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472Y1 - 클램프 장치 - Google Patents

클램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472Y1
KR910007472Y1 KR2019880006642U KR880006642U KR910007472Y1 KR 910007472 Y1 KR910007472 Y1 KR 910007472Y1 KR 2019880006642 U KR2019880006642 U KR 2019880006642U KR 880006642 U KR880006642 U KR 880006642U KR 910007472 Y1 KR910007472 Y1 KR 9100074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pressing
clamp
base block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66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0964U (ko
Inventor
히로사도 다께우찌
오사히꼬 미야자기
야스오 가자마
나오야 구리하라
Original Assignee
닛또 고오기 가부시기가이샤
미끼야 도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또 고오기 가부시기가이샤, 미끼야 도시오 filed Critical 닛또 고오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09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9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4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4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9Work-clamping means for pressing workpieces against a work-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12Accessories for atta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클램프 장치
도면은 본 고안에 관한 클램프 장치의 1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 제1도는 워크를 고정시킨 상태에서의 종단 측면도.
제2도는 클램프 피스를 가장 진출시킨 상태의 평면도.
제3도는 클램프 피스를 가장 진출시킨 상태를 표시한 일부를 절결한 측면도.
제4도는 클램프 피스를 가장 후퇴시킨 상태의 평면도.
제5도는 클램프 피스를 가장 후퇴시킨 상태를 표시한 일부를 절결한 측면도.
제6도는 압압나사의 1예를 표시한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클램프장치 2 : 베드
3 : 스톱퍼 4 : 워크
5 : 베이스 브록 6 : 고정나사
8 : 앵커 10 : 만곡요면
11 : 압압 (押壓)피스 12 : 만곡돌면
14 : 압압나사 16 : 클램프 피스
17 : T형요구 18 : T형돌부
19 : 턱부 20 : 어깨부
본 고안은 워크등의 클램프 대상물의 일단을 압압 구속하는 클램프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공작기계의 베드위에 워크를 고정하는 클램프 장치로서는, 예를들면 베드에 체결 가능한 베이스 브록의 상향 경사면에 습접시키면서 승강하여 진퇴 이동하는 클램프 피스를 설치하고 그 클램프 피스에 관통시킨 압압나사를 베이스 브록 또는 T넛에 나사감합시키고 그 압압나사를 졸라서 상기 클램프 피스를 상향 경사면에 따라 강하 시키면서 진출 이동하여 당해 클램프 피스의 선단부가 일단을 스톱퍼로서 위치결정한 워크의 타단을 압압해서 워크의 고정을 하는 형식의 것이 있다.
그러나, 상향 경사면과 클램프 피스에 의한 쐐기작용을 이용하는 상기 클램프 장치에서는 클램프 피스의 선단부에서 워크를 압압할때, 클램프 피스는 압압나사를 죄임에 따라 베이스 브록의 상향 경사면을 강하 하면서 습동 변위하는데 클램프 피스의 서단부는 워크에 당접해서 원활하게 아래쪽으로 미끄러지지 않기 때문에 클램프 피스는 베이스 브록의 상향 경사면에 대해서 선접촉의 경향을 취하게 된다.
또한, 클램프 피스에는 압압나사의 죄임 토르크가 작용하기 때문에 클램프 피스는 최악의 경우에 상향경사면에 대해서 선접촉에서 점접촉의 경향을 취하게 되고 이에 의해서 워크를 안정된 상태를 압압 고정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쐐기작용을 이용하는 종래의 클램프 장치가 가지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으로 워크를 안정적으로 압압 고정하는 클램프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체결수단을 가지는 베이스 브록에 습접해서 승강 가능한 압압 피스와 상승 또는 강하 이동하는 압압피스와 경사면에서 서로 계합하므로서 쐐기작용으로 베이스 브록위에서 진퇴하는 클램프 피스를 설치하고 다시 상기 압압피스를 승강구동 시킴과 동시에 이 압압 피스를 통해서 상기 클램프 피스를 베이스 브록위에 체착하는 압압나사를 상기 압압피스에 관통 시켜서 설치한 구성을 채용한 것이다.
본 고안의 클램프 장치는, 압압나사의 체부 조작에 추종해서 상승 또는 강하 변위하는 압압피스가 클램프 피스와 경사면에서 서로 계합해서 이때의 쐐기 작용으로서 클램프 피스를 베이스 브록에 강압하면서 진출 시키므로서 이 클램프 피스를 베이스 브록 및 압압 피스에 면접촉 상태에서 체착 유지해서 클램프 피스의 선단부에의한 워크의 고정을 안정 상태로 유지한다.
제1도에서의 본 실시예의 클램프 장치(1)는 공작기계등의베드(2)에 고정한 스톱퍼(3)에 의해서 일단을 계지한 워크(4)의 타단을 압압해서 고정히는 것이다.
클램프 장치(1)는 베이스 브록(5)에 두부를 매몰 시켜서 회전 가능하게 삽입한 고정나사(6)의 선단 나사부를 베드(2)의 T홈(7)에 유감되어 있는 T형 단면의 앵커(8)에 나사로 감합하여 그 고정나사(6)를 죄므로서 베드(2)에 고정하는 형식의 체결수단을 가진다.
베이스 브록(5)의 중간단부분에는 만곡요면(10)을 기립 형성 시킨다.
(11)은 상기 만곡요면(10)의 곡율과 동등의 만곡돌면(12)을 배면측에 가지는 압압 피스이다.
이 압압피스(11)는 두부(13)를 가지는 압압나사(14)에 관통 되며 그 저면측이 스톱링(21)로서 회전 가능하게 축방향으로 위치가 결정되어 있다.
압압나사(14)의 선단부는 상기 베이스 브록에 형성한 장공(15)을 통해서 그 저면측에서 돌출해서 그 선단 나사부가 상기 앵커(8)에 나사로 감합되어 있다.
이런 상태에서 압압피스(11)의 만곡요면(12)은 베이스 브록(5)의 만곡요면(10)에 면접촉하는 위치를 취하여 압압나사(14)의 회전조작에 추종해서 압압피스(11)가 승강할 때 그 만곡돌면(12)이 만곡요면(10)에 습접동하며 이때 압압피스(11)는 베이스 브록(5)에 대해서 소정 각도의 범위에서 압압나사(14)를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16)은 승강이동하는 상기 압압피스(11)와 서로 경사면에서 계합하므로서 쐐기작용을 받아 베이스 브록(5)위에서 진퇴 이동하는 클램프 피스이다.
클램프 피스(16)는 그 배면측에 경사 상향의 T형 요수(17)를 가지며 또 상기 압압피스(11)는 그 정면측에 상기 T형 요부(17)와 상사형을 이루어서 그 T형 요부에 감입하는 경사하향의 T형 돌부(18)를 가진다.
압압나사(14)를 체부방향으로 돌려서 압압나사(11)를 제4도 및 제5도에서의 상승위치에서 강하시키면 T형 돌부(18)의 하향압압면(18A)이 T형 요부(17)에 경사 하향의 힘이 작용 하므로서 클램프 피스(16)를 쐐기 작용으로서 베이스 브록(5)에 강압하면서 진출 시킨다.
이때, 클램프 피스(16)는 베이스 브록(5)의 상표면과 압압피스(11)에 면접촉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압압피스(11)는 베이스 브록(5)의 만곡요면(10)과 면접촉해서 이로 인해 워크(5)를 압압할때 이 워크(4)에서 클램프 피스(16)에 작용되는 반력은 만곡돌면(12)이 베이스 브록(5)의 만곡요면(10)에 면접촉되어 지지된다.
클램프 피스(16)에 의한 워크(4)의 압압 상태는 압압 나사(14)를 죄여서 클램프 피스(16)를 베이스 블록(5)에 체착 하므로서 유지된다.
이때, 압압나사(14)는 앵커(8)와의 공동작용에 의해서 베이스 브록(5)를 베드(2)에 체결하는 기능을 가지는데 그 이전에서의 베이스 브록(5)의 체결은 상기 1개의 고정나사(6)가 행한다.
이 고정나사(6)에 의한 체결력을 향상 시키기 위해서 베이스 브록(5)은 이면의고정나사(6)의 둘레와 베드(2)와의 접촉면(23)을 비교적 작게 해서 고정나사(6)의 둘레의 체결압력을 높히는 배려가 행해지고 있다.
또, 압압피스(11)를 이완 방향으로 둘려서 압압피스(11)를 제2도 및 제3도에서의 강하위치에서 상승시키면 T형 돌부(18)의 상향 압압면(18B)이 T형 요구(17)에 경사상향의 힘을 작용하게 하므로서 클램프 시스(16)를 베이스 브록(5)의 턱부(19)에 강압하면서 쐐기 작용으로 후퇴시킨다.
상기 베이스 브록(5)의 턱부(19)는 클램프 피스의 어깨부(20)에 계합하여 그 어깨부(20)의 벤 자국의 종단(20A)이 제4도 및 제5도에서와 같이 턱부(19)의 돌단(19A)에 당접하므로서 클램프 시스(16)의 최후퇴 위치를 규정하다.
제2도 및 제3도에서와 같이 클램프 피스(16)를 진출 시켰을 때 어깨부(20)의 벤 자국종단(20A)은 턱부(19)의 돌단(19A)에서 떨어져 나가고 이로써 클램프 피스(16)의 진출량에 비례한 크기의 공간(22)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때 압압피스(11)와 클램프 피스(16)는 그 공간(22)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압압나사(14)를 중심으로 일체적으로 회동가능하다.
상기 압압나사(14)는 단순한 6각 볼트등에 의해서 구성할 수도 있으나 클램프 피스(16)로서 워크(4)를 고정할때에 같은 나사(14)에 생기는 탄성 변형량에 따라서 원크(4)의 고정 상태를 눈으로 볼수 있게 표시하는 나사를 채용할 수가 있다.
이때, 제6도에서와 같이 압압나사(14)의 두부(13)에서 축방향으로 천설한 수용공(30)에 탄성부재로서의 환상고무(31)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로드(32)를 삽입하고 그 로드(32)의 톱 헤드(33)에는 적색이나 황색등 비교적 눈에 띄이는 색깔로 도장하며 혹은 마어킹하여 어떤 광반사성등의 지시체(34)를 설치한다.
이 지시체(34) 표면의 대향위치에는 진한 청색이나 흑색과 같은 광흡수유체(34)를 개재시켜서 유리와 같은 광투과부재(36)를 배치한다.
상기 광흡수유체(35)는 광 투자성이고 유연한 광투과성 주머니체(37)에 충전해 둘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광투과성 부재(36)에 의해서 로드(32)를 상기 환상고무(31)의 탄발력에 반항해서 압압하면서 광투과부재(36)와 지시체(34)과의 사이에서 광흡수유체(35)를 배제한 상태에서 광투과부재(36)를 압압나사(14)의 수용공(30) 개구부에 링 호울더(38)로서 죄어서 고정함과 동시에 로드(32)의 선단부를 수용공(30)의 맹단부에 접촉 고정한다.
이로서, 로드(32)의 톱 헤드(33)가 광투과부재(36)를 균일 하게 압압해서 그 압압부에서의 광 흡수유체(35)를 광투과성 주머니체(37)의 둘레부에 완전히 배제하여 톱 헤드(33)의 표면에 설치한 지시체(34)를 광투과부재(36)를 통해서 명료하게 표시하는 초기상태를 얻는다.
초기 상태에서 압압나사(14)가 소정의 응력왜상태(應力歪狀態)에 도달할때까지는 로드(32)의 톱헤드(32)가 광투자부재(36)에 압압력을 작용해서 그 압압부에서의 광 흡수유체(35)를 주위부에 이동 유지 시키므로서 로드(32) 상단면의 지시체(34)를 광투과부재(36)를 통해서 목시 가능하게 표시한다.
압압나사(14)가 소정의 인장 왜상태에 도달하면 그 삐뚫어짐에 의해서 광투과부재(36)가 로드(32)의 톱헤드(33)로부터 이간 이동하여 거기에 호흥해서 광흡수유체(35)가 지시체(34)를 차단하도록 주변부에서 유입하여 동 지시체(34)는 광투과부재(36)를 통해서 어더운 색깔로 급변 시킨다.
이와같은 지시체(34)의 상태변화에 의해서 압압나사(14)의 소정의 응력왜상태를 일으킨다.
광투과부재(36)를 통해서 목시 가능한 지시체(34)의 상태변화(색변화)는 압압나사(14)가 탄성변형되는 한에있어서는 가역적이다.
이 관계에서, 지시체(34)에 눈으로 볼수 있는 상태변화를 가져올 때의 압압 나사(14)의 응력왜상태는 압압나사(14)에 죄는 토르크를 작용시켰을때 실질적으로 신장이 생기는 부위의 길이 L나 그 부위의 횡단면적 및 탄성계수등에 따라서 결정되므로 이들의 값은 상기 클램프 피스(16)에 의해서 워크(4)를 충분히 압압 고정시킬수 있는 체부 토르크가 작용했을 때 지시체(34)에 상태변화를 가져오도록 설정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위에서와 같이 구성된 클램프 장치(1)에 의해서 워크(4)를 베드(2)위에 고정하려면 먼저 스톱퍼(3)를 T구(7)에 삽입해서 베드(2)의 소망위치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클램프 장치(1)를 T구(7)에 삽입해서 스톱퍼(3)와 베이스 브록(5)의 위에 워크(4)를 재치한다.
이때, 클램프 피스(16)는 제3도에서와 같이 가장 돌출한 위치보다도 후퇴한 제5도에서와 같이 초기위치를 취한다.
이 상태에서 클램프 장치(1)를 손으로 앞으로 밀어서 클램프 피스(16)의 선단을 워크(4)에 억누르면서 고정나사(6)를 앵커(8)에 죄어서 클램프 장치(1)를 베드(2)에 고정한다.
다음에, 압압나사(14)를 죄는 방향으로 돌리고 압압피스(11)를 강하시키면 T형 돌부(18)의 하향압압면(18A)이 T형 요구(17)에 경사하향의 힘이 작용하게 되므로 클램프 피스(16)를 쐐기 작용요으로 베이스 브록(5)의 상표면에 강압하면서 전출시켜 워크(4)를 압압한다.
이때, 제1도 내지 제3도에서와 같이 베이스 브록(5)에서의 턱부(19)의 돌단(19A)와 압압피스(11)에서의 어깨부(20)의 벤 자국종단(20A)와의 사이에는 클램프 피스(16)의 진출량에 비례한 크기의 공간(22)이 형성되므로서 압압피스(11)와 클램프 피스(16)는 그 공간(22)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압압나사(14)를 중심으로 일체로 회동한다.
따라서, 클램프 피스(16)에 대향하는 워크 단면이 평면도가 낮은 주물표면 이라든가 스톱퍼(3)와 클램프 장치(1)에 각각 당접하는 워크 양단면의 평면도가 완전치 않을때는 워크(4)에 당접하는 워크 양단면의 평면도가 완전치 않을때는 워크(4)에 당접하는 클램프 피스(16)는 그 진출이동에 따라서 자연히 워크 단면의 방향이 되도록 회동해서 면접촉의 경향을 취하면서 워크 단면을 평균하게 압압할 수가 있다.
클램프 피스(16)가 워크(4)의 단면을 압압할때, 압압피스(11)와 클램프 피스(16)는 T형 돌부(18)과 T형 요구(17)를 통해서 면으로 계속하면서 서로 힘을 미치게 되는데 압압피스(11)에는 압압나사(14)에 의한 하양의 힘이 작용하여 클램프 피스(16)에는 그 힘과 균형이 되는 상향의 반력이 베이스 브록(5)의 상표면에서 작용한다.
동시에 클램프 피스(16)에는 워크(4)에서 옆으로 향하는 반력이 작용하여 압압피스(11)에는 그 힘에 균형이 되는 옆으로의 반력이 베이스 브록(5)의 만곡요면(10)에 작용한다.
따라서, 서로 계합하면서 힘을 서로 비치는 T형 돌부(18)와 T형요구(17)는 선접촉이나 점접촉의 경향을 취함이 없이 확실하게 면접촉 상태를 유지하며 마찬가지로 베이스 브록(5)의 만곡요면(10)과 압압피스(11)의 만곡돌면(12)도 선접촉이나 점접촉의 경향을 취함이 없어 면접촉 하므로서 클램프 피스(16)는 워크(4)에서 작용되는 반력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워크(4)를 견고하게 압압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서, 압압피이스(11)를 통해서 작용되는 하향의 힘으로 클램프 피스(16)가 베이스 브록(5)의 위에 완전히 체착될때까지 압압나사(14)의 체부 토르크를 증가 시킴으로서 클램프 피스(16)에 의한 워크(4)의 압압고정 상태를 견고하게 또한 안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압압나사(14)가 그 자체의 응력왜상태를 지시하는 구조가 될 때는 광투과부재(36)를 통해서 준으로 볼수 있는 지시체(34)의 상태변화에 의해서 적정한 체부 트로크를 알수가 있다.
워크를 벗겨 낼때는 압압나사(14)를 상기의 경우와는 역으로 헐겁게 하는 방향으로 돌려서 압압피스(11)를 상승 시킨다.
이때, T형 돌부(18)의 상향 압압면(18B)이 T형 요구(17)에 경사 상향의 힘을 작용하므로서 클램프 피스(16)는 베이스 브록(5)의 턱부(19)에 강압되면서 쐐기 작용으로서 휘퇴한다.
압압피스(11)와 클램프 피스(16)는 T형 돌부(18)와 T형 요구(17)에 의해서 서로 습동 가능하게 감합하고 양자는 클램프 피스의진퇴 이동에 있어서 서로 분리 하지 않고 상기 계합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압압피스(11)와 클램프 피스(16)의 습동면의 사이에는 먼지나 절삭면등이 들어가기가 어렵다.
마찬가지로, 클램프 피스(16)는 승강 이흥을 하지 않고 상시 클램프 베이스(5)의 상표면에서 습동 이동할 뿐이므로 그 사이에도 먼지나 절삭편이 들어가기가 어렵다.
이로서, 습동부분에 채워진 먼지나 절삭편들을 빈번하게 제거하는 특별한 메인테넌스를 필요로 하지 않고 소기의 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이상, 본 고안을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했는데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하다는 것을 말할 나위도 없다.
예를 들면, 상기실시예에서는 압압피스의 강하 이동에 추종해서 클램프 피스를 진출하도록 구성했는데 그 역이라도 좋다.
그때는, 클램프 피스와 압압피스가 서로 계합하는 경사면의 방향을 상기 실시예와는 역으로 함과 동시에 클램프 피스의 상면을 베이스 브록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베이스 브록의 체결수단은 앵커와 고정나사의 조합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가 있으며 더욱이 압압 나사를 앵커 대신에 베이스 브록에 나사로서 감합하도록 해도 좋다.
본 고안의 클램프 장치는,압압나사의 죄임조작에 연동해서 베이스 브록에 습접하면서 상승 또는 강하 변위하는 압압피스가 그것과 서로 경사면에서 계합하는 클램프 피스를 쐐기 작용으로서 베이스 브록에 강합하면서 진출하도록 했으므로 클램프 피스와 압압 피스의 계합면은 물론 압압피스와 베이스 브록의 계합면에 대해서도 확실하게 면접촉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종래의 클램프 장치에서와 같이 서로 선접촉이나 점접촉의 경향을 취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클램프 피스의 선단부에서 워크를 안정 상태로 압압 고정할 수가 있다.

Claims (1)

  1. 체결수단을 가진 베이스 브록에 습접해서 승강 가능한 압압피스와,상승 또는 하강 이동하는 압압피스와 경사면에서 서로 계합하므로서 쐐기 작용으로 베이스 브록 위에서 진퇴하는 클램프 피스를 설치하며, 다시 상기 압압피스를 승강 구동 시킴과 함께, 이 압압 피스를 통해서 상기 클램프 피스를 베이스 브록위에 체착하는 압압나사를 상기 압압피스에 관통 시켜서 설치한 클램프 장치.
KR2019880006642U 1987-06-23 1988-05-02 클램프 장치 KR91000747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96130(U) 1987-06-23
JP1987096130U JPH0639867Y2 (ja) 1987-06-23 1987-06-23 クラン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0964U KR890000964U (ko) 1989-03-17
KR910007472Y1 true KR910007472Y1 (ko) 1991-09-27

Family

ID=30961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6642U KR910007472Y1 (ko) 1987-06-23 1988-05-02 클램프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639867Y2 (ko)
KR (1) KR91000747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9523Y2 (ja) * 1991-03-26 1998-08-27 相生精機株式会社 クランプ装置
JP4503372B2 (ja) * 2004-07-01 2010-07-14 富士通株式会社 ワークアライメント装置
TW202100263A (zh) * 2019-06-25 2021-01-01 天陽航太科技股份有限公司 降低工件之內腔表面粗糙度之處理裝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6140U (ja) * 1982-02-19 1983-08-27 相生精機株式会社 ネジ締付傾斜面倍力式クランプ
JPS5986936U (ja) * 1982-11-29 1984-06-12 相生精機株式会社 工作機械のワ−ク固定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0964U (ko) 1989-03-17
JPS641828U (ko) 1989-01-09
JPH0639867Y2 (ja) 1994-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43547A (en) Precision machine vise
US3514092A (en) Workpiece hold-down jaws
US5819581A (en) Mechanism to prevent rotation
JPS5946745B2 (ja) マシンバイス
DE3664371D1 (en) Support stand with continuously adjustable arms
ATE24128T1 (de) Bombiereinrichtung eines werkzeugtraegers einer abkantpresse oder dergleichen.
KR910007472Y1 (ko) 클램프 장치
JPH069345Y2 (ja) クランプ装置
KR910007018Y1 (ko) 클램프 장치
US2317195A (en) Clamp
US4205833A (en) Bench vise
US4501136A (en) Device for straightening automobile bodies or the like
US4898238A (en) Pipe supporting device
ES514952A0 (es) Maquina desgrapadora de grapade sujecion de tornillo.
CA1095399A (en) Die holder assembly
US4155542A (en) Device for holding workpieces
ATE112220T1 (de) Gerät zum spannen eines bandes um ein packgut.
US4183513A (en) Clamp wedge
CN213406366U (zh) 一种义齿扫描夹具
CN213615464U (zh) 刀库换刀推送机构
CN114800300B (zh) 夹持稳定的手术器械夹钳
CN219819386U (zh) 一种易调节的圆弧齿管子钳
EP3705231B1 (en) Clamping tool
CN114148689B (zh) 一种输送带张紧连接器
JP2586481Y2 (ja) クラ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