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649Y1 - 범용성 관절구의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범용성 관절구의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649Y1
KR910008649Y1 KR2019890002572U KR890002572U KR910008649Y1 KR 910008649 Y1 KR910008649 Y1 KR 910008649Y1 KR 2019890002572 U KR2019890002572 U KR 2019890002572U KR 890002572 U KR890002572 U KR 890002572U KR 910008649 Y1 KR910008649 Y1 KR 9100086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hole
piece
groov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25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7319U (ko
Inventor
오상진
박만수
Original Assignee
오상진
박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진, 박만수 filed Critical 오상진
Priority to KR20198900025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8649Y1/ko
Publication of KR9000173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73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6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6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범용성 관절구의 각도 조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a도, 제2b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횡단면 구성도로서 제2a도는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각도조절을 할수 있는 상태), 제2b도는 회전될수 없는 상태(각도조절을 한후 고정시킨상태).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을 독서대에 적용한 실시예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을 전기 스탠드에 적용한 실시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관절구 2 : 부착편
3 : 본체 4 : 고정편
5 : 요철부 6 : 회전봉
7 : 관통공 8 : 요입홈
9 : 판스프링 11 : 작동홈
12 : 작동구 15 : 작동편
18 : 축봉 19 : 작동레버
본 고안 각종아암을 연결하거나 아암과 기구(독서대, 전기스탠드)를 연결하기 위한 관절구에 있어서, 그 관절구의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유동됨이 없이 고정토록 할수도 있는 범용성 관절구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동이 보다 원활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한 반면에 고장율을 적게하여 그 사용수명이 배가되게 하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암과 아암이나 아암과 기구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연결구가 필요할 경우와 관절구가 필요할 경우가 있는데, 연결구는 단순히 아암과 아암이나 아암과 기구를 연결하기 위한 수단일뿐 별다른 장치를 부여받지 못하였으며, 관절구는 아암과 아암이나 아암과 기구를 연결할 뿐만아니라 아암의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수 있도록한 장치까지 부여받게된 것으로, 이러한 관절구의 종래 조절장치는 대부분이 일측에서 나사식 손잡이를 조여 조절하는 방식이 거의 주종을 이루게 된것이나, 이같은 방식의 관절구는 잦은 사용시나 혹은 장기간이 경과시 나사식 손잡이가 이완되거나 녹이 슬게되어 그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음과 아울러 쉽게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내재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한 관절구의 작동이 보다 원활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되, 견고성 또한 부여하여 잦은 사용 혹은 장기간이 경과시에도 고장 또는 파손됨이 없게 하려함에 주목적이 있는 것이고, 그 적용범위는 아암을 가진 모든 기구의 관절부위에 사용할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독서대와 전기스탠드를 일예로 하여 이해를 돕기로 하여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로서 부착편(2), 본체(3), 고정편(4)으로 분할되는 관절구(1)중, 부착편(2)의 일측에는 주면상에 요철부(5)를 형성한 회전봉(6)을 일체화시키되, 이 회전봉(6)이 본체(3)의 관통공(7)내에 관설되어지면서, 관통공(7)일측의 요입홈(8)에 탄지된 판스프링(9)의 돌부(10)이 주면 요철부(5)가 접촉되게끔 하였으며, 관통공(7)타측으로는 작동홈(11)을 형성하여 작동구(12)가 삽설되게끔 하되, 작동구(12)는 상협하광 형상으로 하여 상협부(13)와 하광부(13')로 형성되게 한것이다.
또한, 관통공(7)의 요입홈(8)과 작동홈(11)은 서로 관통시켜 내부로 장방형홈(14)을 형성하고 그 내면에 작동편(15)이 끼워지게 하며, 작동편(15)의 일측 및 타측은 판스프링(9)및 작동구(12)에 접동되게하고, 고정편(4)은 상기한 상태에서 본체(3)의 일측면 즉, 부착면(2)의 타측에 나사못으로 고정되어지되, 일측의 축공(16)이 회전봉(6)의 축공(17)과 일치되어지면서 단부에 나선이 형성된 축봉(18)이 축공(16)과 축공(17)을 관통하여 회전봉(6)에 고정되어지는 것이며, 타측에는 작동레버(19)가 결합되는 요입부(20)가 형성되어 요입부(20)상의 장공(21)에 작동레버(19)의 돌기(22)가 끼워지면서 그 단부가 작동구(12)의 홈(23)내로 결합 고정되어지는 것이고, 작동레버(19)의 배면에는 상, 하로 볼홈(24)이 형성되어 요입부(20)중간의 홈(25)에 관설된 코일스프링(26)으로 탄지된 볼(27)이 접동되어지게 한 구성으로, 도면중 미설명부호(28)은 아암, (29)는 독서대, (30)은 책꽂이, (31)은 스탠드, (32)는 책상, (33)은 부착편(2)을 아암(28)및 기구에 부착시키기 위한 홀이다.
위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2a도에서와 같이, 작동홈(11)상의 작동구(12)가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되었을시, 부착편(2)을 상, 하로 회전시킬수 있어 각도조절이 자유로워지는 것인데,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는 장방형홀(14)에 끼워진 작동편(15)이 판스프링(9)과 작동구(12)사이에서 유동이 가능하게끔 되어있어 즉, 작동편(15)이 작동구(12)의 상협부(13)에 접하게 되어 그 사이의 공간이 있으므로해서 회전봉(6)이 축봉(18)을 기점으로 "딱딱"소리를 내면서 회전을 하게되는데 이는 회전봉(6) 주면상의 요철부(5)에 판스프링(9)의 돌부(10)가 접동되어 있어 단계적인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와는 반대로 제2b도에서와 같이 작동구(12)가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되었을시는 작동구(12)의 하광부(13')에 작동편(15)이 밀착되어 지되, 그 일측은 판스프링(9)의 돌부(10)배면을 밀착케되어 즉, 작동편(15)이 판스프링(9)과 작동구(12)의 사이에 완전밀착되어 한치의 공간이 없게되므로 회전봉(6)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같은 상태는 모두 작동레버의 동작으로 이루어지는데 작동레버(19)를 위로 밀면 작동구(12)의 하광부(13')가 작동편(15)의 타측을 밀게되어 그 일측이 판스프링(9)의 돌부(10)배면을 밀착케되어 본체(3)와 부착편(2)간의 회전이 이루어지지않고, 반대로 작동레버(19)를 아래로 밀면 작동구(12)의 상협부(13)가 작동편(15)의 타측상에 위치케되어 작동편(15)이 판스프링(9)과 작동구(12)사이에서 유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본체(3)와 부착편(2)간에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되, 단계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작동레버(19)는 요입부(20)상의 볼(27)에 배면 상, 하볼홈(4)이 접동되어지므로 그 동작감각을 느낄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각도조절이 회전봉 주면의 요철부와 판스프링의 돌부간의 접동으로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며, 조절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더이상 회전됨이 없게하기 위하여 작동구가 작동편의 타측을 밀착케하고 작동편의 일측은 다시 판스프링의 돌부 배면을 밀착케하여 고정이 되는 것으로 각도조절 및 고정이 보다 원활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짐과 아울러 모든 조절장치가 내부에서 이루어지므로 고장이 거의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되어지는 것이고 아암을 가진 모든기구의 관절부위에 광범위하게 적용되어지므로 그 사용범위가 폭넓은 등 이 고안에서 의하여 달성되는 효과가 매우 큰것이다.

Claims (1)

  1. 관절구(1)가 부착편(2), 본체(3), 고정편(4)으로 분할되어, 부착편(2)일측에는 주면상에 요철부(5)를 형성한 회전봉(6)을 일체화시키되, 이 회전봉(6)이 본체(3)의 관통공(7)내에 관설되면서, 관통공(7)일측의 요입홈(8)에 탄지된 판스프링(9)의 돌부(10)에 주면요철부(5)가 접촉되게 하며, 관통공(7)타측으로는 작동홈(11)을 형성하여 작동구(12)가 삽설되게끔 하되, 작동구(12)는 상협부(13)와 하광부(13')로 형성되게 하고, 관통공(7)의 요입홈(8)과 작동홈(11)은 서로 관통시켜 내부로 장방형홈(14)을 형성하되, 그 내면에 작동편(15)이 끼워지게 하며, 작동편(15)의 일측 및 타측은 판스프링(9)및 작동구(12)에 접동시켜 상기한 상태에서 고정편(4)을 본체(3)의 일측면에 나사못으로 고정시키되, 일측의 축공(16)이 회전봉(6)의 축공(17)과 일치되면서 단부에 나선이 형성된 축봉(18)이 축공(16)과 축공(17)을 관통하여 회전봉(6)에 고정되는 것이며, 타측에는 작동레버(19)가 결합되는 요입부(20)가 형성되어 요입부(20)상의 장공(21)에 작동레버(19)의 돌기(22)가 끼워지면서 그 단부가 작동구(12)의 홈(23)내로 결합고정되게 하고, 작동레버(19)의 작동레버(19)의 배면에는 상, 하로 볼홈(24)을 형성하여 요입부(20)중간의 홈(25)에 관설된 코일스프링(26)으로 탄지된 볼(27)이 접동되어 지게함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성 관절구의 각도 조절장치.
KR2019890002572U 1989-03-06 1989-03-06 범용성 관절구의 각도 조절장치 KR9100086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2572U KR910008649Y1 (ko) 1989-03-06 1989-03-06 범용성 관절구의 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2572U KR910008649Y1 (ko) 1989-03-06 1989-03-06 범용성 관절구의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319U KR900017319U (ko) 1990-10-05
KR910008649Y1 true KR910008649Y1 (ko) 1991-10-26

Family

ID=19284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2572U KR910008649Y1 (ko) 1989-03-06 1989-03-06 범용성 관절구의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864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319U (ko) 199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1822A (en) Shade operator
JPS6212446A (ja) スライドするキヤツプを備えたワイパア−ム
EP0943344B1 (en) Vaporizer for a liquid insecticide or perfume composition, with regulation of the intensity of the heat flow
KR910008649Y1 (ko) 범용성 관절구의 각도 조절장치
US4247886A (en) Swivel joint for a light
US6270238B1 (en) Durable pivotal connecting device for table lamp
US4713737A (en) Electrical lighting fixture with multiple rotation mechanism
JP3559300B2 (ja) 照明器具用自在継手
KR840008975A (ko) 다이어프램 가스 개량기용 조정식 탄젠트 조립체
JPH027188Y2 (ko)
US4736657A (en) Adjusting tool
JPH0446327Y2 (ko)
JPS632001Y2 (ko)
CN211976684U (zh) 一种象鼻灯
JPH0613249B2 (ja) 調節装置
JPH0648658Y2 (ja) 照明器具
KR100516309B1 (ko) 전위차계
DE50013351D1 (de) Scharnier mit zwei relativ zueinander um eine gemeinsame Drehachse verdrehbaren Scharnierteilen
JPH0745844Y2 (ja) 電気器具の自在ヒンジ
JPS5941535Y2 (ja) 連結装置
JPH0418028Y2 (ko)
JPS5936802Y2 (ja) 螢光灯スタンド
JPH0446328Y2 (ko)
JPH04504327A (ja) 照明取付け具
RU200244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реплени чертежной доски к стол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