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405Y1 - 광전송장치의 타합장치의 음성데이타 전송에 따른 잡음 제거회로 - Google Patents
광전송장치의 타합장치의 음성데이타 전송에 따른 잡음 제거회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10008405Y1 KR910008405Y1 KR2019880009893U KR880009893U KR910008405Y1 KR 910008405 Y1 KR910008405 Y1 KR 910008405Y1 KR 2019880009893 U KR2019880009893 U KR 2019880009893U KR 880009893 U KR880009893 U KR 880009893U KR 910008405 Y1 KR910008405 Y1 KR 91000840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mission
- clock
- data
- switching unit
-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07—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for the reduction or elimination of distortion or dispers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optical transmission systems
- H04B2210/25—Distortion or dispersion compensation
- H04B2210/254—Distortion or dispersion compensation before the transmission line, i.e. pre-compens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일반적인 광전송장치의 시스템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의 타합장치(10)의 구체 블럭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타합장치의 블럭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구체 회로도.
본 고안은 광전송장치(FT-2, 3, 3C)의 타합의 음성데이타 전송에 따라 시스템 절체시 잡음제거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타합(Oder/Wire)장치 구성시 각 시스템별로 클럭을 독립적으로 받도록 하여 음성 데이타 전송시 시스템 절체에 의해 클럭의 위상차로 발생되는 잡음을 제거하여 시스템의 신뢰성 및 운용자의 유지보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타합장치의 잡음제거회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광전송장치(FT 2, 3, 3C등)에 운용자간 정비나 회선의 점검등 시스템의 유지보수를 위해 제1도와 같이 타합(O/W) 장치(10, 10')가 구성된다.
제1도의 타합장치(10,10')를 제2도에서 구체적으로 도시할 수 있다.
타합장치 FT2 광단국장치의 광송신부에 실장되며, 동일한 형태로 2채널로 구성되고 통상 단국운영시 A채널만을 사용하며, 중계국 운영시 A, B두 채널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제1, 2 송신 시스템(20, 30)은 FF2 광단국 장치로서 6.7328Mbps(96CH)의 전송 속도로 광파이버(OF : Optical Fiba)를 통하여 96채널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제1송신 시스템(20)이 단국이고, 제1수신 시스템(20')이 대향국으로 광 파이버(OF)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제2송신 시스템(30)은 예비단국이고 제2수신 시스템(30')은 예비대향국으로 역시 광 파이버(OF)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타합장치(10, 10')은 오버헤드 비트(Over Head Bit)를 이용한 56Kbps급 신호를 할당받아 이 신호로 음성 신호를 ADM으로 변조하여 디지탈로 변환시켜 대향국의 제2송수신 시스템(20, 30')을 통하여 타합장치(10')로 전송된다.
따라서 상기 단국 및 대향국의 운용자는 상기 타합장치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운용 유지 보수를 위한 필요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동작예를 제2도의 구체회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라인(104, 105)를 통한 제1, 2송신 시스템(20, 30)의 발생 56㎑의 신호를 타합장치(10)의 내부 절체부(251)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입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디지탈/아나로그, 아나로그/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기 위한 샘플링 신호로 제공된다.
상기 제1, 2송신시스템(20, 30)에서 발생되어 절체부(251)에서 선택된 56㎑을 ADM 변환기(241)의 클럭단(CLK)에 입력된다. 이때 가입자(STN)을 통해 입력된 신호를 증폭기(211)에서 증폭되고 저역 통과 필터(231)에서 필터링하여 A/D 변환기(482)에 입력하면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되어 제1, 2송신 시스템(20, 30)에 입력된다.
상기 제1, 2송신 시스템(20, 30)에 입력된 데이타는 처리되어 광 화이버(OF)를 통해 대향국의 제1, 2수신 시스템(20', 30')에 전송되며, 상기 제1, 2수신 시스템(20', 30')에서는 상기 입력된 데이타로 부터 클럭을 각각 복구하여 라인(201, 203)을 통해 데이타에 출력되고, 라인(202, 204)을 통해 클럭이 출력된다. 상기 제1, 2수신 시스템(20', 30')에서 발생된 클럭과 데이타를 제2제어부(200)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타합장치(10')의 내부 절체 회로에서 선택하여 선택된 클럭에 따라 디지탈 데이타를 D/A변환기에서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그런데 제1, 2송신 시스템(20, 30)에서 내부 데이터 처리와 D/A 변환기(482)에서 변환시 필요한 56㎑를 제1, 2송신 시스템(20, 30)의 내부 발진기(OSC)에 의해 3.7328㎒가 발생된다.
그러나 특성상 상기 제1, 송신 시스템(20, 30)의 내부 각 발진기(OSC)의 발진 주파수는 각기±50ppm의 오차를 기본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인 예이다. 따라서 상기 A/D 변환기 (482)에 제공되는 56㎑에도 ±50ppm의 이상의 클럭 위상차가 일어난다.
예를 들어, 제1송신 시스템(20)에서 발생되는 56㎑의 클럭을 절체부(251)에서 선택하여 이에 따라 A/D변환기(482)에서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여 제1송신 시스템(20)으로 수신하면 동일 발진기(OSC)의 발생 신호로 처리되므로 클럭의 동기가 일치되어 에러 발생은 없지만 상기 디지탈 데이타가 동시에 제2송신시스템(30)에 제공되므로 여기서는 제2송신 시스템(30) 내부발진기(OSC) 즉 상기 제1송신 시스템(20)과는 다른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에 의해 처리되므로 상기 ±50ppm의 오차로 인해 클럭 위상차가 발생된다.
그러나 제2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타합장치(101)에서 제1수신 시스템(20')의 통로를 차단하고 제2수신 시스템(30')를 통한 데이타를 처리할 상기 제2송신 시스템(30)에서 처리된 신호가 광파이버(OF)를 통해 대향국의 제2수신 시스템(30')에 입력되므로 제2수신 시스템(30')에서 데이타로 부터 클럭 복구에 의한 클럭 추출과 데이타 처리시 상기 위상차에 의한 에러는 더 증가되어 상기 추출한 클럭으로 타합장치(10')에서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시 처리 주파수의 동기가 일치되지 않게 에러는 가중된다. 이로 인하여 일정하게 "칙-""칙-"하는 잡음을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와같은 현상을 광전송장치에서 중계기를 많이 거치면 거칠수록 증가하게 되고 따라서 운용자간의 정비나 회선의 점검등 시스템의 유지보수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시스템의 각각의 클럭으로 같은 음성데이타를 동시에 각각 변조하고 각각 클럭에 따라 독립적으로 운영하는 전송방식으로, 위상차에 의해 발생되는 잡음을 제거하여 장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블럭도로서, 본 고안은 저역 통과 필터(231)로부터 A/D변환기를 2개 복수로 제1, 2 A/D 변환기(241, 242)를 두어, 제1절체부(251)에서 제1, 2송신시스템(20, 30)의 각각 발생되는 클럭을 동시에 선택하여 상기 저역 통과 필터(231)에서 출력되는 동일 하나의 신호에 대해 제1, 2 A/D 변환기(241, 242)에서 상기 제1, 2송신 시스템(20, 30)의 발생되는 각각 클럭(56㎑)에 따라 개별적으로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여 상기 해당 제1, 2송신 시스템(20, 30)으로 제공토록 되어 있다. 이의 구성을 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증폭기(211)의 출력단에 DC차단용 캐패시터(C11)를 연결하고, 상기 캐패시터(C11)를 통한 신호를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단(+)으로 입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산증폭기(OP1)를 볼테지 플로우(Voltage Follow)로 구성하여 상기 음성 및 DTMF 신호가 저항(R1, R2)을 통해 신호의 레벨이 보상되어 제1, 2 A/D 변환기(241, 242)의 제1, 2 A/D 변환회로(IC1, IC2)의 아나로그 입력단(AI)으로 입력된다. 이때 상기 연산증폭기(OP1)의 출력단(206)에 저항(R1, R2), (R7, R8)의 병렬 연결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음성신호의 레벨이 조정된다. 그리고 제1, 2 A/D변환회로(IC1, IC2)는 송신 클럭단(CLK)의 입력 클럭에 따라 입력 신호를 변조하여 디지탈 데이타로 출력된다. 그런데, 상기 제1, 2 A/D 변환회로(IC1, IC2)의 클럭단(CLK)에는 제1, 2송신시스템(20, 30)의 클럭이 각각 별도로 선택되어 공급되므로 제1, 2 송신시스템(20, 30)의 서로 달리 발생되는 클럭과 무관하게 게 A/D변환이 이루어진다. 즉 해당 송신 시스템의 발진기에서 발생되는 동일 클럭과 동기된 56㎑가 절체부(251)를 통해 제1, 2 A/D 변환기(IC1, IC2)의 클럭단(CLK)으로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입력 클럭에 따라 동일 음성데이타를 제1, 2 A/D 변환기(IC1, IC2)에서 각각 변조하여 제1, 2송신 시스템(20, 30)으로 입력한다. 그리고 전송시 상기 제1, 2 A/D 변환기( IC1, IC2)의 클럭단(CLK)으로 입력된 클럭과 해당 동일 클럭에 의해 각각 전송되도록 독립적으로 운용한다.
제1송신 시스템(20)에서 클럭〔TXCLK(A)〕이 제1 A/D 변환기(IC1)의 클럭단(CLK)으로 인가되어 아나로그 신호를 디지탈 데이타로 변화하여 데이타단〔DATA(A)〕을 통해 제1송신 시스템(20)에 수신되고, 제2송신 시스템(30)에서 발생된 클럭〔TXCLK(B)〕이 제2 A/D 변환기(IC2)의 클럭단(CLK)으로 인가되어 상기 동일 아나로그 신호를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여 데이타단〔TXCLK(B)〕을 통해 제2송신 시스템(30)이 수신되므로 제1, 2송신 시스템(20, 30)에서는 동일 발진기(OSC)에서 발생된 클럭에 따라 변조되어 입력되므로 동기가 일치된 신호를 각 송신 시스템으로 받을 수 있다.
상시 동기가 일치된 클럭에 따라 데이타를 처리하여 받을 수 있으므로 제1도와 같이 타합장치(10')에서 제1, 2수신 시스템(20', 30')의 어느쪽을 선택하더라도, 즉 제1, 2수신 시스템 (20', 30')의 어느쪽으로 전송하더라도 동기가 일치되어 에러가 없는 잡음 없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타합장치(10')에서 각각 별도의 통로를 통해 전달된 신호를 복조하더라도 잡음이 제거된다.
이때 각 시스템에 따라 클럭을 독립적으로 받아 해당 클럭으로 변조하여 해당 동기된 클럭으로 처리하여 전송하므로 송수신 클럭의 위상차에 따른 에러 발생 개념이 없어지므로 송수신 클럭의 위상차에 의해 발생되는 타합장치에서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회로구성면에 있어서 DM 변복조 집적회로의 입력 임피던스가 크기 때문에 저역통과 필터를 통한 음성신호를 볼테지 플로우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고 직접 DM 변복조 직접회로(IC1, IC2)에 연결하여 구성해도 레벨의 다운이 없이 정상동작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같이 시스템에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해당 클럭을 공급하여 광전송장치에서 타합장치를 운용하므로 시스템의 절체에 무관하게 타합선 잡음 발생현상을 제거하여 시스템의 신뢰성 및 운용자의 유리보수를 편리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 저역통과 필터(231)와, 절체부(251)와, 제1, 2송신시스템(20, 30)을 구비한 타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역통과 필터(231)의 출력단에 제1, 2A/D 변(복)조 회로(IC1, IC2)의 아나로그 입력단(A1)을 동시에 연결하고, 상기 제1DM변(복)조회로(IC1)의 클럭단(CLK)에 상기 절체부(251)에서 절체된 상기 제1송신 시스템(20)의 출력 전송 클럭단〔TXCLK(A)〕을 연결하며, 상기 제2DM변(복)조회로(IC2)의 클럭단(CLK)에 상기 절체부(251)에서 절체된 상기 제2송신 시스템(30)의 출력 전송 클럭단〔TXCLK(D)〕을 연결하고, 상기 제1DM변(복)조회로(IC1)의 디지탈 출력단(DO)을 상기 절체부(251)을 통해 상기 제1송신 시스템(20)의 데이타단〔DATA(A)〕에 연결하며, 상기 제2DM변(복)조회로(IC2)의 디지탈 출력단(DO)을 상기 절체부(251)을 통해 제2송신 시스템(30)의 데이타단〔DATA(B)〕에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에 따른 잡음 제거회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80009893U KR910008405Y1 (ko) | 1988-06-25 | 1988-06-25 | 광전송장치의 타합장치의 음성데이타 전송에 따른 잡음 제거회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80009893U KR910008405Y1 (ko) | 1988-06-25 | 1988-06-25 | 광전송장치의 타합장치의 음성데이타 전송에 따른 잡음 제거회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01823U KR900001823U (ko) | 1990-01-19 |
KR910008405Y1 true KR910008405Y1 (ko) | 1991-10-18 |
Family
ID=19276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80009893U KR910008405Y1 (ko) | 1988-06-25 | 1988-06-25 | 광전송장치의 타합장치의 음성데이타 전송에 따른 잡음 제거회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10008405Y1 (ko) |
-
1988
- 1988-06-25 KR KR2019880009893U patent/KR91000840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01823U (ko) | 1990-0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593389A (en) | Simultaneous voice and asynchronous data telephone | |
US6240179B1 (en) | Voice and data communications | |
CA1162667A (en) | Bandwidth reduction method and structure for combining voice and data in a pcm channel | |
US4884285A (en) | (DS) transmitter | |
US5283679A (en) | Communications process, transmitter and receiver for analog signals | |
EP0097166A1 (en) | DIGITAL LOOP TRANSMITTER RECEIVER AS AN INTERFACE BETWEEN A DIGITAL PABX AND A DIGITAL SUBSCRIBER DEVICE IN A SUBSCRIBER LINE. | |
ES2115514A1 (es) | Metodo y aparato para identificar canales de señalizacion. | |
JPH01298854A (ja) | データ伝送装置の自動認識方式 | |
US4691342A (en) | Multi-speed, full duplex modem | |
SE432859B (sv) | Forfarande att overfora en extra informationskanal over ett transmissionsmedium | |
US4480327A (en) | Single channel duplex communication system | |
US4393279A (en) | Digital data transmission system having frequency or phase modulated data carrying signals to provide supervisory channel | |
US6009305A (en) | Digital video signal multiplex transmission system | |
CA1219978A (en) | Digital radio relay equipment | |
KR910008405Y1 (ko) | 광전송장치의 타합장치의 음성데이타 전송에 따른 잡음 제거회로 | |
JP3584072B2 (ja) | 通信ネットワーク及び通信局 | |
WO1987006412A1 (en) | Encoding and decoding signals for transmission over a multi-access medium | |
GB2044047A (en) | Circuits for obtaining data signal element timings | |
JP2002526986A (ja) | 電話加入者端において電話回線を信号処理装置に直流減結合接続させる装置 | |
US5471506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ulse communication | |
JP3244721B2 (ja) | 交換システム | |
US4852087A (en) | Receiver data gate with automatic gain control | |
US4653046A (en) | Single channel subscriber carrier system | |
JPS5813055B2 (ja) | デ−タとクロックの時分割多重伝送による光デ−タリンク方式 | |
KR0161151B1 (ko) | 공통선 신호 번호7(no.7)방식에 대한 속도변환기능을 디지탈 트렁크보드에 부가한 전전자 교환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10924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