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857Y1 - 카데크 - Google Patents

카데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857Y1
KR920000857Y1 KR2019880004577U KR880004577U KR920000857Y1 KR 920000857 Y1 KR920000857 Y1 KR 920000857Y1 KR 2019880004577 U KR2019880004577 U KR 2019880004577U KR 880004577 U KR880004577 U KR 880004577U KR 920000857 Y1 KR920000857 Y1 KR 9200008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assette
arm
lock
cassett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45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9874U (ko
Inventor
허유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한정기
안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한정기, 안응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한정기
Priority to KR20198800045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857Y1/ko
Publication of KR8900198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98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8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8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02Details

Landscapes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데크
제1도는 본 고안에 있어서 카세트 테이프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개략도.
제2도는 제1도의 상태에서 카세트 테이프를 삽착한 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측면 개략도로써, (a)는 제1도의 측면 (b)는 제1도에서 카세트암을 제거한 상태의 측면도 (c)는 (a)의 상태에서 카세트 테이프를 삽착한 상태의 측면작동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있어서, 무브먼트의 작동도로써 (a)는 카세트테이프가 제거되었을시의 상태도 (b)는 카세트테이프가 삽착될시의 작동될시의 작동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메인샤시 1a : 지지축
2 : 카세트 암 3 : 카세트홀더
4 : 작동레버 4a : 장공
4b : 버링돌봉 5 : 지지레버
5a : 돌기 6 : 리세트레버
6a : 록크홈 6b : 록크돌기
7 : 이젝트 룩크레버 7a : 안내공
8 : 무브먼트암 8a : 록크돌기
a : 버링축
본 고안은 카세트테이프의 삽탈시에 카세트테이프를 눌러주는 카세트홀더가 수평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동작하도록 하여 카세트테이프의 안착 불량을 미연에 방지토록한 카데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카세트암에 안내홈을 형성하고 이젝트레버에 돌기를 돌설하여 이젝트 및 안착동작이 이루워지도록 하였으나 이와 같은 방식에 있어서는 카세트 홀더를 잡아주는 장치가 없었기 때문에 카세트암의 하강시 카세트 홀더에 유동이 발생하여 테이프의 안착불량이 발생하였으며, 이젝트시에도 이젝트레버가 카세트 룩크레버를 밀어 카세트암 면판 들어 올려주기 때문에 안착시와 마찬가지로 카세트홀더에 유동이 발생하여 정확하게 이젝트동작이 이루워지지 못했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카데크가 갖는 제결함을 감안하여 카세트 암과 카세트 홀더를 동시에 잡아줄 수 있는 리세트레버를 회동가능토록 설치하여, 이젝트 록크레버를 전, 후진 동작에 의하여 카세트홀더가 수평을 유지하면서 상, 하로 동작토록함으로써 테이프의 안착불량을 완전제거할 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카세트 홀더(3)에 길게 연설된 지지레버(5)에 돌기(5a)를 돌설하고, 카세트 암(2)의 측면에 연설된 작동레버(4)에 장공(4a)과 버링돌봉(4b)를 형성하여, 메인샤시(1)에 회동자재토록 설치한 리세트레버(6)의 전달 록크홈(6a)과 중단록크돌기(6b)를 상기 카세트 홀더(3)의 지지레버(5)에 돌설된 돌기(5a)와 카세트 암(2)의 작동레버 (4)에 천공된 장공(4a)에 각각 삽착연결하는 한편, 이젝트록크레버(7)의 선단부에 형성된 “”형 안내공(7a)에 상기 카세트암(2)의 작동레버(4)에 돌설된 버링돌봉(4b)을 유설하여서 이루워진 것으로, 카세트 암(2)의 승, 하강 동작에 의하여 리세트레버(6)가 버링축(a)을 중심으로 동시 회동하여 카세트홀더(3)를 수평상태로 동작하도록되어 있으며, 제4도와 같이 무브먼트암(8)에는 록크돌기(8a)가 돌설되어 있어, 이젝트록크레버(7)의 후전시 무브먼트암(8)이 스프링(9)에 의하여 좌방향으로 회동하여 이젝트록크레버(7)의 돌기(7b)가 무크먼트암(8)의 록크돌기(8a)에 계지되어 더이상의 전진을 못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무브먼트암(8)은 메인샤시(1)에 연설된 지지축 (1a)에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3은 이젝터 스프링, 14는 로드, 15는 또다른 이젝트레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제1도와 같이 카세트테이프가 삽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카세트홀더(3)에 테이프를 밀어넣으면, 제2도와 같이 카세트암(2)에 유설된 이젝트(10)가 후진되면서 무브먼트암(8)의 후단에 길게 연설된 레버(b)를 밀어 제4b도와 같이 무브먼트암(8)이 고정축(b)을 중심으로 우방향으로 회전하여 이젝트록크레버(7)의 계지상태가 해제되어 이젝트록크레버(7)가 스프링 (11)의 인력으로 전지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제3c도와 같이 이젝트록크레버(7)의 선단부에 형성된 안내공(7a)에 의하여 여기에 유설된 카세트암(2)의 버링돌봉(4b)이 안내공(7a)을 따라 슬라이드하강을 하여 카세트암(2)이 테이프가 삽착된 카세트홀더 (3)를 눌러 테이프가 안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여기서 카세트홀더(3)의 수평상태 하강동작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젝트록크레버(7)의 안내공(7a)을 따라 카세트암(2)이 하강함과 동시에 버링축(a)을 중심으로 회동자재토록 설치된 리세트레버(6)가 하방향으로 동시회동하여 카세트홀더(3)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즉, 카세트암(2)의 측면에 연설된 작동레버(4)의 장공(4a)에 상비된 리세트레버(6)의 중단에 돌설된 록크돌기 (6b)를 밀게되므로 리세트레버(6)는 버링축(a)을 중심으로 회동하게되는것인데 이때 리세트레버(6)의 설단 록크홈(6a)에는 카세트홀더(3)에 길게 연설된 지지레버 (5)의 돌기(5a)가 삽착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카세트홀더(3)는 하강도중 일체의 유동이 없이 수평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테이프를 릴에 정확하게 안착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테이프를 이젝트시키고져 이젝트레버(12)를 누르면 이에 연결된 이젝트록크레버(7)가 후진하면서 제3b도와 같이 카세트암(2)의 버링돌봉(4b)을 밀게되므로 버링돌봉(4b)은 안내공(7a)을 따라 슬라이드승강하여 카세트홀더(3)를 상승시키게 되는 것으로 이때 제4a도와 같이 스프링(9)의 인력에 의하여 무브먼트암(8)이 고정축(b)을 중심으로 좌방향으로 회동하여 테이프를 카세트홀더(3)에 밀어냄과 동시에 무브먼트암 (8)에 돌설된 록크돌기(8a)가 이젝트록크래버(7)의 돌기(7b)를 계지하여 이젝트록크레버(7)의 전진을 저지하는게 되며, 이때 무브먼트암(8)은 메인샤시(1)의 지지축(1a)에 지지되어 카세트 암(2)을 받쳐주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카세트암(2)이 이젝트록크레버(7)의 안내공(7a)을 따라 승강동작이 이루워질때 리세트레버(6) 또한 동시회동하여 전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카세트홀더(3)의 수평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키면서 카세트 홀더(3)를 들여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이젝트록크레버(7)와 카세트암(2) 및 리세트레버(6)의 삼위일체 연계동작으로 카세트홀더(3)를 수평상태로 승, 하강시킴으로써, 유동을 방지하여 이젝트시나 안착시에 오동작을 방지함으로써 종래의 테이프안착불량으로 인한 모터의 소손이나 기기의 오동작을 완전제거시킨 것으로 기능과 신뢰도를 일층고양시킨 매우 유용한 공안이다.

Claims (2)

  1. 카세트홀더(3)에 길게 연설된 지지레버(5)에 돌기(5a)를 돌설하고, 카세트암 (2)의 축면에 연설된 작동리버(4)에 장공(4a)과 버링돌봉(4b)을 형성하여, 메인샤시 (1)에 회동자재토록 설치된 리세트레버(6)의 선단 록크홈(6a)과 중단 록크돌기(6b)를 상기 카세트 홀더(3)의 지지레버(5)에 돌설된 돌기와 카세트암(2)의 작동레버(4)에 천공된 장공(4a)에 각각 삽착 연결하는 한편, 이젝트 록크레버(7)의 선단부에 형성된 “”형 안내공(7a)에 상기 카세트암(2)의 작동레버(4)에 돌설된 버링돌봉 (4b)을 유설하여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데크.
  2. 제1항에 있어서, 카세트암(2)의 승하강 동작에 의하여 레세트레버(6)가 버링축 (a)을 중심으로 동시 회동하여 카세트홀더(3)를 수평상태로 동작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데크.
KR2019880004577U 1988-03-31 1988-03-31 카데크 KR9200008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4577U KR920000857Y1 (ko) 1988-03-31 1988-03-31 카데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4577U KR920000857Y1 (ko) 1988-03-31 1988-03-31 카데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9874U KR890019874U (ko) 1989-10-05
KR920000857Y1 true KR920000857Y1 (ko) 1992-01-31

Family

ID=19273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4577U KR920000857Y1 (ko) 1988-03-31 1988-03-31 카데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08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387B1 (ko) * 1999-09-13 2002-07-22 주식회사 휴노테크놀로지 지문인식키를 사용한 도어 록/언록 시스템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387B1 (ko) * 1999-09-13 2002-07-22 주식회사 휴노테크놀로지 지문인식키를 사용한 도어 록/언록 시스템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9874U (ko) 198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0190B2 (en) Disk unit having at least one limit switch for detecting a size of an inserted disk
JP3584159B2 (ja) 記録装置
JPS6334534B2 (ko)
KR920000857Y1 (ko) 카데크
ATE114861T1 (de) Auswerfmechanismus für plattenkassetten.
KR20040086175A (ko) 디스크장치
JP2001130295A (ja) 車両用シートロック装置
US4615187A (en) Needle selection device on a knitting machine, particularly a flat knitting machine
JPS6163964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EP0090614B1 (en) Memory cassette holding apparatus
KR960008045B1 (ko) 기록/플레이백 장치
JPS6141056B2 (ko)
US4656541A (en) Front loading cartridge activated clamp and eject mechanism
JP2001341558A (ja) 車両用シートロック装置
US4807068A (en) Eject mechanism of disk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having mechanism for preventing accidental head lowering
KR900009029Y1 (ko) 카세트 데크
JPS61156384A (ja) Icカ−ド読取り・書込み装置
KR890005701Y1 (ko) 디스크 카아트리지용 기록 재생 장치
JP2661724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930004039Y1 (ko) 카데크의 이젝트 타이밍 제어장치
JPH0343703B2 (ko)
US5285336A (en) Magnetic-tape-cassette apparatus
JPS61156385A (ja) Icカ−ド読取り・書込み装置
JPH0249016Y2 (ko)
JPS612070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