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695Y1 - 트럭 크레인의 아우트리거 장치 - Google Patents

트럭 크레인의 아우트리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695Y1
KR910007695Y1 KR2019890006640U KR890006640U KR910007695Y1 KR 910007695 Y1 KR910007695 Y1 KR 910007695Y1 KR 2019890006640 U KR2019890006640 U KR 2019890006640U KR 890006640 U KR890006640 U KR 890006640U KR 910007695 Y1 KR910007695 Y1 KR 9100076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uxiliary
cylinder
rod
pist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66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20238U (ko
Inventor
류대영
Original Assignee
류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대영 filed Critical 류대영
Priority to KR20198900066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7695Y1/ko
Publication of KR9000202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202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6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6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66C23/80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hydraul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 B66C2700/0378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avelling, to the supporting of the crane or to the blocking of the axles; Outriggers; Coupling of the travelling mechamism to the crane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트럭 크레인의 아우트리거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동 예시를 나타낸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작동 예시를 나타낸 제1도의 B-B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아우트리거가 접지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프레임 2 : 보조프레임
3 : 실린더 5, 5' : 작동대
6, 6' : 피스톤로드 7, 7' : 실린더
8, 8' : 피스톤로드 9, 9' : 출몰프레임
10 : 보조대 11, 11' : 승강봉
13, 13' : 보조동작대 14, 14' : 보조로드
본 고안은 트럭크레인의 인양작업시 접지 면적을 넓혀 인장능력을 높인 트럭크레인의 아우트리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차체프레임 후단에 설치한 아우트리거내에 실린더에 피스톤로드로 작동되는 작동대를 차체의 좌우방향으로 출몰되도록 장설하고, 작동대 끝단에 실린더로 작동되는 승강봉을 장설시켜 아우트리거 및 작동대가 펴진 상태에서 승강봉이 접지되어 차폭의 접지력을 높이도록 한 것이 알려져 왔으나, 작동대의 끝단에 실린더와 승강봉을 장설하기 위여서는 실린더에 공급되는 유압 공급관을 작동대의 출몰 위하여는 실린더에 공급되는 유압 공급관을 작동대의 출몰 길이에 맞추어 강압고무호오스로 길게 연결하거나, 독립 유압 실린더를 장착하여야 하므로 전자의 것은 중앙운전대에서 운전하게 되는 편리함은 있으나 호오스가 길게 늘어진 상태가 기계적으로 보기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장치비가 수리비가 많이들며, 후자의 것은 중앙 운전대에서 조정할수 없는 불편함과 가격이 비싸게 들며 양자 공히 접지면적이 좁은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결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접지용 승강봉 대신 작동대 끝단에 접지판을 연결하여 작동개가 내장된 보조프레임이 보조프레임의 상측에 장착된 실린더에 의하여 승강하도록하고, 작동대를 다단으로 절첩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유압공급관을 길게 설치하거나, 중앙 운전대에서 조정할 수 없는 불편을 해소하도록 한 것으로써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레임(1)(1')내의 실린더(7)(7')와 피스톤로드(6)(6')와 연결된 출몰프레임(9)(9') 양단에 장착되어 보조프레임(2)(2')내의 실린더(3)와 피스톤로드(6)(6')에 의하여 출몰되는 작동대(5)(5')로 구성된 아우트리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2)(2')이 상기 출몰프레임(9)(9')의 양단에 부착된 보조대(10)의 좌우양단에 장착된 실린더(12)(12')의 승강봉(11)(11')과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작동대(5)(5')가 보조작동대(13)(13')에 내장되어 피스톤로드(6)(6')에 다단으로 끼워진 보조로드(14)(14') 끝단에 연결되도록한 것이다.
미 설명부호 4,4'는 접지판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실린더(7)(7')를 작동시켜 피스톤로드(8)(8')로 보조대(10)를 프레임(1)(1')으로부터 벌어지도록 하고, 실린더(3)를 작동시켜 피스톤로드(6)(6')와 보조로드(14)(14')로 작동대(5)(5')와 보조작동대(13)(13')을 보조프레임(2) 내부로부터 좌우로 밀려나오도록 한 다음 실린더(12)(12')를 작동시키면 승강봉(11)(11')이 내려와 보조프레임(2)를 하향시켜 제4도와 이 접지판(4)(4')이 접지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피스톤로드(6)(6')와 보조로드(14)(14')로 작동대(5)(5')와 보조작업대(13)(13')를 안테나와 같이 다단으로 펼치게 되어 있어 종래 1단으로 된것보다는 펼친 폭이 넓고, 실린더(12)(12')를 종래것과 같이 작동대(5)(5') 끝단에 설치하지 않고 별도의 보조대(10)상에 고정되게 설치 하므로써, 유압공급용 강압호오스를 길게 연설하거나 중앙운전대 밖에서 별도로 조정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프레임(1)(1')내의 실린더(7)(7')의 피스톤로드(6)(6')와 연결된 출몰프레임(9)(9') 양단에 장착되어 보조프레임(2)(2')내의 실린더(3)와 피스톤로드(6)(6')에 의하여 출몰되는 작동대(5)(5')로 구성된 아우트리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2)(2')이 상기 출몰프레임(9)(9')의 양단에 부착된 보조대(10)의 좌우양단에 장착된 실린더(12)(12')의 승강봉(11)(11')과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작동대(5)(5')가 보조작동대(13)(13')에 내장되어 피스톤로드(6)(6')에 다단으로 끼워진 보조로드(14)(14')끝단에 연결되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크레인의 아우트리거 장치.
KR2019890006640U 1989-05-20 1989-05-20 트럭 크레인의 아우트리거 장치 KR9100076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6640U KR910007695Y1 (ko) 1989-05-20 1989-05-20 트럭 크레인의 아우트리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6640U KR910007695Y1 (ko) 1989-05-20 1989-05-20 트럭 크레인의 아우트리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20238U KR900020238U (ko) 1990-12-13
KR910007695Y1 true KR910007695Y1 (ko) 1991-09-30

Family

ID=19286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6640U KR910007695Y1 (ko) 1989-05-20 1989-05-20 트럭 크레인의 아우트리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769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20238U (ko) 1990-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3411A (en) Extensible boom
US4515520A (en) Stabilizer assembly
US4217987A (en) Actuator for telescopic boom
US5005714A (en) Crane, in particular a large mobile crane
AU5937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a loader to a tractor
SE8505746D0 (sv) Integrated wheel lift wrecker
CA2050811A1 (en) Truck towing boom
KR910007695Y1 (ko) 트럭 크레인의 아우트리거 장치
DE69328768T2 (de) Teleskopausleger für einen Kran, insbesondere für einen zusammenklappbaren Kran
DE29502693U1 (de) Tragvorrichtung für Anbaugeräte an Arbeitsfahrzeuge
US3261485A (en) Load handling device mounted on a vehicle with a fifth wheel
GB2164319A (en) Lifting frame for vehicle
GB2077697A (en) Breakdown recovery vehicle
GB2120620A (en) A breakdown recovery vehicle
US3977546A (en) Wrecking and hauling truck
US6595329B1 (en) Forklift truck with a lifting device
KR200233966Y1 (ko) 견인차의 리프팅장치
KR200155961Y1 (ko) 안전 지지장치를 구비한 지게차
US2740536A (en) Transmission line maintenance derrick
KR970002041Y1 (ko) 트럭유압크레인의 아웃트리거(Out Rigger) 조절기 설치구조
JPS641868Y2 (ko)
KR100472229B1 (ko) 견인차량의 견인장치
KR880007317A (ko) 작업차의 크롤러(crawler)주행장치
KR200187715Y1 (ko) 차량운반용 자동차의 리프팅장치
KR100354617B1 (ko) 견인차량의 견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