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029Y1 - 화분받침대 - Google Patents

화분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029Y1
KR910008029Y1 KR2019890011441U KR890011441U KR910008029Y1 KR 910008029 Y1 KR910008029 Y1 KR 910008029Y1 KR 2019890011441 U KR2019890011441 U KR 2019890011441U KR 890011441 U KR890011441 U KR 890011441U KR 910008029 Y1 KR910008029 Y1 KR 9100080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bent
fixing member
end po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14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2028U (ko
Inventor
김종열
Original Assignee
김종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열 filed Critical 김종열
Priority to KR20198900114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8029Y1/ko
Publication of KR9100020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0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0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0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7/044Hanging flower-pot holders, e.g. mounted on walls, balcony fenc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7/041Flower tables or sta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분받침대
제1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변형실시예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변형실시예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제6도는 제5도의 변형실시예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변형실시예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제8도는 제7도의 변형실시예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제9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변형실시예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제10도는 제9도의 변형실시예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제11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변형실시예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제12도는 제11도의 변형실시예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제13도는 본 고안을 적용한 다른 변형예를 사용예와 함께 예시한 분해사시도.
제14a도 내지 제14g도는 절곡 요홈의 변형사용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고정부재 2a : 절곡단부
2b : 절곡요홈 2e : 수평단부
5 : 고정구 5a : 피스공
5b : 절곡돌부
본 고안은 화분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옥내ㆍ외를 막론하고 벽체의 모서리부나 또는 벽체자체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화분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분받침대는 주로 벽체에 인접하여 세워놓거나 아니면 천정 또는 벽체에 매어다는 형태가 주종을 이루어 왔으며, 대체로 이러한 형태의 화분받침대는 적정높이나 특정위치에 화분을 놓고자 하는 경우 적절히 이에 대처할 수 없는 관계로 사용자에겐 대단히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설치후엔 받침대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상 바람직하지 아니한 단점이 있으며 비교적 그 크기가 대형인 관계로 이동 및 설치작업이 불편한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조립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고 벽체의 모서리부위나 보통의 벽면자체등 설치부위에 관계없이 사용목적에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원하는 높이나 위치에 신속하게 설치가 가능하며 설치후엔 외부에서 보아 외관이 미려한 화분받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제1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의 외형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에서 받침대본체(1)는 프레스가공이나 별도의 사출가공등에 의하여 제작될 수 있고 그 내측지면엔 수평으로 길게 절곡형성된 고정부제(2)가 가로부제(3)와 함께 용접 또는 기타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고정설치되며, 고정부재(2)의 절곡단부(2a)엔 양측단에 절곡요홈(4a)이 상호간 사이거리가 상협하광으로 형성된 고정브라켓(4)을 별도로 제작하여 용접고정하는 동시에,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5)는 중간부에 다수의 피스공(5a)이 형성되고 양단엔 전술한 고정브라켓(4)의 절곡요홈(4a)에 끼워 결합될 수 있게 이루어진 절곡돌부(5b)가 상호간격이 상협하광으로 이루어져 고정브라켓 (4)과 고정구(5)의 결합시 고정브라켓(4)을 상부로 부터 끼워 결합하면 고정브라켓 (4)이 고정구(5)의 하부로 빠지지 아니하고 서로 견고한 고정결합이 착탈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4도는 제3도의 변형실시예로서 제3도와 같이 고정브라켓(4)을 별도로 형성하지 아니하고 고정부재(2)의 절곡단부(2a)에 일체로 양단의 절곡요홈(2b)을 상호 폭이 상협하광으로 형성한 실시예이다.
제5도는 고정부재(2)의 절곡단부(2a)를 수평단에 직결형성하고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고정브라켓(4)을 절곡단부(2a)에 용접고정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의 변형실시예를 나타내며, 제6도는 제5도의 변형실시예로서 제5도에 도시한 고정브라켓(4)을 별도로 형성하지 아니하고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절곡단부(2a)에 일체로 절곡요홈(2b)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7도는 벽체의 모서리가 아닌 수직평면을 유지하는 벽체자체에 고정하여 사용하기 편리하게 형성된 변형실시예로서, 제3도의 절곡단부(2a)대신에 평평한 단부(2c)를 형성하고 고정브라켓(4')은 평판의 양단에 절곡요홈(4a)을 서로간 거리가 상협하광으로 형성하며, 고정구(5')는 중간부가 평평하게 형성되어 다수의 피스공(5a)이 뚫려지고 양단엔 절곡된 돌출단부(5b)를 상호간격이 상협하광으로 형성하여 서로 고정결합할 수 있게 이루어진 실시예를 나타내며, 제8도는 제7도의 변형일시에로서 제7도에 도시한 고정브라켓(4')을 별도로 형성하지 아니하고 평평한 단부(2c)에 절곡요홈(2b)을 일체로 직접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다.
제9도는 제5도에 이미 예시한 바와같이 고정부재(2)의 평평한 단부(2c)를 수평단에 직결 형성하고 제7도의 고정브라켓(4') 용접설치하여 이루어진 실시예를 나타내고, 제10도는 제9도는 변형실시예로서 제9도의 고정브라켓(4')을 별도로 형성하지 아니하고 평평한 단부(2c)에 절곡요홈(2b)을 일체로 직접 형성하여 이루어진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11도 및 제12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변형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11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벽의 모서리부에 사용하기 위한것인데 고정부재(2)의 절곡단부(2a)에 일체로 양측의 돌출단부(2d)를 상협하광으로 형성하고 고정구(5")엔 상기 양측의 돌출단부(2d)가 상부로부터 끼워결합될 수 있게 이루어진 절곡요홈(5c)이 상호거리가 상협하광으로 형성하여 절곡단부(2a)와 고정구(5")를 결합하는 경우 고정부재(2)가 고정구(5")로부터 하부로 빠지지 아니하고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12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벽면 자체인 수직평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부재(2)의 평평한 단부(2c)에 양측으로 돌출단부(2d)를 상협하광으로 형성하고 고정구(5")는 양측에 절곡요홈(5c)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단부(2d)가 절곡요홈(5c)내측에 끼워 결합될 수 있게 되어있다.
이와같이 제11도 및 제12도에 예시된 실시예는 그 기술적인 구성을 이미 전술한 바있는 제3도 내지 제10도에 예시한 실시예와 후술될 제13도의 실시예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제13도는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린 별도의 구조를 갖는 변형예를 예시한 것으로서, 이는 고정구(5)와 절곡단부(2a)가 이미 전술한 제4도의 실시에와 동일구조를 가지나, 고정부재(2)의 수평단부(2e)를 넓게 일체로 형성하되 외주연을 부분적으로 상향 절곡하여 기존의 화분받침(6)을 안착시킬 수 있게 구성한 것으로서, 절곡단부(2a)와 고정구(5)는 이미 전술한바 있는 절곡단부(2a), 고정브라켓(4, 4'), 고정구(5, 5', 5"), 평평한 단부(2c)등의 기술구성의 조합에 의한 기술구성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험부한 도면 제14a내지 g도에서와 같이 절곡요홈(2b)(4a)의 상부나 절곡요홈(5c)의 하부를 압착하거나 막힌 구조로 일체로 하기 위해 턱(10)을 형성함으로 해서, 절곡요홈(2b)에 절곡돌부(5b)가 끼워질때 절곡돌부(5b)의 상단이 상기 막힌 구조의 턱(10)에 걸려서 고정되도록 체결하고, 또한 절곡요홈(4a)역시 절곡단부(2a)및 평평한 단부(2c)의 상단이 상기 막힌 구조의 턱(10)에 걸려서 고정되도록 체결하고, 절곡요홈(5c)역시 그 하단이 막힌 구조의 턱(10)을 형성했기 때문에 고정부재(2a)의 및 (2c)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돌출단부(2d)의 하단이 상기 턱(10)에 걸려서 고정되도록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인 화분 받침대는 벽체의 모서리부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엔 우선 설치부위에 고정구(5)(5")를 설치하고 고정브라켓(4)의 절곡요홈(4a)이나 고정부재(2)의 절곡요홈(2b)에 상기 고정구(5)의 절곡돌부(5b)를 끼우거나 고정구(5")의 절곡요홈(5c)에 고정부재(2)의 돌출단부(2d)를 끼워 결합하면 간단하게 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절곡요홈(2b), (4a), (5c)이나 절곡돌부(5b)또는 돌출단부(2d)는 서로간에 상광하협으로 구성되므로 결합설치 후에 더 이상 아래로 미끄러져 내려가지 아니하고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벽체의 수직평면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엔 우선 설치부위에 고정구(5')(5")를 설치하고 고정브라켓(4)의 절곡요홈(4a)이나 고정부재(2)의 절곡요홈(2b)에 상기 고정구(5')의 절곡돌부(5b)를 끼워 결합하거나 고정구(5")의 절곡요홈(5c)에 돌출단부(2d)를 끼워 결합하면 설치가 완료될 수 있다. 분해시엔 상기 조립 결합의 역순으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인 화분 받침대는 설치부위에 관계없이 사용목적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원하는 높이나 위치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며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간편하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는 동시에 설치 후에도 외관이 미려한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10)

  1. 받침대 본체(1)의 내측저면에 수평으로 길게 형성된 절곡단부(2a)가 형성된 고정부재(2)와 가로부재(3)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절곡단부(2a)에는 상호간의 사이거리가 상협하광으로 형성된 절곡요홈(4a)이 형성된 고정브라켓(4)이 용접고정되며, 상기 절곡요홈(4a)에 끼워 결합 될 수 있도록 상호간격이 상협하광으로 이루어진 절곡돌부(5b)가 형성된 고정구(5)에 다수의 피스공(5a)이 형성되어 벽체에 고정할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의 절곡단부(2a)양단을 절곡하여 절곡요홈(2b)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구(5)의 절곡돌부(5b)를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의 절곡단부(2a)에 형성되는 절곡요홈(2b)의 상호간격을 상협하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받침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의 절곡단부(2a)를 평평한 단부(2c)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브라켓(4)은 양단의 사이거리가 상협하광으로 형성되는 절곡요홈(4a)이 형성된 고정브라켓(4')을 평판으로 이루어 상기 평평한 단부(2c)에 용접고정하고, 상기 고정구(5)는 피스공(5a)이 형성되는 부분을 평평하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고정구(5')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받침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평평한 단부(2c)의 양단을 절곡하여 절곡요홈(2b)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구(5')에 끼워 결합할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받침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의 절곡단부(2a)에 돌출단부(2d)를 상광하협으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재(5)의 양단을 절곡하여 절곡요홈(5c)을 형성하며 피스공(5a)이 형성된 부분은 절곡하여 고정구(5")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받침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5")의 양단에 형성된 절곡요홈(5c)의 하부가 막히도록 턱(10)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받침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를 외부면의 일부를 상향절곡 하고 중앙부가 넓운 면적을 가지도록 평평하게 구성한 수평단부(2e)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받침대.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단부(2a)의 절곡요홈(2b)의 상부가 막히도록 턱(10)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받침대.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4')의 절곡요홈(4a)의 상부가 막히도록 턱(10)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받침대.
KR2019890011441U 1989-07-31 1989-07-31 화분받침대 KR9100080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1441U KR910008029Y1 (ko) 1989-07-31 1989-07-31 화분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1441U KR910008029Y1 (ko) 1989-07-31 1989-07-31 화분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028U KR910002028U (ko) 1991-02-25
KR910008029Y1 true KR910008029Y1 (ko) 1991-10-12

Family

ID=19288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1441U KR910008029Y1 (ko) 1989-07-31 1989-07-31 화분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802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028U (ko) 199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248752A (ja) パネル延長組立体
US5947306A (en) Modular rack for flower pot, vase, and the like
US5722329A (en) Wall flower support structure
KR910008029Y1 (ko) 화분받침대
US6325349B1 (en) Self-leveling window bracket
USD433771S (en) Outdoor lamp base
JP2003166302A (ja) 家具とパーティションの連結構造及びそのためのパーティション
USD412816S (en) Telescopic plant support with base
JPS6120900Y2 (ko)
USD416347S (en) Outdoor lighting fixture
KR200274727Y1 (ko) 실내용 모서리 장식대의 지지구
KR970002362Y1 (ko) 화분가리개를 이용한 화분받침대
KR200215675Y1 (ko) 결착기능 및 외관이 개선된 벽걸이식 필판용 보드
JPH0317373Y2 (ko)
KR200213213Y1 (ko) 높이조절용 식탁
JPH0515214Y2 (ko)
KR960009839Y1 (ko) 조립식 선반
KR200284608Y1 (ko) 호형절곡부 하면에 호형받침구를 부착한 의자받침틀
KR200266234Y1 (ko) 화분진열대
JPH0513160Y2 (ko)
KR200258337Y1 (ko) 책상다리의 프레임 체결구조
KR200199558Y1 (ko) 붙박이장 구조물의 설치구조
JP3056734U (ja) 組立式棚
JPS597794Y2 (ja) ダイヤル支持装置
KR200321253Y1 (ko) 조립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