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362B1 - 감쇠력 조정식 유압완충기 - Google Patents

감쇠력 조정식 유압완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362B1
KR920001362B1 KR1019890010275A KR890010275A KR920001362B1 KR 920001362 B1 KR920001362 B1 KR 920001362B1 KR 1019890010275 A KR1019890010275 A KR 1019890010275A KR 890010275 A KR890010275 A KR 890010275A KR 920001362 B1 KR920001362 B1 KR 920001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ontrol valve
shock absorber
force
check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0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2629A (ko
Inventor
김태균
Original Assignee
만도기계 주식회사
정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도기계 주식회사, 정몽원 filed Critical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10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1362B1/ko
Publication of KR910002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감쇠력 조정식 유압완충기
제1도는 본발명 일실시예를 나타낸 완충기의 전체 종단면예시도.
제2도는 본발명 요부의 확대단면예시도.
제3도는 제2도의 부분발췌 분리사시도.
제4도는 A부분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공너트 3 : 조절밸브
5 : 체크밸브 6 : 내부관
8 : 피스톤로드 8-1 : 동심구멍
8-2 : 측로 9 : 조정 로드
본 발명은 감쇠력 조정식 유압완충기에 관한 것으로. 유압완충기는 피스톤로드 하강압축시 유체의 흐름이 피스톤로드의 측로를 통하여 중공너트의 상,하부 구멍과 조절밸브의 상,하부 유로로 동시 유입되어짐에 있어 하부 구멍과 유로를 거친 유체가 내부관의 중앙유로에서 체크밸브를 들어 올려 주연측로로 유체가 흐르게되어 체크밸브의 상승과 스프링의 수축으로 제동력이 발생되도록 하고, 피스톤로드의 상승 리바운드시 유체의 흐름이 피스톤로드의 측로로 유입되어 동심구멍을 거쳐 조절밸브의 개방 유로를 통하여 조절밸브의 내부로 유입되어짐으로 하여 체크밸브가 하향되고 스프링의 단발력에 의하여 체크밸브의 주연측로를 통한 내부관으로의 유로가 차단되어 제동력이 완화되어지도록할 목적으로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치되는 완충장치의 일종인 충격흡수장치는 일정한 유압제동력을 이용하여 실린더 내부에 장치된 피스톤밸브의 제동력발생장치에서 발생하는 제동력에 의해 일정한 수준의 고정된 충격감소 효과만을 발휘할뿐 그 이상의 충격력에 대하여는 차량에 장치된 완충기의 교체 또는 제작없이는 감소시킬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현재에는 완충기에 종래와는 다른 장치를 설치하여 고정된 완충효과를 이중 또는 다중의 완충력을 갖게 하므로서 운전자가 소망하는 수준의 완충효과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피스톤로드의 동심구멍에 개재되어 있는 조정로드를 적당히 이용하고 중공너트와 조절밸브의 상,하부 통로를 조작시켜 유체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게 하므로서 이중 또는 그 이상의 다단식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것으로 이들 첨부표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와 같이 외측 실린더(가)가 내측 실린더를 구획하되 피스톤밸브(다)를 중심으로 하여 상부 실린더(나-1)와 하부 실린더(나-2)로 구분하고 상부 실런더측에는 피스톤로드(8)의 측로(8-2)를 설치하였으며 하부 실린더 내에는 내부관(6)과 스프링(4)에 탄지된 체크밸브(5)가 개재되고 조절밸브(3)를 구비한 중공너트(1)를 고정링(2)으로 피스톤 로드 선단에 나합되어진 피스톤로드의 상단에는 충격완충부로서 끼움테(12)에 탄발스프링(13)으로 탄지된 연결체(11)와 지지환(10)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제2도 및 제3도에서와 같이 피스톤로드의 동심구멍(8-1)에는 조정로드(9)를 축설하고 양옆으로 동심구멍과 직각을 이루도록 측로(8-2)를 형성한 피스톤로드의 선단외주연에 숫나사부(8∼3)를 구비시켜 중공너트(1)의 결합암나사부(1-3)에 나합토록 되어진 중공너트에는 유체가 상,하로 유입 또는 유출될 수 있는 상,하부 구멍(1-1,1-2)을 일방향의 주연에 천공하여 내부단턱(1A)에 개재되는 고정링(2)을 삽설한 상태에서 상부에 개방유로(3A)가 관통되고 주연 일측상하에 상,하부 유로(3-1)(3-2)가 구비된 조절밸브(3)를 삽입설치하고 조절밸브의 내부구멍에는 스프링(4)을 받쳐주는 주연측로(5-1)가 구비되어 있는 체크밸브(5)를 동심유로(6A)와 측면유로(6-1)가 천공된 내부관(6)으로 부터 고무링(14)으로 유동되지 않게하여 바닥캡(7)을 복착하여 주므로서 지지환이 눌러지면 피스톤로드(8)가 압축되어지면서 하부 실린더(나-2)의 면적이 좁아지며 유체가 중공너트(1)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하부 구멍(1-1)(1-2)으로 유입되어져 상부구멍(1-1)으로 유입되어진 유체는 조절밸브(3의 상부유로(3-1)를 통하여 스프링(4) 설치공간에서 개방유로(3A)를 거쳐 조정로드(9)가 축설된 피스톤로드(8)의 동심구멍(8-1)에서 측로(8-2)로 유출되어 상부 실린더(나-1)로 유입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중공너트의 하부구멍(1-2)으로 유입되어지는 유체는 조절밸브(3)의 하부유로(3-2)와 조절밸브의 중앙공에 개재된 내부판(6)의 측면유로(6-1)를 통하여 유입되어 상면중앙의 동심유로(6A)로 유출되기 위하여 스프링(4)의 탄발력으로 내부관의 동심유로를 차폐하고 있는 개방이 가능한 체크밸브(5)를 들어올려주어 형성되어지는 틈새에서 체크밸브의 주연측로(5-1)를 통하여 상부 유로로 유입되어진 유체와 함께 피스톤로드(8)의 동심구멍을 통해 측로로 유출되어지므로 체크밸브의 상승작용과 스프링의 수축으로 제동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와 반대로 피스톤로드가 상승리바운드(rebound)되는 제자리로 되돌아오는 과정에서는 유체가 상부 실린더에서 측로를 통하여 피스톤로드의 동심구멍을 거쳐 조절밸브의 개방유로내로 즉시 유입되어지므로 스프링에 탄지된 체크밸브가 하향되어 내부관의 측로로 유입되어 동심유로로 유출되어지면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게 되므로 제동력을 완화하여 주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피스톤로드의 동심구멍에 개재된 조정로드의 동작을 이용한 스프링과 체크밸브의 작동으로 조절밸브의 상,하 유로를 조작시켜 유체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게 하므로서 이중 또는 다중의 다단식 완충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로 이용할 수 있게된 본 발명은 일반 완충기에서 사용하는데 제동력 발생장치인 피스톤밸브가 설치되고 그 하부에 완충기 감쇠력 변환장치가 설치되어져 있어 외부에서 피스톤로드에 압력이 가하여지면 피스톤로드가 실린더내부로 들어오면서 피스톤로드의 체적분에 해당하는 압력으로 완충기 내부에서 제동력이 발생하는 작동원리에 의하여 피스톤로드의 동심구멍과 측로를 통하여 밀폐상태인 하부 실린더에 있던 유체가 통과하므로 그 통과하는 유체의 량만큼에 대한 완충효과가 완화되어 이미 피스톤밸브에 의해 고정되어 있던 제동력보다 작은량의 제동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작동원리에 따라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유체의 흐름에 대해 설명하면 피스톤밸브에 위치한 감쇠력발생밸브의 탄성력은 종래의 완충기는 일정한 피스톤로드의 상,하운동속에 대하여는 일정한 양의 유체가 감쇠력 발생밸브를 통과하여 일정한 크기의 감쇠력만을 발생시켰으나 본 발명에서는 피스톤밸브의 감쇠력 발생밸브외에 감쇠력조절밸브를 통과하는 유량을 감쇠력 조절밸브(3)의 상,하부 유로(3-1)(3-2)의 크기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다.
이때 피스톤 감쇠력 발생밸브 통과유량은 감쇠력 조절밸브의 통과유량만큼이 적게 통과되어 감쇠력이 약화된다. 이때 감쇠력 조절밸브의 상,하부 유로(3-1)(3-2)의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밸브(3)의 원주방향으로 설치하면 각각의 유로가 중공너트의 유로와 일치할때마다 각각 다른 감쇠력을 유발시킬 수 있다. 즉 일반적인 감쇠력발생공식인,
Figure kpo00001
에서 유체가 피스톤부의 감쇠력 발생밸브에 영향을 주지 않고 통과할 수 크기를 다양하게 만듦으로서 하나의 완충기를 선택적으로 다양한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즉
Figure kpo00002
에서 a(유로면적)을 변화시킴으로서 감쇠력 F가 변화하게 한 완충기이다.
이와 같은 상태로 사용되어지는 본 발명의 유압완충기는 피스톤로드의 압축과 리바운드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효과를 얻게 하였으며 완충기의 압축 및 리바운드시의 감쇠력을 별도 조정이 가능하게 하였고 완충효과도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하여서 된 것이다.

Claims (3)

  1. 유압유체를 수용하는 외측실린더 안에서 작동되게 두개의 유체실로 분할하는 실린더의 피스톤에 고정되어 실린더외부로 연장된 피스톤로드와 완충기의 팽창, 수축시 제동력이 발생되도록 피스톤에 설치한 제동력 발생장치에 구성된 유압댐퍼에서 피스톤의 제동력 발생장치를 우회하는 두개의 유체실을 연결하기 위한 축로 통로와 댐퍼의 수축과 팽창행정 사이의 유로통로안의 유체흐름을 변환하기 위한 체크밸브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조정식 유압완충기.
  2. 제1항에 있어서, 피스톤로드(8)하부에 조절밸브(3)가 내장될 수 있는 중공(1)를 개재하고 이에 스프링(4)과 주연측로(5-1)를 구비한 체크밸브(5)와 측면유로(6-1)와 동심유로(6A)가 조정로드(9)와 일체로 되어 완충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 완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체크밸브(5)를 개재시켜 댐퍼의 수축시 중공너트와 조절밸브의 두개 구멍과 내부관의 측면유로가 동시 열려지고 팽창시에는 중공너트와 조절밸브의 상부구멍과 상부유로만이 열려지고 스프링의 탄발력으로 내부관의 동심유로가 폐하여지도록 함을 특징으로한 감쇠장치.
KR1019890010275A 1989-07-20 1989-07-20 감쇠력 조정식 유압완충기 KR920001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0275A KR920001362B1 (ko) 1989-07-20 1989-07-20 감쇠력 조정식 유압완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0275A KR920001362B1 (ko) 1989-07-20 1989-07-20 감쇠력 조정식 유압완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629A KR910002629A (ko) 1991-02-25
KR920001362B1 true KR920001362B1 (ko) 1992-02-11

Family

ID=19288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0275A KR920001362B1 (ko) 1989-07-20 1989-07-20 감쇠력 조정식 유압완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136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629A (ko) 199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59202C (zh) 阻尼取决于频率的减震器
US5538276A (en) Tunable air spring
JP5933598B2 (ja) バネなし緩衝装置兼用懸架装置、及び使用方法
US8978845B2 (en) Frequency/pressure sensitive shock absorber
KR101288612B1 (ko) 쇽업소버의 밸브 구조
JP3524040B2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
CN100422591C (zh) 与行程相关的旁路
US7950506B2 (en) Semi third tube design
US6076814A (en) Spring strut for vehicles
US4397452A (en) Hydro-mechanical stop for a shock absorber
JP2000110881A (ja) 二段型ショックアブソ―バ
CN102057180A (zh) 嵌套式单向高速阀
KR20070085488A (ko) 스트로크 종속 댐핑
CN100494728C (zh) 重型底阀
US5325943A (en) Variable orifice oil/gass damper for aircraft landing gear
KR920001362B1 (ko) 감쇠력 조정식 유압완충기
KR100391419B1 (ko) 차량용 쇽 업소버
US9849934B2 (en) Shock absorber
JPH08135714A (ja) 液圧緩衝装置
JPS6188034A (ja) 減衰力可変型油圧ダンパ−
JPS598031Y2 (ja) シヨツクアブソ−バ
KR0143808B1 (ko) 감쇠력 조정식 쇽업소버
JP2007127200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07270921A (ja) 減衰力調整ダンパ
GB2156945A (en) A hydraulic shock absorber with rebound sto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9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