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068B1 - 의자용 에어서포트(Air-Support) 및 그 에어서포트를 이용한 의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의자용 에어서포트(Air-Support) 및 그 에어서포트를 이용한 의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068B1
KR920000068B1 KR1019850005495A KR850005495A KR920000068B1 KR 920000068 B1 KR920000068 B1 KR 920000068B1 KR 1019850005495 A KR1019850005495 A KR 1019850005495A KR 850005495 A KR850005495 A KR 850005495A KR 920000068 B1 KR920000068 B1 KR 920000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rosthetic
air bag
main body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5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0893A (ko
Inventor
히로시 세키도
도시미찌 히오끼
Original Assignee
오까모도 리겐 고무 가부시기가이샤
와다나베 야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까모도 리겐 고무 가부시기가이샤, 와다나베 야스지 filed Critical 오까모도 리겐 고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19850005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068B1/ko
Publication of KR870000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4Hydro-pneumatic adjustments of th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5Lumbar supports using inflatable blad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017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manufacturing upholstery or upholstery sp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osthese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의자용 에어서포트(Air-Support) 및 그 에어서포트를 이용한 의자의 제조방법
제1도 내지 제22도는 본 발명 의자용 에어서포트의 이용 예를 표시한 것으로서 제1도에서 제3도는 보형포(保刑布)를 한개 사용한 경우를 표시한 제1실시예 도면.
제4도에서 제6도는 보형포를 여러개 사용한 경우를 표시한 제2실시예 도면.
제7도와 제8도는 보형포를 몇개 사용하고 또한 표면을 요철로한 상태에서 사용하는 경우를 표시한 제3실시예 도면.
제9 도와 제10도는 제8도와 동일한 상태로 보형포를 몇개 사용하여 표면을 물결모양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표시한 제4실시예 도면.
제11도와 제12도는 보형포를 몇개 사용하여 독립된 공기실로 하는 상태를 표시하는 제5실시예 도면.
제13도에서 제15도는 일부 공기통로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제6실시예를 표시한 도면.
제16도에서 제22도는 보형포를 튜우브체를 써서 사용하는 예를 표시한 제7실시예 도면.
제23도에서 제29도는 본 발명 의자용 에어서포트를 의자등에 이용하는 경우의 제조방법을 표시하는 것이며,
제30도에서 제33도는 특수한 보형포를 표시한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기백 본체 1a : 상부대향면
1b : 하부대향면 2 : 보형포
A : 시이트쿳숀 B : 시이트백
E : 에어서포트 F : 신축성 발포소재
본 발명은 의자용 에어서포트, 특히 자동차용 좌석에 이용하는 에어서포트의 개량에 관한 것이며, 또한 그 개량된 에어서포트를 또 다시 이용면과 제조방법면에 있어서도 고안을 첨가한 것에 관한 발명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에어서포트는 단순한 공기백으로, 이 공기백에 공기등을 공급하거나 혹은 방출하여 팽창혹은 신축시켜서 이용하는 것이 주류를 이루었다. 이때문에 한개의 에어서포트만으로서는 사용자의 신체에 적합하게 되는 것은 전연없었다.
또 시이트쿳숀 또는 시이트백내에 상기한 에어서포오트를 내포하는 것에 있어서도 그 에어서포오트를 단순히 수납하는 것이므로 공기등을 주입하여도 만곡된 형상으로 시이트 쿳숀 또는 시이트백의 표면이 팽창돌출되는 것 뿐으로서 이것 역시 사용자의 신체에 꼭맞도록 되는 것은 아니었으며, 좌석에 앉는 사람의 보전지지성 피로감을 좀더 덜어줄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충분하게 얻지못한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고저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발명이다.
먼저 본 발명의실시예의 몇가지 예를 첨부한 도면으로써 그 요지를 설명한다.
[실시예]
제1실시예의 것은 공기백본체(1) 내부의 상부대향면(1a)과 하부대향면(1b)의 사이에 걸쳐서 구형(矩形)상의 보형포(2)를 설치하였고, 이 보형포(2)에 의하여 공기백본체(1)가 팽창할때에 있어서의 단면형상이 직사각형상인 구형상으로 되도록한 것이다.
공기백본체(1)는 열가소성 연질 우레탄 수지제의 2장의 시이트를 겹쳐서, 그 시이트의 전체 주연부를 열용착하여 평면구형상으로 형성하며, 표면이면의 한쪽에 도면표시 아니한 펌프와 접속되는 공기의 급배구(3)(給排口)가 설치되어 있다.
보형포(2)는 공기백본체(1)와 동일한 재질이며, 제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공기백본체(1)에 있어서의 길이가 긴쪽방향의 중심선위에 한개배치되든가, 또는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공기백본체(1)에 있어서의 길이가 짧은 방향의 중심선위에 한개가 배치되어서 상하의 길이가 긴쪽부분이 각각 공기백본체(1)내부의 상부대향면(1a)과 하부대향면(1b)에 열용착되어 있다. 보형포(2)의 길이는 공기백본체(1)의 길이가 긴쪽 또는 길이가 짧은쪽보다도 약간 짧게되어 있으며, 따라서 공기백본체(1)내의 공기실은 보형포(2)로서 구획되는 일없이 단일체로 유지되는 것이다.
또, 보형포(2)는 튜우브 형상으로 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이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접는 것을 쉽게 하기 위하여 보형포(2)는 2장의 기포(其布)를 겹쳐서 한쪽편을 접착하고, 항상 중심에서 겹쳐지는 방향으로 마련되도록 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 두개의 기포를 겹쳐서 양쪽을 접착하여 튜우브형상으로 하고, 그 상하중앙부를(1a)과 하부대향면(1b)에 각각 접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은 제1실시예의 공기백은, 공기백본체(1) 내로 그 급배구(3)로부터 공기를 공급하면 그 공기백본체(1)가 보형포(2)에 의하여 상부대향면(1a)과 하부대향면(1b)사이의 간격을 균일하게 보전지지하면서 팽창하여서, 공기백본체(1)가 팽창할때에 있어서의 단면형상이 구형으로 보전지지되어서 본체표면과 이면이 평탄면으로 된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는 보형포(2)의 수를 한개로 하였으나 보형포(2)는 복수개, 예컨대 두개 내지 세개를 나란히 열을지어서 설치하여도 좋다.
이와같이 보형포(2)를 복수개 설치하면, 공기백본체(1)의 형체보전효과가 높아지며 그 공기백본체(1)의 단면형상을 보다 구형에 근접되도록 유사하게 하여 본체표면을 확실하게 평탄면으로 할 수가 있다. 제2실시예의 것은 제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공기백본체(1)내부의 상부대향면(1a) 하부대향면으로 설치되는 보형포(2)를 3각형상으로 하든가 또는 제5도 및 제6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공기백본체(1)를 길이가 짧은쪽 또는 길이가 긴쪽방향으로 똑같은 크기로서 분할되지 않도록 구형상의 보형포(2)를 복수개 예컨대 두개 배치하고, 이들 각 보형포(2)의 높이를 나란히 설치하는 방향으로 점차로 증대시킨 것이다.
3각형상의 보형포(2)를 설치하는 경우 그 갯수는 한개 또는 복수개의 어느것이라도 좋으나, 보형포(2)가 한개인 경우는 보형포(2)를 공기백본체(1)의 길이가 짧은쪽 또는 길이가 긴쪽방향의 중심선위에 배치하고, 또 복수개의 경우에는 공기백본체(1)를 길이가 짧은쪽 또는 길이가 긴쪽방향으로 동일하게 분할되도록 각 보형포(2)를 배치하는 것이 균일한 형체보전 효과를 얻는 점에서 바람직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제2실시예의 것은 공기백본체(1)가 팽창할때에 있어서, 그 상부대향면(1a)과 하부대향면(1b)사이의 간격이 보형포(2)끼리에 의하여 길이가 짧은쪽 또는 길이가 긴쪽방향으로 점차로 증대되도록 보전지지되어서 공기백본체(1)의 단면형상이 3각형으로 되어서 본체표면이 경사면으로 된다.
제3실시예의 것은 제7도에서 표시한 바와같이 보형포(2)를 구형의 한쪽편의 길이가 긴쪽이 호상(弧狀)으로 절결된 형상으로 하고, 그 보형포(2)를 공기백본체(1)의 길이가 짧은쪽 또는 길이가 긴쪽방향으로 복수개 예컨대 두개 병렬시켜서 배치하든가 또는 제8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공기백본체(1)를 길이가 짧은쪽 또는 길이가 긴쪽방향으로 동일하게 분할되도록 구형상의 보형포(2)를 복수개 예컨대 4개배치하며, 또한 그것들 각 보형포(2)의 높이를 각각 바깥쪽의 것을 높게 안쪽의 것을 낮게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제3실시예의 것은 공기백본체(1)가 팽창할때에 있어서, 그 상부대향면(1a)과 하부대향면(1b)사이의 간격이 보형포(2) 또는 복수개째의 보형포(2)에 의하여 2차곡선적으로 변화되도록 보전지지되며, 공기백본체(1)의 단면형상이 구형의 한쪽편 길이가 긴쪽을 호상으로 들어가게한 형상으로 되어서 본체표면이 요면(凹面)으로 된다.
제4실시예의 것은 제9도에서 표시한 바와같이 보형포(2)를 구형의 길이가 긴쪽이 사인곡선을 이루도록 절결된 형상으로 하고, 그 보형포(2)를 공기백본체(1)의 길이가 짧은쪽 또는 길이가 긴쪽방향으로 복수개 예컨대 3개를 병렬시켜서 배치하든가 또는 제10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공기백본체(1)를 길이가 짧은쪽 또는 길이가 긴쪽방향으로 동일하게 분할되도록 구형상의 보형포(2)를 복수개 예컨대 5개를 배치하며, 또한 그것들 각 보형포(2)의 높이를 중간위치 및 양편 바깥위치의 것에 있어서 높게하는 한편 그들의 사이에 기워져서 위치되는 것을 낮게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제4실시예의 것은, 공기백본체(1)가 팽창할때에 있어서 그 상부대향면(1a)과 하부대향면(1b)사이의 간격이 보형포(2) 또는 복수개의 보형포(2)에 의하여 정현(正弦) 곡선으로 변화하도록 보전지지되어서 공기백본체(1)의 단면 형상이 구형의 한쪽의 길이가 긴쪽은 사인곡선으로 되는 형상으로 되며, 본체표면이 돌출부와 요부가 있는 곡면으로 된다. 또는, 보형포(2)의실시예는 제30도와 제31도 또는 제32도와 제3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하여 이용하여도 좋은 것이다. 이것에 의하여 상부대향면(1a)과 하부대향면(1b)에 표면 요철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사람의 체격에 적합하도록 용이하게 할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제11도 및 제1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공기백본체(1)는 내부의 상,하부대향면(1a)(1b)사이에 걸쳐서 구형상의 보형포(2)를 설치하고 뒷면에는 도면표시 하지 않은 펌프와 접속되는 공기의 급배구(3)를 설치하고 있다.
보형포(2)는 공기백본체(1)와 동일한 재질이며, 그 공기백본체(1)의 길이가 짧은쪽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평행상으로 배치하며, 상하의 가장자리부를 각각 공기백본체(1)의 내부의 상부대향면(1a)과 하부대향면(1b)에 용착시키고 있다. 보형포(2)의 길이는 공기백본체(1)의 길이가 긴쪽보다도 약간 짧게 되어 있으며 따라서 공기백본체(1)의 공기실은 보형포(2)로서 구분되어 적은 공기실을 구성한다. 또는, 보형포(2)의 길이는 공기백본체(1)의 길이의 긴쪽길이도 좋다.
적은 공기실(7)은 소정된 폭으로 절단한 대상(帶狀)의 시이트(5)를 공기백본체(1)의 전기한 열용착부위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배치시키고 그 전체주연을 공기백본체(1)표면에 열용착하여 형성한다.
또 상기한 대상 시이트(5)는 공기백본체(1)를 팽창시켰을 때에 본체표면의 보형포(2)지지부에 따라서 생기는 홈모양의 요부의 양쪽부분에 있어서 몰입되는 부분사이로 건너질러서 설치되는 것인바, 그런데 상기한 대상 시이트(5) 및 아주 적은 공기실(7)의 폭은 상기한 홈모양 요부의 폭에 따라서 결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아주 적은 공기실(7)내부의 공기백본체(1) 표면에는 연통구멍(6)을 개설하고 본체(1)내와 아주 적은 공기실(7)을 연통시킨다.
이상과 같은실시예의 공기백본체(1)는 내부로 그 급배구(3)에서 공기를 공급하면 그 공기백본체(1)내부의 대향면이 보형포(2)에 의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보전되면서 팽창하고, 그 단면형상이 구형으로 본전지지 되어서 적은 공기실(4)을 독립하여 구성하더라도 연통되어 있어도 좋고, 이때 보형포(2)의 장력에 의하여 공기백본체(1)의 표면에 있어서의 보형포(2)의 가장자리의 지지부에 따라서 홈모양의 요부가 생기는바, 이 요부는 그 부분에 따라서 설치된 전기한 아주 적은 공기실(7)의 공기백본체(1)와 함께 팽창하는 것에 의하여 대상시이트(5)로서 피복되도록 하여서 평편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전기한실시예에 있어서 보형포(2)를 한개로 감소시키거나, 또 3개 내지 4개로 증가시켜도 좋으며 또한 그것들을 공기백본체(1)의 길이가 짧은쪽방향으로 향하여 배치하는 것도 물론 임의이며, 그리고 이들의 경우에 있어서 공기백본체(1)표면에 있어서의 각 보형포(2)의 지지부에는 아주 적은 공기실(7)을 설치하여서 공기백본체(1)의 표면을 평탄하게 보전되도록 한다. 그리고, 또한 제13도 및 제1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공기백본체(1)의 상부대향면(1a)과 하부대향면(1b)에 각각 통공(9)을 설치하고, 또한 이들 개구구멍(8)의 주연사이에 걸쳐서 보형포(2)를 설치한 것이다.
공기백본체(1)는 열가소성 연질 우레탄 수지제의 두장의 시이트를 겹쳐서 혼합하고, 그 시이트의 주연부 전체를 열용착하여 평면구형상으로 형성하며, 그 시이트의 상,하부대향면(1a)(1b)의 한쪽에 도면표시 아니한 펌프와 접속되는 공기의 급배구(3)가 설치되어 있다.
전기한 상부대향면(1a), 하부대향면(1b)에 설치된 개구구멍은 각각 동일한 지름의 타원형 또는 원형으로 되며, 상부대향면(1a)과 하부대향면(1b)의 중앙에 위치하여 비교적 큰 개구면적을 갖고 있다.
보형포(2)는 공기백본체와 동일한 재질로서, 2개의 무단상 대포(大布) (2a) (2b)를 열용착하여 별도의 보충첨부포를 형성하고 반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그 상하의 주연이 전기한 개구구멍의 주연에 열용착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본실시예의 공기백본체(1)는 내부로 급배구(3)에서 공기를 공급하여 그 본체(1)를 팽창시키면 보형포(2)에 의하여 시이트면의 상부대향면(1a)과 하부대향면(1b)의 개구구멍(8)주연사이의 간격이 균일하게 보전지지되고, 또한 그 간격보전지지작용이 개구구멍(8)주위의 상부대향면(1a)과 하부대향면(1b)에 이르고, 그 상부대향면(1a)과 하부대향면(1b)사이의 간격이 균일하게 보전지지된다.
공기백본체(1)가 팽창된 상태에서는 각 상,하부대향면(1a)(1b)이 평탄면으로 되는 것이다.
공기백본체(1)가 수축할때에 있어서는 제1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보형포(2)가 그 별도 헝겁으로 보충첨부구조에 의하여 공기백본체(1)내부로 절곡되는 것이다. 또 제15도는 제13도에서 표시하는실시예의 수축상태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하 계속하여 본 발명의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공기백본체(1)는 제16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내부의 상부대향면(1a)과 하부대향면(1b)사이에 걸쳐서 관(管)형상의 보형포(2)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한 공기백본체(1)를 형성하는 열가소성연질 우레탄 수지제이며 또한 투명한 표면시이트 및 이면 시이트를 겹쳐서 합치고, 다음에 양쪽 시이트의 대향면에 있어서의 소정위치에 보형포(2)를 열용착하고 그렇게한 후에 전기한 양쪽 시이트의 전체주연을 열용착하여서 평면 구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전기한 보형포(2)는 공기백본체(1)와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여 관상으로 형성한 것이며 공기백본체(1)의 상부대향면(1a)과 하부대향면(1b)사이에 중앙부에 길이가 긴쪽방향으로 연장하여 배치하고, 그 보형포(2) 주면에 있어서의 상기한 상,하부대향면(1a)(1b)의 접촉부인 최상부 및 최하부의 2개소를 상부대향면(1a)과 하부대향면(1b)에 소정의 폭으로 열용착하여 고정부착시킨다(제17도).
전기한 바와같이 보형포(2)의 둘레면의 최상부 및 최하부를 상부대향면(1a)과 하부대향면(1b)에 소정된 폭으로서 고정부착함에는 제16도 및 제1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보형포(2)주면에 있어서의 고정부착폭의 양쪽부분의 2개소를 보형포(2) 전체길이에 걸쳐서 선모양으로 열용착하든가 혹은 제18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보형포(2)의 둘레면의 고정부착폭 전면을 열용착하는 것이다.
전자의 방법으로서 실제로 보형포(2)를 상부대향면(1a)과 하부대향면(1b)에 열용착하는 공정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9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봉형상의 하부전극(C1)에 보형포(2)를 끼워맞추어서 보전지지하고 이 보형포(2)위에 상부대향면(1a)으로 되는 시이트를 재치하여 위치 결정한후 상부전극(C2)을 상부대향면(1a)으로 되는 시이트위에 압압접촉시켜서 하부전극(C1)으로서 보형포(2)의 최상부와 상부대향면(1a)으로 되는 시이트를 사이에 끼워 지지하고 양쪽 상,하부전극(C1)(C2)에 전기를 통하여 열용착한다.
다음에 하부전극(C1)을 배설할 위치를 보형포(2)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고정부착폭만큼 변위시키고(제20도), 양쪽상, 하부전극(C1)(C2) 보형포(2)와 상부대향면(1a)으로 되는 시이트를 사이에 넣은후에 열용착한다(제21도).
상기와 같이 보형포(2)와 상부대향면(1a)으로 되는 시이트를 열용착한후 보형포(2)를 하부전극(C1)에 끼워넣은채로서 반회전시키고, 전기한 바와같이 열용착한 보형포(2)의 고정부착부와 정반대의 보형포(2)의 둘레면을 위로 향하고 그 부분을 하부대향면( 1b)으로 되는 시이트의 고정부착위치에 상부대향면(1a)으로 되는 시이트와 동일한 요령으로서 열용착하여 보형포(2)를 양쪽시이트사이로 건너지르게 한다.
보형포(2)는 관상이므로 봉(棒)형상으로 하부전극(C1)에 끼워넣으면 그 하부전극(C1)의 압착면이 자연히 보형포(2)내면의 최상부에 배설된 상태로서 보전지지됨으로 보형포(2)의 용착부를 하부전극(C1)에 맞추는 수고와 이 상태로서 보전지지되는 수고가 불필요하게 됨으로 상기한 상태로서 보전지지되는 보형포(2)의 위에 상부대향면(1a)으로 되는 시이트를 양쪽손으로 고정위치시키고 상부전극(C2)으로서 사이에 두고 양쪽에서 지지하여 양쪽 상,하부전극(C1)(C2)에 통전시키는 간단하고도 실시하기 쉬운 작업으로서 열용착할 수가 있다.
보형포(2)를 열용착 이면과 표면의 양면시이트는 그 전체 주연끼리를 열용착하여 평면구 형상의 공기백본체(1)를 형성하고 또한 그 공기백본체(1)의 이면에는 급배구(4)를 설치한다. 이때 보형포(2)의 양쪽끝부분을 상,하부대향면(1a)(1b)으로 되는 시이트의 사이에 끼워서 함께 열용착한다. 이것에 의하여 보형포(2)는 그 양쪽끝을 공기백본체(1)의 수축방향으로 접혀져서 그 보형포(2)의 전체도 평탄하고 접혀진 상태로서 보전된다.
그리고 공그백본체(1)를 수축시킬때에 상기한 보형포(2)는 공기백본체(1)와 함께 얇게 눌려진 상태로 되어 공기백본체(1)의 표면에 불필요한 돌기가 발생되는 일이없다(제22도). 또 보형포(2)의 둘레면에 있어서의 상하고정부착부를 사이에 둔 양쪽 측면부(2a)(2b)는 공기백본체(1)의 장력에 의하여 팽창방향으로 펼쳐져서 제1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단면구형으로 변형되는 것이다.
그런데 공기백본체(1)의 팽창수축에 따라서 변형되는 보형포(2)내에 공기백본체(1)내의 공기가 출입할 수 있도록 보형포(2)의 둘레면에는 공기의 통공(9)을 개설하고 보형포(2)의 변형을 자유롭게함과 아울러 적은 공기실(4)을 독립된실로한다. 또한 보형포(2)의 주연이 절곡부에는 사전에 접힐 수 있도록 자리잡게하여서 보형포(2)를 수축하기에 용이하게 하여도 좋고, 또는 보형포(2)의 길이를 공기백본체(1)의 공기실로 보형포(2)로서 구획하는 일이없이 단일체로 유지하여도 좋다. 이때에는 보형포(2)에 전기한 통공(9)은 설치하지 아니하여도 좋다.
이상과같은 본실시예의 공기백본체(1)는 내부로 그 급배구(3)에서 공기를 공급하면 보형포(2)의 양쪽측면부(2a)(2b)는 모두 팽창되는 방향으로 펼쳐져서 늘어나고 공기백본체(1)의 상부대향면(1a)과 하부대향면(1b)의 간격을 균일하게 보전지지한다. 이때 보형포(2)의 양쪽측면부는 서로 고정부착되는 폭을 남겨두고 늘어나므로 2개의 보형포를 상기한 거리를 두고 병설한 것과 같은 형체보전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서 공기백본체(1)의 상부대향면(1a)과 하부대향면(1b)을 2개소에서 균일하게 보전지지하여 그 단면형상을 한개짜리의 보형포에 비하여 보다 정확한 구형으로 보전지지하여 공기백본체(1)의 표면이면을 평탄면에 가까운 형상으로 이루게한다.
또한 전기한실시예에 있어서 보형포의 수를 복수개 예컨대 2개 내지 3개로 하고 그들 보형포를 공기백본체의 길이가 짧은쪽방향으로 병렬시켜서 배치하는 것은 물론 임의이다.
이와같이 보형포를 복수개 설치하면 공기백본체(1)의 형체보전효과가 보다 높아지는 것이다. 또한 보형포(2)는 십자형상의 것을 사용하여 약각 적은 공기실(4)을 독립하여 설치하거나, 각 보형포에 통공(9)을 관통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써 본 발명 의자용 에어서포트를 제작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 의자용 에어서포트의 이용발명에 대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제23도와 제2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도면표시하지 않은 펌프와 접속하는 공기의 급배구(3)를 보유하는 의자용 에어서포트의 한개 또는 적당한 수를 시이트쿳숀(A) 또는 시이트백(B)내부에 밀봉시켜서 사용한다.
이 밀봉상태에 있어서 급배구(3)를 개재하여 펌프에서 공기를 보내서 시이트쿳션(A) 또는 시이트백(B)을 희망하는 쿳숀감각으로 될때까지 팽창시키고 사용하지 않을때에는 공기를 뽑아서 보통상태로 하는 것이다.
이 의자용 에어서포트의 제조방법의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25도와 제26도 및 제2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부틀(C)와 하부틀(C)로서 성형틀을 구성하고, 그 상부틀(C)과 하부틀(D)의 중앙에 의자용 에어서포트(E)를 뜨게하여서 수납함과 아울러 의자용 에어서포트의 급배구(3)는 틀밖으로 나오게 하여 정착시킨다.
다음에 이 상태에 있어서 신축성발포소재(F) 예컨대 우레탄에 대하여 설명하면
1. 우레탄의 배합
폴리오올 100
이소시아네이트 40-50
산화아연 : 염화비닐의 내열안정제, 발포조재
물 + 제3급아민 3-4 : 발포제
실리콘계(系)정포제 1-2
주석계통촉매 0.2-0.4
상기한 신축성 발포소재를 틀내부에 주입하고 또한 의자용 에어서포트(E)의 전체둘레를 앞에서 설명한 신축성 발포소재로서 피복하고 그렇게한후 발포고정시켜서 제조하는 것이다.
그 신축성 발포소재의 물성값을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다음
1. 외견상 밀도(ASTM) 52.3kg/m3
2. 경도(JIS 50m/mt)제품 69m/mt
25% 휘어질때 하중 16.8kg/314cm2
65% 휘어질때 하중 65kg/314cm2
3. 항장력(航張力)(JIS) 1.23kg/cm2
4. 신장율(JIS) 145%
5. 인장강도(ASTM) 0.97kg/cm2
6. 반발특성(JIS) 32.1%
7. 압축잔류도 3.9%
8. 반복압축잔류도 3.4%
다음에 의자용 에어서포트(E)를 독립하여서 좌석의 시이트쿳숀(A) 또는 시이트백(B)등에 재치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제28도와 제29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시이트쿳숀(A) 또는 시이트백(B)의 적당한 장소에 의자용 에어서포트(E)를 재치하고 급배구(3)의 파이프를 시이트쿳숀(A) 또는 시이트백(B)을 관통시켜서 도면표시 아니한 펌프와 접속하여 공기의 흡기배기를 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첫번째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각각 보형포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좌석 의자등의 표면이 적당한 요부를 구성하는 일이 가능하여서 좌석에 않는 사람의 신체에 잘들어맞으며 잘 순응되어서 피로감각의 경감으로되는 효과를 보유하고, 두번째의 발명은 의자용 에어서포트를 좌석등내에 밀봉(密封)시켰으므로, 착탈등이 용이하다고 하는 효과가 생김과 아울러 생산도 용이하게 되는 등의 효과가 생긴다. 세번째의 발명은 또 다시 구체적인 제조방법을 표시하며 의자용 에어서포트를 좌석등에 용이하게 조립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는 특징을 표유하는 제조방법의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신축이 자유자재한 공기백본체(1)의 상부대향면(1a)과 하부대향면(1b) 사이에 걸쳐서 전기한 공기백본체의 긴쪽방향 또는 짧은쪽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해서 여러가지 단면형상의 보형포(2)를 한개 혹은 다수개 열용착으로 설치하여, 공기주입시 전기한 공기백본체(1)의 표면을 요철형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에어서포트.
  2. 상부틀(A)와 하부틀(D)로 이루어진 시이트쿳숀(A) 또는 시이트백(B) 성형틀의 내부중앙에 의자용 에어서포트(E)를 수납하고, 그 의자용 에어서포트(E)의 전체둘레에 걸쳐서 우레탄등과 같은 신축성 발포소재(F)의 액체를 주입한 후, 그 신축성 발포소재의 액체를 고화하여 틀배부에서 꺼내어 전기한 시이트쿳숀(A) 또는 시이트백(B)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서포트를 이용한 의자의 제조방법.
KR1019850005495A 1985-07-30 1985-07-30 의자용 에어서포트(Air-Support) 및 그 에어서포트를 이용한 의자의 제조방법 KR920000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5495A KR920000068B1 (ko) 1985-07-30 1985-07-30 의자용 에어서포트(Air-Support) 및 그 에어서포트를 이용한 의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5495A KR920000068B1 (ko) 1985-07-30 1985-07-30 의자용 에어서포트(Air-Support) 및 그 에어서포트를 이용한 의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893A KR870000893A (ko) 1987-03-10
KR920000068B1 true KR920000068B1 (ko) 1992-01-06

Family

ID=19242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5495A KR920000068B1 (ko) 1985-07-30 1985-07-30 의자용 에어서포트(Air-Support) 및 그 에어서포트를 이용한 의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006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893A (ko) 1987-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0591A (en) Air support for chai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hair utilizing the air support
US3909858A (en) Support appliances
US4005236A (en) Expandable multicelled cushioning structure
US5925306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air cushion
US4895352A (en) Mattress or cushion spring array
US6948204B2 (en) Mattress for bedding,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40238988A1 (en) Methods for fabricating cellular cushions
US20120234467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port Ball
EP4119119A1 (en) Inflatable massage pool
US20140230153A1 (en) Cellular cushions including support material and methods of fabricating same
US11751697B2 (en) Air distribution for mattresses
KR200484671Y1 (ko) 에어셀 쿠션
KR920000068B1 (ko) 의자용 에어서포트(Air-Support) 및 그 에어서포트를 이용한 의자의 제조방법
JPS62217905A (ja) 可撓性の支持体
KR20040072632A (ko) 신체 지지구
KR950007577B1 (ko) 의자용 에어서포오트와 그 에어서포오트를 이용한 의자 및 그 제조방법
JPS6216712A (ja) 椅子用エア−サポ−トとそのエア−サポ−トを利用した椅子の製造方法
CN211280719U (zh) 一种座椅发泡结构和汽车座椅
US20060168734A1 (en) Inflating and deflating cellular support cushion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10861540A (zh) 一种座椅发泡结构及其制备方法和汽车座椅
JPS6323622A (ja) 椅子用エア−サポ−トとそのエア−サポ−トを利用した椅子及びその製造方法
CN211943059U (zh) 充气式汽车颈枕
JPH10337387A (ja) クッション
CN219845838U (zh) 双气室充气床
EP4303382A1 (en) Pool having built-in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