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842Y1 - 케이블 부싱(cable bushing) - Google Patents

케이블 부싱(cable bush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842Y1
KR910007842Y1 KR2019890011800U KR890011800U KR910007842Y1 KR 910007842 Y1 KR910007842 Y1 KR 910007842Y1 KR 2019890011800 U KR2019890011800 U KR 2019890011800U KR 890011800 U KR890011800 U KR 890011800U KR 910007842 Y1 KR910007842 Y1 KR 9100078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bushing
cable bushing
support plat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18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4277U (ko
Inventor
김용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이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이양섭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118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7842Y1/ko
Publication of KR9100042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2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8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8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Landscapes

  • Flexible Shafts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케이블 부싱(CABLE BUSHING)
제1도 a, b는 종래의 케이블 부싱에 대한 단면도 및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부싱의 결합상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부싱의 분리사시도.
제4도는 케이블 부싱이 지지플레이트에 고정설치되어진 예시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케이블 부싱이 자동차용 후드(HOOD)에 적용된 예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부싱의 또다른 사용예로서,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에 케이블 부싱이 설치된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블 부싱 2 : 숫부재
3 : 암부재 4 : 케이블
5 : 케이블튜브 6 : 지지플레이트(PLATE)
7 : 케이블부싱삽입홈 8 : 절개부
9 : 케이블볼(BALL) 10 : 요(凹)홈
본 고안은 케이블 부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 부싱이 암부재와 숫부재로 분리 형성되어져 자동차용 후드 또는 연료주입구 등과 같은 원격 개폐장치에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장착도 용이하도록 고안된 케이블 부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부싱은 단순한 물리적 동력을 전달 해주기 위해 사용되는 케이블이 끼워져 사용되는 부재로서 (예컨대, 자동차용 후드 또는 연료주입구 등에서 후드 또는 연료주입구를 개폐시키기 위해 승용차내의 스윗치작동으로 후드 또는 연료주입구 록크장치에까지 연결된 케이블이 후드나 연료주입구를 개폐시킨다). 상기 케이블은 케이블 튜브에 헐겁게 관통되어 있고, 그 케이블튜브의 선단에는 케이블 부싱이 접속된 형태로 마무리 되어져 이 케이블 부싱이 지지플레이트에 지지된 상태에서 케이블이 튜브내에서 왕복이동하여 인장력을 전달하게 된다.
즉, 케이블 튜브끝에는 케이블 부싱이 접속되어 있고 이 케이블튜브내에 헐겁게 삽입된 케이블이 관통하되, 케이블 끝에 볼이 형성되어져 있으므로 케이블끝이 케이블튜브내로 완전히 관입되는 것을 막아주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블 부싱을 지지 고정시킨 상태에서 케이블 끝의 볼부분을 당겨 인출하면 케이블튜브는 이동하지 않고 케이블이 당겨져서 케이블 끝에 연결된 개폐구등이 열리도록 동력전달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종래의 케이블이 내삽된 케이블 튜브를 고정설치하기 위한 케이블 부싱은 케이블튜브끝에 단일체로 설치되어져 지지플레이트의 삽입홈에 삽입시켜 사용하여 왔으나(제1도 b참조). 이 경우 케이블 부싱의 중앙에 지지플레이트 두께만큼의 요(凹)홈이 형성된채 단일체로 형성되어 있기때문에 지지플레이트 케이블 부싱을 삽입킬때나 케이블 작동중의 동력전달에 의한 힘이 플레이트에도 전해져 케이블 부싱과 삽입홈이 쉽게 마모되게 되고, 케이블의 잦은 작동으로 케이블 부싱이 지지플레이트로 부터 쉽게 이탈되므로서 케이블 부싱이 맣이 적용되는 차량의 후드나 트렁크 및 연료주입구등의 개폐구에 고장을 유발시키는 가장 주된 요인이 되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일체로 형성된 케이블 부싱에서 나타난 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케이블 부싱을 분리와 결합이 가능토록 암수부재로 분리형성기키되 서로 나사결합 되도록 하여 지지플레이트의 입구가 좁은 삽입홈에도 쉽게 삽입시킬 수 있음은 물론 지지플레이트의 두께에도 제한받지 않는 가변 요홈을 갖는 케이블 부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은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케이블튜브내에 헐겁게 끼워져 인장력을 전달하는 케이블의 부싱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부싱(1)을 숫부재(2)와 암부재(3)로 각각 형성시키고, 숫부재(2)는 상기 케이블(4)의 케이블튜브(5)에 일체로 접속시키되 숫나사부를 가지고 있으며, 암부재(3)와 상기 숫부재(2)가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부가 형성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6은 케이블부싱(1)에 삽입되어지는 지지플레이트, 7은 지지플레이트(6)에 형성되어 케이블부싱(1)이 삽입고정되어지는 케이블 부싱 삽입홈, 8은 지지플레이트(6)에 형성되어 케이블(4) 또는 케이블 부싱(1)의 착탈 경로가 되는 절개부, 9는 케이블볼, 10은 요(凹)홈이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케이블 부싱을 분리시킨 사시도로서 숫부재(2)와 암부재(3)의 2개 부분으로 분리형성시킨 것이며, 숫부재(2)는 상기 케이블(4)의 케이블튜브(5)의 양끝단에 일체로 접속되어 케이블튜브(5)의 마무리재도 겸하면서 숫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숫부재(2)에 나사결합되는 암부재(3)는 케이블볼(9)의 수납구와 반대쪽에 암나사부를 갖춘 원통형으로 만들어졌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부싱을 사용하여 지지플레이트(6)에 인장력 전달을 위한 케이블(4)을 삽입하는 상태를 설명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숫부재(2)와 암부재(3)가 분리된 상태의 케이블부싱(1)에 개폐구 한쪽끝이 연결된 케이블(4)을 관통 시키면 케이블볼(9)이 암부재(2)의 수납구에 안착된다. 이 케이블 부싱(1)의 숫부재(2)가 지지플레이트(6)밖으로 암부재(3)가 안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지지플레이트(6)의 절개부(8)로 케이블튜브(5)를 관통시킨다. 이상태에서 암부재(3)와 숫부재(2)를 나사결합시키면 상기 삽입홈(7)에 케이블부싱(1)이 고정설치된다.
이와같은 방식으로 지지플레이트(6)에 케이블부싱(1)을 삽입고정시키게되면, 종래와 같이 단일체의 케이블부싱을 삽입홈에 강제 삽입시키는 방식에 비하여 훨씬 용이하게 설치할수 있을 뿐아니라 그 삽입상태도 더욱 견고하게 되어 케이블부싱(1)이 지지플레이트(6)의 정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특히, 종래에는 케이블부싱이 삽입홈에 안착되려면 절개부(8)가 우수한 탄력을 갖는다해도 케이블 부싱의 요(凹)홈(10) 지름과 같아야하므로 삽입홈에 설치된 케이블부싱이 절개부(8)를 통해 이탈되기 쉬웠으나 본 고안은 절개부(8)가 케이블(4)만 통과할수 있으면 되므로 케이블부싱의 이탈염려가 조금도 없다.
더구나, 삽입홈(7)의 크기가 케이블부싱(1)의 직경에 맞지않는다해도 케이블부싱(1)의 나사결합시 삽입홈(7)부위의 지지플레이트에 밀착되도록 나사결합시키면 되므로 지지플레이트의 두께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하나, 바람직하기로는 숫부재(2)의 숫나사부가 암부재(3)의 암나사부보다 지지플레이트의 두께만큼 길게 형성시켜 놓으면 암, 숫부재의 결합후 요홈(10)이 곧 지지플레이트 두께가되어 보다 견고한 고정장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케이블 부싱(1)이 삽입홈(7)에 안착되어 있으므로 마모가 일어날 염려도 없기때문에, 특히, 자동차용 후드나 연료주입구의 개폐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고 작동에 따른 고정이 전혀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렇게 지지플레이트(6)의 삽입홈(7)에 결합된 케이블 부싱(1)을 상기 삽입홈(7)으로부터 이탈되게하여 케이블(4)을 지지플레이트(6)에서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케이블부싱(1)의 암부재(3)를 돌려서 숫부재(2)로 부터 나사결합을 풀어 분리시켜주면 케이블부싱(1)은 2개 부분으로 분리되고 절개부(8)를 통해 케이블(4)을 빼내면되므로 지지플레이트(6)로부터 매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부싱은 종래와도 달리 2개 부분으로 분리 형성시켜서 서로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과 분리가 가능토록 구성시켜 놓음으로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1) 지지플레이트에 케이블 부싱을 삽입, 이탈시키기가 매우 용이하다.
(2) 케이블부싱은 고정상태가 견고하다.
(3) 지지플레이트의 마모가 전혀 없다.
(4) 따라서, 케이블을 이용한 인장력을 전달하는 시스템의 고장을 완전 해소시킬 수 있다.

Claims (1)

  1. 케이블 튜브 끝에 케이블 부싱이 접속되고 이 케이블 튜브에 헐겁게 끼워져 케이블 부싱 밖으로 케이블볼부분이 인출되어져 있으며, 케이블 부싱은 암부재와 숫부재로 구성되어 나사결합되도록 이루어진 인장력 전달용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부싱을 구성하는 숫부재(2)의 숫나사홈 길이를 암부재(3)의 암나사 길이보다 플레이트(6)의 두께만큼 길게 형성되어 요홈(10)을 이루도록 형성시켜서, 케이블튜브(5)에 일체로 접속되어지는 숫부재(2)에 암부재(3)가 나사결합되어지도록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부싱.
KR2019890011800U 1989-08-10 1989-08-10 케이블 부싱(cable bushing) KR9100078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1800U KR910007842Y1 (ko) 1989-08-10 1989-08-10 케이블 부싱(cable bush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1800U KR910007842Y1 (ko) 1989-08-10 1989-08-10 케이블 부싱(cable bush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277U KR910004277U (ko) 1991-03-18
KR910007842Y1 true KR910007842Y1 (ko) 1991-10-07

Family

ID=19289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1800U KR910007842Y1 (ko) 1989-08-10 1989-08-10 케이블 부싱(cable bush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78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326B1 (ko) * 2001-10-30 2008-06-12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 프론트 엔드 모듈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227A (ko) * 2000-09-19 2002-03-27 이계안 자동차의 후드릴리스케이블 장착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326B1 (ko) * 2001-10-30 2008-06-12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 프론트 엔드 모듈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277U (ko) 1991-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3278B2 (en) Cable sealing device, cable termination and attaching device
US4627759A (en) Screw type connector set
US6007362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a refrigerator door
US6116945A (en) Microphone connector assembly
US5419714A (en) Bolt-fastening connector
US4127314A (en) Terminal pin holding block
KR910007842Y1 (ko) 케이블 부싱(cable bushing)
WO1995027319A1 (de) Vorrichtung zum anschliessen eines koaxialkabels an mit weiterführenden leitungseinrichtungen verbindbare kontakte
KR20010062586A (ko) 커넥터
US4815883A (en) Spherical head coupling for Bowden cables
MXPA01000024A (es) Sujetador ajustable para conductores electricos.
GB2224891A (en) Means for mounting an electrical or optical connector
CN112124484B (zh) 接收驾驶员的操作输入的手柄开关装置
US4599913A (en) Adjustable releasable cable coupling device
US3739318A (en) Connector cap assembly
GB2141594A (en) Bolting together electrical connectors
US4037904A (en) Electrical connector
EP2355285A1 (en) Cable sealing and retaining device and cable connection
EP0464442B1 (en) Sheath fastening device, particularly for ski boots
KR970003202Y1 (ko) 자동차의 도어 레귤레이터 핸들 고정구조
KR0127042Y1 (ko) 차량용 축전지 접속구
KR100251357B1 (ko) 케이블 길이 조정 구조
KR200350672Y1 (ko) 리셉터클 컨넥터의 소켓핀 구조
JPH1141765A (ja) くさび型導体耐張クランプ
KR0120688Y1 (ko) 주차브레이크용 이퀄라이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