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614Y1 - 웨지베이스 벌브용 소켓 - Google Patents

웨지베이스 벌브용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614Y1
KR920000614Y1 KR2019890004226U KR890004226U KR920000614Y1 KR 920000614 Y1 KR920000614 Y1 KR 920000614Y1 KR 2019890004226 U KR2019890004226 U KR 2019890004226U KR 890004226 U KR890004226 U KR 890004226U KR 920000614 Y1 KR920000614 Y1 KR 9200006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
contact
contact fitting
fitting piec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42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1850U (ko
Inventor
가즈야 호리우찌
기하찌로오 우찌다
다다시 하라다
다까시 이자와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덴소오 가부시기가이샤
시미즈 히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덴소오 가부시기가이샤, 시미즈 히데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덴소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218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18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6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6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Landscapes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웨이지베이스 벌브용 소켓
제1도는 본 고안 제1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절결 정면도.
제2도는 동 반단면 평면도.
제3도는 동 요부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 제2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정면도.
제5도는 동 평면도.
제6도는 동 요부의 사시도.
제7도는 종래예를 나타낸 일부 절결 정면도.
제8도는 동 반단면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웨지베이스 벌브 A1: 베이스부
1 : 소켓본체 11 : 벌브삽착구
2 : 단자 21 : 접촉끼움편
21a : 끼움편선단부 14 : 입벽
16 : 변형방지벽
본 고안은 자동차용 전구등에 사용되는 웨지베이스 벌브(꼭지쇠 없는 전구)용의 소켓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벌브 소켓은 제7도 및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벌브(A)의 베이스(A1)를 끼워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단자(2)의 접촉 끼움편(21)이 소켓본체(1)의 벌브 삽착구(揷着口)(11)내 저부에 드러난 상태로 장착 되어 있기 때문에, 벌브(A)를 소켓에 삽착시킬 때에 제7도의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벌브(A)를 경사방향에서 삽입시키면 벌브(A)의 베이스부(A1)가 단자(2)의 접촉기움편(21)을 뒤틀리게하여 변형시키는 문제가 야기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불편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가령 벌브를 경사방향에서 삽입시켜도 벌브의 베이스부에 의해 단자의 접축끼움편을 뒤틀리게 변형시킬 염려가 없어짐과 동시에, 단자의 접촉 끼움편의 탄성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시킬 수가 있는 웨지베이스 벌브용 소켓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 웨지베이스 벌브용 소켓은 소켓본체의 벌브삽착구 내부에 벌브의 베이스부를 끼워서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끼움편을 구비한 단자와, 이 접촉끼움편의 배후 위치에 이 접촉 끼움편의 선단부보다 높게 입벽을 돌출설치하고, 또 상기 접촉 끼움편의 산단부의 옆위치에는 변형 방지벽을 돌출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소켓 본체(1)는 합성수지등의 절연성재료를 사용하여 웨지베이스 벌브(A)의 베이스부(A1)를 삽착 지지하기 위한 벌브 삽착구(11)와, 콘넥터(도시생략)을 삽착 지기하기 위한 콘넥터 삽착구(12)를 동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벌브삽착구(11)의 내부에 벌브(A)의 베이스부(A1)를 끼움과 동시에 벌브(A)의 리드선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끼움편(21)을 구비한 2개의 단자(플러스용 및 접지용의 2개)를 서로 병렬로 배치시킨다. 단자(2)는 1매의 도전성 금속판재를 사용하여 벌브(A)으 베이스부(A1)를 끼움과 동시에, 벌브(A)의 기드선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접촉 끼움편(21)과 소켓본체(1)의 설치홈(13)에 삽입 계합되는 부착부(22) 및 콘넥터(도시생략)와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콘넥터측 접촉부(23)를 동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촉 끼움편(21)은 벌브(A)의 베이스부(A1)를 끼울수 있도록 부착부(22)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서로 대치형상으로 굽혀 일으켜 형성함과 동시에, 그 선단부(21a)를 끼움부(21b)로 부터 연속된 원호상으로 외측으로 향하여 절곡 형성시킨다. 이와같이 양 접촉끼움편(21)의 선단부(21a)를 서로 외측으로 향하여 끼움부(21b)로부터 연속된 원호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벌브(A)의 삽입시에 베이스부(A1)가 접촉 끼움편(21)의 선단부(21a)를 따라 양 접촉끼춤편(21)의 사이에 도입되기 용이하게 되고, 벌브(A)의 베이스부(A1)가 단자(2)의 접촉끼움편(21)을 뒤틀리게 변형시킬 염려가 더욱 없어진다. 또한 제4도 내지 제6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한쪽의 접촉끼움편(21)을 안쪽으로 감아 말리게 하여 탄성을 부여시키고 있다. 그리고 소켓본체(1)의 벌브 삽착구(11) 내부에는 상기 단자(2)의 양 접촉끼움편(21)의 배후 위치에 접촉 끼움편(21)의 선단부(21a)보다 높게 입벽(14)을 동일체로 돌출형성시킴과 동시에, 각 접촉끼움편(21)의 선단부(21a)의 옆위치에 변형방지벽(16)을 동일체로 돌출형성시킨다. 이때 입벽(14)과 접촉끼움편(21)의 선단부(21a)와의 사이에는 양 접촉끼움편(21)의 지나친 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단차(段差)(15)를 형성한다. 다시말하면 이 입벽(14)은 단자(2)의 양 접촉끼움편(21)에 있어서의 선단부(21a)의 배후위치에 양 접촉기움편(21)이 서로 지나치게 개방되는 경우에 그 선단부(21a)가 맞닿도록 조금 떨어지게 돌출형성한다. 변형 방지벽(16)은 접촉끼움편(21)의 좌우방향(폭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여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접촉끼움편(21)의 선단부(21a)의 옆위치에 접촉끼움편(21)의 선단부(21a)보다 약간 높아지도록 돌출형성시킨다. 즉 접촉끼움편(21)의 선단부(21a)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나타낸 제1실시예의 경우, 변형방지벽(16)과 단자의 부착부(22)에 의하여 좌우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되고, 제4도 내지 제6도에 나타낸 제2실시예의 경우 한쪽의 접촉끼움편(21)의 선단부(21a)는 변형방지벽(16)과 단자의 부착부(22)에 의하여 좌우방향의 움짐임이 규제되고, 다른쪽의 접촉끼움편(21)의 선단부(21a)는 좌우양측에 돌출설치한 변형방지벽(16)에 의하여 좌우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웨지베이스 벌브용 소켓은 이상과 같이 구성하였기 때문에, 소켓본체의 벌브 삽착구에 벌브를 경사방향에서 삽입시켜도 벌브의 베이스부가 단자의 접촉끼움편의 배후위치에 돌출설치한 입벽에 맞닿도록 삽입될 수 없거나 혹은 올바른 방향으로 교정되어 삽입되고, 또한 접촉끼움편의 선단부의 옆위치에 돌출설치한 변형방지벽에 의하여 좌우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됨으로써 벌브의 삽착구에 벌브의 베이스부가 단자의 접촉끼움편을 뒤틀리게 변형시킬 염려가 전혀 없어진다.
그리고 입벽 및 변형방지벽에 의하여 단자의 접축끼움편의 지나친 개방(과도한 변형) 및 좌우방향으로의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으므로, 접촉끼움편의 탄성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시키고 벌브를 확고하게 유지시킬 수가 있다.

Claims (2)

  1. 소켓본체의 벌브삽착구 내부에 벌브의 베이스부를 끼워서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끼움편(21)을 구비한 단자(2)와, 상기 접촉끼움편(21)의 배후위치에 이 접촉끼움편(21)의 선단부(21a)보다 높게 돌출설치되는 입벽(14)을 가짐으로써, 벌브 삽입시에 베이스부에 의한 단자(2)의 접촉끼움편(21)이 뒤틀리는 변형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지베이스 벌브용 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끼움편(21)의 선단부(21a)의 옆위치에 변형방지벽(16)이 돌출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지베이스 벌브용 소켓.
KR2019890004226U 1988-04-19 1989-04-04 웨지베이스 벌브용 소켓 KR92000061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8-53321 1988-04-19
JP1988053321U JPH0616439Y2 (ja) 1988-04-19 1988-04-19 ウエッジベースバルブ用ソケ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1850U KR890021850U (ko) 1989-11-03
KR920000614Y1 true KR920000614Y1 (ko) 1992-01-15

Family

ID=12939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4226U KR920000614Y1 (ko) 1988-04-19 1989-04-04 웨지베이스 벌브용 소켓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616439Y2 (ko)
KR (1) KR92000061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3111Y2 (ja) * 1991-11-30 1997-11-05 住友電装株式会社 ウエッジベースバルブ用ソケット
JP2002289304A (ja) * 2001-03-27 2002-10-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ンセント
JP6295054B2 (ja) * 2013-09-27 2018-03-14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ルブソケッ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5087U (ko) * 1984-10-24 1986-05-21
JPS6322087U (ko) * 1986-07-28 1988-02-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16439Y2 (ja) 1994-04-27
JPH01155682U (ko) 1989-10-25
KR890021850U (ko) 1989-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6131A (en) Snap-in assembly and contact terminal for wedge base lamps
US3955869A (en) Electrical socket and socket contact adapted for use therewith
US6350162B1 (en) Resilient electrical contact for large conductors
US4915649A (en) Connector
US6270383B1 (en) Resilient terminal including conductor centering means
KR980006631A (ko) 보강 이행 영역이 구비된 암형 전기 접촉 터미널
US4310719A (en) Female terminal
US3202959A (en) Electrical connector and housing
US5637020A (en) Socket for electrical elements
US4545634A (en) Multi-contact connector
US4033661A (en) Solderless connector for insulated wires
KR100357000B1 (ko) 웨지 베이스 벌브용 금속 단자
US6322401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tact orientation features
US5507670A (en) Bulb socket
KR920000614Y1 (ko) 웨지베이스 벌브용 소켓
CN1230949C (zh) 基板安装型连接器及连接器的基板安装结构
US5224876A (en) Electrical connector
US4772228A (en) Electrical contact
KR960011107B1 (ko) 전선연결용 콘넥터
US4726792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electrical contacts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USRE31132E (en) Electrical connector and insulation-piercing contact member
US4660919A (en) Lamp socket
US4350400A (en) Connector for circular fluorescent lamp
US6190195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 distortion preventing structure
US5904600A (en) Clamp-typ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0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