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612Y1 - 터미날 - Google Patents

터미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612Y1
KR920000612Y1 KR2019890014617U KR890014617U KR920000612Y1 KR 920000612 Y1 KR920000612 Y1 KR 920000612Y1 KR 2019890014617 U KR2019890014617 U KR 2019890014617U KR 890014617 U KR890014617 U KR 890014617U KR 920000612 Y1 KR920000612 Y1 KR 9200006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terminal
housing
substrate
lea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46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8022U (ko
Inventor
정진택
Original Assignee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정진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정진택 filed Critical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146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612Y1/ko
Publication of KR9100080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0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6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6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Landscapes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터미날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제4도는 및 제5도는 본 고안을 하우징 및 기판에 결합시킨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정지편
4 : 외이어 조임편 5 : 리드선 조임편
7 : 탄성부 9 : 걸림편
10 : 리드선 11 : 와이어
12 : 기판 13 : 경사면
14 : 톱니돌기 15 : 하우징
16 : 단자공
본 고안은 각종 전자기기에 쓰이는 인쇄 회로 기판상에 하우징을 이용하여 리드선을 긴밀하게 접속시키게 하기 위한 주름 형상의 소형 터미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터미날은 일측에 리드선을 압착한 후 타측을 콘넥터 또는 핀이 달린 하우징에 삽설하여, 이 터미날이 삽설된 콘넥터 또는 하우징에 재차 결합되는 홀더의 핀을 기판의 단자공에 삽입하므로써 기판과의 접속을 가능케 하였던 것이다.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은 리드선의 단자인 터미날이 기판에 바로 접속되지 못하고 1차 또는 2차의 연결자를 거쳐 기판에 접속되기 때문에 각각의 접속부분에 접속 불량이 발생하기 쉬웠으며, 더욱이 접촉 저항이 커져 고효율 회로의 전기적 특성을 변화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터미날을 하우징을 통하여 직접 기판의 단자공에 접속될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시 기판의 단자공에 하우징으로 얹어 놓고 이 하우징내로 터미날을 끼우면 터미날이 하우징에 탄착되는 동시에 터미날의 하부는 기판의 단자공에 탄착될수 있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있어서, 본체(1)는 주름 형상으로 프레스 가공한 것으로 상부 중앙에는 정지편(2)이 돌출되고, 후방에는 압박면(3)을 가지며 리드선의 와이어를 압착할수 있는 와이어 조임편(4)과 리드선을 압착할수 있는 리드선 조임편(5)이 돌출되며, 본체(1)의 전방인 정지편(2)과 첨단(6)간에는 기판의 단자공에 탄착될수 있는 탄성부(7)와 삽지부(8)를 갖도록 구성하고, 본체(1)의 후부 중앙에는 결합되는 하우징(15)의 톱니돌기(14)에 탄착될수 있게 하기 위한 걸림편(9)이 지느러미 형상 (fin type)으로 돌출되게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제4도 및 제5도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의 리드선 조임편(5)에 의하여 리드선(10)에 압착하고, 리드선(10)의 심재인 와이어(11)는 와이어 조임편(4)에 의하여 압착하는바 와이어(11)는 와이어 조임편(4)의 내측으로 돌출된 압박면(3)이 찌그러지면서 강하게 조여져 도체인 본체(1)와 접촉 손실 없이 도통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체(1)를 기판(12)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내부에 경사면(13)과 톱니돌기(14)를 가진 하우징(15)을 기판(12)의 단자공(16)과 일치하게 기판(12)상에 얹어놓고, 이 하우징(15)의 상방에서 첨단(6)이 하향되게 밀어 넣으면 탄성부(7)가 단자공(16)에 접하는 순간 내측으로 오므라 들었다가 펴지면서 탄성부(7)의 일부와 삽지부(8)가 단자공(16)상에 탄착되어 지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하우징(15)내에서는 정지편(2)이 경사면(13)에서 정지하게 되고 걸림편(9)은 역전방지를 위한 하우징의 톱니돌기(14)에 탄착되어 진다.
여기에서 하우징(15)은 통상 1-20개의 본체(1)를 끼울수 있도록 세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터미날이 바로 기판에 접속되도록 한것으로, 하우징에 의하여 더욱 긴밀하게 기판상에 접속되어지므로 접속 불량이 발생하지 않으며 다접속방식에 따른 접촉 저항의 폐해를 방지할수 있고, 또한 중간연결자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원가절감과 작업 공정의 단축등을 기할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본체(1)의 상부 중앙에 정지편(2)이 돌출되고, 그 후방에는 압박면(3)을 갖는 와이어조임편(4)과 리드선 조임편(5)이 순차적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정지편(2)이 위치 되는 중앙부하면에는 걸림편(9)이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지면서 하우징(15)에의 결합시 상기 정지편(2)과 걸림편(9)을 통해 하우징(15)내에 탄착되도록된 공지의 터미날에 있어서, 터미날 전방의 첨단(6)과 정지편(2)사이에는, 중앙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탄성부(7)와 내측으로 요입된 삽지부(8)를 공히 연설하여형태를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서, 터미날이 하우징(15)에 내입 고정된 상태를 기판(12)에 조립될때 기판(12)의 단자공(16)하부에 상기 탄성부(7)가 노출상태로 탄착되도록하면서 견고한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날.
KR2019890014617U 1989-10-07 1989-10-07 터미날 KR9200006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4617U KR920000612Y1 (ko) 1989-10-07 1989-10-07 터미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4617U KR920000612Y1 (ko) 1989-10-07 1989-10-07 터미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022U KR910008022U (ko) 1991-05-31
KR920000612Y1 true KR920000612Y1 (ko) 1992-01-15

Family

ID=19290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4617U KR920000612Y1 (ko) 1989-10-07 1989-10-07 터미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061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022U (ko) 199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9889A (en) Solder-bearing leads
JPH0424612Y2 (ko)
US4428633A (en) Dual-in-line socket assembly
US5462443A (en) Plug-type connector
US4728305A (en) Solder-bearing leads
KR0140954B1 (ko) 전기 접속기
KR920000612Y1 (ko) 터미날
US3601752A (en) Electrical contact
US5423696A (en) Shield connector
EP0145315A3 (en) Connecting device for closely spaced conductors and electrical contact terminal therefor
JP4023603B2 (ja) 接続端子
US6159043A (en) Boardlock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4681391A (en) Electric connector
US3478303A (en) Electrical connector
JPH0822871A (ja) 電子ユニット用コネクタ
US4580857A (en) Circuit terminating clip
AU583396B2 (en) Solder bearing leads
JP2597004Y2 (ja) サーフェスマウントコネクタ装置
KR860001060Y1 (ko) 프린트 기판용 콘넥터
JPH0335595A (ja) プリント配線板の固定具
JPH048621Y2 (ko)
JPS6240534Y2 (ko)
JPH07226244A (ja) 基板の結線接続に於けるハンダ付省略装置
KR960001307Y1 (ko) 암 전기 접촉 장치
KR920007794Y1 (ko) 코넥터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1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