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512B1 - 텔리비젼이나 비디오테이프레코오더 화면 아트 회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텔리비젼이나 비디오테이프레코오더 화면 아트 회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512B1
KR910009512B1 KR1019880005707A KR880005707A KR910009512B1 KR 910009512 B1 KR910009512 B1 KR 910009512B1 KR 1019880005707 A KR1019880005707 A KR 1019880005707A KR 880005707 A KR880005707 A KR 880005707A KR 910009512 B1 KR910009512 B1 KR 910009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lor difference
data
digital
lumi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5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7946A (ko
Inventor
김용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05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9512B1/ko
Publication of KR890017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7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텔리비젼이나 비디오테이프레코오더 화면 아트 회로 및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키보드 20 : 마이콤
30 : 스위칭 및 A-D 변환기 40,41 : 제1, 2 데이터변환부
50 : 듀얼포트 메모리 60 : 콘트롤 디코더부
70 : 휘도조절부 80-82 : 제1-3D-A 변환기
본 발명은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텔리비젼(Television ; 이하 TV라함)이나 비디오테이프레코오더(Video Tepe Recorder ; 이하 VTR이라함)의 화상신호처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크린에 화상신호가 그림처럼 디스플레이(display)되도록 하는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아트(ART)라하면 물감이나 유화용 물감 등으로 페인팅(Paintting)한 그림을 말한다. 통상의 TV나 VTR에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은 사진과 같은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방송신호 시청시 방송국에서 그림을 방송하는 경우 그림같은 화상을 스크린을 통해 시청할 수 있었으나 TV나 VTR자체의 기능을 선택하여 스크린에 그림과 같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은 수행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텔리비젼이나 비디오테이프레코오더에 있어서 화상신호를 처리하여 스크린에 그림처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회로도로서 시청자의 선택에 의해 선택된 기능에 대한 기능선택신호를 발생하는 키보드(10)와, 상기 키보드(10)의 기능선택신호를 입력하여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콤(20)과, 색차분리부로부터 아날로그 휘도신호(Y) 및 색차신호(R-Y, B-Y)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8비트의 디지털 휘도신호(Y) 및 색차신호(R-Y, B-Y)로 변환하는 스위칭 및 아날로그-디지탈(Analog-Digital : 이하 A-D라함) 변환기(30)와 상기 스위칭 및 A-D 변환기(30)의 출력을 4비트의 디지털 휘도신호(Y) 및 색차신호(R-Y, B-Y)로 변환하여 제1래치 제어신호에 의해 출력하는 제1데이터변환부(40)와, 상기 제1데이터변환부(40)의 디지털 휘도신호(Y) 및 색차신호(R-Y, B-Y)를 제1포트(P)로 입력하여 리드/라이트(R/
Figure kpo00001
)신호에 의해 저장하고, 독출하며, 상기 독출된 데이터를 제2포트(P2)를 통해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듀얼포트 메모리(50)와, 상기 듀얼포트 메모리(50)의 제2포트(P2)를 통해 출력된 4비트의 휘도신호(Y) 및 색차신호(R-Y, B-Y)를 8비트의 휘도신호(Y) 및 색차신호(R-Y, B-Y)로 변환하여 제2래치 제어신호에 의해 출력하는 제2데이터변환부(41)와, 상기 제2데이터변환부(41)의 8비트의 휘도신호(Y)를 입력하여 휘도제어신호에 의해 조절 출력하는 휘도신호(Y) 조절부(70)와, 상기 제2데이터변환부(41)에서 출력된 8비트의 색차신호(R-Y)를 아날로그 색차신호(R-Y)로 변환하여 컬러합성부로 출력하는 제3디지털-아날로그(Digital-Analog ; D-A라함) 변환기(82)와, 상기 제2데이터변환부(41)에서 출력된 8비트의 디지털 색차신호(B-Y)를 아날로그 색차신호(B-Y)로 변환하여 칼러합성부로 출력하는 제2D-A 변환부(81)와, 상기 휘도신호 조절부(70)에서 조절된 8비트의 휘도신호(Y)를 아날로그 휘도신호(Y)로 변환하여 칼러합성부로 출력하는 제1D-A변환부(80)와, 상기 마이콤(20)으로부터 인가되는 아트제어신호를 디코딩하고 동기분리부로부터 인가되는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에 따라 분주회로로부터 인가되는 제8 소정주파수(afsc=10.7MHZ)의 제1클럭 및 제9소정주파수(bfsc=16.1MHZ)의 제2클럭은 분주하여 상기 제1 및 2 데이터변환부(40, 41)의 출력 주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및 제2래치신호와 상기 스위칭 및 A-D 변환기(30)의 스위칭 입력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제어신호와 상기 휘도조절부(70)의 휘도조절을 제어하기 위한 휘도제어신호와 상기 듀얼포트 메모리(50)을 억세스하기 위한 리드/라이트(R/
Figure kpo00002
) 클럭신호 및 제3소정비트수(I)의 어드레스와 리드 클럭을 발생하는 콘트롤 디코더부(60)으로 구성한다.
상기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1도중 스위칭 및 A-D 변환기(30)와 제1-제3D/A 변환기(80-82)는 통상적인 회로이고 듀얼포트 메모리(50) 역시 현재 시판중인 메모리소자이며 콘트롤 디코더부(60) 및 키보드(10)와 마이콤(20)은 공지의 사실이고 제1 및 제2데이터변환부(40, 41)과 휘도조절부(70) 역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구현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시청자가 키보드(Key Board)(10)를 조작하여 아트 화면을 스크린에 구현하고자 키보드(Key Board)(10)를 조작하면 키보드(10)는 아트(ART)화면 구현을 선택하는 기능선택신호를 발생하여 마이콤(20)으로 출력한다.
그러면 마이콤(20)은 다수 비트의 화면제어신호를 자체적으로 발생한 클럭 펄스신호에 동기시켜 데이터인식신호와 함께 제어라인(101-1) 및 클럭 펄스라인(101-2)과 데이터 인식라인(101-3)으로 구성된 버스라인을 통해 콘트롤디코더(60)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콘트롤 디코더부(60)는 상기 마이콘(20)으로부터 클럭펄스신호에 동기되어 입력되는 화면 제어신호를 데이터인식신호에 의해 인식하여 디코딩함으로서 아트화면을 구현하라는 화면 제어신호일 때 분주회로부로부터 두 라인(102, 103)을 통해 인가되는 제8 소정주파수(afsc=10.74MHZ)의 제1클럭 및 제9소정주파수(bfsc=16.11MHZ)의 제2클럭과 동기분리부로부터 두 라인(104, 105)을 통해 인가되는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를 이용 미리 세팅된 다수의 분주비로 분주하고 카운팅함으로서 제1 및 2 래치신호와 메모리의 로우어드레스(Row Address) 및 칼럼어드레스(Column Address)로 구성된 제3소정 비트수(I)의 어드레스, R/
Figure kpo00003
신호, 리드클럭, 전송제어신호, 휘도제어신호, 스위칭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부가적으로 제8, 9 소정주파수(a, bfsc)의 a와 b는 0보다 큰 정수임을 명시한다.
한편 이때 3개의 라인(106-108)을 통해 색차분리부로부터 아날로그 형태의 휘도신호(Y) 및 색차신호(R-Y, B-Y)를 입력하게 되는 스위칭 및 A-D 변환기(30)는 라인(109)을 통해 콘트롤 디코더부(60)로부터 인가되는 스위칭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3개의 라인(106-108)의 Y, B-Y, R-Y 신호들을, R-Y, Y, Y, B-Y, Y, Y 순으로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8비트의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버스라인(110)를 통해 데이터변환부(40)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데이터변환부(40)는 상기 A-D변환기(30)의 8비트의 디지털 데이터를 듀얼포트 메모리(50)의 데이터 입력 포맷에 맞도록 4비트의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콘트롤 디코더부(60)으로부터 라인(111)을 통해 인가되는 제1래치신호에 의해 래치함으로서 버스라인(112)를 통해 상기 듀얼포트 메모리(50)의 제1포트(P1)로 출력한다. 상기 라인(111)을 통해 인가되는 제1래치신호는 상기 스위칭 및 A-D 변환기(30)의 입력 선택 주기보다 1.5배의 빠른 클럭주기를 갖는 클럭신호로 되어 있다.
이때 제1데이터변환부(40)로부터 버스라인(112)를 통해 4비트 디지털 데이터를 제1포트(P1)로 입력하는 듀얼포트 메모리(50)는 상기 버스라인(113)를 통해 인가되는 리드/라이트(R/
Figure kpo00004
)의 라이트사이클 동안에 리드/라이트(R/
Figure kpo00005
)와 함께 인가되는 라이트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4비트의 디지털데이터를 로우어드레스에 해당하는 번지수와 컬럼어드레스에 해당하는 번지수에 저장하고 또한 콘트롤 디코더부(60)으로부터 버스라인(113)중의 한 라인을 통해 제어포트로 인가되는 전송제어신호와 버스라인(113)중의 한 라인을 통해 인가되는 리드/라이트(R/
Figure kpo00006
)의 리드사이클에 의해 로우어드레스에 해당하는 번지내의 데이터량을 독출하여 리드/라이트(R/
Figure kpo00007
)의 라이트싸이클 동안 콘트롤 디코더부(60)로부터 버스라인(113)중의 한 라인을 통해 제어포트로 인가되는 리드클럭에 의해 4비트 단위로 제2포트와 버스라인(114)을 통해 제2데이터변환부(41)로 출력하는데 이때 출력되는 상기 데이터량은 스크린의 1 수평주사기간에 해당하는 각 돗트데이터들이다.
그러면 콘트롤 디코더부(6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2래치 신호를 라인(115)를 통해 입력하는 제2데이터변환부(41)는 상기 버스라인(114)을 통해 듀얼포트 메모리(50)의 제2포트로부터 순차적으로 인가되는 4비트의 디지털데이터를 다시 8비트의 디지털 휘도신호(Y) 및 색차신호(B-Y, R-Y)로 변환하여 상기 제2래치신호에 의해 래치시킨다. 상기 디지털 휘도신호는 버스라인(116)을 통해 휘도신호 조절부(70)로 디지털 색차신호(B-Y) 버스라인(117)을 통해 제2D-A 변환부(81)로, 디지털 색차신호(R-Y)는 버스라인(118)를 통해 제3D-A 변환기(82)로 출력되는데 상기 제2래치신호는 상기스위칭제어신호의 클럭주기와 같아 제2데이터변환부(41)는 상기 스위칭 및 A-D 변환기(30)의 입력동작과 역으로 출력 동작하게 된다. 즉 R-Y, B-Y, Y의 데이터를 R-Y, Y, Y, B-Y, Y, Y의 순서로 제1-제3D/A 변환기(80-82)에 각각 보낸다.
이때 버스라인(116)을 통해 8비트의 디지털 휘도신호(Y)를 입력하는 휘도조절부(70)는 상기 콘트롤 디코더부(60)로부터 라인(119)를 통해 인가되고 있는 휘도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디지털 휘도신호(Y)를 미리 세팅되어진 조절값에 따라 조절하여 버스라인(120)을 통해 상기 제1D/A 변환기(80)으로 출력하는데 상기 휘도제어신호가 기준논리상태(즉 로우논리상태)일때는 버스라인(116)을 통해 입력되는 8비트의 디지털 휘도신호를 조절하지 않고 그대로 버스라인(120)을 통해 제1D-A 변환기(80)로 출력하고 상기 휘도제어신호가 변환된 논리상태(즉 화면 ART 신호일 경우)가 하이일 경우 버스라인(116)을 통해 입력되는 8비트의 디지털 휘도신호(Y)를 미리세팅된 조절값 즉 상기 디지털 휘도신호(Y)의 비트수중 일부 비트수를 로우논리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하여 버스라인(120)을 통해 제1D-A 변환기(80)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휘도조절부(70)가 입력되는 휘도신호 상태에 따라 콘트롤 디코더부(60)에서 발생된 휘도 제어신호에 의해 조절 출력되는 상태를 도시하면 하기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kpo00008
예를 들어 휘도 디지털 데이터가 011111로 입력될 때 상기 휘도조절부(70)를 최하위 2비트가“0”이 되도록 하여 0111100을 D/A 변환기로 출력한다. 따라서 휘도의 출력 해상도가 낮아져 ART의 효과를 나타낼 수가 있다. 그러면 상기 라인(120)을 통해 휘도조절부(70)의 출력을 입력하는 제1D/A 변환기(80)은 상기 휘도조절부(70)의 출력을 아날로그 휘도신호로 변환하여 라인(121)을 통해 칼러합성부로 출력하며 한편 제2 및 제3D-A 변환기(81, 82)도 각각 버스라인(117, 118)을 통해 제2데이터변환부(41)로부터 입력하는 디지털 색차신호 (B-Y, R-Y)를 아날로그 색차신호(B-Y, R-Y)로 변환하여 각각 라인(122, 123)을 통해 칼러합성부로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휘도신호의 출력 레벨을 조절함으로서 아트 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TV나 VTR 에 있어서 시청자의 취향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이점과 아동들의 교육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색차분리부 및 동기분리부, 분주회로부, 칼러합성부를 구비한 텔리비젼이나 비디오테이프레코오더에 있어서, 시청자의 선택에 의해 선택된 기능에 대한 기능선택신호를 발생하는 키보드(10)와, 상기 키보드(10)의 기능선택신호를 입력하여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콤(20)과, 색차분리부로부터 아날로그 휘도신호(Y) 및 색차신호(R-Y, B-Y)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8비트의 디지털 휘도신소(Y) 및 색차신호(R-Y, B-Y)로 변환하는 스위칭 및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30)와 상기 스위칭 및 A-D 변환기(30)의 출력을 4비트의 디지털 휘도신호(Y) 및 색차신호(R-Y, B-Y)로 변환하여 제1래치 제어신호에 의해 출력하는 제1데이터변환부(40)와, 상기 제1데이터변환부(40)의 디지털 휘도신호(Y) 및 색차신호(R-Y, B-Y)를 제1포트(P)로 입력하여 리드/라이트(R/
    Figure kpo00009
    )신호에 의해 저장하고, 독출하며, 상기 독출된 데이터를 제2포트(P2)를 통해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듀얼포트 메모리(50)와, 상기 듀얼포트 메모리(50)의 제2포트(P2)를 통해 출력된 4비트의 휘도신호(Y) 및 색차신호(R-Y, B-Y)를 8비트의 휘도신호(Y) 및 색차신호(R-Y, B-Y)로 변환하여 제2래치 제어신호에 의해 출력하는 제2데이터변환부(41)와, 상기 제2데이터변환부(41)의 8비트의 휘도신호(Y)를 입력하여 휘도제어신호에 의해 조절 출력하는 휘도신호(Y) 조절부(70)와, 상기 제2데이터변환부(41)에서 출력된 8비트의 색차신호(R-Y)를 아날로그 색차신호(R-Y)로 변환하여 컬러합성부로 출력하는 제3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82)와, 상기 제2데이터변환부(41)에서 출력된 8비트의 디지털 색차신호(B-Y)를 아날로그 색차신호(B-Y)로 변환하여 칼러합성부로 출력하는 제2D-A 변환부(81)와, 상기 휘도신호 조절부(70)에서 조절된 8비트의 휘도신호(Y)를 아날로그 휘도신호(Y)로 변환하여 칼러합성부로 출력하는 제1D-A변환부(80)와, 상기 마이콤(20)으로부터 인가되는 아트제어신호를 디코딩하고 동기분리부로부터 인가되는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에 따라 분주회로로부터 인가되는 제8 소정주파수의 제1클럭 및 제9소정주파수의 제2클럭을 분주하여 상기 제1 및 2 데이터변환부(40, 41)의 출력 주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및 제2래치신호와 상기 스위칭 및 A-D 변환기(30)의 스위칭 입력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제어신호와 상기 휘도조절부(70)의 휘도조절을 제어하기 위한 휘도제어신호와 상기 듀얼포트 메모리(50)을 억세스하기 위한 리드/라이트(R/
    Figure kpo00010
    ) 클럭신호 및 제3소정비트수(I)의 어드레스와 리드 클럭을 발생하는 콘트롤 디코더부(60)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아트 회로.
  2. 텔리비젼이나 비디오테이프레코오더에 있어서, 아날로그 휘도신호(Y) 및 색차신호(R-Y, B-Y)를 R-Y, Y, Y, B-Y, Y, Y의 순으로 8비트의 디지털신호로 변환한 다음 4비트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과정과, 상기 데이터저장과정 수행도중 1수평주사기간단위로 1수평주사기간에 해당하는 디지털신호를 메모리로부터 반복 독출하는 데이터 독출과정과, 상기 데이터독출과정에 의해 독출된 디지털 신호를 8비트의 휘도신호(Y) 및 색차신호(R-Y, B-Y)로 변환하고 휘도신호중 임의비트수의 디지털레벨을 일정한 레벨값을 갖도록 변환한 다음 아날로그 휘도신호(Y) 및 색차신호(R-Y, B-Y)로 변환 출력하는 데이터출력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아트 방법.
KR1019880005707A 1988-05-17 1988-05-17 텔리비젼이나 비디오테이프레코오더 화면 아트 회로 및 방법 KR910009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5707A KR910009512B1 (ko) 1988-05-17 1988-05-17 텔리비젼이나 비디오테이프레코오더 화면 아트 회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5707A KR910009512B1 (ko) 1988-05-17 1988-05-17 텔리비젼이나 비디오테이프레코오더 화면 아트 회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946A KR890017946A (ko) 1989-12-18
KR910009512B1 true KR910009512B1 (ko) 1991-11-19

Family

ID=19274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5707A KR910009512B1 (ko) 1988-05-17 1988-05-17 텔리비젼이나 비디오테이프레코오더 화면 아트 회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951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946A (ko) 1989-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27212A (en) Computer based video/graphics display system
KR950014577B1 (ko) 고화질 텔레비젼의 픽쳐인픽쳐신호처리방법 및 그 장치
US5426468A (en) Method and apparatus utilizing look-up tables for color graphics in the digital composite video domain
JPH0632444B2 (ja) 多重画面発生用映像処理回路
US6151079A (en)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a circuit for magnifying and processing a picture image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image signal
US5206714A (en) Circuit for controlling the time interval between rotational movements of a plurality of subordinate pictures in a picture-in-picture-type television or VTR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5943097A (en) Image processing means for processing image signals of different signal formats
KR980007718A (ko) 디지탈 비디오 시스템의 디지탈 비디오 인코더
US5166801A (en) Large size display apparatus for high definition television
KR910009512B1 (ko) 텔리비젼이나 비디오테이프레코오더 화면 아트 회로 및 방법
US494385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oducing a pan and scan feature to high 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KR920002048B1 (ko) 텔리비젼이나 비디오테이프레코오더의 자화면 확대 및 축소회로와 방법
KR910005328B1 (ko) 텔레비젼이나 비디오테이프레코오더의 모자이크 화면발생회로 및 방법
US5379077A (en) System for and method of, operating upon NTSC and PAL signals
KR100378788B1 (ko) 다중-표준형2화면영상신호처리회로
JP2572420B2 (ja) 映像信号処理回路
KR910000550B1 (ko) 디지탈 영상 신호 처리회로 및 방법
KR100251854B1 (ko) 영상표시장치의 피아이피 처리 장치.
JPH0544872B2 (ko)
KR100348444B1 (ko) 텔레비젼의 표준신호 변환장치
KR0126779B1 (ko) 멀티 스크린 처리 시스템
JPS60119184A (ja) テレビジヨン映像信号処理装置
KR0121239Y1 (ko) 주사선 보간장치
KR910005933B1 (ko) 다중화면 발생장치에서의 화면 스트로브 제어회로
JPS6020690A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3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