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683B1 - 지하구조물에 있어서의 지하수 배수공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지하구조물에 있어서의 지하수 배수공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683B1
KR910008683B1 KR1019910014208A KR910014208A KR910008683B1 KR 910008683 B1 KR910008683 B1 KR 910008683B1 KR 1019910014208 A KR1019910014208 A KR 1019910014208A KR 910014208 A KR910014208 A KR 910014208A KR 910008683 B1 KR910008683 B1 KR 910008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water
pipe
underground
nonwoven fabric
dr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4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선종
Original Assignee
삼성종합건설 주식회사
박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종합건설 주식회사, 박기석 filed Critical 삼성종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14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86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6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지하구조물에 있어서의 지하수 배수공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구조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부분 확대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유공관이 드레인파이프를 향하여 하향구배를 갖게 설치된 상태를 보인 일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방수막 2, 2' : 부직포
3 : 드레인코아 4 : 유공관
5 : 드레인파이프 6 : 집수정
7, 7' : 되메우기층 8 : 흙막이
9 : 자갈층 10 : 지하수위면
11 : 방수막 보호재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에 있어서의 지하수 배수공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지하수 배수공법은 구조물의 외벽 하부에 매설되는 유공관 상부에 마대로 감싼 자갈을 적층시켜 시공하게 되므로 골재난으로 인해 골재 구입에 어려움이 따르며 골재구입에 따른 재료비에 있어서 비경제성이 초래되며 이러한 마대로 감싼 자갈을 적층시공시 구조물의 외벽의 작업 공간이 좁고 깊어 작업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작업을 인력에 의존해야 하므로 시공비가 상승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지하수 배수공법으로 시공된 배수장치는 지하구조물이 지하 수위에 의한 수압의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지하수위면을 일정하게 조절하지 못하여 지하수위가 높아지는 경우 지하구조물의 안전성과 방수에 대한 안정성에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며 통상적인 지하수 배수공법은 지표면의 지표수가 지하로 침투시 배수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지하구조물의 깊이가 깊은 경우 지하에 존재하는 지하수맥에 지하구조물이 영향을 주어 발생되는 지하수위면의 상승에 대한 배수에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지하구조물의 지표면에 통과한 지하수가 드레인코아를 따라 유공관을 통해 집수정으로 집수되며 지하구조물에 의해 영향을 받은 지하수맥으로부터 발생되는 지하수의 지하수압으로부터 안전성을 고려하여 설정된 지하수면과 같은 위치에 설치되는 유공관과 일측에 포설된 부분적인 자갈층에 의하여 항상 일정한 지하수면을 유지하도록 하고 시공이 용이하여 시공비가 적게 들며 강제 배수가 아닌 자연 배수 형태이므로 관리소홀로 인한 사고의 위험성이 없으며 물탱크와 양수기가 건물 내부에 고장시 즉시 수리가 가능하며 관리가 용이한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서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수처리된 지하구조물의 외벽중 지하 밑바닥에서 수위저하를 요하는 지하수위면(10)까지 방수막(1)으로 방수처리된 외부면에 두께 40mm정도의 방수막 보호재(11)를 정착시켜 흙막이(8)와 방수막 보호재(11) 사이의 공간중 지하수위면(10)으로부터 하향 10cm 정도까지의 공간을 토사로 되메우기하여 되메우기층(7) 다짐을 한 후 높이 1.6M 정도의 자갈층을 감싸 덮을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갖는 부직포(2)를 되메우기층(7)위에 깔고 벽면쪽 되메우기층(7)위에 5%정도의 유공율을 갖는 ø400 유공관(4)을 설치한다.
이 유공관(4)에는 지하구조물 내부에 설치되는 집수정(6)과 연통된 ø150 드레인파이프(5)를 연결하게 되는데 드레인파이프(5)가 유공관(4)에 연결되는 위치는 수위저하를 요하는 지하수위면(10)의 높이와 같은 위치로 유공관(4)에 연결하게 되며 유공관(4)에 연결하게 되며 유공관(4)은 유공관(4)에 연결되는 드레인파이프(5)를 향하여 1%정도의 하향구배를 갖도록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지하수위면(10)의 높이와 같은 위치의 유공관(4) 일측부분에 드레인파이프(5)를 연결하는 것은 ø400인 유공관(4)과 드레인파이프(5)가 연결되는 위치에 따라 유공관(4)에 집수되는 지하수가 드레인파이프(5)로 배수되는 배수면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드레인파이프(5)와 유공관(4)이 연결되는 부분의 높이를 안정된 지하수위로 설정된 지하수위면(10)과 같은 높이의 위치에 연결시키게 되면 유공관(4)내에 집수된 지하수위도 지하수위면(10)을 넘지 못하고 항상 안정된 지하수위면(10)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유공관(4)을 드레인파이프(5)를 향하여 1%정도 하향구배를 갖도록 설치하는 것은 유공관(4)에 집수된 지하수가 신속하게 드레인파이프(5)로 배수되게 하기 위한 기울기인 것이다.
지표면 상단으로부터 유공관(4) 위치까지 방수처리된 구조물 외벽에, 일측면이 요철면으로 형성된 드레인코아(3)의 타측면 즉 평면쪽을 접착시킨 후 요철면에 부직포(2')를 밀착고정하고 계속해서 부직포(2')로 유공관(4)까지 감싸준다.
이와 같이 부직포(2')로 유공관(4)을 감싸주는 것은 불순물이 유공관(4)의 유공을 막아 집수에 영향을 준다든지 불순물이 유공관(4)을 통해 침투되어 집수나 배수과정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되메우기층(7)위에 깐 부직포(2)면위에 자갈층(2)을 1.6M 정도의 두께로 포설하여 부직포(2)로 자갈층(2)을 덮어 감싼다. 이렇게 부직포(2)로 자갈층(2)을 덮어 감싸는 것은 불순물이 자갈층의 자갈과 자갈사이의 틈새에 침투된 경우에는 자갈층의 배수능력이 현저하게 저하되므로 자갈층의 배수능력을 유지시키기 위해 불순물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 위에 일반사질토로 되메워 되메우기층(7')으로 층다짐한다.
상기와 같은 공법으로 시공되는 본 발명은 입도를 조정한 골재로 시공하지 않으므로 재료비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도조정된 골재를 부직포로 감싸 적층시키는 시공의 복잡성 및 비능율성을 극복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시공비의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표수를 집수하여 배수함과 동시에 깊은 지하구조물로 인해 지하수맥이 영향을 받아 발생되는 지하수를 신속하게 집수하여 배수시키므로서 지하수면을 항상 안전한 수위로 조절하여 지하수압으로부터 지하구조물의 안전성 및 방수에 대한 안정성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 것이다.

Claims (2)

  1. 구조물의 지하 밑바닥에서 지하수위면의 하향 10cm 정도까지 되메우기층으로 다짐을 한 후 그위에 부직포를 깔고 벽면측 되메우기층위 지하수위면에는 유공관을 설치하여 집수정으로 연통되는 드레인파이프를 연결하고 지표면에서 지하수위면까지의 구조물 외벽에 통상의 드레인코아의 평면쪽을 접착시키며 전면 요철면에는 부직포를 밀착고정하여 유공관까지 감싸고 되메우기 층위에 부분적인 자갈층을 포설하여 부직포로 감싼 후 일반사질토로 되메우기 다짐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에 있어서의 지하수 배수공법.
  2. 구조물의 지하수위면(10) 하향 10cm정도까지 되메운 되메우기층(7)에 부직포(2)를 깔고 그 위에 벽쪽으로 5%정도의 유공율을 갖는 유공관(4)을 드레인파이프를 향하여 1%정도의 하향구배를 주어 지하수위면(10)과 같은 높이의 위치에 연결부가 위치하게 드레인파이프(5)와 연결하고 드레인파이프의 끝단은 건물내 집수정에 연결토록 하며 구조물 외벽면에는 지하수위면까지 통상의 드레인코아의 평면쪽을 접착하고 전면 요철부에는 부직포를 밀착고정하며 되메우기층(7)위의 부직포(2)위에 1.6m의 두께로 자갈층(2)을 포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에 있어서의 지하수 배수장치.
KR1019910014208A 1987-08-24 1991-08-14 지하구조물에 있어서의 지하수 배수공법 및 장치 KR910008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4208A KR910008683B1 (ko) 1987-08-24 1991-08-14 지하구조물에 있어서의 지하수 배수공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70014080 1987-08-24
KR1019910014208A KR910008683B1 (ko) 1987-08-24 1991-08-14 지하구조물에 있어서의 지하수 배수공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683B1 true KR910008683B1 (ko) 1991-10-19

Family

ID=26627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4208A KR910008683B1 (ko) 1987-08-24 1991-08-14 지하구조물에 있어서의 지하수 배수공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868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0080A (en) Process for the construction of a drain system
CN101225656B (zh) 超软弱土浅表层快速加固方法
US4024719A (en) Reinforced road foundation and method for making said road foundation
KR100721225B1 (ko) 연약지반의 간극수 배수구조 및 배수방법
JP4051666B2 (ja) 水底軟弱地盤の圧密改良工法
CN103243704A (zh) 一种浅层淤泥地基处理方法
KR910008683B1 (ko) 지하구조물에 있어서의 지하수 배수공법 및 장치
CN108547315B (zh) 潮湿地带地下室施工方案
CN206477347U (zh) 地下室的蓄水结构
CN210712967U (zh) 地下室抗渗抗浮结构
CN203977434U (zh) 深厚淤泥质软土地区的基坑围护结构
CN209353360U (zh) 地下室结构的抗浮排水装置
CN210086317U (zh) 一种渗滤液检漏收集结构
JP4055184B2 (ja) 水底軟弱地盤の減容化工法
JP3325924B2 (ja) 地下貯留浸透施設の構造
JP2001182046A (ja) 圧密促進方法
CN215817445U (zh) 直埋线缆或管道的主动防护结构
KR100658559B1 (ko) 배수판 및 유공관을 이용한 배수 장치
KR200322969Y1 (ko) 지하수 배수촉진장치
JPH08302661A (ja) 噴砂防止マット工法
JP3554908B2 (ja) 遮水シート設置方法
CN211571760U (zh) 一种预制截水渗沟
JPS61134434A (ja) コンクリ−ト擁壁工法
JPH0441213B2 (ko)
JP2705372B2 (ja) 廃棄物処分場における漏水防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2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