼(9)을 갖는다. 상기 드럼(9)은 축(11)에 작동 가능하게 접속되는데, 이것은 모터(도시안됨)에 접속된 구동 샤프트이다.
제 1 도 및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드럼(9)은 이들사이의 어떤 거리에서 이것의 원통형 동체를 통하여 방사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슬릿(13)을 갖는다. 상기 슬릿(13)은 또한 원통형 동체의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부가로, 다수의 외향 연장 플랜지(14)는 다수의 드럼(9)상에 제공된다. 이러한 플랜지는 드럼(9)의 축방향으로 배열되고 서로 거리를 두고 멀리 이격된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슬릿(13)내에서 블레이드(15)가 삽입된다. 이것의 칫수는 꼭맞게 삽입되는 정도이고 슬릿내에서 미끄럼운동이 가능하다.
드럼(9)의 회전 방향내의 각각의 블레이드(15)의 트레일링 면상에, 리세스(17)가 형성되어 원주 동체의 두께보다 약간 큰 거리를 넘어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리세스(17)는 블레이드(15)의 전체 길이를 거의 넘어서 축방향으로 연장될 것이다.
편심 캡(19)이 하우징(7)의 단부벽(25)에 고정 장착되며 축(11)과의 미끄럼 계합으로 드럼(9)의 중공 내부에 위치된다. 캠(19)의 원주는 블레이드(15)의 방사 방향폭과 동일한 크기에 의하여 하우징(7)의 내벽으로부터 방사 이격된다. 캠이 호퍼(3)와 하우징의 출구 포트와 대면하는 구역내의, 하우징(7)의 두 단부벽에서, 스텝(21)이 블레이드(15)를 위치에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스텝(21)은 블레이드의 방사 방향폭과 동일한 거리에 의하여 캠(19)의 원주로부터 이격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드럼(9)이 회전할 때 블레이드(15)는 드럼(9)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반면에, 블레이드(15)의 외향 단부는 하우징(7)의 내부 벽 및 스텝(21)과 계합되고, 블레이드(15)의 내향 단부는 캠(19)의 원주와 계합된다.
상기 하우징은 호퍼(3)로 부터 이격 위치된 다수의 출구 포트(23)를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4개의 출구포트(23A, 23B, 23C, 23D)는 하우징(7)의 축방향으로 배열된다.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출구포트(23)는 이들의 각각의 노즐(24)에 접속되고 결국, 상기 재료의 원통형 동체는 서로 접촉하지 않고 장치(1)로부터 적당하게 유출된다. 상기 플랜지(14)가 형성되어 이들의 외향 단부는 구획 벽(22)의 단부와 계합되는데 , 이들의 출구 포트의 구역에 도달할 때 4개의 출구 포트를 상호 분리시킨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우징의 측벽은 호퍼(3)의 측벽과 접속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7)은 드럼(9) 및 캠(19)을 둘러싸도록 두개의 단부벽(25, 제 2 도)을 갖는다. 하우징의 측벽은 편심형 단면을 갖는데 결국, 제 1 도에 도시된 화살표 a에 의하여 도시된 드럼(9)의 회전방향으로 호퍼(3)와 대면하는 드럼(9)의 한부분 하향으로 드럼(9)의 원주 및 내면이 출구 포트(23)를 향하여 횡단면 내에서 점차적으로 인접되는 스페이스(27)를 한정한다. 그러나, 하우징(7)의 측벽 내면은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드럼(9)의 회전방향의 출구포트(23)의 하향의 구역내의 드럼(9)의 원주와 접촉한다.
상기 플랜지(14)가 형성되어 이들의 외향 단부가 출구포트(23)상향의 구역내의 하우징의 측벽의 내면과 계합되도록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플랜지(14)는 스페이스(27)를 섹션들로 분기시키는데, 그 갯수는 출구 포트의 갯수에 대응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27)는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4개의 섹션을 한정하도록 3개의 플랜지(14A, 14B, 14C)에 의하여 분기된다. 따라서, 이 구역에서, 상기 재료(5)는 스페이스(27)의 각각의 섹션내에 셧트되며 인접 섹션속으로 이동 불가능하다. 상기 출구 포트의 하향인 구역내에서, 플랜지(14)를 수용하기 위한 홈이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하우징(7)의 측벽내에 제공된다.
내부 챔버(31)가 캠(19)의 원주 및 드럼(9)의 원주동체의 내벽사이에 형성되는데, 캠(19)이 드럼(9)과 접촉하는 구역은 제외된다. 상기 캠(19) 은 편심형을 갖도록 설계된다. 캠의 표면은 하우징의 측벽 내면으로부터 등거리이다. 캠(19) 및 드럼(9)의 위치관계는 내부 챔버가 드럼의 회전 방향의 포트(23)를 향하여 호퍼(3)가까이의 위치로부터 횡단면내에서 점차적으로 확대되는 관계이며, 또한 균일칫수 구역이 하향 단부를 향하여 인접된 후에 상기 캠(19)의 원주가 드럼(9)의 원주동체의 내벽과 호퍼와 대면하는 하우징의 상부에서 계합된다.
내부 챔버(31)가 나타나는 포인트가까이에 출구통로(33)가 형성된다. 상기 통로는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캠(19)을 통하여 호퍼(3) 및 내부 챔버(31)와 접촉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27)는, 감소되는 칫수의 섹션(39)의 하향으로 또한 회전방향 a의 출구포트(23)의 상향 및 인접된 균일한 칫수 섹션(41)을 갖는다. 이러한 균일 칫수 섹션에 있어서, 스페이스(27)의 칫수 및 내부 챔버(31)의 칫수는 균일하다.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 격벽이 내부챔버(31) 및 스페이스(27)내의 블레이드의 인접쌍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드럼(9) 및 캠(19)이 하우징내에 둘러싸이기 때문에, 상기 격벽은,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캠(19)의 원주, 하우징의 측벽 및 단부벽(25)에 의하여 밀봉된다. 상술된 바와같이, 격벽내의 스페이스(27)는 플랜지(14)에 의하여 4개의 섹션속으로 분기된다.
작동시, 드럼(9)은 제 1 도의 화살표 a에 의하여 도시된 바와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하우징(7)의 상부에서, 블레이드(15)의 외향 단부는 호퍼(3)속으로 향한다. 상기 돌출 블레이드가 드럼의 회전과 함께 회전할 때, 이것은 음식 재료를 하우징(7)의 측벽 내면 및 드럼(9)사이의 스페이스(27)속으로 밀게된다. 출구 상향의 구역내에서, 플랜지의 외향 단부는 하우징의 측벽 내면과 계합되고 드럼(9)과 하우징(7)사이의 공간을 4개의 섹션으로 분할한다. 상기 재료(5)는 4개의 부분으로 분리되고 각각의 섹션 속으로 유입된다. 더구나, 블레이드(15)의 외향 단부는, 인접 블레이드(15), 드럼(9) 및, 두 인접 플랜지 혹은 한 플랜지 및 단부벽(25)과 함께 밀봉된 격벽을 한정하도록 하우징(7)의 측벽 내면과 계합된다. 스페이스(27)속으로 유입된 재료는 격벽속으로 제한되며 또한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회전방향 a로 이동한다. 드럼(9)이 회전할 때, 감소되는 칫수 섹션(39)에 있어서, 블레이드의 인접쌍, 드럼, 측벽 및, 플랜지(14)(혹은 하우징의 단부벽 및 플랜지)에 의하여 형성된 격벽의 체적은 점차적으로 감소된다. 대조적으로, 캠(19)의 원주 및 드럼(9)의 원통형 동체 내벽은 내부 챔버(31)를 형성하도록 서로 분리된다. 하우징(7)의 단부벽 및 블레이드(15)쌍 부근의 캠, 드럼과 함께 내부 챔버내에 격벽이 형성되며, 또한 각 격벽의 체적은 드럼(9)이 출구포트(23)의 하향 단부 가까이의 구역 이상으로 회전할 때 점차적으로 확대된다.
재료가 호퍼(3)로부터 스페이스(27)내부로 유입될 때, 공기는 재료내에 트랩되는 경향을 갖으며 또한 상기 격벽으로 먼저 유입된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공기는 격벽의 하향부에서 수집된다.
블레이드(15)의 리세스(17)가 드럼(9)두께보다 큰 거리를 넘어서 연장되기 때문에, 드럼(9)의 회전 동안에 몇개의 포인트에서 블레이드(15)는 리세스(17)가 드럼(9)의 양면을 넘어서 스트래치되도록 위치된다. 이 포인트에서 상기 스페이스(27)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블레이드(15) 및 슬릿벽(13)사이에 리세스(17)에 의하여 형성된 통로를 경유하여 내부 챔버(31)와 연통된다. 드럼 외측부에 형성된 격벽내의 스페이스는 드럼(9)이회전할 때 더욱 적어지게 되고, 따라서 격벽내의 압력이 증가하는 반면에, 내부 챔버(31)의 스페이스가 증가하고 따라서, 스페이스(27)의 압력은 내부 챔버(31)의 압력보다 더욱크다. 압력차이에 기인되어, 재료(37)의 마찰부와 함께, 공기(35)는 스페이스(27)로부터 내부 챔버(31)로 가압된다. 따라서, 드럼(9)이 회전할 때, 외부격벽내의 공기는 스페이스(27)로부터 제거되고, 단지 재료만이, 격벽이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출구 포트(23)부근의 구역에 도달하기 전에, 스페이스(27)를 충진시킨다.
그후, 격벽이 균일한 칫수 섹션(41)에 도달하게 된다. 상술된 바와같이, 상기 섹션(41)은 회전 방향 a내의 출구포트(23)의 상향으로 설치된다. 스페이스(27)의 칫수 및 섹션(41)내의 내부 챔버가 균일하기 때문에, 인접 블레이드(15)쌍에 의하여 한정된 스페이스(27) 및 내부 챔버(31)내의 압력은 균일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균일한 칫수없이 즉, 만약 스페이스(27)가 이렇게 형성되어 이것의 칫수가 출구 포트(23)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감소하게 된다면, 어떤 다른 격벽내의 재료의 상향부에서의 압력은 하향부의 압력보다 작게된 것이다. 따라서, 출구포트(23)를 경유하여 재료를 유출시키는 압력은 균일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만약 재료가 포트(23)로부터 유출된다면, 포트(23)에서 블레이드의 도달과 함께 대칭되는 사이클에서 맥동하게 된다. 따라서, 유출된 재료의 유량은 만약 미세하게 본다면 비균일 할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어떤 적용에 대해서는 결함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균일칫수 섹션(41)내의 재료(5)는, 이것이 포트(23)부근의 부분으로 이송될 때까지 블레이드(15)의 인접쌍 사이의 스페이스를 관통하는 균일한 압력에 종속된다. 따라서, 이것은 출구 포트(23)로부터 균일하게 유출하게 된다. 이러한 균일한 칫수 섹션(41)은 블레이드(15)의 인접쌍 사이와 동일한 거리로 연장될 것이다. 더구나, 드럼(9)에 관한 블레이드(15)의 위치는 이러한 섹션(41)내에서 블레이드(15)의 트레일링면상의 리세스(17)가 스페이스(27) 및 내부 챔버(31)를 접속시키는 통로를 폐쇄시키고 내부 챔버내의 공기(35)가 스페이스(27)속으로의 후방 흐름을 방지하도록 드럼(9) 원주위에 숨기는 포인트로 이동시킬 것이다. 결과적으로 양과 밀도가 균일하고 잔류공기 버블이 없는 재료는 출구포트(23)를 경유하여 유출된다.
상술된 바와같이, 플랜지(14)없이, 재료가 출구 포트중의 하나를 예로서, 제 4 도의 우현으로부터의 제 2 출구포트를 막을 때, 상기 제 2 포트로 부터 유출되는 재료는 제 4 도의 화살표 C에 의하여 지시된 바와같이 인접출구 포트로 흐를 것이다. 따라서, 인접 포트로부터 유출된 재료(5)의 양은 증가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 있어서, 각각의 섹션은 인접 플랜지쌍 혹은 한 플랜지 및 하우징의 단부벽에 의하여 다른 섹션으로부터 밀봉된다. 따라서, 재료는 인접 섹션속으로 흐르지 않고 한 출구 포트로부터의 재료(5)의 유출은 다른 출구 포트로부터 유출된 재료에 영향을 끼칠수 없다.
상기 블레이드(15)가 포트(23)를 지나서 이동할 때, 블레이드(15)는 이것의 외향 단부가 드럼(9)의 원주와 함께 분출을 시작하는 포인트로 철수하고, 또한 드럼(9)의 원주는 하우징(7)의 내벽과 접촉한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인접 블레이드(15)쌍 사이의 내부 챔버(31)의 용량이 격벽을 형성하는 리딩 블레이드가 호퍼(3) 바닥으로 노출되기 시작하는 포인트로 접근할 때까지, 균일하다. 상기 내부 챔버(31)상의 포인트로부터 캠(19)의 원주가 드럼(9)의 내벽과 접촉하고 따라서, 내부 챔버(31)가 하우징(7)의 상부에서 소멸될 때까지 점차적으로 이것의 스페이스를 감소시킨다.
드럼(9)이 회전할 때, 내부 챔버(31)내의 재료의 마찰부는, 블레이드(15)의 리딩면에 의하여 푸쉬되는, 하우징(7)의 상부를 향하여 이동한다. 내부 챔버(31)가 소멸되는, 하우징(17)의 상부 부근에서, 출구 통로(33)가 블레이드(15)의 프로펠링 포스에 의하여 내부 챔버(31)내에 트랩된 공기(35) 및 재료(37)를 제거하도록 캠(19)을 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재료(37) 및 공기(35)는 제 2 도의 화살표 b에 의하여 도시된 바와같이 출구 통로(33)를 경유하여 호퍼(3)로 복귀된다.
제 5 도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의 장치(101)를 도시한다. 상기 장치(101)의 구조는 제 2 도에 도시된 상기 제 1 실시예의 장치(1)의 것과 유사하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모든 격벽은 어떤 인접된 플랜지(14)쌍 사이에서 한정된다. 대조적으로, 제 1 실시예의 두 스페이스 단부섹션은 하우징의 한 단부벽 및 이것의 인접 플랜지(14)에 의하여 한정된다.
상술된 바와같이, 다수의 출구 포트로부터 유출된 재료의 양은 동일하고 재료가 한 출구 포트를 막을 때 조차도 변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다수의 출구 포트로 부터 유출된 재료의 불규칙한 공급은 완전히 종료된다.

Claims (8)

  1. (가) 음식 재료용 호퍼와, (나) 호퍼와 대면되는 상부에서 개방되는 원통형 측벽과 두개의 단부벽(25)을 가지고, 호퍼로부터 멀리 위치되어 하우징(7)의 축방향으로 원통형 측벽상에 배열된 출구 포트 수단(23)을 갖는 호퍼의 바닥에 장착되고 편심적으로 형성된 원통형 하우징(7)과, (다) 원통형 동체를 통하여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슬릿(13)을 가지고 원통형 동체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드럼(9)의 회전방향으로 출구 포트 수단(23)의 하향으로 서로에 대해서 미끄럼 가능하게 계합되며, 또한 상기 하우징의 측벽이 드럼의 회전 방향으로 호퍼의 하향 하우징의 측벽 내면 및 다수의 드럼이 상기 출구 포트 수단(23)을 향하여 이것의 횡단면으로 점차 좁아지는 공간(27)을 한정하며, 또한 드럼(9)의 회전 방향으로 출구 포트 수단(23)의 하향으로 서로에 대해서 미끄럼 가능하게 계합되도록 형성되는, 모터에 차례로 접속된 축에 작동가능하게 접속되어 하우징내에 위치된 회전가능한 중공의 원통형 드럼과, (라) 슬릿(13)속으로 미끄럼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한정된 횡단 디멘존 및 길이가 드럼의 원통형 통체의 두께보다 더 큰 이것의 트레일링 면상에 리세스(17)와 함께 블레이드가 제공되어 상기 각각의 슬릿(13)속으로 삽입된 다수의 블레이드(15)와, (마) 캠의 원주가 상기 블레이드의 방사방향 폭과 동일한 거리에 의하여 하우징의 측벽의 내면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이격되며, 드럼의 상부에서 드럼(9)의 원주 동체와 계합되며, 하우징의 단부벽(25)과 함께 내부 챔버(31)를 한정하는 드럼의 회전방향으로 원주로부터 점차로 분리되며, 출구 포트 수단을 향하여 이것의 횡단면내에서 확대되는, 하우징(7)의 단부벽(25)에 고정 장착된 편심 원통형 캠(19) 및, (바)상기 내부챔버를 호퍼에 접속시키는 출구 통로(33)를 포함하며, 각각의 블레이드는 드럼(9)이 편심 캠(19)의 원주 및 하우징의 측벽 내면을 따라 회전할 때 미끄럼 이동가능하고, 결국 상기 회전이 블레이드를 호퍼의 바닥과 대면시킬 때 블레이드의 외향부가 음식 재료를 상기 스페이스(27)내로 유입시키도록 상기 호퍼내로 돌출되게 배열되며, 상기 블레이드상의 상기 리세스(17)는 상기 두 인접 블레이드(15) 및 드럼(9)과 하우징(7)에 의하여 형성된 격벽내에 트랩된 공기를 내부 챔버속으로 해탈시키도록 상기 내부 스페이스(27)로부터 상기 내부 챔버로의 통로를 제공하며, 상기 블레이드의 외향부는 또한 블레이드가 상기 출구 포트를 지나서 이동할 때 드럼(9)의 원주와 평면이되는 포인트로 수축되도록 배열된, 음식재료의정량적인 유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구 포트 수단(23)은 구획벽(22)에 의해 상호 분리된 다수의 출구 포트로 구성되고, 상기 드럼(9)은, 상기 출구 포트의 상부 영역에서는 플랜지(14)는 상기 출구 포트의 수와 같은 수의 섹션으로 상기 스페이스(27)를 분할하도록 상기 하우징(7)의 내면과 미끄럼 계합되게 연장되며, 상기 출구 포트의 영역에서는 플랜지의 외향단부는 각각의 출구 포트와 연통되는 섹션을 제공하도록 상기 출구 포트(23A, 23B, 24C 및 23D)의 상기 구획벽(22)의 단부와 미끄럼 계합되고, 상기 출구 포트의 하부 영역에서는 상기 플랜지의 외향 단부는 상기 하우징(7)의 내부벽내에 제공된 원호형 홈내에 미끄럼 수용되도록, 드럼(9)의 원통형 동체로 부터 외향 돌출되는 다수의 플랜지(1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재료의 정량적인 유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27)는 드럼(19) 회전 방향의 이것의 상향으로 상기 출구 포트(23) 부근의 균일한 칫수를 가진 섹션(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재료의 정량적인 유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균일한 칫수의 섹션(41)은 어떤 인접 블레이드(15)쌍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 너머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재료의 정량적인 유출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통로는 내부 챔버(34)의 상부 가까이에 위치되고 또한 상기 내부 챔버는 이것의 단면이 출구 통로를 향하여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재료의 정량적인 유출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통로(33)는 상기 편심 캠(19)을 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재료의 정량적인 유출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캠(19)이 하우징 및 출구 포트와 대면하는 구역내의 하우징의 단부벽상에 제공된 블레이드(15)용 트랙(21)을 부가로 포함하는데, 상기 트랙은 상기 블레이드(15)의 방사방향 폭과 동일한 거리에 의하여 편심 캠(19)의 표면으로부터 방사 방향 등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재료의 정량적인 유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5)는 출구 포트(23)부근의 구역에 도달할 때 상기 스페이스(27)로부터 내부 챔버(31)로의 통로를 페쇄시키도록 드럼(9)에 대해서 이동하기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재료의 정량적인 유출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5)는 상기 균일한 칫수의 섹션에 도달할 때 스페이스(27)부터 내부 챔버(31)로의 통로를 폐쇄시키도록 드럼에 대해서 이동하기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재료의 정량적인 유출장치.
KR2019910021234U 1988-10-04 1991-12-04 음식재료 유출장치 KR9200014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1234U KR920001439Y1 (ko) 1988-10-04 1991-12-04 음식재료 유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8-130038 1988-10-04
JP1988130038U JPH055455Y2 (ko) 1988-10-04 1988-10-04
KR1019890014075A KR900005884A (ko) 1988-10-04 1989-09-30 음식재료 유출장치
KR2019910021234U KR920001439Y1 (ko) 1988-10-04 1991-12-04 음식재료 유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4075A Division KR900005884A (ko) 1988-10-04 1989-09-30 음식재료 유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439Y1 true KR920001439Y1 (ko) 1992-03-05

Family

ID=27316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1234U KR920001439Y1 (ko) 1988-10-04 1991-12-04 음식재료 유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143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3440B1 (ko) 음식 재료의 계량 송출 방법 및 장치
EP3030785B1 (en) Distributor apparatus with a pair of intermeshing screw rotors
US4536121A (en) Divided rotary valve feeder
US4995804A (en) Apparatus for quantitatively extruding food material
CA2367845C (en) Mixer
KR900007853B1 (ko) 음식재료 압출장치
SE460514B (sv) Pelletsformare med valsar och kylorgan
KR100426160B1 (ko) 내용물을 둘러싸기 위한 장치
GB2270058A (en) A bucket wheel sluice for granulated loose material.
SU1535367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тливки шоколада в формы
US8387521B2 (en) Kneaded dough dividing apparatus
KR920001439Y1 (ko) 음식재료 유출장치
US5382145A (en) Apparatus for the apportioned release of flowable substances
JP2019525197A (ja) 調味料を供給する装置および方法
US5069608A (en) Vane pump for delivering pasty substances
US8678030B2 (en) Flow divider
US4884599A (en) Apparatus for packaging fluid materials into packets
KR0160300B1 (ko) 식품 냉각장치
US3513477A (en) Apparatus for measuring and feeding food dressing material
US8162533B2 (en) Mixing method for powder material and liquid material, and mixer
RU9230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скатывания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штампующий механизм,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качивания вязких сред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полуфабрикатов изделий из теста с начинкой
AU2004206765B2 (en) Improvements in food deposition apparatus
US4606646A (en) Rotary processors for devolatilizing materials
US2704521A (en) Continuous mixing and block forming machine and method
BRPI0801637B1 (pt) Mixer-misturad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