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831B1 - 베리어 금속층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다층금속층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베리어 금속층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다층금속층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831B1
KR920000831B1 KR1019890006809A KR890006809A KR920000831B1 KR 920000831 B1 KR920000831 B1 KR 920000831B1 KR 1019890006809 A KR1019890006809 A KR 1019890006809A KR 890006809 A KR890006809 A KR 890006809A KR 920000831 B1 KR920000831 B1 KR 920000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layer
film
insulating film
layer
lower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6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9213A (ko
Inventor
최동규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06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831B1/ko
Publication of KR900019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9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베리어 금속층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다층금속층 제조방법
제1도는 절연막위에 하부 금속층과 형성하고 감광막을 코팅한 상태의 단면도.
제2도는 감광막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에서 노출된 부분을 에칭하고 잔여 감광막을 제거한 상태의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공정후 산화막 S.O.G막/산화막을 형성하고 감광막을 코팅한 상태의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감광막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의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에서 노출된 부분을 하부 금속층이 노출될때까지 에칭하고 잔여감광막을 제거한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공정후 베리어 금속층과 상부 금속층을 형성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절연막 2 : 하부 금속층
3 : 감광막(Photo-resist) 4 : 산화막(Oxide)
5 : SOG막(Spin on glass) 6 : 산화막(Oxide)
7 : 감광막 8 : 베리어(Barrier)금속층
9 : 상부 금속층
본 발명은 고집적 반도체 소자의 다층 금속층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부에 있는 금속층을 하부에 있는 금속층과 접속할 때 상부의 하부금속층 사이의 절연층에서 흘러나오는 수분에 의해 상·하부금속층이 부식되어 저항이 증가되는데 이 저항을 줄이기 위한 베리어 메탈을 이용하는 반도체 소자의 다층 금속층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하는 반도체 소자의 다층금속층의 상부금속층으로 알루미늄을 사용하며 각 금속층 배선의 절연을 위해서는 화학증착법에 의한 산화막을 사용하며, 반도체 소자의 고집적화에 따라 다층금속 배선층간의 굴곡이 더욱 심하게 발생됨으로 상부금속층과 하부금속층 사이에 SOG막(Spin on glass)을 사용하여 평탄화 공정을 진행하였다. 이와같은 SOG막을 사용하는 경우 SOG막을 코팅시킨 후 경화를 시켜야 하는데, 경화온도는 하부의 기판과 확산층 또는 금속층을 보호하기 위해 420℃이상으로 온도를 올리지 못하므로 SOG막에 수분이 남아있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부에 형성되는 금속층을 하부의 금속층에 접속하기 위하여 콘택 홈을 형성할 경우에는 SOG막에서 수분(H2O)이 유출된다. 이러한 수분은 상층금속층인 알루미늄을 증착할때 수분과 알루미늄과 반응해 산화알루미늄(Al2O3)의 절연물질이 형성되어, 상부금속층과 하부금속층이 접촉되는 부분에 쌓여 콘택저항(Contack resistance)을 높혀 소자의 전도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높은 콘택저항을 낮추기 위하여 베리어 금속층(Barrier Metal)을 상부의 금속층을 증착하기 전에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다층금속층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하부금속층을 증착한 후에 패턴공정으로 패턴화하고, 그 상부에 산화막을 증착하고 산화막 상부에 SOG막을 코팅하고 초기, 증기 및 후기 경화를 실시한 다음, 다시 SOG막 상부에 산화막을 증착한 다음 상부금속층을 하부금속층에 접속하기 위해 콘택 홈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수분과 반응이 되지 않는 베리어 금속층을 증착한 후 그 상부에 상부금속층을 증착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 및 상부금속층으로 알루미늄을 사용하고, 콘택홈 측벽의 SOG막으로부터 발생되는 물과 반응하여 산화알루미늄(Al2O3)를 만들어 콘택저항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물과 반응되지 않는 베리어 금속층을 먼저 형성하고 그 상부에 상부금속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콘택저항을 줄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실리콘기판 상의 절연막(1)에 하부금속층(2) 예를들어 알루미늄을 증착하고 패턴화하기 위해 감광막(3)을 도포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제2도는 상기 공정후에 마스크패턴 공정으로 감광막(3)의 “A”부분에 빛을 인가하여 빛이 도달되는 부분만 제거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제3도는 노출된 하부금속층(2)을 반도체 에칭 기술에 의해 일정 부분 제거하고 잔여감광막을 전부 제거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제4도는 상기 하부금속층(2) 상부에 절연막으로 산화막(4)을 얇게 형성하고, 다시 SOG막(5)을 코팅하여 하부금속층(1)이 제거된 부분을 평탄하게 한 후, SOG막(5)을 경화시키기 위하여 초기 경화(150℃,60분), 중기경화(250℃,60분) 및 후기 경화(450℃,60분)을 실시한 다음, SOG막(5) 상부에 산화막(6)으로 형성하고, 그 상부에 감광막(7)을 도포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상기 SOG막(5)은 폴리이미드(Polyimide) 또는 폴리아마이드 애시드(Polyamide Acide)등으로도 대체할 수 있다.
제5도는 상기 감광막(7)의 일정부분 “B”에만 빛을 인가해 빛이 도달되는 부분의 감광막(7)을 제거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제6도는 상기 감광막(7)이 제거된 부분의 산화막(6), SOG막(5) 및 산화막(4)을 제거하여 콘택홈을 형성하고, 남아있는 감광막(7)을 제거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콘택홈 측벽의 노출된 SOG막(5)에서 경화가 완전하게 되지 않을 경우 수분이 흘러나오게 된다.
제7도는 상기 공정후에 베리어 금속층(8)으로 Ti, Ta, TiN, TiW중 어느한 물질을 상기 제거공정에 의해 노출되는 하부층금속층(2)과 산화막(6)상부에 얇게 증착시킨 다음, 상기 베리어 금속층(8)상부에 상부금속층(9)을 증착하여 상부금속층(9)을 하부금속층(2)에 접속시킨 상태의 단면도이다.
상기 공정의 하부금속층(2)과 상부금속층(9)사이의 절연막으로 산화막(4), SOG막(5) 및 산화막(6) 구조의 3중층 대신에 산화막(4), SOG막(5)의 2중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SOG막(5), 산화막(6)의 2중층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SOG막을 이용하여 평탄화시키는 반도체 소자에서 본 발명의 베리어 금속층을 이용하게 되면 콘택저항을 감소시켜 반도체 소자의 전도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2)

  1. 실리콘 기판상부에 절연막을 형성하고 절연막 상부에 패턴된 하부금속층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SOG막을 이용한 다층의 절연막을 형성하고, 하부금속층에 상부금속층을 접속하기 위하여 일정부분의 다층절연막을 제거하여 콘택홈을 형성하고 노출된 하부금속층과 다층절연막 상부에 상부금속층을 형성하여 하부금속층에 접속시키는 반도체소자의 다층배선 공정방법에 있어서, SOG막으로부터 수분이 흘러나와 콘택홈에서 하부 및 상부금속층과 반응하여 콘택저항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의 다층의 절연막을 형성하고 하부금속층에 상부금속층을 접속하기 위하여 일정부분 제거하여 콘택홈을 형성한 후에, 상기 다층절연막 상부와 노출된 하부금속층에 수분과 반응하지 않는 베리어(Barrier)금속층을 얇게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베리어 금속층 상부에 상부금속층을 형성하여 접속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리어 금속층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다층금속층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 금속층은 Ti, Ta, TiN, TiW중 어느한 물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리어 금속층을 이용한 반도체소자의 다층금속층의 제조방법.
KR1019890006809A 1989-05-22 1989-05-22 베리어 금속층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다층금속층 제조방법 KR920000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6809A KR920000831B1 (ko) 1989-05-22 1989-05-22 베리어 금속층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다층금속층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6809A KR920000831B1 (ko) 1989-05-22 1989-05-22 베리어 금속층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다층금속층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9213A KR900019213A (ko) 1990-12-24
KR920000831B1 true KR920000831B1 (ko) 1992-01-30

Family

ID=19286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6809A KR920000831B1 (ko) 1989-05-22 1989-05-22 베리어 금속층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다층금속층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083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9213A (ko) 199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13470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407529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EP0318954B1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composite insulating interlayer
US5830804A (en) Encapsulated dielectric and method of fabrication
JP2001230505A (ja) 集積回路の電気配線及びその製法
JP3279276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0140646B1 (ko)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KR920000831B1 (ko) 베리어 금속층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다층금속층 제조방법
JP3123450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00007757B1 (ko)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7494928B2 (en) Method for patterning and etching a passivation layer
KR100370791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216730B1 (ko) 반도체 금속막 식각공정
KR100197538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방법
KR960002077B1 (ko)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KR100194651B1 (ko) 다층 레벨의 도체 배선 패턴을 갖는 반도체장치 제조방법
JPH077765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290466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248621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0172542B1 (ko) 금속배선 형성방법
KR100226250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방법
JPH0330295B2 (ko)
JPS6322067B2 (ko)
KR960008559B1 (ko) 반도체 소자의 미세 콘택홀 형성방법
KR19990086608A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층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2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