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505Y1 - 온수 보일러 장치 - Google Patents

온수 보일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505Y1
KR920000505Y1 KR2019890015375U KR890015375U KR920000505Y1 KR 920000505 Y1 KR920000505 Y1 KR 920000505Y1 KR 2019890015375 U KR2019890015375 U KR 2019890015375U KR 890015375 U KR890015375 U KR 890015375U KR 920000505 Y1 KR920000505 Y1 KR 9200005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heating tube
water heater
tank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53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경봉
박말남
Original Assignee
성경봉
박말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경봉, 박말남 filed Critical 성경봉
Priority to KR20198900153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5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5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505Y1/ko

Links

Landscapes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온수 보일러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사시도.
제3도는 종래 제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소실 2,2' : 온수가열통
201 : 파이프 3 : 가열로
4 : 유출관 5 : 난방관
501 : 입구 502 : 출구
6 : 유입관 7 : 펌프
8 : 온수탱크 9 : 물통
11 : 유입관 12 : 순환관
13 : 밸브 14 : 배출관
15 : 연통 15' : 격판
본 고안은 LPG 도시가스나 석유를 연료로 한 온수 보일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특징은, 연소실내에 설치되는 온수가열통의 구조를 연소열과의 접촉면적을 크게 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여 가온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연소실의 상부에 설치한 온수탱크의 중앙부에는 지그재그로 격판을 형성한 연통을 수직으로 입설하여 연소실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폐열에 의하여 온수 탱크내의 온수를 가온시킬 수 있도록 하여 폐열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데 있다.
종래의 온수보일러는 제3도와 같이 온수가열통의 통체가 굴곡이 없이 평활하게 형성되었으므로 인하여 연소열과의 접촉면적이 크지 못하여 가열시간을 오래 요하게 되어 난방관내를 순환하는 온수의 순환속도가 원활하지 못하여 난방효율이 양호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결점이 있고, 또한 연통에 접촉시켜 외방으로 배출되는 폐열에 의하여 온수 탱크를 가열시키는 연통은 내면이 매끈한 연통으로 되었으므로 폐열이 빠른 속도로 배출되게 되어 온수탱크에 양호히 열전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므로 온수탱크의 가온효율이 매우 불량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많은 열의 손실로 연료비를 많이 요하게 되어 경제적으로 많은 손실을 입게 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결점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한 매우 합리적인 구조의 온수보일러장치를 안출하게 된 것인데,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소실(1)내에 설치한 온수가열통(2)의 상부유출관(4)은 난방관(5)의 입구 (501)와 연결하고 난방관(5)의 출구(502)는 온수가열통(2)의 유입관(6)과 연결하여 펌프(7)에 의하여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고, 물통(8)의 보충관(10)은 유입관(6)과, 온수탱크(8)의 유입관(11)은 유출관(4)과 밸브(13)를 개재시킨 순환관(12)으로 연결하여 배출관(14)을 통하여 온수를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공지의 온수 보일러 장치에 있어서, 온수가열통(2)의 하부는 “”형의 요입형으로 형성하여 요입부에는 링형의 온수가열통(2')을 온수가열통(2)과 수개의 파이프(201)로 연통시켜 가열로(3)를 형성하여 온수가열통(2')에 유입관(6)을 고정시키고 상부의 온수탱크(8) 중앙부에는 지그재그로 격판(15')을 형성한 연통(15)을 관통시켜 연소실(1)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폐열에 의하여 온수탱크(8)내의 온수를 가온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16은 단열재이고, 17은 연소노즐이며, 18은 싱크대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온수가열통(2)(2')내의 가열수는 난방관(5)을 순환시켜 난방하게 되고 온수탱크(8)내의 온수는 배출관(14)을 통하여 부엌수 또는 세면수로 사용하게 됨은 공지인 바, 본 고안의 온수가열통(2)의 하방은 “”형의 요입부로 형성하여 상기의 요입부에는 가열로(3)가 형성되게 유입관(6)을 고정한 온수가열통(2')을 수개의 파이프(201)로 온수가열통(2)가 연통시켜서 된 것이므로, 상기의 가열로(3)에, 의하여 연소열과의 접촉면적이 크게 되어 유입관(6)을 통하여 온수가열통(2')내로 유입되는 물은 빠른 시간내에 가온되어 파이프(201)를 통하여 온수가열통(2)내로 계속 유입되고 온수가열통(2)의 하방도 연소열과의 접촉면적이 크게 되어 온수가열통(2) 내의 온수의 가온속도도 촉진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온수는 매우 원활하게 순환되게 되어 난방효율은 향상케 되는 것이다.
또한 온수탱크(8)의 중앙부에는 지그재그로 격판(15')이 형성된 연통(15)이 입설되었으므로 연통(15)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폐열은 격판(15')을 지그재그로 통과하면서 저항을 받아늘이게 배출되면서 격판(15')을 가열시키게 되고 격판(15')을 가열시키게 되고 격판(15')의 열은 온수탱크(8)내의 온수에 전도되어 가온시키게 되므로 폐열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는 결과로 되어 열손실을 최대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온수가열통(2)의 하부는 “”형의 요입형으로 형성하여 요입부에는 링형의 온수가열통(2')을 온수가 열통(2)과 수개의 파이프(201)로 연통시켜 가열로(3)를 형성하여 온수가열통(2')에 유입관(6)을 고정시키고 상부의 온수탱크(8) 중앙부에는 지그재그로 격판(15')을 형성한 연통(15)을 관통시켜 연소실(1)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폐열에 의하여 온수탱크(8)의 온수를 가온시킬 수 있도록 한 온수 보일러 장치.
KR2019890015375U 1989-10-21 1989-10-21 온수 보일러 장치 KR9200005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5375U KR920000505Y1 (ko) 1989-10-21 1989-10-21 온수 보일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5375U KR920000505Y1 (ko) 1989-10-21 1989-10-21 온수 보일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505Y1 true KR920000505Y1 (ko) 1992-01-15

Family

ID=19291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5375U KR920000505Y1 (ko) 1989-10-21 1989-10-21 온수 보일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050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7401A (en) Electric water heating appliance
KR960004764Y1 (ko) 난방용 온수보일러
KR920000505Y1 (ko) 온수 보일러 장치
CA2499052A1 (en) Water heating apparatus
GB1269967A (en) Storage water heater
US4483310A (en) Heat exchanger
US4377133A (en) Cryogenic heater
JPH0114500B2 (ko)
KR200309547Y1 (ko) 열에너지를 이용한 무동력 강제순환 온수매트
KR960004846B1 (ko) 개량된 온수탱크 및 이러한 탱크가 장비된 장치
KR810002258Y1 (ko) 보일러의 식수 가온장치
RU2076284C1 (ru) Стальной водогрейный котел "фермер"
US2487705A (en) Water heater
CN214172195U (zh) 一种导热油换热蒸汽锅炉
KR890006767Y1 (ko) 구멍탄 보일러용 난방수 가열장치
JPS6365253A (ja) 給湯装置
US1147499A (en) Boiler and gas-heater.
KR930001050Y1 (ko) 온수 보일러
KR860002508Y1 (ko) 뚜껑 보일러
JPS6139246Y2 (ko)
KR900006506Y1 (ko) 증기 보일러
KR960003884Y1 (ko) 저탕식 온수 보일러
KR900005865Y1 (ko) 전기 난로
RU96114041A (ru) Электро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
KR900009683Y1 (ko) 열교환보일러의 온수 순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