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898B1 - 분말성형용 염화비닐계 수지조성물 - Google Patents

분말성형용 염화비닐계 수지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898B1
KR910009898B1 KR1019880012317A KR880012317A KR910009898B1 KR 910009898 B1 KR910009898 B1 KR 910009898B1 KR 1019880012317 A KR1019880012317 A KR 1019880012317A KR 880012317 A KR880012317 A KR 880012317A KR 910009898 B1 KR910009898 B1 KR 910009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ulose
plasticizer
pvc resin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2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4834A (ko
Inventor
윤화식
양홍석
김현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럭키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럭키,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럭키
Priority to KR1019880012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9898B1/ko
Publication of KR900004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8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분말성형용 염화비닐계 수지조성물
본 발명은 이형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분말성형용 염화비닐계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염화비닐계 수지, 공지의 안정제 및 가소제와 셀룰로오즈 유도체를 배합한 염화비닐계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건조염화비닐계 수지혼합물은 각종 문헌 및 간행물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문헌들에 공지된 방법은 염화비닐계 수지와 가소제, 안정제, 안료등을 블랜더 또는 고속혼합기 등을 사용하여 건조혼합물을 제조하고 있다(참조 W.S. Penn저, Applied Science Publishers Ltd.사 발행, Lodon, 제3판). 그러나,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혼합물은 다량의 가소제를 배합하였기 때문에 접착성이 있고, 분말유동성이 떨어지므로 분말이 응집하는 결점이 있으며 유동성이 나쁘고, 혼합물에서 자극적인 냄새가 나는 것으로 인해 만족할 만한 성형품을 얻기가 곤란하다.
상기와 같은 결정을 해결하기 위해 염화비닐계 수지에 가소제를 혼합한 후, 미립자의 염화비닐계 수지, 탄산칼슘등을 첨가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와같은 방법으로 얻은 혼합물을 사용하면 가열 성형시 핀홀(pinhole)이 발생되며, 더우기 유연성, 강도의 저하를 초래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검토한 결과 염화비닐계 수지에 셀룰로오즈 유도체를 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상기의 결점을 일소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염화비닐계 수지란 현탁중합, 괴상중합 또는 유화중합하여 제조한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 에틸렌,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또는 그라프트 공중합체등의 혼합물을 의미하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염화비닐계 수지혼합물이란 공지의 가소제, 안정제 및(또는) 안료등의 첨가물이 혼합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에서 공지된 가소제란 특별한 제한 없으나, 바람직한 것의 예로서는 프탈산에스테르, 트리말리테이트에스테르, 아디핀산에스테르, 인산에스테르, 에폭시계 가소제, 액상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가소제에서 선택된 1종의 이상의 것을 단독 또는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안정제로는 아연, 칼슘, 바륨, 카드뮴등의 금속석검계 안정제, 납계안정제, 주석계안정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셀룰로오즈 유도체란 메틸셀룰로오즈, 나트륨 카르복실 메틸셀룰로오즈,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즈 등을 의미하며, 이의 배합량은 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서 0.1-20중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며, 1-10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0.1중량부 미만에서는 효과가 없고, 20중량부 이상에서는 분말 유동성이 떨어지며, 경제적이지 못하다. 이들 셀룰로오즈 유도체의 첨가시기는 염화비닐계 수지혼합물의 혼합개시전, 혼합중 또는 혼합 후, 언제라도 좋다. 또한 이들 유도체는 화합물 자체를 그대로 배합해도 좋으나, 물 또는 적당한 유기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이를 분무기등을 사용하여 배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제조방법은 소량, 예컨대, 10중량부의 염화비닐계 수지를 사용될 안정제 총량과 가소일부를 균질하게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제조한 후, 이를 고속회전 혼합기중에서 잔부의 염화비닐수지와 잔부의 가소제를 첨가, 혼합하여 2차 균질혼합물을 제조한 후, 셀룰로오즈 유도체와 배합하여 제조한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3]
20l의 혼합기에 염화비닐계 수지(스트레이트 레진)(K값 65-68) 2㎏, 가소제 1.0㎏, 안정제 0.1㎏, 안료 0.006㎏ 및 하기 표 1에 나타낸 양의 셀룰로오즈를 가하고 30분간 혼합하여 냉각시켜 건조혼합물을 얻었다.
금형을 230℃ 오븐에서 가열한 후, 오븐에서 꺼내고, 여기에 상기 건조혼합물을 충전한 후, 5분동안 재가열 하였다. 양호한 피막을 갖는 성형물이 얻어졌다. 시험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비교예 1]
상기에서 셀룰로오즈를 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4-6]
실시예 1에 있어서, 스트레이트 레진인 염화비닐계 수지의 일부를 페이스트 레진으로 대치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표 1]
Figure kpo00001
주) ○ : 우수, ▲ : 양호, X : 불량
상기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셀룰로오즈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에 비해 도막균일성 및 이형성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실시예 1 및 4와 같이 셀룰로오즈 화합물을 0.1중량부 미만 배합하였을 때는 효과적이지 못함을 알 수 있다.

Claims (1)

  1. 건조 염화비닐계 수지혼합물에 있어서의 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셀룰로오즈 유도체를 0.1-20중량부를 배합하여서 된 분말성형용 염화비닐계 수지조성물.
KR1019880012317A 1988-09-23 1988-09-23 분말성형용 염화비닐계 수지조성물 KR910009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2317A KR910009898B1 (ko) 1988-09-23 1988-09-23 분말성형용 염화비닐계 수지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2317A KR910009898B1 (ko) 1988-09-23 1988-09-23 분말성형용 염화비닐계 수지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834A KR900004834A (ko) 1990-04-13
KR910009898B1 true KR910009898B1 (ko) 1991-12-03

Family

ID=19277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2317A KR910009898B1 (ko) 1988-09-23 1988-09-23 분말성형용 염화비닐계 수지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98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6036A (ko) * 2020-06-17 2021-1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834A (ko) 1990-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835621B2 (ja) クレイ,プロセスオイルおよびエチレン/ビニルエステル共重合体のブレンド体
KR910009898B1 (ko) 분말성형용 염화비닐계 수지조성물
US3884786A (en) Hot melt compositions produced by irradiating ethylene copolymers in the presence of wax
US4139522A (en) Stabilized ethylene-carbon monoxide copolymers
US3723336A (en) Stabilized dibenzoyl peroxides polymer initiator compositions
US3791838A (en) Vulcanization accelerator for natural and synthetic rubber
US2601315A (en) Manufacture of polyvinyl acetate emulsion paints
CA1075391A (en) Shelf-stable polyvinyl chloride modelling composition
US2374667A (en) Method of plasticizing proteins
JP2858472B2 (ja) 安定剤分散液
US3819498A (en) Hot melt compositions produced by irradiating ethylene copolymers in the presence of wax
US3779962A (en) Stabilizer-lubricant combinations for halogen-containing polymers
US2485281A (en) Plasticized resin compositions
US2397942A (en) Thermoplastic compositions
US3301815A (en) Stabilization of vinyl resins with organic quaternary ammonium nitrates
US3637556A (en) Sealing composition containing a gelled polybutene oil plasticizer
US2680691A (en) Transparent flame-resistant cellulose acetate butyrate
SU963992A1 (ru) Полимерна композици дл покрытий на основе поливинилхлорида
US2318126A (en) Latex adhesive
US3645944A (en) Metallic salts of mixed acids as stabilizers for rigid vinyl resin compositions
JPS648663B2 (ko)
US2964418A (en) Stabilizer compositions and their process of manufacture
JPS5938245A (ja) ゴム用架橋剤組成物
US2567979A (en) Dental impression compositions
US2099651A (en) Plastic materia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