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474Y1 - Vtr의 테이프 속도 직렬변환회로 - Google Patents

Vtr의 테이프 속도 직렬변환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474Y1
KR910009474Y1 KR2019870024518U KR870024518U KR910009474Y1 KR 910009474 Y1 KR910009474 Y1 KR 910009474Y1 KR 2019870024518 U KR2019870024518 U KR 2019870024518U KR 870024518 U KR870024518 U KR 870024518U KR 910009474 Y1 KR910009474 Y1 KR 9100094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de
transistor
tape speed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45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505U (ko
Inventor
심순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245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9474Y1/ko
Publication of KR8900145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5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4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4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VTR의 테이프 속도 직렬변환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테이프 속도 직렬변환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테이프 속도 모드 발생부 20 : 테이프 속도 데이타 발생부
30 : 테이프 속도 결정부 가 : 키매트릭스
나 : 타이머 마이콤 다 : 시스템 콘트롤 마이콤
라 : 서보 콘트롤 마 : 비디오회로
TR1-R4 : 트랜지스터 R1-R7 : 저항
XOMP1 : 비교기 SP : 스탠더드 플레이(standard play)
LP : 롱 플레이(long play)저항 SLP : 슈퍼 롱 플레이(super long play)
본 고안은 VTR의 테이프속도 직렬변환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VTR의 서보콘트롤과 시스템콘트롤 마이콤간을 연결하는 테이프 속도 데이타를 현재의 병렬(parallel)데이타를 직렬(serial)데이타로 변환하여 테이프 속도에 사용도는 마이콤 및 서보콘트롤의 포트(port)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VTR의 테이프속도 직렬 변환 회로에 관한 것이다.
테이프 속도 직렬변환이란, 기존의 시스콘 마이콤(SYSCON μ-COM)에서 서보 콘트롤러로 데이타를 보낼 때 보통 2개의 포트를 쓰고(SP용 1개, LP용 1개)서보에서 시스콘으로 데이타를 보낼때도 2개의 포트롤 사용하여 총4개 미니멈(minimum)를 사용하였으나,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포트수를 2개로 줄일수 있으므로 하나의 입력단자에 각각의 속도에 관한 데이타가 직렬로 입력 또는 직렬로 입력 또는 출력된다고 하여 "직렬(serial)변환"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종래 VTR의 테이프 속도회로는 각 테이프 속도별로 포트를 두어 데이타를 전송하는 병렬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서보회로 및 시스템콘트롤 마이콤에 여러개의 포트가 필요하였다.
즉 녹화속도마다의 각각의 포트가 마이콤에서 필요하여 마이콤의 포트수가 증가되므로 회로구성이 복잡해지고 이에따라 기기의 신뢰성이 저하되어 기기의 코스트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은 테이프모드에 의한 포트를 줄이기 위해 시스템 콘트롤마이콤에서 출력되지 않은 SLP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테이프속도 모드 발생부와, 각 모드의 상태를 조합하여 3상태(state)로 변환하여 녹화(REC)시 테이프 속도 데이타를 발생시키기 위한 테이프 속도 데이타 발생부와, 재생(PB)시 테이프 속도를 결정케하는 테이프속도 결정부를 구성해주므로 인해 서보 콘트롤과 시스템 콘트롤 마이콤간을 연결하는 테이프 속도 데이타를 현재의 병렬 데이타를 직렬 데이타로 변환하여 테이프 속도에 사용되는 마이콤 및 서보 콘트롤의 포트를 최소화하여 회로의 간소화 및 기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로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키매트릭스(가), 타이머마이콤(나), 시스템콘트롤 마이몸(다)과 서보콘트롤(라) 비디오회로(마)로 구성된 VTR의 테이프 속도회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콘트롤 마이콤(다)의 SP모드 단자는 테이프 속도 모드발생부(10) 및 테이프속도 데이타 발생부(20)내의 트랜지스터(TR1), (TR4)의 베이스단자와 비디오회로(마)에 연결하고 상기 시스템 콘트롤 마이콤(다)의 LP모드단자는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단자와, 비디오회로(마)에 연결하며, 상기 트랜지스터(TR1), (TR2)의 콜렉터단자는 SLP모드가 출력되도록 비디오회로(마)와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단자 및 저항(R1)을 통해 5V 단자에 연결하고, 콜렉터 단자가 5V단자에 연결된 상기 트랜지스터(TR3)의 에미터단자와 에미터단자가 접지된 상기 트랜지스터(TR4)의 콜렉터 단자는 분압저항(R4),(R5)를 통하여 상기 서보콘트롤(라)의 입력모드단자(MODE-IM)에 연결하고, 상기 서보콘트롤(라)의 출력모드단자(MODE-OUT)는 비교기(COMP1)의 입력반전단자(-)에 분압저항(R6),(R7)이 연결된 비교기(COMP1)의 입력비반전단자(+)에 연결하고, 상기 비교기(COMP1)의 출력단자는 분압저항(R2), (R3)을 통하여 시스템 콘트롤 마이콤(다)의 입력모드단자(MODE-IN)에 연결하려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VTR에 전원을 인가시키고 이어서 녹화를 하려면 키매트릭스(가)에 의하여 테이프속도가 설정되고 이 설정된 신호는 타이머 마이콤(다)에 인가되게 된다.
따라서 녹화모드시 키매트릭스(가)에 의해 테이프속도가 설정되면 SP모드시 시스템콘트롤 마이몸(다)의 SP 포트단자가 "하이"가 되고, LP모드가 설정되면 시스템 콘트롤 마이콤(다)의 LP포트단자가 "하이" SLP모드가 설정되면 SP, LP포트단자가 "로우"가 된다.
이와같이 SP모드가 설정되면 시스템 콘트롤 마이콤(다)의 SP포트단차에서는 하이신호를 출력하고 LP포트 단자에서는 로우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이들전압은 테이프속도 모드발생부(10)와 테이프속도 데이타발생부(20)내의 트랜지스터(TR1), (TR4)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TR1), (TR4)를 온시키게 되므로 전압(5V)은 저항(R1)과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 및 에미터 단자를 통하여 접지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 단자는 저전위가 되어 즉 SLP=LOW로 되어 트랜지스터(TR4)의 콜렉터단자가 접지상태가 되어 서보콘트롤(라)의 입력모드단자(MODE-IN)에는 저전위상태가 입력되어 SP모드를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키매트릭스(가)에서 LP모드를 설정하면, 시스템 콘트롤 마이콤(다)의 SP포트단자는 로우가 되고, LP포트단자는 하이가 되어 이 전압에 따라 트랜지스터(TR2)를 온시키게 되므로 전압(5V)은 저항(R1)과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 및 에미터단자를 통하여 접지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단자가 저 전위(SLP=LOW)가 되어 트랜지스터(TR3)와 (TR4)는 오프되어 서보콘트를(라)의 입력모드단자(MODE-IN)에는 저항(R4), (R5)에 의한 분압전압(약 2.5V)이 인가되므로 서보콘트롤(라)에서는 LP모드를 인식하게 된다.
한편 키매트릭스(가)에서 SLP모드를 설정하면, 시스템 콘트롤 마이콤(다)의 SP 및 LP포트단자가 로우가 되고, 이 로우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TR1)와 (TR2)가 오프되어 트랜지스터(TR1), (TR2)의 콜렉터단자는 SLP=하이로 되어 트랜지스터(TR3)가 온되고 따라서 트랜지스터(TR4)는 오프된다.
이렇게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단자에는 하이신호(SLP=하이)가 인가되게 되므로 트랜지스터(TR3)는 온되고 반면에 트랜지스터(TR4)는 오프되기 때문에 서보z콘트롤(라)의 입력모드단자(MODE-IN)에는 전압(5V)이 트랜지스터(TR3)의 콜렉터 및 에미터단자를 통하여 서보콘트롤(라)의 입력모드단자(MODE-IN)에 하이신호가 입력되게 되어 SLP모드를 인식하게 된다.
한편 재생모드시 서보콘트롤(라)의 출력모드단자에서는 SP모드시 로우신호를 출력하고, LP모드시에는 오픈(OPEN)으로 SLP모드시에는 하이신호를 출력시킨다.
이렇게 SP모드시에는, 서보콘트롤(라)의 출력모드단자(MODE-OUT)에서 로우신호가 출력되어 테이프속도결정부(30)내의 비교기(COMP1)의 입력비반전(+)단자에 인가되게 되므로 비교기(COMP1)에서는 입력반전단자(-)인가되는 분압저항(R6), (R7)에 의한 분압전압과 비교되어 비교기(COMP1)에서는 로우신호를 출력시켜 시스템콘트롤 마이콤(다)의 입력모드단자(MODE-IN)에 로우신호를 입력시키게 되므로 SP모드를 인식하게 되고 LP모드시에는, 서보콘트롤(라)의 출력모드단자(MODE-OUT)로 오픈(OPEN)이 출력되어 비교기(COMP1)에서는 반전단자(-)에 인가되는 분압전압과 비교하여 오픈신호를 출력시키게 된다.
따라서 시스템콘트롤 마이콤(다)의 입력모드단자(MODE-IN)에는 저항(R2), (R3)에 의한 분압전압이 입력되게 되어 LP모드임을 인식하게 된다.
SLP모드시에는, 서보콘트롤(라)의 출력모드단자(MODE-OUT)에서는 하이신호가 출력되고 출력된 하이신호는 비교기(COMP1)의 입력비반전단자(+)에 인가되므로 비교기(COMP1)에서는 입력반전단자(-)에 인가되는 분압전압과 비교하여 하이신호를 출력시켜 시스템콘트롤 마이콤(다)의 입력모드단자(MODE-IN)에 입력시키게 되므로 시스템콘트롤 마이콤(다)에서는 SLP모드임을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키매트릭스에서 설정된 모드에 따라 시스템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시스템 콘트롤 마이콤을 트랜지스터를 통하여 서보콘트롤의 입력모드단자에 연결하고 서보콘트롤의 출력모드 단자는 비교기를 통하여 시스템콘트롤 마이콤의 입력모드단자에 연결함으로써 테이프 속도데이타를 직렬데이타 전송할수 있게 되어 시스템 콘트롤 마이콤의 포트수를 줄일수 있어, 기기의 회로구성이 간단하며 기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뿐만 아니라 기기의 부품이 간소화되어 기기의 단가를 낮출수 있는 경제적인 이점을 제공해 줄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키매트릭스(가), 타이머마이콤(나), 시스템콘롤룰마이콤(다)과 서보콘트롤(라), 비디오회로(마)로 구성된 VTR의 테이프속도회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콘트롤 마이콤(다)의 SP모드단자는 테이프속도 모드발생부(10) 및 테이프속도 데이타 발생부(20)내의 트랜지스터(TR1), (TR4)의 베이스단자와 비디오회로(마)에 연결하고, 상기 시스템콘트롤마이콤(다)의 LP모드단자는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단자와 비디오회로(마)에 연결하며, 상기 트랜지스터(TR1), (TR2)의 콜렉터 단자는 SLP모드가 출력되도록 비디오회로(마)와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단자 및 저항(R1)을 통해 5V단자에 연결하고, 콜렉터단자가 5V단자에 연결된 상기 트랜지스터(TR3)의 에미터단자와 그리고 에미터단자가 접지된 상기 트랜지스터(TR4)의 콜렉터 단자는 분압저항(R4), (R5)을 통하여 상기 서보콘 콘트롤(라)의 입력모드단자(MODE-IN)에 연결하고, 상기 서보콘트롤(라)의 출력모 모드단자(MODE-OUT)는 비교기(COMP1)의 입력반전단자(-)에 분압저항(R6), (R7)이 연결된 비교기(COMP1)의 입력비반전단자(+)에 연결하고, 상기 비교기(COMP1)의 출력단자는 분압저항(R2), (R3)을 통하여 시스템 콘트롤 마이콤(다)의 입력모드단자(MODE-IN)에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TR의 테이프 속도 직렬 변환회로.
KR2019870024518U 1987-12-31 1987-12-31 Vtr의 테이프 속도 직렬변환회로 KR9100094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4518U KR910009474Y1 (ko) 1987-12-31 1987-12-31 Vtr의 테이프 속도 직렬변환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4518U KR910009474Y1 (ko) 1987-12-31 1987-12-31 Vtr의 테이프 속도 직렬변환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505U KR890014505U (ko) 1989-08-10
KR910009474Y1 true KR910009474Y1 (ko) 1991-12-09

Family

ID=19271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4518U KR910009474Y1 (ko) 1987-12-31 1987-12-31 Vtr의 테이프 속도 직렬변환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947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505U (ko) 1989-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9474Y1 (ko) Vtr의 테이프 속도 직렬변환회로
US4571572A (en) Digital/analogue converter
KR910001826Y1 (ko) 영상신호 기록 재생장치의 트래킹 조정회로
KR930001753Y1 (ko) 비스(viss)검출회로
JPS6318216Y2 (ko)
JPH0346637Y2 (ko)
KR920000842Y1 (ko) Vtr에서의 s-vhs감지신호 발생회로
KR910003208Y1 (ko) 캠코더의 더빙연결장치
KR940000245Y1 (ko) 오디오 데크에서의 녹음, 재생시의 오동작 방지회로
KR920008562Y1 (ko) Vcr의 오디오 뮤팅회로
JP2552948Y2 (ja) リモコン回路
KR930004527Y1 (ko) 영상녹재장치의 신호처리 제어회로
JP2582502B2 (ja) 磁気テープ装置の記録電流設定方法
KR900008855Y1 (ko) 더블 데크 재생 제어 장치
KR910007642Y1 (ko) 더블아짐스 4헤드 제어회로
JPS6069851A (ja) 変速再生装置
SU1561212A2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от ошибок телеграфной аппаратуры с решающей обратной св зью
KR900000769Y1 (ko) 비데오 카세트 플레이어의 ntsc/pal방식 자동전환회로
JPH0528902Y2 (ko)
KR940002502Y1 (ko) 테이프 공란 자동검지 고속전진 제어회로
KR890000510Y1 (ko) 더블 데크 카세트의 더빙 제어회로
JPS6131372Y2 (ko)
JP2640869B2 (ja) ビデオ機器のモータ制御信号デコード回路
KR100209405B1 (ko) 오디오 및 비디오 출력 자동 절환 장치
KR930005604Y1 (ko) Vcr용 오녹화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1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