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263B1 - 컨테이너선의 해치커버 구조 및 오수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선의 해치커버 구조 및 오수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263B1
KR920000263B1 KR1019890012104A KR890012104A KR920000263B1 KR 920000263 B1 KR920000263 B1 KR 920000263B1 KR 1019890012104 A KR1019890012104 A KR 1019890012104A KR 890012104 A KR890012104 A KR 890012104A KR 920000263 B1 KR920000263 B1 KR 920000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ch cover
sewage
cargo hold
ship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2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4421A (ko
Inventor
김연중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이용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이용길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12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263B1/ko
Publication of KR910004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 Sewa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컨테이너선의 해치커버 구조 및 오수처리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해치커버와 화물창을 보인 단면 개략도.
제2a,b,c도는 제1도의 부분상세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해치커버의 개략 평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오수배관 계통도.
본 발명은 컨테이너선의 해치커버 구조 및 오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파나막스급 컨테이너선의 적재능력을 최대로 늘리기 위하여 갑판종통보를 없애고, 해치커버를 하나의 화물창당 3개를 1조로 하되, 중앙해치커버는 가스켓이 없는 비수밀형으로 하여 경제적인 설계가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양 사이드 해치커버는 가장자리 일부만 수밀형으로 하여서 선박이 운항중 45°까지 기울어져도 해수침입이 되지 않도록 고려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해치커버 상부에 커터코밍바(Gutter Comimigber)를 형성시켜서 빗물이나 해수가 화물창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러므로, 선박이 45°까지 기울어져도 해수가 침입되지 않는 것이다. 뿐만아니라 3개의 해치 커버 간격을 약 25㎜정도로 띄어 배치함에 있어서도 해수침입이 저지되는 것이며, 육상크래인으로 해치커버를 열고 닫는 즉, 일정 해치커버를 열어야 그다음 커버를 열 수 있는 순서의 제한없이 하므로서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종래에는 하나의 화물창에 하나의 수밀해치커버를 갖춘 것인데, 이는 선박이 정박 또는 항해중에 빗물, 해수 기타 잔수가 화물창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치커버 진주연에 가스켓을 설치하였고, 오수를 선외로 배출시키는 배관계통에 있어서는, 펌프나 배관배치가 통상적인 설계로 건조되어 운항되고 있었다.
특히, 화학제품(독극물 포함)에 오염된 오수는 국제 해상오염 및 해상인명 안전규칙의 규정에 따를 수 있는 시설이 되어있지 않으므로 이를 그냥 바다에 버리게 되어 해양오염에 주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학제품에 의해 오염된 오수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선박의 선수부근에 오수저장 탱크를 설치하였으며, 이 오수를 에어 드라이븐 다이아프램 펌프(Air Driven Diaphram Pump)로 이송 수집하였다가 정박시 육상의 오수처리 장치로 옮기도록 한 것이다.
그러므로, 위험화물을 적재한 화물창에는 본 시스템을 이용하여 해양 오염을 방지한 것이다.
이하 구체적인 설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즉 선박(1)의 하나의 화물창(2)에 해치커버(3)(3′)(3″)을 설치하되, 해치커버(3)(3′) 각 일측에 가스켓(4)(4′)을“[“,”]”형으로 형성시키며, 해치커버(3)(3′)(3″)위에는 커터코밍바(5)(5′)(5″)를 돌설시키고, 화물창(2) 저면에 스웰워더 옵스태클 바(Swell Water Obstakle ber)(6)(6′)를 형성시킴과 동시에, 각 화물창(2)의 오수관(7)을 주관(8)에 연결하여 에어 드라이븐 다이아프램 펌프(9)로 선박(1) 선수의 오수저장탱크(10)(10′)로 이송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1은 빌지웰, 12는 빌지펌프, 13은 해치코밍이다.
본 발명의 해치커버(3)(3′)(3″)중 중앙해치커버(3′)는 비수밀 구조인데, 가스켓 구조가 없으며, 커버상에 떨어지는 빗물이나 파도에 의한 해수가 화물창(2)내로 유입되는 양을 최소로 적게하기 위하여 해치커버(3)(3′)(3″) 일측에 종방향으로 커터코밍바(5)(5′)(5″)를 각각 설치하여 화물창(2)내에 오수가 유입되는 현상을 감소시킨 것이다.
그리고, 양 사이드의 해치커버(3)(3″) 일측 각각에만 “[“,”]”형으로 가스켓(4),(4′)을 설치하고, 중앙해치커버(3′)에는 가스켓 구조를 없애므로써, 초기 경제적 설계, 보수 및 유지면에 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화물창(2)내에 고인 오수는 그 양이 많을 경우, 물의 양에 의한 자유 표면효과에 의해 선박(1)의 복원성에 영향을 주어 선박(1) 운항의 안정성을 위협할 소지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선박(1)의 이중저구조 상부에 스웰워더 옵스태클바(6)(6′)를 돌출형성시켜, 오구사 일시에 한 곳으로 몰리는 현상을 제거하였다.
한편, 빌지웰(11)은 각 화물창(2)당 2개씩 설치하여 빗물이 시간당 100㎜의 폭우에서 빗물이 유입되는 조건하에서 견딜수 있도록 이 체적을 1.5㎥×2개로 하였다.
그러므로 평상시는 필요에 따라 원격조정되는 빌지펌프(12)로서 선외로 배출시키며, 위험물을 적재하므로써 생겨난 오수를 배출할 때는 에어 드라이븐 다이아프램 펌프(9)를 가동시켜 오수관(7) 및 주관(8)의 파이프라인을 통하여 선수부근에 설치된 오수저장탱크(10)(10′)에 수집시키는 것이다. 아울러 오염된 오수는 선박(1)이 정박할때 육상의 오수 처리장치로 옮기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기존선박과 대비하면 아래표와 같다.
Figure kpo00001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수밀해치커버와 해치커버간에 25㎜정도의 간격을 하나의 화물창당 3개의 커버로 배치시켜서, 면적이 좁은 3개의 커버를 들어올려 움직이므로 넓은 면적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비수밀형으로 제작하되, 해치커버 상부에 커터코밍바로써 빗물이나 파도에 의한 해수유입을 막도록 함과 동시에, 위험화학제품 운반시, 화물창내에 오염된 오수를 에어 드라이븐 다이아프램 펌프로 가동시켜 선수부근에 별도로 마련한 오수저장탱크에 저장할 수 있게끔 파이프라인을 배관하여 해양이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Claims (2)

  1. 선박(1)의 화물창(2)에 해치커버(3)(3′)(3″)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수밀해치커버(3)(3″)와 비수밀 해치커버(3′)의 간격을 두어 배치함과 동시에 해치커버(3)(3″) 하단의 각각에 가크켓(4)(4′)을 설치하고, 해치커버(3)(3′)(3″) 상부에 커터코밍바(5)(5′)(5″)를 돌설시키며, 화물창(2) 내저면에 스웰워더 옵스태클바(6)(6′)를 형성시키되, 빌지웰(11)과 빌지펌프(12)가 상호 작동토록 형성하고, 화물창(2)내에 오염된 오수를 에어드라이븐 다이아프램 펌프(9)로써, 선박(1) 선수 부근에 있는 오수저장 탱크(10)(10′)로 보낼 수 있도록 오수관(7)과 주관(8)을 파이프 라인화 하여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의 해치커버 구조 및 오수처리장치.
  2. 상기 제1항 기재에 있어서, 빌제웰(11)을 하나의 화물창(2)당 1.5㎥×2개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의 해치커버 구조 및 오수처리장치.
KR1019890012104A 1989-08-25 1989-08-25 컨테이너선의 해치커버 구조 및 오수처리 장치 KR920000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2104A KR920000263B1 (ko) 1989-08-25 1989-08-25 컨테이너선의 해치커버 구조 및 오수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2104A KR920000263B1 (ko) 1989-08-25 1989-08-25 컨테이너선의 해치커버 구조 및 오수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421A KR910004421A (ko) 1991-03-28
KR920000263B1 true KR920000263B1 (ko) 1992-01-11

Family

ID=19289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2104A KR920000263B1 (ko) 1989-08-25 1989-08-25 컨테이너선의 해치커버 구조 및 오수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02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627B1 (ko) * 2010-04-20 2016-10-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화물창 내 빌지 웰의 개폐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421A (ko) 1991-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96241C1 (ru) Днищевое перекрытие судна
US20140021113A1 (en) Pollution Control Vessel
US5885028A (en) Floating systems and method for storing produced fluids recovered from oil and gas wells
US4409919A (en) Ship's double bottom and bag segregated ballast system
CN104386209A (zh) 一种砂舱型自卸式运砂船
US7225750B2 (en) Rescue ship for disabled vessels, vessels rescue method, and use of a rescue ship
WO2000058564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collection of underwater spills and for covering the sea bed
US5785865A (en) Watercraft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KR920000263B1 (ko) 컨테이너선의 해치커버 구조 및 오수처리 장치
EP0557397B1 (en) Tanker vessel
KR100515217B1 (ko) 밸러스트 탱크의 해수 교환용 이동식 차단격벽 시스템
US3786773A (en) Hydrocarbon retainer for drydocks
CN207644565U (zh) 一种货物运输船
RU60473U1 (ru) Судно комплексн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US5388541A (en) Tanker ship design for reducing cargo spillage
KR20180012002A (ko) 폰툰 데크 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수리용 부선거
KR100544571B1 (ko) 부유식 해상 마리나 구조물
KR101523728B1 (ko) 해양 구조물용 빌지 이송장치
KR20000002091U (ko) 시추선의 오염수 처리장치
JP3110993B2 (ja) 浮き桟橋構造物
RU2037453C1 (ru) Понтон плавучего дока
Siefert et al. Mathematical modelling of water levels and flows in the Port of Hamburg.
Greer Disposal of Sewage Sludge to Sea–Engineering Aspects
KR101380201B1 (ko) 선박의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FI90223B (fi) Järjestelmä jätteiden keräämiseksi sekä vastaava jätteidenkeräyssäili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