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10064B1 - 휴대용 전화기(Hand held Phone)의 카 마운트(car mount)형 부스터(Booster)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화기(Hand held Phone)의 카 마운트(car mount)형 부스터(Booster)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10064B1
KR910010064B1 KR1019890017456A KR890017456A KR910010064B1 KR 910010064 B1 KR910010064 B1 KR 910010064B1 KR 1019890017456 A KR1019890017456 A KR 1019890017456A KR 890017456 A KR890017456 A KR 890017456A KR 910010064 B1 KR910010064 B1 KR 910010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amplifier
converter
duplex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7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0828A (ko
Inventor
박찬현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17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10064B1/ko
Priority to US07/614,449 priority patent/US5109541A/en
Priority to SE9003684A priority patent/SE510683C3/xx
Priority to JP2318168A priority patent/JP2559532B2/ja
Publication of KR910010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0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10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0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휴대용 전화기(Hand held Phone)의 카 마운트(car mount)형 부스터(Booster)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체 블록 구성도.
제2도는 저잡음 증폭기(LNA)의 회로도.
제3도는 결합기(coupler) Ⅰ,Ⅱ의 회로도.
제4도는 A/D 변환기의 회로도.
제5도는 D/A 변환기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듀플렉서 3,4 : 결합기
5 : 파워 모듈 6 : A/D 변환기
7 : D/A 변환기 8 : 저잡음 증폭기
9,10 : 증폭기 U5 : 비교기
U2,U3 : 로그 스탭 바아 그래프 IC,U4 : 인코우드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기의 카 마운트(car mount)형 부스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셀 방식(cellular system)의 휴대용 전화기를 카폰과 동등한 성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용 전화기는 제한된 휴대 공간으로 인하여 안테나 이득이 작고, 송, 수신시 머리에다 밀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전파 패턴의 찌그러짐 현상이 발생하므로 상대적으로 인체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으며, 또한 내장 밧데리의 제약으로 인하여 송신 출력이 적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용 전화기로 부터의 RF출력을 아날로그/디지탈 변환(A/D변환)하여 이 데이터를 비교, 재차 전원 제어 루프를 구성하여 각 레벨에 대응한 카폰 수준의 RF출력을 얻으며 듀플렉서(Duplexer)등 기타 접속에 의한 손실 보상을 위하여 수신단에 저잡음 증폭기를 부가, 카폰 수준의 수신 감도 및 제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카 마운트형 부스터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기 측으로 부터의 양방향 RF 신호를 송신 대역 및 수신대역으로 분리하는 제1듀플렉서와, 상기 제1듀플렉서에 연결되어 송신신호를 분로시키는 제1결합수단과, 상기 제1결합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결합수단을 통한 송신신호를 증폭하는 제1증폭수단과, 상기 제1증폭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증폭수단의 출력을 받아 송신출력을 검출해 내는 A/D변환수단과, 상기 제1결합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결합수단을 통한 송신신호를 전력 증폭하는 파워 모듈과, 상기 파워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파워 모듈의 출력인 전력 증폭된 송신신호를 분로시키는 제2결합수단과, 상기 제2결합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결합수단을 통한 송신신호를 증폭하는 제2증폭수단과, 상기 A/D 변환수단의 출력과 제2증폭수단의 출력을 입력신호로 받아 상기 파워 모듈로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D/A 변환수단과, 상기 제2결합수단에 연결되어 전력증폭된 송신신호를 전달받아 안테나로 출력하고 안테나로부터 수신신호를 입력받는 제2듀플렉서와, 상기 제2듀플렉서에 입력단이 연결되고 출력단은 상기 제1듀플렉서에 연결되어 수신신호를 전달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듀플렉서의 종속 접속에 따른 손실을 보상하는 저잡음 증폭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구성도로서, 도면에서 1,2는 듀플렉서, 3,4는 결합기, 5는 파워모듈, 6은 A/D 변환기, 7은 O/A 변환기, 8은 저잡음 증폭기(LNA), 9,10은 증폭기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기 측으로 부터의 양방향 RF신호를 송신대역 및 수신대역으로 분리하는 제1듀플렉서(1)와, 상기 제1듀플렉서(1)에 연결되어 송신 신호를 분로시키는 제1결합기(3)와, 상기 제1결합기(3)에 연결되어 제1결합기(3)를 통한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제1증폭기(9)와, 상기 제1증폭기(9)에 연결되어 상기 제1증폭기(9)의 출력을 받아 송신출력을 검출해 내는 A/D 변환기(6)와, 상기 제1결합기(3)에 연결되어 상기 제1결합기(3)를 통한 송신신호를 전력 증폭하는 파워 모듈(5)과, 상기 파워 모듈(5)에 연결되어 상기 파워 모듈(5)의 출력인 전력 증폭된 송신 신호를 분로시키는 제2결합기(4)와, 상기 제2결합기(4)에 연결되어 상기 제2결합기(4)를 통한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제2증폭기(10)와, 상기 A/D 변환기(6)의 출력과 제2증폭기(10)의 출력을 입력신호로 받아 상기 파워모듈(5)로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D/A 변환기(7)와, 상기 제2결합기(4)에 연결되어 전력 증폭된 송신 신호를 전달받아 안테나로 출력하고 안테나로부터 수신신호를 입력받는 제2듀플렉서(2)와, 상기 제2듀플렉서(2)에 입력단이 연결되고 출력단은 상기 제1듀플렉서(1)에 연결되어 수신신호를 전달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듀플렉서(1,2)의 종속 접속에 따른 손실을 보상하는 저잡음 증폭기(8)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세부 구성과 상세 동작을 세부회로도인 제2 내지 제5도를 이용하여 살펴본다.
제2도는 저잡음 증폭기(8)의 회로도, 제3도는 결합기(3,4)의 세부회로도, 제4도는 증폭기(9)와 A/D 변환기(6)의 회로도, 제5도는 증폭기(10)와 D/A 변환기(7)의 회로도이다.
휴대용 전화기로부터 전송된 양방향성 RF 신호는 듀플렉서(1)를 거쳐 송신대역(Tx) 및 수신대역(Rx)으로 대역 분리되며, 제3도와 같은 결합기(3)를 거쳐 파워 모듈(5)로 인가되는데 결합기(3)는 듀플렉서(1)의 출력이 일정한 레벨에 유지되게 하는 역할을 하며 파워 모듈(5)은 결합기(3)를 통해 나온 신호를 전력으로 증폭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A/D 변환기(6)는 휴대용 전화기로 부터의 송신 출력 레벨을 검사하며, 결합기(3)로부터 증폭기(9;U1)를 통해 온 신호를 수신하는 로그 스탭 바아 그래프 IC(제4도의 U2, U3)와, 그들은 상호 종속 결합되어 있고, 상기 로그 스탭 바아 그래프 IC(U2,U3)로부터 출력하는 신호들을 다수개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통하여 수신, 3개의 출력을 발생하여 D/A 변환기(7)로 송부하는 인코우더(제4도의 U4)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결합기(3)의 다이오드(D2)(제3도 참조)에 의하여 바이어스가 걸려 유기된 RF신호를 다이오드(D1)에 의해 검파한 후 증폭기(9;제4도의 U1)에서 적절히 증폭하여 로그 스탭(leg step) 바아 그래프 IC(제4도의 U2,U3)에 인가한다. 로그 스탭 바아 그래프 IC(U2,U3)는 인가전압의 레벨을 일정한 구역으로 정하여 구역마다 그 구역에 해당하는 코드를 설정하여 두고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이를 윈도우 컴퍼레이팅(Window Comparating)이라 한다.) 디지털 신호를 발생, 스위칭 디아오드를 통하여 인코우더(제4도의 U4)에 인가한다. 인코우더(U4)는 로그 스탭 바아 그래프 IC(U2,U3)로부터 8개 비트의 신호를 받아 3개의 비트 신호를 출력하여 D/A 변환기(7)로 보낸다.
이때, 휴대용 전화기로부터 온 신호가 송신 신호(Tx)인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최저 레벨 비교기(제4도의 U5)로 기준 전압과 증폭기(9;제4도의 U1)의 출력과 비교하여 D/A 변환기(7)의 트랜지스터(제5도의 Q2,Q3)의 온/오프를 제어, 파워 모듈(5)의 전원을 공급/차단하게 한다.
또한 상기 A/D 변환기(6)의 3비트의 디지털 송신 출력 데이터는 제어 신호로서 D/A변환기(7)의 아날로그 스위치(제5도의 U8)에 인가된다.
가변저항(제5도의 VR3)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전압이 8단계의 아날로그 스위치(U8)를 통과해 비교기(제5도의 U7)의 (+)단자에 인가되고, 결합기(4)로 부터의 검파된 RF 신호를 증폭기(10)로 적절히 증폭한 신호는 상기(+)단자의 기준전압과 비교되어 그 결과치가 트랜지스터(제5도의 Q1)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제5도의 Q1)은 스위칭 되는데, 트랜지스터(Q2)가 온 상태이면 트랜지스터(제5도의 Q4)의 베이스에 동작 전류가 인가되지 않아 트랜지스터(제5도의 Q4 )는 오프 상태가 된다. 반대로 트랜지스터(제5도의 Q2)가 오프 상태이면 트랜지스터(Q4)는 온 상태로 되어 그 출력이 파워 모듈(5)의 제어단자로 가해진다.
이렇게 되면, 파워 모듈(5)의 제어 단자에 에러 코렉션 전압을 인가함에 따라 결합기(3)로부터 온 신호를 원하는 레벨, 즉 휴대용 전화기의 출력 레벨을 카폰 수준과 동일한 레벨로 증폭하여 듀플렉서(4)를 통해 안테나로 방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 마운트형 부스터 시스템은 휴대용 전화기를 카폰 수준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휴대용 전화기의 종류에 상관없이 어느것이나 적용할 수 있고 기존의 셀방식의 휴대용 전화기보다 개선된 RF특성을 갖는다. 즉 수신감도, 제2고조 스퓨리어서(spurious) 및 제3고조 스퓨리어스 이메지 리젝션(image rejection)등이 우수하다.
또한 듀플렉스가 종속 접속되어 있어 대역 제한 효과가 극히 뛰어나다.

Claims (2)

  1. 휴대용 전화기 측으로 부터의 양방향 RF신호를 송신대역 및 수신대역으로 분리하는 제1듀플렉서(1)와, 상기 제1듀플렉서(1)에 연결되어 송신 신호를 분로시키는 제1결합기(3)와, 상기 제1결합기(3)에 연결되어 제1결합기(3)를 통한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제1증폭기(9)와, 상기 제1증폭기(9)에 연결되어 상기 제1증폭기(9)의 출력을 받아 송신출력을 검출해 내는 A/D 변환기(6)와, 상기 제1결합기(3)에 연결되어 상기 제1결합기(3)를 통한 송신신호를 전력 증폭하는 파워 모듈(5)과, 상기 파워 모듈(5)에 연결되어 상기 파워 모듈(5)의 출력인 전력 증폭된 송신 신호를 분로시키는 제2결합기(4)와, 상기 제2결합기(4)에 연결되어 상기 제2결합기(4)를 통한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제2증폭기(10)와, 상기 A/D 변환기(6)의 출력과 제2증폭기(10)의 출력을 입력신호로 받아 상기 파워모듈(5)로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D/A 변환기(7)와, 상기 제2결합기(4)에 연결되어 전력 증폭된 송신 신호를 전달받아 안테나로 출력하고 안테나로부터 수신신호를 입력받는 제2듀플렉서(2)와, 상기 제2듀플렉서(2)에 입력단이 연결되고 출력단은 상기 제1듀플렉서(1)에 연결되어 수신신호를 전달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듀플렉서(1,2)의 종속 접속에 따른 손실을 보상하는 저잡음 증폭기(8)로 구성되어 휴대용 전화기를 카폰 수준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카 마운트형 부스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D 변환기(6)는 결합기(3)로부터 증폭기(9)를 통해 온 신호를 수신하는 로그 스탭 바아 그래프 IC(U2, U3)와, 그들은 상호 종속 결합되어 있고, 상기 바아 그래프 IC(U2,U3)로부터의 출력 신호들을 다수개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통하여 수신, 3개의 출력을 발생하여 D/A 변환기(7)로 송부하는 인코우더(U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카 마운트형 부스터 시스템.
KR1019890017456A 1989-11-29 1989-11-29 휴대용 전화기(Hand held Phone)의 카 마운트(car mount)형 부스터(Booster)시스템 KR910010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7456A KR910010064B1 (ko) 1989-11-29 1989-11-29 휴대용 전화기(Hand held Phone)의 카 마운트(car mount)형 부스터(Booster)시스템
US07/614,449 US5109541A (en) 1989-11-29 1990-11-16 Car-mounted type booster system for hand-held phone
SE9003684A SE510683C3 (sv) 1989-11-29 1990-11-19 Typ av bilmonterat hjaelptillsatssystem foer handburen telefon
JP2318168A JP2559532B2 (ja) 1989-11-29 1990-11-26 携帯用電話機の車載型ブースタ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7456A KR910010064B1 (ko) 1989-11-29 1989-11-29 휴대용 전화기(Hand held Phone)의 카 마운트(car mount)형 부스터(Booster)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0828A KR910010828A (ko) 1991-06-29
KR910010064B1 true KR910010064B1 (ko) 1991-12-12

Family

ID=19292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7456A KR910010064B1 (ko) 1989-11-29 1989-11-29 휴대용 전화기(Hand held Phone)의 카 마운트(car mount)형 부스터(Booster)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1006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0828A (ko) 199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9988B1 (en) High linearity wide dynamic range radio frequency antenna switch
US7155251B2 (en) Mobile radio apparatus and radio unit
KR950010252B1 (ko) 전력증폭기 및 이동무선장치
AU6902000A (en) Automatic gain control loop for frequency conversion of quadrature signals
US11750159B2 (en) Devices and methods related to unpowered switching module
US7190932B2 (en) Circuit arrangement for a predistorted feedback coupling from a transmitter to a receiver in a multi-mode mobile telephone
KR19990006729A (ko) 증폭기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는 이동통신용송신기
US6342812B1 (en) Power amplification system for low power radio frequency signals
WO1999067893A1 (en) Dual band cellular phone with two power amplifiers and power control circuit therefor
US7454179B1 (en) Radio frequency power detector and decision circuit used with DC supply voltage controlled power amplifiers
US6459885B1 (en) Radio transceiver switching circuit
EP0560548B1 (en) Power control circuit
US5109541A (en) Car-mounted type booster system for hand-held phone
US6122491A (en) Communications system using power amplifier with dynamic biasing
US5669068A (en) Complimentary switched amplifier transceiver system
JPH07202601A (ja) 無線トランシーバ
KR910010064B1 (ko) 휴대용 전화기(Hand held Phone)의 카 마운트(car mount)형 부스터(Booster)시스템
JP2004147191A (ja) 高出力多モード移動体通信用送受信装置
US20020094023A1 (en) Multi-path transceiver amplificatio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KR100854189B1 (ko) 프론트엔드 모듈 및 전송 장치
KR910008129B1 (ko) 휴대용 전화기(Hand Held Phone)의 카 마운트(car mount)형 부스터(Booster) 시스템
JP2004147004A (ja) ブースター装置
KR200253699Y1 (ko) 케이블 손실을 보상하는 안테나 일체형 송수신 타워마운트 앰프
KR20030016449A (ko) 무선 송신기의 송신 전력 제어장치
JPH08340274A (ja) 携帯無線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8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