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745Y1 - 체육관 바닥의 네트장설용 지주의 고정구 - Google Patents

체육관 바닥의 네트장설용 지주의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745Y1
KR910008745Y1 KR2019880019842U KR880019842U KR910008745Y1 KR 910008745 Y1 KR910008745 Y1 KR 910008745Y1 KR 2019880019842 U KR2019880019842 U KR 2019880019842U KR 880019842 U KR880019842 U KR 880019842U KR 910008745 Y1 KR910008745 Y1 KR 9100087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frame
base plate
floo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98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2681U (ko
Inventor
카즈오 이시이
사토시 야마시타
히로유키 이시게
Original Assignee
세노 가부시키가이샤
세노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노 가부시키가이샤, 세노가즈오 filed Critical 세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26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26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7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7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3Supports, e.g. poles
    • A63B71/028Floor sockets for removable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 Floor Finish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체육관 바닥의 네트장설용 지주의 고정구
제1도는 본 고안의 고정구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프레임의 바닥면을 나타낸 저면도.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Ⅳ-Ⅳ선 단면도.
제5도는 제2도의 Ⅴ-Ⅴ선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뚜껑을 닫은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뚜껑의 작용설명을 나타낸 종단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뚜껑의 열린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폴 12 : 베이스 플레이트
12a : 긴구멍 12b : 중심구멍
12d : 여러개의 구멍 12f : 절결부
12g : 절결부 15 : 프레임
15a : 돌기부 15b : 걸림부
15c : 베어링면 15e : 요입부
15f : 베어링면 16 : 뚜껑
16a : 뚜껑편 16b : 뚜껑편
16c : 편부 16d : 절결부
16e : 핀 16f : 뚜껑부분
16g : 힌지 16i : 핀
본 고안은 체육관 바닥의 네트장설용 지주의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체육관 등의 바닥면에 배구, 테니스 및 배드민턴의 네트 장설용의 지주(폴)를 착탈자재케 세우기 위한 지주 입설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으로, 체육관 내에서 배구나 테니스를 할 경우 네트를 세우기 위해서는 경기장 바닥에 폴을 세우는데, 이러한 폴은 경기장 바닥에 뚫린 구멍에 분리가능하게 끼울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경기장 바닥은 다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체육관에서 배구나 테니스경기를 할 경우에는 먼저 폴을 바닥면의 일정한 위치에 묻혀있는 지주의 고정구에 끼운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고정구에는 구멍과 이 구멍을 밀폐시키는 뚜껑을 구비하고 있는 외부 프레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외부 프레임은 황동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다.
상기의 외부 프레임은 표면이 바닥이 윗면과 높이가 같도록 바닥에 묻혀있다. 또한, 상기 뚜껑은 상기 외부 프레임상에 장착되어 있고 이러한 뚜껑의 면은 뚜껑을 닫았을 때 높이가 바닥의 표면과 같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축이 바닥의 표면에 대해 수직인 앵커 소켓은 프레임의 바로 아래에 묻혀 있으며 보통 콘크리트 기초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의 앵커 소켓은 또한 스페이서에 의해 외부 프레임과 함께 견고히 고정되어 있으며 스틸 파이프와 같은 재질로 되어 있다.
보통 뚜껑과 외부 프레임의 접속에는 세가지 유형이 있다.
첫째는, 뚜껑이 프레임의 구멍에 꼭 끼워질 수 있고 또한 그 구멍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구조이다. 둘째는, 뚜껑이 프레임상의 핀에 의해서 선회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가능하게 개방 및 밀폐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세째는 뚜껑이 가이드를 따라 활주가능하게 개방되는 구조이다.
그런데, 이와같은 뚜껑은 개방할 때 프레임의 근처에서 바닥으로부터 돌출하기 때문에 경기하는 선수들의 발에 걸린 위험이 있다. 더욱이, 뚜껑을 닫을 경우 사람의 발에 의해 우연히 열릴 경우가 있고 공이 튀는 경우가 발생하여 열릴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지주 고정구는 운동경기시 선수들에게 위험성을 가져다 준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정구가 우연히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포함되어 있는 지주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본 고안의 목적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프레임상 뚜껑이 집합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지주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본 고안에 따른 지주 고정구는 서로 마주보는 양변폭 부근의 두 긴 구멍 그리고 폴을 수납하기 위한 중심구멍을 포함하는 것으로 바닥면에 고정되는 플레이트와 이 플레이트의 상면과 결합하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 하면의 베어링면을 맞물리기 위한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의 긴 구멍과 결합되어 중심구멍을 밀폐시키기 위한 뚜껑부위 그리고 상기의 폴을 수납하는 중심구멍과 결합된 폴 수납부위로 각각 구성되어 있으며, 한 쌍의 힌지부재가 갖추어져 있는 뚜껑으로 이루어져 있다.
위의 프레임 내부 둘레면상에 프레임 내부 둘레면에 있는 여러개의 돌기부와 뚜껑의 바닥면과의 마찰에 의해서 뚜껑의 움직임이 억제될 수 있도록 뚜껑의 바닥면을 맞물리는 여러개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위의 프레임에는 여러개의 돌기부가 그의 돌출 방향에서 밖을 향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도록 상기 돌기부와 인접한 각각의 요입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위의 프레임에는 상기 한쌍의 긴 구멍의 양 말단에 형성된 여러개의 절결부와 맞물릴 수 있는 각각의 걸림부가 있다.
위에서 플레이트, 프레임, 및 뚜껑은 대칭임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중심구멍에는 한쌍의 긴 구멍과 평행인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요입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위의 프레임의 저면에는, 프레임이 플레이트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의 상면에 있는 여러개의 구멍과 맞물리는 여러개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범위에 따르면, 바닥면 고정구는 서로 마주보는 양변쪽 부근의 한쌍의 제1구멍 그리고 실질적으로 중앙에 제2구멍이 있는 플레이트와 이 플레이트의 면과 결합되는 결합면이 있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 결합면과 맞물리기 위한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제1구멍의 하나와 결합하여 상기의 제2구멍을 밀폐시키는 제1부위 그리고 절단부위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의 제2구멍과 결합되어 하나의 구멍을 형성하는 제2부위로 각각 이루어져 있는 뚜껑으로 이루어져 있다.
위와같은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바닥면(1)에는 4각형인 베이스 플레이트(1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플레이트 지지체인 단부(段部)(2a)가 그 내부 둘레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에는 서로 마주보는 양변 부근에 한 쌍의 브래킷형 긴 구멍(12a)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중심에는 폴(11)을 수납하기 위한 중심구멍(12b)이 원형으로 뚫려져 있다.
또한, 4개의 구멍(12c)이 원형의 중심구멍(12b) 내부둘레 표면 근처에 형성되어 있고, 2개의 테이퍼면(12e)은 브래킷형 긴구멍(12a)의 내벽 그리고 원형의 중심구멍(12b)의 내부둘레면 근처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부호(12f)은 브래킷형 긴구멍(12)에 있는 4개의 절결부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원형의 중심구멍(12b)의 내벽에는 브래킷형 긴 구멍(12a)과 평행으로 두개의 절결부(12g)가 형성되어 있으며 원형의 중심구멍(12b)의 중심축을 지나 정반대로 마주보게끔 위치하고 있다.
실린더형 앵커 소켓(5)은 폴(11)의 단부를 수납할 수 있도록 4각형의 구멍(2)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콘크리트 기초(6)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4개의 실리더형 튜브(14b)는 4각형 홀더 플레이트(14)의 네 귀퉁이에 떼어낼 수 있게끔 배치되어 있으며 홀더 플레이트(14)는 앵커 소켓(5)의 상면에 용접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어 있다.
제1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2)는 4개의 나사(13)에 의해서 4개의 튜브(14b)를 통해 홀더 플레이트(14)에 고정되어 있으며 나사(13)는 4개의 구멍(12c)과 4개의 튜브(14b)를 통해 4개의 나사구멍(14a)내부로(제6도참조)들어간다. 결과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외부둘레부위는 플레이트 지지체인 단부(2a)에 의해서 견고하게 지지된다.
제1도 내지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부호(15)는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상면에 장착시킬 수 있는 4각형 프레임을 나타낸다.
이러한 프레임(15)의 외부둘레면 옆모양은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2)와 실질적으로 맞물린다. 또한 프레임(15)에는 여러개의 반원형 돌기부(15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각각은 여러개의 구멍(12d)에 끼워져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12)에 관해 프레임(15)의 수평이동을 억제하는 역활을 한다. 이러한 프레임(15)에는 또한 4개의 절결부(12f)와 맞물릴 수 있도록 4개의 L-형 걸림부(15b)가 그 4 귀퉁이 근처에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L-형 걸림부의 탭 부위가 베이스 플레이트(12)의 바닥면과 견고히 맞물린다.
그리고, 프레임(15)에는 원형의 중심구멍(12b)에 있는 2개의 절결부(12g)에 각각 마주 대하는 두쌍의 베어링면(15c)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두쌍의 베어링면(15f)이 네 귀퉁이에 형성되어 있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프레임(15)의 수평방향으로 밖을 향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방식으로 돌기부(15d)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프레임(15)에는 두쌍의 반구형 돌기부(15d)와 이 돌기부(15d)의 뒤에 두쌍의 요입부(15e)가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15)의 바닥면은 비록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상면과 맞물릴지라도 프레임(15)은 한 쌍의 브래킷형 긴 구멍(12a)과 한 쌍의 절결부(12g) 및 4개의 절결부(2f)를 덮지는 않는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부호(16)은 두 쌍의 핀(16e), (16i)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2)와 프레임(15)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유지되는 뚜껑을 나타낸다.
이러한 뚜껑(16)은 한쌍의 뚜껑편(16a), (16b)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뚜껑편(16a), (16b)은 반원형의 절결부(16d)가 형성된 편부(16c)와 원형의 중심구멍(12b)을 밀폐하는 뚜껑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뚜껑부분(16f)이다. 제6도 및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의 편부(16c)와 뚜껑부분(16f)는 그들 사이의 각이 예각이 될 수 있도록 힌지(16g)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편부(16c)와 뚜껑부분(16f)의 각 인접한 단부에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45°의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고 힌지핀(16h)에 대하여 선회한다.
제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한쌍의 편부(16c)가 베이스 플레이트(12)에 수평으로 놓여있는 동안, 두쌍의 베어링면(12)에 수평으로 놓여있는 동안, 두쌍의 핀(16e)은 두쌍의 베어링면(15c)과 맞물리고, 또한, 편부(16c)의 두 반원형 절결부(16d)에 의해 하나의 큰 원이 형성되며, 이러한 원의 직경은 앵커 소켓(5)의 내부둘레의 직경과 같거나 크다. 이와는 반대로,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한쌍의 뚜껑부분(16f)의 베이스 플레이트(12)에 수평으로 높여있을 때, 두쌍의 핀(16i)는 두쌍의 요입부(15f)와 맞물린다.
베이스 플레이트(12), 프레임(15) 및 뚜껑(16)은 금속이나 합성수지, 특히 엔지니어링 플리스틱과 같은 여러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4개의 L-형 걸림부(15b)가 4개의 절결부(12f)내로 들어가고 또한 뚜껑(15)의 핀이 프레임(15)과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사이에 형성된 일정한 각 안에서 움직이도록 프레임(15)과 뚜껑(16)이 상기의 베이스 플레이트(12)에 장착되었을 때, 그 상면의 레벨이 바닥면(1)의 레벨과 다르면 4개의 숫나사를 풀른 다음에 튜브(14b)에 의해 그 레벨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형태의 바닥면 고정구가 실린더형 폴에 대한 원형의 구멍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을지라도, 본 고안이 이러한 바닥면 고정구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로서, 본 고안의 바닥면 고정구는 4각형 폴에 대한 4각형 구멍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형태의 뚜껑(16)의 작용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뚜껑(16)의 한쌍의 뚜껑부분(16f)이 수평으로 배열될 때, 수직으로 늘어난 한쌍의 편부(16c)의 인접면은 서로 접합된다.
이러한 경우, 한쌍의 편부(16c)는 뚜껑부분(16f)이 튀어 올라와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프레임(15)에 있는 2쌍의 반구형 돌기부(15d)는 뚜껑부분(16f)의 단부를 걸리게 하는 걸림구의 역할을 한다.
결과적으로, 뚜껑(16)은 완전히 밀폐된 위치에서 효과적으로 유지된다.
제7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네트를 사용하는 경기장의 바닥면(1)에 폴(11)이 지지되는 동안 뚜껑(16)은 완전히 밀폐된 위치에서 완전히 개방된 위치로 이동한다. 뚜껑(16)은 이러한 이동은 제7도에서 기상선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수행되는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브래킷형 긴구멍(12a)에 인접한 한쌍의 뚜껑부분(16f)이 브래킷형 긴구멍(12a)내부로 들어가고, 이와 동시에 두 쌍의 핀(16i)이 두 쌍의 베어링면(15f)에서 분리된다. 따라서, 한쌍의 편부(16c)가 수직위치에서 수평위치로 움직일 때 한쌍의 뚜껑부분(16f)이 브래킷형 구멍의 내부로 들어가 밑으로 내려가게 된다.
이와같은 방식으로, 뚜껑(16)은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 위치하며, 이러한 위치에서 한쌍의 편부(16c)의 자유로운 단부는 제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서로 맞물리게 되고 반구형 구멍은 폴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의 큰 원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같은 리드 뚜껑(16)이 완전히 열린 위치에서 편부(16c)의 두쌍의 핀(16e)의 두쌍의 베어링면(15c)과 맞물리게 되고, 이러한 위치에서 한쌍의 뚜껑부분(16f)은 편부(16c)가 튀어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이, 프레임(15)에 있는 두 쌍의 반원형 돌기부(15d)는 편부(16c)의 측면과 맞물려 그들을 속박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에, 제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뚜껑(16)이 완전히 열린 위치에서 완전히 닫힌 위치로 움직일 때 편부(16c)의 접합된 단부가 아래 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그 다음에 뚜껑(16)의 이동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역으로 된다.
이상의 본 고안의 바람직한 형태가 테이스나 배구 등과 같은 체육관 내에서의 운동경기에 이용되는 폴 지지용 바닥 고정구에 관해 기술되어 있을지라도 본 고안의 범위가 이러한 바닥 고정구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부엌바닥 밑에 음식물을 저장하기 위하여 뚜껑이 달린 큰 상자에 하나의 도어로서 상기의 바닥 고정구 구조를 응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정신이나 기본적 특성을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위에서 기술한 것보다는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의해 규정된 모든 것에 관해 이해되어야 하며 첨부된 청구의 범위와 등가의 의미 및 범위에 드는 모든 변형을 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Claims (7)

  1. 서로 마주보는 양쪽변의 근방에 긴구멍(12a)을 형성함과 동시에 중심부에 폴(11)을 끼우기 위한 중심구멍(12b)을 형성한 베이스 플레이트(12)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상면에 결합되는 프레임(15)과, 이 프레임(15)에 형성된 베어링면(15c), (15f)에 끼워지는 핀(16e), (16i)을 가진 뚜껑(16)으로 되고, 이 뚜껑(16)은 상기 플레이트(12)에 형성된 긴구멍(12a)에 삽탈가능한 직교하는 이면을 힌지(16g)를 사이에 두고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그 일면은 뚜껑부분(16f)을 형성하고 다른면은 폴(11)을 끼울 수 있는 절결부(16d)를 형성한 편부(16c)를 형성하는 뚜껑편(16a), (16b)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육관 바닥의 네트장설용 지주의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15)내부 둘레면에 있는 여러개의 돌기부(15a)와 뚜껑(16)의 단면과의 마찰에 의해서 뚜껑(16)의 움직임이 억제될 수 있도록, 뚜껑(16)의 단면과 맞물리는 여러개의 돌기부(15a)가 프레임(15)에 형성된 체육관 바닥의 네트장설용 지주의 고정구.
  3. 제2항에 있어서, 여러개의 돌기부(15c)가 그 돌출방향에서 밖을 향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도록 상기 돌기부(16c)와 인접한 각각의 요입부(15e)가 프레임(15)에 형성된 체육관 바닥의 네트장설용 지주의 고정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긴구멍(12a)의 양단부에 형성된 여러개의 요입부(12f)와 맞물릴 수 있는 각각의 걸림부(15b)가 프레임(15)에 형성된 체육관 바닥의 네트장설용 지주의 고정구.
  5.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12), 프레임(15) 및 뚜껑(16)이 대칭형태인 체육관 바닥의 네트장설용 지주의 고정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긴 구멍(12a)과 평행이고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절결부(12g)가 중심구멍(12b)에 형성된 체육관 바닥의 네트장설용 지주의 고정구.
  7.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15)이 베이스 플레이트(12)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상면에 있는 여러개의 구멍(12d)과 맞물리는 여러개의 돌기부(15a)가 프레임(15)의 저면에 형성된 체육관 바닥의 네트장설용 지주의 고정구.
KR2019880019842U 1987-12-11 1988-12-01 체육관 바닥의 네트장설용 지주의 고정구 KR91000874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7188327U JPH0451823Y2 (ko) 1987-12-11 1987-12-11
JP87-188327 1987-12-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681U KR890012681U (ko) 1989-08-07
KR910008745Y1 true KR910008745Y1 (ko) 1991-11-04

Family

ID=16221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9842U KR910008745Y1 (ko) 1987-12-11 1988-12-01 체육관 바닥의 네트장설용 지주의 고정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922673A (ko)
JP (1) JPH0451823Y2 (ko)
KR (1) KR91000874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1579A (en) * 1988-08-05 1992-06-16 Portage Holding, Inc. Portable sectional flooring system with post support
US5392571A (en) * 1992-04-02 1995-02-28 Powerflor, Inc. Pedestal module for raised floor and raised floor
DE19503254C2 (de) * 1995-02-02 1998-07-02 Klemens Schaeper Deckelanordnung für eine Bodenhülse
DE19603533A1 (de) * 1996-02-01 1997-08-07 Klemens Schaeper Rahmen für eine Deckelanordnung für eine Bodenhülse
USD408355S (en) * 1998-01-26 1999-04-20 Steelcase Inc. Power and data interface module
USD433164S (en) * 1998-12-21 2000-10-31 Spina Jr Charles L Gymnasium floor
AUPP955099A0 (en) * 1999-03-31 1999-04-29 Cabscape Holdings Pty Ltd Access panel
US7510153B2 (en) * 2003-05-09 2009-03-31 Tapco International Corporation Single piece mounting frame
US8572910B2 (en) * 2003-05-09 2013-11-05 Tapco International, Inc. Cap-on-cap mounting block
US8152013B2 (en) * 2003-05-09 2012-04-10 Tapco International Corporation Universal mounting block system
US20060283141A1 (en) * 2005-06-17 2006-12-21 Peter Brandstrom Device and method for securing, including earthquake resistant securing of equipment cabinets
US7637470B2 (en) * 2007-06-04 2009-12-29 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Mounting mechanism for removable bollard
US9199186B2 (en) * 2010-09-21 2015-12-01 Xylem Water Solutions Zelienople Llc Underdrain flume plat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884520A (fr) * 1942-07-28 1943-08-19 Dispositif de retenue pour mâts amovibles, en bois ou en fer, de diverses épaisseurs
US3575372A (en) * 1968-11-29 1971-04-20 Madsen Mfg Ltd Floor socket
US4059934A (en) * 1976-09-03 1977-11-29 Senoh Kabushiki Kaisha Arrangement for fastening an upstanding post to a floorboard
US4520976A (en) * 1982-03-25 1985-06-04 Wright Line Inc. Cable bush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922673A (en) 1990-05-08
KR890012681U (ko) 1989-08-07
JPH0451823Y2 (ko) 1992-12-07
JPH0193070U (ko) 1989-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8745Y1 (ko) 체육관 바닥의 네트장설용 지주의 고정구
US5312109A (en) Soccer court
US5704188A (en) Post structure
CA1274217A (en) Rack assembly for elongated objects
CA2022870A1 (en) Tent movable between a collapsed position and a latched erect position
US5303932A (en) Game apparatus
US5037113A (en) Soccer training device
US3575372A (en) Floor socket
US3980299A (en) Tennis game apparatus kit
WO2007044658A2 (en) Boxing frame and systems thereof
US6471176B2 (en) Staff holder
KR102181409B1 (ko) 조립식 캣타워
US2921347A (en) Knockdown structure
US6406410B1 (en) Base for exercise
EP1755745B1 (en) Climbing tree
US5290028A (en) Impact absorbing base
US3366389A (en) Golf swing practice device
US4527697A (en) Display fixture
JPH09296618A (ja) 緊急対応簡易トイレ
US3583676A (en) Barricade
US20190350190A1 (en) Bait Station With Internal Weight
US6688995B2 (en) Apparatus for erecting and fixing a set of elements for the practice of games in courts with a net
JPH0713732Y2 (ja) 床金具
KR920005180Y1 (ko) 휴대용 네트 지지장치
KR910007316B1 (ko) 낚시를 위한 휴대용 조립식 좌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0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