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061B1 - 관절붐상의 작업 플랫폼 수평 유지 조립체 - Google Patents

관절붐상의 작업 플랫폼 수평 유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061B1
KR920001061B1 KR1019880005007A KR880005007A KR920001061B1 KR 920001061 B1 KR920001061 B1 KR 920001061B1 KR 1019880005007 A KR1019880005007 A KR 1019880005007A KR 880005007 A KR880005007 A KR 880005007A KR 920001061 B1 KR920001061 B1 KR 920001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platform
pivot
articulat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5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6509A (ko
Inventor
피. 맥도날드 웨인
제이. 리쯔 제프리
Original Assignee
제이엘지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토마스 디. 신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엘지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토마스 디. 신거 filed Critical 제이엘지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90006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관절붐상의 작업 플랫폼 수평 유지 조립체
제1도는 점선으로 도시된 스테이션 및 관절붐을 구비하며, 관절붐에 장착되고 지상 지지 스테이션에 지지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시도.
제2도는 점선으로 도시된 하부에 위치한 붐을 구비하는 제1실시예의 관절붐의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3-3선을 따라 취한 제1실시예의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4-4선을 따라 취한 관절붐의 단면도.
제5도는 점선으로 도시된 지상 지지 스테이션과 지지붐의 기초단부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플랫폼 4 : 붐 조립체
6 : 지상 지지 스테이션 10 : 플랫폼 수평 유지 조립체
14 : 지지붐 16 : 관절붐
20 : 피벗 링크 22,24 : 피벗판
26 : 피스톤 실린더 28 : 플랜지 조립체
30,32 : 플랜지판 36 : 핀
40,42,44 : 장착구멍 51 : 마스터 실린더
54,57 : 유압식 실린더
본 발명은 관절붐상의 플랫폼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관절붐이 상승하거나 하강시에 고정된 지지부에 대해 예정된 자세로 플랫폼을 유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관절붐의 상승이나 하강시에 조정자의 조정이 필요없이 예정된 플랫폼 자세를 유지한다. 또한 본 장치는 예정된 플랫폼 자세를 쉽게 재조정할 수 있다.
과실수나 전화선과 같은 높은 작업 위치로 작업자를 올리기 위한 승강 플랫폼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플랫폼은 유압식으로 작동된 붐 또는 크레인 장치에 의해 상승된다. 일반적으로 붐 조립체는 지지붐과 이 지지붐에 힌지된 관절을 포함하므로써, 상기 관절붐은 부착된 플랫폼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하여 지지붐에 대해 선회된다.
만약 플랫폼이 본체 붐에 고정되었다면 관절붐의 방향이 지지붐에 대하여 변화하므로써 플랫폼의 자세가 변화되어 불필요한 결과가 발생한다. 작업자가 플랫폼에 있을 경우, 작업자가 경사진 플랫폼 바닥에서 스텝을 제대로 유지하지 못한다면 작업자가 사고를 당하게 된다. 또는 작업자가 플랫폼에 있지 않더라도 플랫폼이 기울어지면 재료나 무거운 물건이 떨어져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들에 대한 여러 해결책들이 제시되었다. 중요한 기준 제조비, 신뢰성 그리고 용이한 작동에 대해 판단했을 때 여전히 많은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또한, 제시된 해결책중에는 지지붐과 관절붐이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동안 플랫폼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충분한 해결책이 없다. 플랫폼이 자세가 지지붐 또는 관절붐에 대해 조절될 수 있는 장치가 제안되었지만, 두개의 붐이 동시에 움직일 때 플랫폼 자세를 조정하는 장치는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는다.
공지된 장치들의 분석은 지지붐과 관절붐이 이동할 때 플랫폼 자세 유지에 있어서 장치의 결합을 보여주었다.
트란체로의 미합중국 특허 제3,828,939호에는 플랫폼의 바닥면을 수평으로 유지하기 위해 평행사변형 장치를 사용하며 그리고 플랫폼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크레인을 기술하였다. 비록 상기 특허에 기술된 장치는 조정자의 조정없이 수평 방향으로 플랫폼을 유지시키지만, 이 장치는 여러 단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들면 수평 방향에서 다른 방향으로 플랫폼을 변화시킬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되지 않았고, 또한 레버 평행사변형 장치는 그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는 삽통식 붐의 사용을 배제하였다.
마스터 솔레이브 실린더를 사용하는 몇몇 장치도 공중 플랫폼의 방향을 유지하기 위해 제안되었었다. 이러한 장치는 마스터 실린더의 연장 및 수축에 대응하여 수축 또는 연장하는 플랫폼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슬레이브 실린더를 포함한다. 예를들면, 카펜터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866,713호는 관절붐과 지지붐 사이에 연결된 마스터 실린더를 갖는 작동 플랫폼을 연장하기 위한 장치를 기술하였다. 슬레이브 실린더는 한 단부가 관절붐의 플라이 단부에, 그리고 다른 단부가 플랫폼에 연결되었다. 마스터 및 슬레이브 실린더는 마스터 실린더의 연장 및 수축이 슬레이브 실린더의 대응수축 및 연장을 수행하도록 밀착순환하여 상호 연결되었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지지붐과 관절붐이 독립하여 이동하는 동안 플랫폼 방향을 유지하기 위한 장치를 제시하지 않았다. 각 붐의 독립적인 이동을 따를 수 있는 각각의 마스터 실린더가 필요하고, 각 마스터 실린더의 이동에 응답하는 플랫폼의 대응 이동을 발생시키도록 적당한 슬레이브 실린더 장치가 필요하다. 상기 출원인은 복식 마스터 실린더가 단일 슬레이브 실린더에 연결된 구조를 무시하고 있다.
이것은 붐 각도에 대한 실린더의 길이 관계가 선형이기 보다는 코사인 함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플랫폼 수평 유지 슬레이브 실린더는 독립적으로 작동된 붐과 함께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관절붐 및 지지붐의 이동시에 승강 관절붐에 대해 플랫폼 또는 장치의 자세를 확실하게 그리고 자동적으로 유지하며, 단순하고 비교적 값싼 구조물이며, 관절붐상에 신속히 그리고 안전하게 설치되며, 센서, 스위치, 체인, 케이블, 기어 또는 다른 여러 장치의 필요없이 플랫폼 또는 장치의 자세를 유지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랫폼 자세 제어 장치는 붐의 종방향 길이를 연장하며 관절붐에 인접하거나 관절붐내에 위치하는 링크와, 링크와플랫폼, 그리고 붐을 상호 연결시키는 피벗판상에 삼각형으로 배치된 3개의 장착 위치를 갖는 피벗 판을 구비한다. 링크의 한 단부는 지지붐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피벗판상의 3개의 장착위치중 하나에 연결된다. 피벗판의 장착위치의 삼각형 배열에 의해 피벗판은 플랫폼을 선회시키도록 자세 설정 수단을 통해 작용하는 연동장치이므로 플랫폼은 기설정 방향을 유지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플랫폼의 자세를 설정하는 수단은 원통 단부에서 두 개의 피벗판 각각에 있는 3개의 장착위치중 하나에 장착되고, 로드 단부에서 플랫폼과 합체된 플랜지에 장착된 유압식 실린더이다.
장치의 부품은 붐과 플랫폼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플랫폼이 부착된 붐의 플라이 단부의 관통 구멍은 피벗판에 장착된 핀을 지지하기 위한 관통 구멍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플랫폼상의 작업자의 시야나 행동을 방해하지 않고 붐의 연장능력도 감소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다른 장점은 상기 장치가 붐의 회전이나 상승 및 하강을 위하여 사용되는 동력 시스템이 없이 작동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더욱 명백하여질 것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작업 플랫폼(2)이 지상 지지 스테이션(6)에 피벗식으로 고정된 붐 조립체(4)에 의해 지지된다. 지상 지지 스테이션은 전화선 수리위치나 실내 및 실외등과 같은 여러 작업 장소로 장치를 이동 할 수 있게 장치에 타이어(7)가 부착되어 있다.
지상 지지 스테이션(6)은 본 발명의 부분에 속하지 않기 때문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붐 조립체(4) 역시 같은 이유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붐 조립체는 지지붐(14)과 관절붐(16)을 구비한다. 공지된 방식으로 지상 지지 스테이션이나 플랫폼에 있는 작업자에 의해 플랫폼을 이동시키기 위해 동력이 붐 조립체(4)를 통해 작업 플랫폼에 공급된다.
제1도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본 발명을 형성하는 플랫폼 수평유지 조립체(10)가 관절붐(16)과 플랫폼(2) 사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지상 지지 스테이션(6)에 대해 플랫폼을 예정된 각도로 유지시키는 상기 수평유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 예정 각도는 플랫폼의 자세가 수평이나 거의 수평인 각이지만, 수평유지란 용어는 작업 플랫폼이 일단 초기에 위치 설정되면 지지붐의 위치나 각도에 상관없이 유지되는 어떠한 각도나 자세를 의미하는 것이다.
제2도 내지 4도를 참조하면, 플랫폼 수평 유지 조립체(10)는 피벗 링크(20), 한쌍의 피벗판(22,24), 피스톤 실린더(26), 그리고 플랜지 조립체(28) 등을 구비한다. 플랜지 조립체(28)는 서로 이격 분리되어 고정된 한쌍의 플랜지판(30,32)을 구비한다. 플랜지판(30,32)의 자유 양단부는 플랫폼(2)에 단단히 연결되어 있다.
플랫폼 수평유지 조립체(10)의 구성 요소는 플랫폼(2), 관절붐(16) 그리고 지지붐(14)에 연결되어 서로 작동하기 때문에 플랫폼(2)은 지지붐(14)에 대한 관절붐(16)의 이동시에 양호한 위치로 주어진 방향을 유지한다. 특히 링크(20)의 한 단부는 핀(36)으로 지지붐(14)에 피벗식으로 연결되었다. 링크(20)는 관절붐(16)의 개구를 통해 세로방향으로 연장하며 관절붐(16)의 플라이 단부에 인접하여 종결된다. 링크(20)의 단부는 상술된 방식으로 피벗판(22,24)에 연결된다. 링크(20)가 관절붐(16)내에 위치한 것으로 기술 및 도시되었지만, 링크(20)는 관절붐(16)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각각의 피벗판(22,24)은 3개의 장착구멍(40,42,44)이 제공되어 있다. 피벗핀(46)이 장착구멍(44)내에서 유지되며 링크(20)를 피벗판(22,24)에 피벗식으로 걱정한다. 한쌍의 핀(47)이 피벗판(22,24)이 각 장착 구멍에 피벗식으로 장착되며, 각 핀은 후술된 바와 같이 플랫폼의 각도 설정 작용을 하는 피스톤 실린더(26)의 원통 단부의 각 측면에 연결된다. 피스톤 로드가 피스톤 실린더(26)를 플랜지판(30,32)에 연결하기 위해 핀(50)까지 연장한다. 핀(48)이 플랜지판(30,32)내에 마찰방지 브러싱(도시되지 않음)에 피벗식으로 장착된다. 핀(48)의 양단부는 관절붐(16)의 플라이 단부의 각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각각의 플랜지판(30,32)을 지나 각각의 피벗판안의 마찰방지 브러싱(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연장한다.
지상 지지스테이션(6)에 대해 지지붐(14)을 선회시키기는 동력 조립체를 고려하면, 유압식 실린더(57)는 지지붐(14)의 하부 주변에 장착된 로드 단부와 지상 지지 스테이션(6)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원통 단부를 구비한다. 유압식 실린더(57)는 핀(59)에 의해 지상 지지 스테이션(6)에 피벗식으로 연결된 지지붐(14)을 선회시키기 위해 공지된 방식으로 작동된다. 또한 마스터 실린더(51)는 지지붐(14)의 하부에 장착된 로드 단부와 지상 지지스테이션(6)에 피벗식으로 연결된 원통단부를 구비한다. 마스터 실린더(51) 로드의 연장이나 수축이 피스톤 실린더(26) 로드의 수축 연장이나 대응하여 작동하도록 마스터 실린더(51)는 호스(52)에 의하여 피스톤 실린더(26)와 자동식으로 연결된다. 마스터 실린더(51)는 붐 조립체(4)의 무게를 지탱하지 못하지만 플랫폼(2)이 예정된 자세로 유지되도록 피스톤 실린더(26)의 대응 연장이나 수축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지지붐(14)에 대해 관절붐(16)을 선회시키는 동력 조립체를 고려하면, 유압식 실린더(54)는 핀(36)에 의해 지지붐(14)의 상단부 주변에 장착된 원통 단부와 관절붐(16)에 피벗식으로 연결된 로드 단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핀(36)은 실린더(54)를 지지붐(14)에 연결하고 또한 피벗 링크(20)를 지지붐(14)에 연결한다. 핀(56)은 관절붐(16)을 지지붐(14)에 피벗식으로 연결한다.
링크(20), 피벗판(22,24), 피스톤 실린더(26) 그리고 플랜지 조립체(28)는 관절붐(16)이 상승 또는 하강할 때 예정된 방향으로 플랫폼(2)을 유지하는 연동 장치를 구비한다. 마스터 실린더(51), 호스(52), 피스톤 실린더(26) 그리고 플랜지 조립체(28)는 지지붐(14)이 지상 지지 스테이션(6)에 대해 선회 회전할 때 플랫폼(2)의 예정된 방향을 유지하기 위해 함께 작동한다. 플랫폼 수평 유지 조립체(10)는 각 붐과 플랫폼 사이 또는 전기적 유도 시스템과 같은 다른 비교적 복잡한 시스템 사이에 연결된 상호 밀접한 관계의 유압식 작동기의 필요없이 플랫폼(2) 방향을 유지한다. 더욱이, 플랫폼 수평 유지 조립체(10)의 구조는 관절붐 및 플랫폼 조립체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수평 유지 조립체(10)는 동력원에 연결된 단하나의 피스톤 실린더(26)를 갖는다. 다른 방법으로는, 조립체(10)는 관절붐(16)의 피벗운동으로 작동하도록 설계되며, 동력취출이나 다른 개별 동력 공급원이 필요하지 않다.
플랫폼 수평 유지 조립체(10)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플랫폼이 승강되는 지상 또는 물체와 같은 예정된 기준 위치에 대해 플랫폼의 방향이 선택되고, 피스톤 실린더(26)는 예정된 방향으로 플랫폼을 이동시키도록 작동된다. 피스톤 실린더(26)의 작동은 공지된 방식으로 작동한다. 여러 상황에 있어서 플랫폼이 상승하거나 하강하기전 기준위치에 대해 플랫폼의 방향을 기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반면, 플랫폼(2)의 방향은 피스톤 실린더(26)의 작동에 의해 언제든지 재설정되거나 조절될 수 있다. 피스톤 실린더(26)의 원통단부는 피벗판(22,24)에 피벗식으로 연결되어 있어 실린더(26) 로드의 연장 또는 수축은 핀(48) 주변에서 핀(50)과 플랜지 조립체(28)를 피벗운동시킨다. 그래서 플랫폼(2)의 방향은 필요한 기설정 방향이 얻어질 때까지 피벗판(22,24)에 대해 플랫폼을 선회운동시키므로서 기설정된다. 유압식 실린더(57)는 지상 지지 스테이션(6)에 대해 지지붐(14)을 상방으로 선회시키기 위해 적절히 제어되고, 피벗 운동이 실린더(57)의 피스톤 로드를 선택적으로 연장하므로써 발생된다. 실린더(57)의 비교적 큰 힘은 마스터 실린더(51)를 연장 또는 수축시킨다. 실린더(54)가 비작동 상태로 있는 동안, 실린더(57)가 지상 지지 스테이션(6)에 대해 지지붐(14)을 선회시키기 위해 작동하면, 관절붐(16)과 지지붐(14)의 상대적인 방향은 변화하지 않고 유지된다. 마스터 실린더(51)의 로드는 지지붐(14)이 지상 지지 스테이션(6)에 대해 선회할 때 연장 또는 수축하고, 피스톤 실린더(26) 로드는 플랫폼(2)의 예정된 방향을 유지하기 위해 대응하여 수축 또는 연장한다.
지지붐(14)의 운동과 함께 실린더(54)는 지지붐(14)에 대해 관절붐(16)을 선회시키기 위해 적절하게 제어 될 수 있다. 실린더(54)가 지지붐(14)에 대해 관절붐(16)을 선회시키기 위해 작동하면, 링크(20)는 플랫폼(2)을 기선택된 방향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방향으로 설정된다.
예를들면, 실린더 로드가 그 원통 외부로 연장하도록 실린더(54)가 작동하면 붐의 잔부와 마찬가지로 관절붐(16)의 플라이 단부는 관절붐(16)을 지지붐(14)에 연결하는 핀(56)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플라이 단부(38)의 선회 운동은 후술된 방식으로 핀(51)에 대해 피벗판(22,24)의 시계 방향 선회 운동을 일으킨다. 링크(20)가 고정된 길이를 가지며 피벗핀(46)에 의해 피벗판(22,24)에 연결되기 때문에, 핀(56)에 대한 관절붐(16)의 반시계 방향의 선회 운동은 피벗핀(46)을 핀(50)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링크(20)를 제지한다. 피벗핀(46)이 피벗판(22,24)의 장착 구멍(44)에 장착되어 있어서 피벗핀(46)이 핀(50)에 대해 회전할 때 피벗핀(22,24)은 핀(50)에 대해 회전한다. 피벗판(22,24)의 시계 방향 회전은 피벗핀(47)에 의해 피벗판에 연결된 피스톤 실린더(26)를 핀(50)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핀(50)에 의한 플랜지 조립체(28)의 피스톤 실린더(26)의 상호 연결에 의하며, 플랜지 조립체(28)는 피스톤 실린더(26)의 시계방향 회전에 부응하여 핀(48)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플랜지 조립체(28)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단단히 연결된 플랫폼(2)은 플랜지 조립체(28)와 함께 이동하고 기준 위치에 대해 예정된 방향을 유지한다.
따라서, 관절붐(16)이 핀(56)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하였을 때나, 관절붐(16)이 지지붐(14)에 대해 상승되었을 때, 플랫폼 수평 유지 조립체(10)는 관절붐(16)의 반시계 방향 회전에 대응하는 정도로 핀(48)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플랫폼(2)을 회전시킬 수 있는 작동으로 설정된다. 필요하다면, 피스톤 실린더(26)는 플랫폼(2)의 방향을 새로운 방향으로 재설정하기 위해 관절붐(16)의 선회운동시 또는 그 이전이나 이후에 작동될수 있다. 예를들면, 플랫폼(2)이 높은 작업 장소에 근접되도록 일단 관절붐(16)이 바람직한 정도로 반시계 방향 또는 상부로 선회되며, 플랜지 조립체(28)가 핀(50)에 대해 선회하도록 피스톤 실린더(26)는 실린더 로드의 연장 또는 수축에 의해 플랫폼(2)을 위아래로 경사지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2)은 관절붐(16)이 핀(56)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선회하였을 때나 관절붐(16)이 하강할 때 기설정된 방향을 유지한다. 관절붐(16)이 하강할 때 링크(20)의 단부는 플라이 단부(38)를 지나 연장된다. 핀(46)이 링크(20)의 단부를 피벗판(22,24)에 연결하므로, 플라이 단부(48)를 지나 링크의 연장의 증가할 때 피벗판은 핀(48)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피벗판(22,24)의 선회 운동은 피스톤 실린더(26)의 반시계 방향 회전을 일으킨다. 플랫폼(2)이 기설정 방향을 유지하도록 플랜지 조립체(28)는 관절붐(16)의 하강에 대응하여 핀(48)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전술한 사항 및 도면으로부터 변경 가능한 것을 알수 있다. 예를들면, 피스톤 실린더(26)는 마스터 실린더(51)의 운동에 응답하여 핀(48)에 대해 플랜지 조립체(28)를 증가적으로 선회하는 또다른 구조물로 변경시킬 수 있다. 그래서, 피벗판에 부착된 회전 나사가 플랜지 조립체에 연결된 나사식 수용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전진되거나 철수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관절붐 운동에 대해 독립적으로 플랫폼의 자세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한 단부가 지지붐에 그리고 다른 한 단부가 피벗판에 피벗식으로 장착된 링크의 위치는 관절붐 내부에서와 같이 관절붐의 측면을 따라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념을 플랫폼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지지붐의 움직임에 자동적으로 응답하는 연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연동 장치는 용이하게 설치되어 유지된다.
본 발명의 장점은 플랫폼안의 작업자 또는 재료가 미끄러지거나 쏟아지는 위험성이 없이 작업 위치를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필요에 따라, 플랫폼에서 물체를 유지시키기 위해 경사진 방향으로 기설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플랫폼을 상승시키는 붐의 정상작동과 함께 용이하게 작동되는 간단한 구조의 승강 플랫폼을 작동시킬수 있는 다양성을 구비한다.

Claims (19)

  1. 플랫폼(2)이 지지붐(14)에 대하여 상승 또는 하강 이동되는 동안 지지붐에 대하여 플랫폼 또는 다른 승강 부재의 방향을 유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붐(14)에 작동식으로 연결되며 플라이 단부를 갖는 관절붐(16)과, 상기 관절붐이 지지붐에 대하여 상승 및 하강될 때 지지붐에 대하여 상기 승강 부재의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관절붐의 플라이 단부, 상기 지지붐 그리고 상기 승강 부재에 연결된 유지 수단(20,22,24)과, 상기 관절붐에 대하여 상기 승강 부재의 방향을 조절하는 조절 수단(26,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은 핀(48)에 의하여 장착 구멍(42)에서 피벗판(22,24)에 연결된 상기 승강 부재의 제1장착 구멍에 그리고 관절붐(16)의 플라이 단부에 피벗식으로 연결된 피벗판(22,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은 관절붐(16)과 평행하게 연장하며 지지붐(14)을 피벗판(22,24)에 연결하는 피벗 링크(20)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조절 수단이 상기 피벗판을 핀을 수용하는 구멍인 상기 부재(2)의 제2장착 구멍에 연결하는 피스톤 실린더(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실린더(26)는 슬레이브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 수단은 피스톤 실린더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마스터 실린더(51)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판은 제1, 제2 및 제3 장착 구멍(42,44,40)을 갖는 삼각형 피벗판(22,24)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 부재(2)와 관절붐(16)은 피벗판의 제1장착 구멍(42)에 연결되며, 피벗 링크(20)가 상기 피벗판의 제2장착 구멍(44)에 연결되며, 상기 피스톤 실린더(26)는 피벗판의 제3장착 구멍(4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수단은 슬레이브 실린더와 상기 슬레이브 실린더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마스터 실린더(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플랫폼(2)이 지상 지지스테이션(6)에 대하여 상승 또는 하강 이동되는 동안 상기 스테이션에 대하여 플랫폼의 방향을 유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상 지지스테이션(6)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지지붐(14)과, 상기 지지붐(14)에 작동식으로 연결되며 플라이 단부를 갖는 관절붐(16)과, 상기 관절붐(16)이 지지붐(14)에 대하여 상승 또는 하강될 때 지지붐과 상기 스테이션에 대하여 플랫폼의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관절붐(16)의 플라이 단부, 지지붐(14) 그리고 플랫폼(2)에 연결된 수단(20,22,24)과, 상기 관절붐(16)에 대하여 플랫폼(2)의 방향을 자동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수단(26,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은 관절붐의 플라이 단부와 플랫폼(2)의 제1장착 구멍에 피벗식으로 연결된 피벗판(22,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은 관절붐과 평행하게 연장하며 지지붐(14)을 피벗판(22,24)에 연결하는 피벗 링크(20)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수단은 피벗판(22,24)을 플랫폼(2)의 제2장착 구멍에 연결하는 피스톤 실린더(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실린더는 슬레이브 실린더이며, 상기 조절 수단은 지지붐(14)의 이동에 따라 작동되며 피스톤 실린더(26)에 작동식으로 연결되고 마스터 실린더(51)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시 피벗판은 제1, 제2 및 제3 장착 구멍(42,44,20)을 갖는 삼각형 피벗판을 포함하며, 상기 플랫폼(2)과 관절붐이 피벗판의 제1장착 구멍(42)에 연결되며, 피벗 링크(20)가 피벗판(22,24)의 제2장착 구멍(44)에 연결되며, 상시 피스톤 실린더(26)는 피벗판(22,24)의 제3장착 구멍(4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수단은 슬레이브 실린더와, 지지붐(14)의 이동에 따라 작동되며 상기 슬레이브 실린더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마스터 실린더(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플랫폼(2)이 지지붐(14)에 대하여 상승 또는 하강 이동되는 동안 지지붐에 대하여 플랫폼의 방향을 유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지지붐(14)에 작동식으로 연결되며 플라이 단부를 갖는 관절붐(16)과, 상기 관절붐(16)의 플라이 단부, 지지붐(14) 그리고 플랫폼(2)에 연결되며, 상기 관절붐이 지지붐(14)에 대하여 상승 또는 하강될 때 지지붐(14)에 대하여 플랫폼(2)의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연동 장치(20,22,24)와, 상기 관절붐(16)에 대하여 플랫폼의 방향을 조절하는 조절 장치(26,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장치는 관절붐(16)의 플라이 단부와 플랫폼(2)의 제1장착 구멍에 피벗식으로 연결된 피벗판(22,24)과, 관절붐(16)과 평행하게 연장하며 지지붐(14)을 피벗판(22,24)에 연결하는 피벗 링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조절 장치가 피벗판(22,24)을 플랫폼(2)에 제2장착 구멍에 연결하는 피스톤 실린더(26)와 상기 피스톤 실린더(26)에 자동식으로 연결된 마스터 실린더(51)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 실린더는 슬레이브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판은 제1, 제2 및 제3 장착 구멍(42,44,40)을 갖는 삼각형 피벗판(22,24)을 포함하며, 상기 플랫폼(2)과 붐(16)이 피벗판(22,24)의 제1 장착 구멍(42)에 연결되며, 피벗 링크(20)가 피벗판(22,24)의 제2 장착 구멍(44)에 연결되며, 상기 피스톤 실린더(26)는 피벗판(22,24)의 제3장착 구멍(40)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장치는 마스터 실린더(51)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51)에 자동식으로 연결된 슬레이브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880005007A 1987-10-07 1988-04-30 관절붐상의 작업 플랫폼 수평 유지 조립체 KR9200010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5724 1987-10-07
US07105724 US4754840B1 (en) 1987-10-07 1987-10-07 Leveling assembly for work platforms on articulating booms
US105.724 1987-10-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509A KR890006509A (ko) 1989-06-14
KR920001061B1 true KR920001061B1 (ko) 1992-02-01

Family

ID=22307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5007A KR920001061B1 (ko) 1987-10-07 1988-04-30 관절붐상의 작업 플랫폼 수평 유지 조립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754840B1 (ko)
EP (1) EP0310744B1 (ko)
JP (1) JPH07100600B2 (ko)
KR (1) KR920001061B1 (ko)
AU (1) AU598121B2 (ko)
CA (1) CA1331862C (ko)
DE (1) DE3878522T2 (ko)
GB (1) GB22105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5074A (en) * 1991-06-27 1992-08-04 Simon Aerials Inc. Telescopic boom elevating apparatus with a mechanical lift and level linkage system
US5249643A (en) * 1992-04-03 1993-10-05 Kidde Industries, Inc. Vehicular self-propelled aerial work platform and telescoping parallelogram boom therefor
US5913379A (en) * 1996-01-26 1999-06-22 Figgie International, Inc. Articulated aerial work platform system
US5727645A (en) * 1996-05-03 1998-03-17 Glazer Enterprises, Inc. Aerial lift including a detachable end-hung basket
US6170606B1 (en) 1996-06-28 2001-01-09 Safety Dynamicon, Inc. Analog control
US6250485B1 (en) 1997-07-30 2001-06-26 Terex Telelect Boom articulation assembly for aerial boom sections
DE10353134A1 (de) * 2003-11-14 2005-06-09 Marte Feuerwehrfahrzeuge Feuerwehrtechnologie Ges.M.B.H. Rettungshubgerät
US8061343B2 (en) * 2004-10-21 2011-11-22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Controllable launcher
US8627925B2 (en) * 2006-05-15 2014-01-14 Vestil Manufacturing Corporation Foldable work platform
US10358331B2 (en) 2010-12-20 2019-07-23 Jlg Industries, Inc. Work platform with protection against sustained involuntary operation
US8813911B2 (en) * 2007-03-19 2014-08-26 Patriot3, Inc. Tactical vehicle with line deployment tower
FR2924703B1 (fr) * 2007-12-11 2010-01-15 Gimaex Internat Dispositif elevateur aerien et vehicule equipe d'un tel dispositif
EP2085463B1 (en) * 2008-02-01 2010-09-15 Eppendorf Ag Culture plate comprising a lid for lateral ventilation
US8443936B1 (en) * 2010-11-15 2013-05-21 Timothy James Raymond Self-contained work platform attachment for mobile cranes
US10029899B2 (en) * 2010-12-20 2018-07-24 Jlg Industries, Inc. Work platform with protection against sustained involuntary operation
US10124999B2 (en) 2010-12-20 2018-11-13 Jlg Industries, Inc. Opto-electric system of enhanced operator control station protection
US8739928B2 (en) * 2011-09-15 2014-06-03 Westchester Capital, Llc Personnel basket
US8857567B1 (en) * 2012-06-14 2014-10-14 Timothy James Raymond Self-contained powered jib boom and optional work platform attachment for mobile cranes
USD773146S1 (en) * 2014-02-28 2016-11-29 Haulotte Group Boom lift
US10611616B2 (en) * 2014-12-09 2020-04-07 Altec Industries, Inc. Aerial device with quick-coupling implement
CN105347274B (zh) * 2015-12-11 2019-03-05 湖南星邦重工有限公司 一种高空作业平台
GB2552025B (en) 2016-07-08 2020-08-12 Sovex Ltd Boom conveyor
CN106395697B (zh) * 2016-08-24 2019-10-01 浙江鼎力机械股份有限公司 伸缩连接组件及高空作业平台
US20180132477A1 (en) * 2016-11-16 2018-05-17 ADC Custom Products, LLC Transportable Observation Station
FR3067341B1 (fr) 2017-06-12 2019-07-26 Haulotte Group Nacelle elevatrice a placement automatique en position compacte de transport
US11247886B2 (en) * 2018-01-11 2022-02-15 Fritel & Associates, L.L.C. Personnel basket for overhead cranes
USD981075S1 (en) * 2020-05-22 2023-03-14 Jiangsu Xcmg Construction Machinery Research Institute Ltd. Aerial platform truck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06078A (en) * 1948-06-11 1952-08-05 Capital Ind Inc Pruning and picking platform implement
US2666417A (en) * 1950-10-17 1954-01-19 Chester A Harsch Hydraulic telescopic boom
US2724620A (en) * 1954-04-12 1955-11-22 Up Right Inc Power tower
GB1029850A (en) * 1961-02-07 1966-05-18 Warren Hugh Payne Improvements in hydraulically levelled platforms and load carriers
US3252541A (en) * 1962-11-19 1966-05-24 Century Geophysical Corp Solid array seismic monitor system
FI40624B (ko) * 1965-12-14 1968-12-31 Tampella Oy Ab
GB1174255A (en) * 1965-12-22 1969-12-17 Firm Antonio Valla & C S N C An Improved Mechanical Handling Apparatus
US3695474A (en) * 1970-08-05 1972-10-03 Case Co J I Hydraulic control linkage for implement
US3834488A (en) * 1972-11-06 1974-09-10 J Grove Aerial platform with articulating jib
US3866713A (en) * 1973-02-01 1975-02-18 Carpenter And Carpenter Aerial platform apparatus
GB1458506A (ko) * 1973-02-21 1976-12-15
US3809180A (en) * 1973-05-25 1974-05-07 Fulton Industries Aerial platform apparatus having pipe grabs
US3828939A (en) * 1973-06-06 1974-08-13 J Tranchero Three-stage self-propelled crane
US3963095A (en) * 1974-12-11 1976-06-15 Cam Industries, Inc. Auxiliary extension platform assembly support frame drive means for an aerial ladder assembly
US4206833A (en) * 1976-07-15 1980-06-10 Clark Equipment Company Mobile aerial tower
GB1544415A (en) * 1976-09-20 1979-04-19 Armfield Eng Ltd Platform elevating devices
US4331215A (en) * 1980-02-12 1982-05-25 Jlg Industries, Inc. Controls for aerial lift platform apparatus
JPS56124700U (ko) * 1980-02-22 1981-09-22
US4359137A (en) * 1980-05-30 1982-11-16 Jlg Industries Inc. Safeload indicator for aerial lift platform apparatus
US4537281A (en) * 1984-10-09 1985-08-27 Fmc Corporation Two person aerial plat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509A (ko) 1989-06-14
JPH07100600B2 (ja) 1995-11-01
AU598121B2 (en) 1990-06-14
US4754840A (en) 1988-07-05
EP0310744B1 (en) 1993-02-17
DE3878522D1 (de) 1993-03-25
DE3878522T2 (de) 1993-06-24
US4754840B1 (en) 1997-01-14
JPH0198600A (ja) 1989-04-17
GB2210598B (en) 1992-06-10
GB8808540D0 (en) 1988-05-11
AU1439688A (en) 1989-04-13
CA1331862C (en) 1994-09-06
GB2210598A (en) 1989-06-14
EP0310744A1 (en) 1989-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1061B1 (ko) 관절붐상의 작업 플랫폼 수평 유지 조립체
US4019604A (en) Elevating platform apparatus
CA1244856A (en) Robot arm
KR920001062B1 (ko) 절첩식 탑형 붐 승강기
US4179010A (en) Access equipment
CA2088511C (en) Platform leveling apparatus
GB1560770A (en) Aerial ligt
US5944138A (en) Leveling system for aerial platforms
CA1226570A (en) Portable hoist
US5439343A (en) Mini boom bumper
US5135074A (en) Telescopic boom elevating apparatus with a mechanical lift and level linkage system
CA1075225A (en) Downcrowding boom assembly
US6250485B1 (en) Boom articulation assembly for aerial boom sections
US4217971A (en) Rotating powered step
US4917214A (en) Aerial lift bucket rotation device including bucket leveling means
CA1062587A (en) Tree shear tilting mechanism
CA2145880A1 (en) Flat-structure lifting platform
WO2005077711A1 (en) Pipe handling apparatus
US5226776A (en) Foldable link rod for carrying an operative platform
US4049079A (en) Tractor mounted apparatus for performing aerial work tasks
JP3792503B2 (ja) 自動釣合わせ機能を備えた長さ可変クレーンジブ
GB1600387A (en) Telescopic cantilever arm assembly with load levelling means
GB2247448A (en) Access platform apparatus
US3735876A (en) Crane controls
EP0117120A2 (en) Control mechanism for access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