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528Y1 - 기타아줄 회권장치 - Google Patents

기타아줄 회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528Y1
KR910006528Y1 KR2019880021132U KR880021132U KR910006528Y1 KR 910006528 Y1 KR910006528 Y1 KR 910006528Y1 KR 2019880021132 U KR2019880021132 U KR 2019880021132U KR 880021132 U KR880021132 U KR 880021132U KR 910006528 Y1 KR910006528 Y1 KR 9100065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worm
hole
substra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211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2999U (ko
Inventor
강한수
Original Assignee
강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한수 filed Critical 강한수
Priority to KR20198800211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6528Y1/ko
Publication of KR9000129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29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5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5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4Tuning devices, e.g. pegs, pins, friction discs or worm ge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2Anchoring devices for strings, e.g. tail pieces or hitchpi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타아줄 회권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일부를 횡단한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에 따른 종단측면도.
제4도는 제2도의 b-b선에 따른 종단측면도.
제5도는 종래예의 일부를 횡단한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의 c-c선에 따른 종단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판 5 : 워엄기어
7,7a : 지지돌부 8 : 워엄축
9,9a : 지지공 10 : 워엄
10a : 선단축 11 : 나사구멍
12 : 구멍 13,13a,13b : 아스탈링
본 고안은 베이스기타아줄을 감아 돌리는 회권축에 일체로 고정된 워엄기어를 손잡이가 달린 워엄축으로 회전시키는 공지의 구성방식에 있어서 그 특징은 상기한 워엄축을 지지하는 지지돌부를 기판에 일체로 형성하고 그 지지돌부에 뚫은 지지공에는 상기한 워엄축을 한쪽에서 삽입하여 쉽게 조립할 수 있게 하고 그 워엄축의 선단에는 작은 지름의 선단축을 형성하는 동시에 그 선단중심에 암나사를 형성하며 상기한 선단축과 암나사의 초입부에는 내, 외 아스탈링을 끼우고 상기한 암나사에 핀비스를 강하게 조여붙이는데 따라 상기한 워엄축의 회동성이 둔감하게되도록 구성하는 한편 상기한 회권축에 일체로 고정된 워엄기어의 밑면에는 기판과의 사이에 받침용 아스탈링을 개입시켜서 그 회권축도 회동성이 둔감하게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종래 이와같은 종류의 기타아줄 회권장치는 몇가지의 종류가 있으나 그 일례로서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예와 같이 손잡이축(S)에 형성한 워엄(W)의 앞뒤부분에 그 축(S)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의 오목부(S')를 형성하고 있으며 그축(S)을 지지시키는데 있어서는, U자형으로 만곡시킨 지지편(B)을 상기한 오목부(S')에 각각 걸쳐지게 한 다음 그 양다리를 기판(P)에 뚫은 구멍(H)에 끼우고 그 끝부분을 기판(P)의 뒷면에 때려붙어서 고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조립수단이 번거러울 뿐 아니라 사용중 그 고정부위 즉, 양다리의 끝부분이 구멍(H)에서 이완되면 지지편(B)이 요동되어 워엄(W)과 워엄기어(W.G)와의 맞물림 상태가 부실하게 되므로 조율된 음계가 틀리게 될뿐 아니라 그 부품들을 갈아기울 수 없는 등의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할 목적으로 안출한 것으로 그 실시예를 첨부도면의 제1도 내지 제4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판(1)에 형성된 구멍(2)에 절결홈(3a)과 암나사(4)를 형성한 회권축(3)을 올려끼운 다음 그 회권축(3)의 상방에서 구멍(2)주위에 강탄성을 가진 아스탈링(13)을 끼운 후 그 회권축(3)의 상단에 워엄기어(5)에 형성한 구멍(5a)을 끼우고 상기한 암나사(4)에 비스(6)를 조여붙여서 회권축(3)과 워엄기어(5)가 일체로 회동되게 하였으며, 상기한 기판(1)의 상면 양측에는 지지돌부(7)(7a)를 일체로 형성하는 동시에 그 지지돌부(7)(7a)에는 손잡이(8a)가 달린 워엄축(8)을 끼우기 위한 지지공(9)(9a)을 형성하였는바, 상기한 워엄축(8)에는 그 워엄축(8)의 지름과 같은 지름을 가진 워엄(10)을 형성하는 동시에 그 축(8)의 끝단에는 지름이 작은 선단축(10a)을 형성함과 아울러 나사구멍(11)을 뚫었으며 상기한 일측 지지돌부(7)에 뚫은 지지공(9)은 상기 한 워엄 축(8)과 같은 지름으로 뚫고 또 다른 지지돌부(7a)에 뚫은 지지공(9a)에는 상기한 선단축(10a)과 같은 작은 지름의 구멍(12)을 형성하였다.
상기한 워엄축(8)을 지지돌부(7)(7a)에 조립하는데 있어서는 그 선단축(10a)에 강탄성을 가진 아스탈링(13a)을 끼운 후 그 워엄축(8)을 한쪽 지지공(9)에서 삽입하여 선단축(10a)이 타측 구멍(12)에 끼워지게 한 다음(제2도 참조) 지지공(9a)의 외부에서 또 다른 아스탈링(13b)을 끼우고 피비스(14)을 상기한 나사구멍(11)에 조여붙여서 된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워엄축(8)을 지지돌부(7)(7a)의 일측지지공(9)으로 부터 삽입하여 조립하는 것이므로 조립을 하는데 있어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쉽게 조립할 수 있고 선단축(10a)의 내외측에 끼운 아스탈링(13a)(13b)이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멍(12)의 내외면에 협착되기 때문에 마찰력이 발생하여 워엄축(8)의 회동성을 둔감하게 하는 한편 워엄기어(5)의 밑면과 기판(1)사이에 개입된 아스탈링(13)에 의하여(제4도 참조) 마찰력이 발생되므로 워엄기어(5)의 회동성도 둔감하게되는 동시에 워엄(10)과 워엄기어(5)의 맞물림 상태가 양호하게 되므로 효율적으로 조율기능을 충실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기판(1)상에 형성한 구멍(2)에 워엄기어(5)를 가진 회권축(3)을 설치하고 지지돌부(7)(7a)에 워엄축(8)을 지지시켜서 그 워엄축(8)으로 상기한 워엄기어(5)를 회전시키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한 워엄축(8)과 그 워엄축(8)에 형성한 워엄(10)의 지름을 같은 지름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그 축(8)의 끝단에 지름이 작은 선단축(10a)을 형성함과 아울러 나사구멍(11)을 뚫으며 상기한 기판(1)상에는 지지돌부(7)(7a)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한 워엄축(8)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공(9)(9a)을 각각 뚫어서 일측지지공(9a)에 상기한 선단축(10a)과 같은 지름의 구멍(12)을 형성하였으며 상기한 워엄기어(5)와 기판(1)과의 사이에는 아스탈링(13)을 개입시키는 한편 상기한 선단축(10a)과 지지공(9a)에는 내.외 아스탈링(13a)(13b)을 끼워서 상기한 나사구멍(11)에 핀비스(14)를 조여붙이는데 따라 그 워엄축(8)과 상기한 워엄기어(5)가 함께 회동성이 둔감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아 줄 회권장치.
KR2019880021132U 1988-12-21 1988-12-21 기타아줄 회권장치 KR9100065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1132U KR910006528Y1 (ko) 1988-12-21 1988-12-21 기타아줄 회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1132U KR910006528Y1 (ko) 1988-12-21 1988-12-21 기타아줄 회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2999U KR900012999U (ko) 1990-07-04
KR910006528Y1 true KR910006528Y1 (ko) 1991-08-24

Family

ID=19282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21132U KR910006528Y1 (ko) 1988-12-21 1988-12-21 기타아줄 회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652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2999U (ko) 1990-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15858Y2 (ko)
US6009797A (en) Rotating structure of an oven
KR860007124A (ko) 조작장치 또는 작동장치에 있어서의 와이어와의 연결부 구조
KR910006528Y1 (ko) 기타아줄 회권장치
KR890012595A (ko) 판형상체의 조립구
KR870009373A (ko) 테이프 카셋트
US3459092A (en) Violin string tuning and tensioning peg
JPH08108375A (ja) 狭所用ねじ回し
JPH0237251Y2 (ko)
JPS631262Y2 (ko)
KR980002909A (ko) 헬리컬 코일 삽입장치
JPS5835509Y2 (ja) ノツク式シヤ−プペンシル
US3857644A (en) Shaft mounting apparatus
JP2509764Y2 (ja) ライト取付装置
JPH0133432Y2 (ko)
JP2601523Y2 (ja) 光ファイバーの取付構造
KR860007125A (ko) 자전거 페달
JPS6179062U (ko)
KR910008296Y1 (ko) 버클
JPH0612256Y2 (ja) 回転体の固定装置
JPH0133440Y2 (ko)
JPH024316Y2 (ko)
JPS6348802Y2 (ko)
JPH0412268Y2 (ko)
JPS63787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