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646B1 - 새로운 다당류계 생물 고분자 물질 및 그 제법 - Google Patents

새로운 다당류계 생물 고분자 물질 및 그 제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646B1
KR910008646B1 KR1019890008029A KR890008029A KR910008646B1 KR 910008646 B1 KR910008646 B1 KR 910008646B1 KR 1019890008029 A KR1019890008029 A KR 1019890008029A KR 890008029 A KR890008029 A KR 890008029A KR 910008646 B1 KR910008646 B1 KR 910008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saccharide
derivative
acid
concentration
prote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8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1066A (ko
Inventor
엠. 리보 제.
김정희
최준호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이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이상수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19890008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8646B1/ko
Priority to US07/501,047 priority patent/US5064759A/en
Priority to FR9007075A priority patent/FR2648148B1/fr
Priority to JP2152525A priority patent/JPH0778078B2/ja
Publication of KR910001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Heter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more than one sugar residue in the main chain in either alternating or less regular sequence; Gellans; Succinoglycans; Arabinogalactans; Tragacanth or gum tragacanth or traganth from Astragalus; Gum Karaya from Sterculia urens; Gum Ghatti from Anogeissus latifolia;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04Polysaccharides, i.e.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bo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215Microorganisms
    • Y10S435/822Microorganisms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새로운 다당류계 생물 고분자 물질 및 그 제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당류계 생물 고분자 물질의 자외선 분광 스펙트럼.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당류계 생물 물질의 적외선 스펙트럼.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당류계 생물 고분자 물질과 표준시료의 겔 침투 크로마토그라피의 전개 모습을 나타낸 그라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당류계 생물 고분자 물질의 결정 그라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당류 용액의 전단 (교반) 속도와 전단 응력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라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당류 용액의 전단(교반) 속도와 점도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라프.
본 발명은 미생물을 이용하여 탄소원과 에너지원으로 메탄올을 기질로 하여 발효시켜 제조한 새로운 다당류계의 생물 고분자 물질과 그 제법에 관한 것이다.
미생물 발효를 통하여 제조되는 다당류계 생물 고분자의 가장 대표적인 것은 포도당 등의 탄수화물을 기질로 하여 제조한 크산탄(xanthan)이 있다. 크산탄은 화학적으로 포도당, 만노스, 그리고 클루쿠론산으로 조성되어 있는데, 그 분자량은 약 200만 달톤(dalton)에 이른다. 이것은 용액류에 소량만 첨가하여도 그 점도가 매우 증가되므로, 용액류의 점도 증진제, 고체 분말 입자의 현탁성 증진제, 그리고 2차 원유 회수 공정에서의 수율 증가제 등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ACS Symposium Series No. 45, 144-160, 1977). 상기 크산탄의 제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dv. Appl. Microbiol. 23, 19-49, 1978). 즉 기질로서 탄소원 및 에너지원인 포도당이나 자당 등의 탄수화물 2-5%, 질소원인 알콜 발효 슬러리로부터 추출하여 건조시킨 불말 0.8%, 인산염 0.5%, 그리고 마그네슘 0.01%를 함유한 배지 내에서 크산토모나스 캄페스트리스(Xanthomonas campestris)를 사용하여 pH 6.8, 온도 25-35℃ 부근에서 2-4일 발효시키면, 소비된 탄소원의 50-70%의 수율로 다당류인 크산탄이 생산된다. 그러나, 비교적 고가의 탄수화물 계통의 당을 기질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저렴한 탄소원을 이용할 수 있는 공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값이 저렴하며(5-70원/kg) 전세계적으로 매년 백만톤 이상 과잉 생산되고 있는 C1-화합물의 일종인 메탄올을 사용하여 새로운 생물 고분자를 제조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은 새로운 다당류는 자연계에서 생물체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용이하게 분해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시 난분해성의 화학 합성 고분자와는 달리 공해 문제가 전혀 일어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잇고, 또 기질로서 현재 세계적으로 가장 값이 싼 메탄올을 사용하기 때문에, 생산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용도는 식품 공업과 석유 화학 공업 등에서 점도 증진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겔(gel) 형성시 수분의 흡수량이 많기 때문에, 흡수제나 겔 형성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
본 발명에 의한 새로운 다당류계 생물 고분자는 통성(通性) 메틸로트로프(facultative methylotroph) 메틸로박테리움 오르가노필름(Methylobacterium organophilum) 또는 이 균주를 통상적인 돌연변이법으로 변이시켜 얻은 변이주를 사용하여, 배양기내에 탄소원으로서 메탄을 용액을 간헐적으로 첨가하여 배약기 내의 메탄올의 농도를 0.2-1.0%정도로 유지시키고 질소원으로는 암모늄염, 질산염, 요소 등의 무기원이나 효모 엑기스, 펩톤(peptone), 카사미노산(casamino acid)등의 유기원을 0.02-0.5%, 또 인산염 0.05-0.2%, 및 0.01%미만의 마그네슘 및 칼슘 등의 원소가 미량 함유된 배지에서 2-4일간 배양하였다. 이때 다당류의 전구 물질로서 포도당, 만노스, 갈락토스 또는 숙신산염 등을 0.5%정도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미생물 메틸로박테리움 오르가노필룸은 자유로이 분양 및 입수가능한 상태에 있는 공지된 균주로서 미합중국 미생물 보존 기관인 ATCC로부터 ATCC 27886의 번호로 또는 영국의 미생물 기관인 NCIB로부터 NCIB 11278의 번호로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다.
미생물 발효 조건은 살균된 배지에 상기 균주 메틸로박테리움 오르가노필룸을 접종한 다음, pH 5-8 및 온도 25-37℃로 하고, 배양액내의 용존 산소가 포화 농도의 10-50%정도가 되도록 유지하기 위하여 통기량 0.2-2.0vvm 및 교반 속도 300-1,000rpm의 교반 조건하에서 통상의 회분 발효 공정 또는 이단식 회분 발효 공정, 또는 유가식 발효 공정에 의하여 발효를 수행하였다.
위와 같은 배양 과정을 수행한 뒤 통산적인 방법으로 배양약내의 미생물을 원심 분리기로 제거하고, 아세톤, 에탄올 또는 메탄올과 같은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생산된 다당류를 침전시킨 후 탈염(脫鹽)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순수하게 분리하였다. 분리 - 정제 과정을 거친 후 건조하여 얻은 다당류계 생물 고분자의 구성성분 및 성질은 아래와 같았다.
1) 원소 분석 결과, 탄소는 25-35%, 질소는 0.2-1.0%, 수소는 3-6%, 산소는 35-50%, 그리고 회분이 5-30% 확인되었다.
2) 자외선 분광계로 조사한 결과, 핵산은 없으나, 단백질이 존재함이 확인되었다.(제1도).
3) 적외선 분광계로 조사한 결과, 원래 당에 포함되어 있는 그룹이외에 아민기(3400-3500cm-1), 아미노기(1610-1655cm-1), 및 케톤기[1710-1740cm-1(C=O), 1050-1090cm-1(C-O)]가 존재함이 확인되었다(제2도).
4) 페놀-황산법으로 분석한 결과, 유기물의 총함량은 건조 중량의 70-95%로서 유기물은 단백질 2-10%[로리(Lowry)법] 및 유기산 5-15%(피루브산 : 유론산 : 초산 = 4 : 8 : 1)와 나머지는 탄수화물로 구성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5) TLC 와 HPLC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탄수화물은 글루코스 20-40%, 갈락토스 30-50%, 그리고 만노스 20-35%로 구성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6) 오콘(Ocon)등의 분석법에 의하여 확인한 결과, 폴리히드록시 부티르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7) 다당류의 분자량은 겔 침투 크로마토그라피(gel permeation chromatoraphy)에 의하여 결정한 결과, 약 2-6×106달톤이었다. 지금까지 가장 잘 알려진 크산탄의 분자량이 5-20×106달톤, 풀룰란(pullulan)의 분자량이 1-5×105달톤인 것에 비하면, 본 발명에 의한 신규의 다당류계 생물 고분자의 분자량이 월등히 높다(제3도 및 제4도).
8) 본 발명에 의한 신규의 다당류계 생물 건조 시료를 다시 pH 6-8의 증류수에 용해시켜 얻은 0.1-1% 다당류 용액의 점성 특성은 비뉴톤성으로서 전형적인 가짜 플라스틱(pseudo-plastic) 성질을 나타내며, 겉보기 점도는 용액중의 상기 생물 고분자의 농도의 증가에 따라 현저하게 증가한다(제5도 및 제6도). 실례로서 1% 용액의 경우 겉보기 점도는 전단 속도가 1sec-1일 때 약 18,000cp로서 같은 농도의 크산탄 용액의 점도보다는 약 10배, 그리고 풀룰란 용액의 점도보다도 약 200배 가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9) 용액의 pH 및 온도에 대한 안정성을 조사한 결과, pH 2-13 및 온도 15-60℃까지는 용액의 점성 특성 및 겉보기 점도는 전혀 변함 없이 안정하였으며,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뉴톤성으로 변하며, 점도 역시 현저히 감소하였다.
10) 본 발명에 의한 다당류 용액에 1또는 2가의 금속 이온을 가하면 겔이 형성되는데, 이때 다량의 수분이 흡수된다. 실례로서 약 1M의 소금을 넣으면, 겔이 형성되면서 약 300-500배 가량의 물을 흡수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다당류계 생물 고분자의 화학조성 성분과 분자량, 그리고 그 용액의 점성 및 겔 형성능으로 보아, 상기 다당류계 생물 고분자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신규의 물질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다당류계 생물 고분자를 공지된 방법에 따라 화학적으로 변형시키면, 다음과 같은 유도체, 즉 발명에 의한 다당류계 생물 고분자를 공지된 방법에 따라 화학적으로 변형시키면 다음과 같은 유도체, 즉 1) 아실화 유도체, 2)카르복시메틸화 유도체, 3) 메틸화 유도체, 4)프로필렌글리콜 에스테르 유도체, 5) 히드록시 프로필 유도체 및 6)캐치온(cation) 유도체 등을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생물에 의하여 발효 생산되는 고분자 물질을 일반 고분자 화합물 또는 유기 화합물처럼 분자의 구조에 따른 명명(命名)을 할 수 없기 때문에, 그 물질을 만들어 내는 미생물 이름의 일부를 따고 그 끝에 접미사(接尾辭)로서 "an"을 붙이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크산탄(xanthan)은 미생물명인 크산토모나스 캄페스트리스(Xanthomonas campestris)에 있어서의 "xanth"에 "an"을 붙인 것이고, 풀룰란(pullulan)은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룰란스(Aureobasidium pullulans)의 마지막 부분을 이용한 명명이다. 이러한 통례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의한 다당류계 생물 고분자를 "메틸란"(methylan)이라 부르기로 하였다.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다음의 성분,
Figure kpo00001
으로 조성된 배지를 121℃에서 15분간 살균하여 메탄올 0.5%(v/v)를 혼합한 다음, 메틸로박테리움 오르가노필룸의 종자 배양액 10%를 접종하였다. 이 배지를 30℃에서 10% KOH용액을 사용하여 pH 7.0로, 그리고 용존 산소는 30%이상으로 유지하면서 약 600rpm에서 2일간 배양을 수행하였다. 배양이 끝난 뒤 배양액을 원심 분리하여 미생물을 제거하고, 2배량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전을 얻고, 이를 건조하여 약 0.6g/ℓ의 다당류를 얻었다. 분리한 다당류의 구성 성분은 다음과 같다.
글루코스 : 18.7%
갈락토스 : 28.2%
만노스 : 18.5%
단백질 : 4.8%
유기산 : 10.0%(피부르산 : 유로산 : 초산=4 : 8 : 1)
화분 : 22.2%
[실시예 2]
실시예1의 방법을 반복 실시하되, 메탄올 0.5% 대신에 1.0%(v/v)를 가하여 1.2g/ℓ의 다당류를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2의 방법을 반복 실시하되, 포도당 5.0g/ℓ를 첨가하여 다당류 2.0g/ℓ를 얻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을 반복 실시하되, 질소원으로 효모엑기스 0.5g/ℓ를 사용하여 1.5g/ℓ의 다당류를 얻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의 조건에서 유가식 배양 방법으로 연속적으로 또는 매 5-10시간마다 메탄올을 첨가하여 실제 배양기내의 메탄올의 농도를 0.5% 미만으로 되게 유지하면서 3-4일간 배양한 결과, 다당류 4.6g/ℓ가 생산되었다.
[실시예 6]
실시예 5의 방법에서 종자 배양액 100%를(원심 분리기로 세포만 농축시켜 사용) 접종한 후, 10% 암모니아 용액을 사용하여 pH 7.0으로 유지시키면서 10-20시간 배양한 결과, 다당류 약 10g/ℓ가 생산되었다.
[실시예 7]
실시예 5에서 세포의 농도가 5-6g/ℓ에 도달했을 때 회석률 0.1hr-1로 연속 발효 공정을 수행하여 약 2일 후에 3.0g/ℓ의 다당류를 얻었다.

Claims (7)

  1. 아래의 성질을 갖는 다당류계 생물 고분자 물질 또는 그의 유도체.
    분자량 : 2-6×106
    자외선 스펙트럼 : 핵산 부재, 2-10% 단백질 존재[로리(Lowry)법]
    구성성분 : 탄수화물(글루코스 20-40%, 갈락토스 30-50%, 만노스 20-35%), 단백질(2-10%, 로리법), 유기산 5-15%(피부르산 : 유론산 : 초산 = 4 : 8 : 1), 회분 : 5-30%
    점조도 계수 : 1중량% 용액의 경우 15,000-20,000cps.
  2. 제 1항에 있어서, 유도체가 아세틸화 유도체, 카를복시메틸화 유도체, 메틸화 유도체, 프로필렌 글리콜 에스테르 유도체, 캐치온 유도체 및 히드록시프로필화 유도체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다당류계 생물 고분자 물질.
  3. 암모늄염, 질산염, 요소, 효모 엑기스, 펩톤 또는 카사미노산 중에서 선택된 질소원 0.02-0.5%, 인산염 0.05-0.2% 및 마그네슘 또는 칼슘 0.01%미만이 함유된 영양 배지에 탄소원으로서 메탄을 용액을 연속 간혈적으로 첨가하여 그 농도가 0.2-1.0%로 되게 유지시키면서 메틸롤박테리움 오르가노필룸(Methylobacterium organophilum) 또는 그의 변이주 존재하에 배양시키는 것이 특징인, 다음 특성을 갖는 다당류계 생물 고분지 물질의 제조 방법.
    분자량 : 2-6×106
    자외선 스펙트럼 : 핵산 부재, 2-10% 단백질 존재[로리(Lowry)법]
    구성 성분 : 탄수화물(글루코스 20-40%, 갈락토스 30-50%, 만노스 20-35%), 단백질(2-10%,로리법), 회분 : 5-30%
    점조도 계수 : 1중량% 용액의 경우 15,000-20,000cps.
  4. 제 3항에 있어서, 배양 온도가 25-37℃, 배양 액성이 pH 5-8, 통기량이 0.2-2.0vvm, 교반 속도가 300-1000rpm, 용존 산소 농도가 포화 농도의 10-50%, 초기 세포 접종 농도가 0.1-10gℓ, 메탄올 주입 속도가 0.05-0.5g/g-세포 및 질소원 주입 속도가 1-50mg(암모니아성 질소 환산량)/g-세포로 유지되는 것인 방법.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포도당, 만노스, 갈락토스 및 숙신산염 중에서 선택되는 다당류 전구 물질을 더 첨가하는 것인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다당류 전구 물질의 농도가 약 0.5%인 것인 방법
  7.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다당류계 생물 고분자 물질을, 공지의 방법에 따라, 아세틸화, 카르복시메틸화, 메틸화, 프로필렌글리콜 에스테르화, 히드록시프로필화시키거나 캐치온과 더 반응시키는 것인 방법.
KR1019890008029A 1989-06-10 1989-06-10 새로운 다당류계 생물 고분자 물질 및 그 제법 KR910008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8029A KR910008646B1 (ko) 1989-06-10 1989-06-10 새로운 다당류계 생물 고분자 물질 및 그 제법
US07/501,047 US5064759A (en) 1989-06-10 1990-03-29 Novel biological polymer
FR9007075A FR2648148B1 (fr) 1989-06-10 1990-06-07 Nouveau polymere biologique heteropolysaccharid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par fermentation
JP2152525A JPH0778078B2 (ja) 1989-06-10 1990-06-11 新規多糖類系生物高分子物質及びその製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8029A KR910008646B1 (ko) 1989-06-10 1989-06-10 새로운 다당류계 생물 고분자 물질 및 그 제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066A KR910001066A (ko) 1991-01-30
KR910008646B1 true KR910008646B1 (ko) 1991-10-19

Family

ID=19286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8029A KR910008646B1 (ko) 1989-06-10 1989-06-10 새로운 다당류계 생물 고분자 물질 및 그 제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064759A (ko)
JP (1) JPH0778078B2 (ko)
KR (1) KR910008646B1 (ko)
FR (1) FR26481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9569B2 (ja) * 2007-12-12 2011-03-09 三重県 増粘安定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6085A (en) * 1974-11-14 1977-04-05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Production of heteropolysaccharide by fermentation of methanol
DE3376485D1 (en) * 1982-04-05 1988-06-09 Ici Plc Process for producing a shaped article of beta-hydroxybutyrate polymer
KR900003707B1 (ko) * 1985-10-25 1990-05-30 셀진 코오포레이션 안정한 동위원소로 표지된 생화학 물질 및 그 제조방법
EP0231585B1 (en) * 1986-02-06 1992-07-08 Celgene Corporation Biosynthesis of heteropolysacchari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108493A (ja) 1991-05-08
KR910001066A (ko) 1991-01-30
JPH0778078B2 (ja) 1995-08-23
FR2648148B1 (fr) 1993-11-12
US5064759A (en) 1991-11-12
FR2648148A1 (fr) 1990-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00790A (en) Method of producing an atypically salt-responsive alkali-deacetylated polysaccharide
Antón et al. Production of an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by Haloferax mediterranei
US4575551A (en) Acidic heteropolysaccharide AM-2
Cote et al. Characterization of the exocellular polysaccharides from Azotobacter chroococcum
Evans et al. Bacterial polysaccharides
US4202966A (en) Glucan polysaccharide
US3096293A (en) Method of increasing the viscosity of an aqueous solution of a deacetylated polysaccharide
EP0079038B1 (en) Highly viscous polysaccharide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aid polysaccharides
CA1085329A (en) Water-insoluble glucan from streptococcus
JPH0321156B2 (ko)
CA1340727C (fr) Procede de production de polysaccharides
JPH04504205A (ja) ポリエステルの微生物学的製造
Sutherland Microbial exopolysaccharides
KR910008646B1 (ko) 새로운 다당류계 생물 고분자 물질 및 그 제법
US3396082A (en) Glucan production by fermentation of fleshy fungi
KR870008031A (ko) 발효방법, 이에 따라 생산된 헤테로폴리사카라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GB1564020A (en) Method of producting a polysaccharide through fermentation and the product obtained thereby
US4908310A (en) Water insoluble polysaccharide polymer and method thereof
JPS5821403A (ja) 低ピルヴウ−ト含量キサンタン及びその製法
Yamaguchi et al. Macromolecular structure and morphology of native glycogen particles isolated from Candida albicans
US3282916A (en) Polysaccharide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US4975371A (en) High viscous substance BS-1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691838B2 (ja) Bs−2物質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719147A (en) Thermal modification of dextran
Tanenbaum et al. Hemicellulose bioconversion to polyanionic heteropolysacchari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2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