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555Y1 - 스냅링 - Google Patents

스냅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555Y1
KR910008555Y1 KR2019890008819U KR890008819U KR910008555Y1 KR 910008555 Y1 KR910008555 Y1 KR 910008555Y1 KR 2019890008819 U KR2019890008819 U KR 2019890008819U KR 890008819 U KR890008819 U KR 890008819U KR 910008555 Y1 KR910008555 Y1 KR 9100085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ap ring
shaft
compression spring
various structures
bod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88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0930U (ko
Inventor
정세영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088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8555Y1/ko
Publication of KR9100009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9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5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5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1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 F16B21/16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 F16B21/18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with circlips or like resilient retaining devices, i.e. resilient in the plane of the ring or the like; Details
    • F16B21/186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with circlips or like resilient retaining devices, i.e. resilient in the plane of the ring or the like; Details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냅링
제1도는 일반적인 스냅링의 사용 상태 사시도.
제2도는 종래 스냅링의 평면도.
제3a도, 제3b도는 본 고안 스냅링의 설치 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냅링 2 : 요홈
2a : 돌출부 3, 3a : 몸체
4, 4a : 스프링 걸림공 5 : 압축 스프링
5a : 절곡부
본 고안은 축에 설치된 각종 구조물들의 이탈 방지fmf 위해 축의 말단부에 삽입 설치되는 스냅링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반원형태로된 한쌍의 몸체로서 구성되어 별도의 공구가 없이도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스냅링의 구조를 개선하여, 스냅링의 설치작업이 용이하도록 함에 주안점을 둔 것이다.
일반적인 스냅링은 도면 제1도 및 제2도에서와 같이 스냅링(10)의 일부를 절개하여, 절개부(11)를 형성한뒤, 절개된 양측 말단부에 벌림 공구 삽입공(12)을 형성하여서 축(6) 말단부의 체결홈(6a)내로 스냅링(10)을 삽입 설치하여 축에 설치된 구조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스냅링의 삽입 설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는 자동차 엔진 및 각종 엔진의 밸브 개폐 기구인 로커아암의 설치예로서, 이를 토대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축(6)에 로커암(7a) 및 브라켓트(7b) 그리고 스vm링등 각종 구조물을 삽입한뒤, 마지막으로 축(6)의 말단부 전둘레에 걸쳐 형성된 체결홈(6a)내로 스냅링(10)을 삽입설치 하는데, 이를 삽입설치하기 위해서는 스냅링의 공구삽입공(12)내로 스냅링 벌림용 공구의 양측 돌출부(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를 삽입한 뒤 스냅링(10)을 벌리게 되면, 스냅링의 초기시 내경 (D1)이 확대되면서, D2와 같이 확대 되게 되면 축의 말단부에 형성된 체결홈(6a) 측으로 스냅링(10)을 위치시킨 다음 벌림 공구를 공구삽입공(12)에서 제거 시키게 되면 스냅링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여 축의 삽입홈(6a)내에 스냅링(10)이 삽입설치되어 각종 구조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스냅링을 설치시에는 반드시 스냅링을 벌리기 위한 별도의 공구로서만 설치가 가능한 폐단을 지니고 있으며, 구조물의 진동이나 회동에 의한 운동으로 인하여 축에 설치된 각종 구조물과 스냅링 사이의 간극에서, 마찰이 발생하여 소음과 이상 마모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스냅링 설치 공구가 없이도 간단하게 분해 조립이 가능하고 소음 및 이상마모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냅링을 반원형태로 분리 한 후, 이를 록크핀 역활과 자동 감쇄 작용을 하는 압축스프링을 삽입 설치하여 힌지식으로 개폐되는 스냅링을 탄동 설치하는 것이다.
이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보다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3a도, 제3b도 및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라 구성된 스냅링의 작동상태와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각종 구조물이 삽입설치된 축의 말단부에 상기 구조물의 이탈 방지와 소음방지를 위해 설치되는 스냅링을 형성함에 있어서. 반원 형태로 형성된 한쌍의 몸체(3), (3a)의 각각 말단부에는 상호 형합 가능토록 요홈(2)과 돌출부(2a)를 각각 형성하면서, 상부에 록크핀 역활을 하는 압축 스프링의 절곡부(5a)가 삽입되어 상호 록킹될 스프링 걸림공(4), (4a)이 각각 형성된 스냅링(1)을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3a도, 제3b도는 본 고안 스냅링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먼저 반원형태로 형성된 한쌍의 스냅링 몸체(3), (3a)의 요홈(2)과 돌출부(2a)를 형합시킨 다음, 이를 구조물(7)과 압축스프링(5)이 삽입된 축(6)의 말단부 체결홈(6a)에 위치시킨다.
이때, 스냅링(1)은 말단부가 원형 형태의 요홈(2)과 돌출부(2a)로 상호 형합되었기 때문에 소정의 각도 만큼 오므러겼다 벌어졌다 할수 있는 즉, 힌지 작용토록 된 상태이며, 이를 제3a도와 같이 상부가 소정의 폭 만큼 벌어지도록 한뒤, 이 스냅링(1)이 체결홈(6a)내에 체결되도록 반훤형태의 양측 몸체(3), (3a)를 오므리면 상부 양측의 스프링 걸림공(4), (4a)이 일치하며 포개지게 된다.
이 일치된 양측 스프링 걸링공(4), (4a)내로 축에 먼저 삽입된 압축 스프링(5)의 절곡부(5a)를 삽입시키게 되면 스냅링(1)의 체결이 완료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압축스프링(5)이 스냅링(1)과 구조물(7)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서, 구조물의 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스냅링(1)을 체결부위에 밀착시켜 주므로써, 스냅링을 비롯하여 압축 스프링이나 각종 구조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를 분기 시킬때에는 조립의 역순으로 압축 스프링의 절곡부(5a)를 스냅링(1)의 스프링 걸림공(4), (4a)내에서 빼낸 후 양측 몸체(3), (3a)를 벌리게 되면 간단하게 분리 할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본 고안은 스냅링의 분해 조립을 위한 별도의 공구가 없이도 착탈이 용이하며, 압축스프링의 설치로 인하여 구조물의 진동을 흡수하여 소음 및 이상마모 현상을 방지하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각종 구조물이 삽입 설치된 축의 말단체결홈내에 설치되어, 상기 구조물의 이탈과 마모를 방지하는 스냅링에 있어서, 각각의 말단부에 상호 형합되도록 요홈(2)과 돌출부(2a)를 구비한 반원형태로 헝성된 한쌍의 몸체(3), (3a) 각각 상부에는, 상기 축(6)에 설치되는 압축스프링(5)의 절곡부(5a)가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스프링 걸림공(4), (4a)이 각각 형성된 스냅링(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링.
KR2019890008819U 1989-06-26 1989-06-26 스냅링 KR9100085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8819U KR910008555Y1 (ko) 1989-06-26 1989-06-26 스냅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8819U KR910008555Y1 (ko) 1989-06-26 1989-06-26 스냅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930U KR910000930U (ko) 1991-01-23
KR910008555Y1 true KR910008555Y1 (ko) 1991-10-25

Family

ID=19287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8819U KR910008555Y1 (ko) 1989-06-26 1989-06-26 스냅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855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135B1 (ko) * 2002-11-15 2005-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원웨이클러치용 스냅링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930U (ko) 1991-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8435B1 (en) Tensioner lever for chain drive
US6484678B2 (en) Valve timing regulation device
KR20020021641A (ko) 힌지장치
KR970062362A (ko) 고정장치
US6148079A (en) Hinge apparatus for flip style portable phone
KR910008555Y1 (ko) 스냅링
KR970059526A (ko) 디스크로터의 방청커버 장착구조체
KR100457547B1 (ko) 플랜지 타입 파이프 스프링 및 이를 이용한 힌지장치
KR0139446Y1 (ko) 자동차의 볼팅타입 도어 힌지구조
KR970006042Y1 (ko) 버스용 플랩도어의 록킹장치
KR200292652Y1 (ko) 맨홀커버와 맨홀프레임의 조립구조
KR200200381Y1 (ko) 천정 매입등
KR0137498B1 (ko) 후드 스테이 자동 잠금장치
KR200154370Y1 (ko) 차량 엔진에 있어서 록커암 이탈방지장치
KR0126198Y1 (ko) 마이크로버스의 스윙도어용 센터링크
KR200354421Y1 (ko) 압력조리기의핸들장착구조
KR970038609A (ko) 차량의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
JPH0134034Y2 (ko)
KR970019181A (ko) 셀룰라폰 플립의 개폐장치
KR200157339Y1 (ko) 레버식 가스밸브의 안전장치
KR200184819Y1 (ko) 인젝션 펌프의 타이머용 공구
KR100329484B1 (ko) 자동차의 도어핸들 힌지핀 결합구조
KR100216814B1 (ko) 자동차 도어의 첵커 구조
KR200248539Y1 (ko) 도어록용 고정플레이트 어셈블리
KR200162153Y1 (ko) 수동 변속기용 릴리스 포크 조립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