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307Y1 - 암 전기 접촉 장치 - Google Patents

암 전기 접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307Y1
KR960001307Y1 KR2019950028875U KR19950028875U KR960001307Y1 KR 960001307 Y1 KR960001307 Y1 KR 960001307Y1 KR 2019950028875 U KR2019950028875 U KR 2019950028875U KR 19950028875 U KR19950028875 U KR 19950028875U KR 960001307 Y1 KR960001307 Y1 KR 9600013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contact device
electrical contact
terminal portion
cantilev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88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이. 브린크만 도날드
에이. 하워스 프랭크
알프레드 존슨 리차드
에이. 랜드그라프 글렌
배리 슈발츠 하우엘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루이스 에이. 헥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7/791,867 external-priority patent/US5167544A/en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루이스 에이. 헥트 filed Critical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20199500288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3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3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3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암 전기 접촉 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개념을 구체화하는 암 전기 접촉 장치의 사시도.
제 2 도는 단자가 제조되는 블랭크(blank)의 평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단자를 성형하기 이전에 외팔보형 아암이 상기 블랭크로부터 만곡된 형상으로 성형되는 방법을 설명하는 입면도.
제 4 도는 커넥터 하우징 내에 장착된 다수 단자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암 전기 접촉 장치 12 : 몸체
14 : 단자부 16 : 리셉터클부
18 : 직립 벽 20a, 20b : 외팔보형 아암
24 : 기저부38 : 핀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 커넥터 시스템에서 상보적 수 단자를 수납하기 위한 암 전기 접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회로가 점차 소형화하는 추세에 따라, 대체되는 큰 구성 부품만큼 신뢰성 및 내구성을 가진 분리가능한 전기 접촉 장치를 제조하는 것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고밀도 또는 소형화된 시스템에서는 3.2258 cm2(p.5in2)미만의 면적에 96쌍 이상의 접촉 장치가 배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전기 접촉 장치는 상보적 수 단자와 신뢰성 있는 전기 접속을 이루기 위하여 충분한 접촉력을 가져야 한다. 한편, 단자 자체가 매우 작기 때문에, 전기 접촉장치는 상기 단자에 용이하게 삽입되거나 빼낼 수 있어야 한다.
상기 여건에서 전기 커넥터의 단자에 연결되는 암 또는 리셉터를 전기 접촉장치의 통상의 형태는 적어도 한쌍의 접촉 블레이드 또는 상기 접촉 장치 내에 외팔보형 형태로 종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아암을 포함한다.
상기 외팔보형 탄성 아암은 전기 커넥터의 단자와 결합하는 접촉부를 제공하는 말단 단부를 가지며, 외팔보형 아암의 기부 단부(proxinal end)는 접촉장치의 몸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외팔보형 아암 접촉 장치의 예는 오스타포비치의 1978년 2월 28일자 미합중국 특허 제4,076,369호, 보구르스키의 1986년 8월 26일자 미합중국 특허 제4,607,907호 및 세너어의 1988년 11월 15일자 미합중국 특허 제4,784,622호에 개시되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특성을 가진 외팔보형 아암 형태의 암 접촉 장치에 대한 개량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보적 수 핀을 수납하기 위한 새롭고 개량된 암전기 접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암 접촉 장치 또는 리셉터클(receptacle)은 일반적으로 한 단부에 단자부를 가지고 반대 단부에 리셉터클부를 가지는 긴 몸체를 포함한다. 리셉터클부는 상보적 수 핀을 수납하는 수단을 제공하며 한 쌍의 외팔보형 아암을 포함한다. 아암들은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그 말단 단부에 접촉부를 가지고 서로 대향하여 있다. 외팔보형 아암은 상보적 수 핀이 삽입되는 종축방향으로 상호 돔셋되어 상기 수 핀이 접촉부와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암 접촉장치는 일체로 스템프(stemp)되어 성형된 일체형 금속 부품으로 제조된다. 외팔보형 아암은 연장된 몸체에 견고하게 고정된 기저부(base portion)의 기부 단부로부터 돌출하며, 상기 기저부는 접촉부가 상호 접촉하도록 상호 간에 미리 부하를 받고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된 후속의 상세할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고안에서 신규하다고 믿어지는 특징들은 후속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과 함께 고안 그 자체는 첨부도면과 후속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가장 잘 이해된다.
본 도면을 보다 상세히 참조하면, 제 1 도에서 본 고안은 한 단부에 단자부 또는 납땜 핀(14)을 가지고 다른 단부의 암부 또는 리셉터클부(16)를 가지는 긴 몸체(12)를 포함하는 암 전기 접촉 장치 또는 장치 또는 리셉터클(10)로 구현된다. 단자는 0.01016 cm(0.004 in) 두께의 금속 원재료(metal stock) 등의 아주 얇게 스탬프되어 성형된 금속재료로 일체로 제조된다. 납땜꼬리부(14)는 견고하게 되도록 통상 U자형 단면을 가진다. 몸체(12) 자체에는 보다 큰 U자형 단면을 형성하기 위해 몸체의 양 단부 상이에 지지벽(18)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 회로기판상의 구멍으로 삽입시키기 위한 납땜 꼬리부로서의 단자부(14)가 도시되어 있으나, 암 전기 접촉 장치(10)의 단자부는 다른 전기 회로 수단에 표면 장착 또는 상호 접속시키기 위한 단자 수단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통상 리셉터클부(16)는 이후 상세히 설명될 상보적 수 핀을 수납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며, 이는 적절한 접속용 전기 구성 부품으로 도선(lead)을 포함한다.
특히, 리셉터클부(16)은 도시된 바와 같이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외팔보형 아암(20a, 20b)을 포함한다. 각 외팔보형 아암은 그 말단 단부에 접촉부(22)를 가지며, 상기 아암의 기부 단부는 몸체(12)와 일체로 형성되어 견고하게 고정된 기저부(24)와 일체를 이룬다.
각 외팔보형 아암들이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가지므로, 화살표 "B"로 표시된 상보적 수 핀이 삽입되는 종축 방향으로 상호 돔셋되어 상기 수 핀들이 접촉부(22)와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외팔보형 아암(20a)의 기저부(24a)가 상기 단자의 종축 방향으로 외팔보형 아암(20b)의 기저부(24b)보다 짧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보적 수 핀이 기저부(24a, 24b)사이에서 리셉터클부(16) 내로 삽입됨에 따라, 수 핀이 외팔보형 아암(20b)의 접촉부(22)와 결합하기 이전에 외팔보형 아암(20a)의 접촉부(22)와 결합하게 된다. 기저부(24a, 24b)는, 반드시 정렬될 필요는 없지만, 지지벽(18)의 간격과 거의 동일하게 상기 단자의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외팔보형 아암은 내측으로 굽어 있다. 상기 외팔보형 아암은 통상 동일한 반경을 가지고서 균일하게 만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도에서 외팔보형 아암(20a)의 접촉부(22)가 지점(26)에서 단자의 삽입 단부의 방향으로 외팔보형 아암(20b)의 접촉부(22)로부터 이격된 외팔보형 아암(20b)의 내부와 결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의 결합은 예비 부하를 받으며 행해 진다. 이를 위하여, 제 2 도는 암 전기 접촉 장치(10)를 성형하는 블랭크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블랭크는 0.01016 cm(0.004 in) 정도의 두께를 갖는 얇은 금속 재료로부터 성형된다. 단자가 제 1 도의 최종 형태로 성형되기 이전에, 제3도와 같이 외팔보형 아암(20a, 20b)이 만곡된 형태로 성형된다. 그리고 나서 외팔보형 아암과 기저부(24)가 (제 1 도의) 절첩선(28)을 따라 몸체(12)와 통상 수직이 되도록 성형될 때 외팔보형 아암(20a)과 결합한다. 이러한 예비 부하는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핀이 중심에서 벗어난 경우에도 삽입되는 수 핀과 상기 아암들(20a, 20b) 사이의 충분한 접촉을 보장한다.
제 4 도는 다수의 암 전기 접촉 장치(10)가 커넥티 하우징(34)의 구멍(32) 내에 장착되는 절연 장치(30) 내에 설치되는 것을 단순히 도시한다. 상기 하우징은 스탠드오프(standdoff, 36)가 상기 하우징을 인쇄 회로 기판으로부터 이격시켜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장착되도록 설계되었다. 단자의 단자부 또는 납땜 꼬리부(14)가 인쇄 회로 기판 상의 구멍 주변 또는 구멍 내이 적절한 회로 트레이스(trace)와 접속하기 위하여 적절한 인쇄 회로 기판 상의 구멍에 삽입될 수 있도록 스탠드오프(36)보다 더 돌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선택적으로 상기 꼬리부는 회로 기판에 표면 장착될 수도 있다.
제 4 도는 또한 약 0.0254 cm(0.01 in)의 지름을 갖는 상보적 수 핀(38)을 도시하는데, 이는 외팔보형 아암(20a, 20b)을 벌리면서 상부 암 단자(10 내로 삽입되어 상기 아암이 접촉부(22)와 결합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삽입 과정 중 수 핀은 먼저 외팔보형 아암(20a)의 말단 단부에서 접촉부(22)와 결합하고, 이어서 외팔보형 아암(20b)의 말단 단부에서 접촉부(22)와 결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팔보형 아암은 예비 부하를 받고 있으며, 실직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진 상태로 상보적 수 핀의 대향 면 상에 반대 방향으로 상기 아암에 의해 동일한 결합 압력이 작용된다. 본 고안은 고안의 원리 또는 핵심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모든 관점에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설명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은 명세서와 상세할 설명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4)

  1. 한 단부에는 회로 기판에 전기적, 기계적으로 종단시키기 위한 단자부(14)를 가지고 다른 단부에는 이에 인접한 리셉터클부(16)를 가지는 통상 평평하고 긴 몸체(12)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부는 상기 상보적 수 핀을 수납하는 수단을 제공하고 또한 상기 기저부 중의 하나로부터 상기 단자부를 향하여 연장되며 말단 단부에서 접촉부와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가질 뿐만 아니라 상호 대향하는 한 싸의 외팔보형 아암(20a, 20b)을 포함하고, 상기 외팔보형 아암은 그 말단 단부가 그 기부 단부에 대하여 내측에 위치하고 한 아암의 단부가 다른 아암에 대하여 예비 부하를 받도록 만곡되어 있으며, 한 방향(B)만으로 상보적 수 핀(38)과 결합하기 위한 암 전기 접촉장치(10)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부는 몸체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횡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기접(24)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기저부는 상기 단자부의 반대 쪽에 위치한 상기 몸체의 단부에서 상기 몸체로부터 통상 수직으로 연장되며 그 상부에 통상 가파른 경사의 단부 표면과 상기 몸체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횡방향으로 이격된 보조적인 한쌍의 직립 벽(18)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적인 한 쌍의 벽은 상기 몸체로부터 통상 수직으로 연장되고 그 상부에 통상 가파른 경사의 단부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과 상기 단자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외팔보형 아암은 각각 상기 기저부 중의 하나로부터 상기 단자부를 향하여 연장도고 상보적 수 핀이 삽입되는 종축 방향(B)으로 상호 돔셋되어, 상기 수 핀이 접촉부와 순차적으로 결합하며, 상기 암 접촉 장치를 절연장치 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외팔보형 아암이 상기 접촉 장치의 한 쌍의 U자형 부분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암 접촉장치의 치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전기 접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 부분들 중의 하나는 상기 기저부를 포함하고, 상기 U자형 부분들 중의 다른 하나는 상기 직립 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전기 접촉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약 0.01016(0.004 in) 두께의 판 금속 재료로부터 스탬프되어 성형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전기 접촉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통상 U자형 단면을 가지는 긴 납땜 꼬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전기 접촉 장치.
KR2019950028875U 1991-11-13 1995-10-14 암 전기 접촉 장치 KR9600013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8875U KR960001307Y1 (ko) 1991-11-13 1995-10-14 암 전기 접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791,867 US5167544A (en) 1991-11-13 1991-11-13 Female electrical contact
US791,867 1991-11-13
KR1019920021180A KR930011334A (ko) 1991-11-13 1992-11-12 피메일 전기 접촉 장치
KR2019950028875U KR960001307Y1 (ko) 1991-11-13 1995-10-14 암 전기 접촉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1180A Division KR930011334A (ko) 1991-11-13 1992-11-12 피메일 전기 접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307Y1 true KR960001307Y1 (ko) 1996-02-12

Family

ID=27348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8875U KR960001307Y1 (ko) 1991-11-13 1995-10-14 암 전기 접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30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6612B1 (ko) 매설 단자를 갖춘 전기 커넥터
JPH0638382Y2 (ja) 基板と基板を接続する為の表面実装用コネクタ
KR950007430B1 (ko) 저 프로파일 전기 접속기
US4068915A (en) Electrical connector
JP3194216B2 (ja) 電気コネクタ
US4621880A (en) Electrical contact elements, connectors and assemblies
JP3327348B2 (ja) 表面実装型コネクタ
US5046972A (en) Low insertion force connector and contact
WO1997045896A1 (en) Surface mountable electrical connector
EP0017358B1 (e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with a mounting peg
US6039590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latively movable two-part housing
KR970702596A (ko) 낮은 프로파일 전기 커넥터(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US4708416A (en) Electrical connecting terminal for a connector
CA1078480A (en) Low profile dip receptacle
US4758168A (en) Contact device composed of a plug and a corresponding socket
US5167544A (en) Female electrical contact
EP0109297B1 (en) Improvements in electrical contact members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ies
JPS5929951B2 (ja) 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2969314B2 (ja) 電気コネクタ
US6273748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960001307Y1 (ko) 암 전기 접촉 장치
US4681391A (en) Electric connector
KR100236434B1 (ko) 둥근 납땜 미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단자(electric connector terminal having a round soldering tail)
US6109932A (en) Three-dimensional electrical interconnection system
US6116948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terminating discrete electrical wi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