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455B1 - 가입자망간 접속장치의 계층 3에서 데이터 링크상태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가입자망간 접속장치의 계층 3에서 데이터 링크상태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455B1
KR910006455B1 KR1019880018071A KR880018071A KR910006455B1 KR 910006455 B1 KR910006455 B1 KR 910006455B1 KR 1019880018071 A KR1019880018071 A KR 1019880018071A KR 880018071 A KR880018071 A KR 880018071A KR 910006455 B1 KR910006455 B1 KR 910006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link
state
layer
data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8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1181A (ko
Inventor
박용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18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6455B1/ko
Publication of KR900011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입자망간 접속장치의 계층 3에서 데이터 링크상태 관리방법
제1도는 종래의 흐름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수행되는 시스템의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상태 테이블.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a, 11b : 가입자 13 : 데이터 링크
15 : 가입자측 연결회로 17 : 중앙처리장치
19 : 롬 21 : 라인카드 콘트롤러
23 : 피포 25 : 램
27 : 타임스위치 29 : 교환기망측 연결회로
31 : 교환라인
본 발명은 정보종합통신망(ISDN)을 구축하기 위한 가입자망간 접속장치의 데이터 링크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CCITT 권고안에 따른 가입자망간 접속장치의 계층 2의 프리미티브(Primitive)에 의해 변화되는 데이터 링크를 계층 3에서 데이터 링크별로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 CCITT 권고안 I450에서의 계층 3는 권고안 I440에 규정된 데이터 링크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과 서비스를 활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기능과 서어비스의 활용은 데이터 링크 접속의 설정 및 데이타 전송 에러로부터 보호, 회복 불능의 데이터 링크에러 및 데이터 링크 계층 장애 등에 의해 재설정 및 데이터 링크에 관하여 데이터 링크상태를 표시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의 제공은 데이터 링크 프리미티브로 데이터 링크의 설정 및 해제, 장애에 대한 통보 및 해제, 장애에 대한 통보 및 해제, 그리고 데이터 전송에 대해서 규정되어 있으며, 계층 3에서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기능과 서어비스를 계층 2의 프리미티브(Primitive)에 의해 수행 관리하여야 한다.
제1도는 종래의 흐름도로써, 계층3에서 계층2의 프리미티브를 받아 데이터 링크를 관리하는 흐름도이다.
통상 계층3에서의 프리미티브 정보는 데이터 설정요구, 데이터 링크 해제요구, 계층2에서의 프리미티브 정보는 데이터 링크 설정완료, 및 데이터 링크 해제완료의 정보를 각 계층간에 제공하고 수신하게 된다. 이때 계층3의 기능 수행은 데이터 링크 설정완료 프리미티브 정보에서 판독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설정은 데이터 링크가 동작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다. 제1도는 상기 각 프리미티브의 정보에 따른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1도에서 계층3에서 계층 2로 링크 설정요구시 이는 제1도 31과정에서 계층2가 수신한다. 이때 계층2에서는 32과정에서 설정된 데이터 링크를 선택하여 33과정에서 데이터 링크의 물리적 연결(D채널)을 요구하게 한다. 데이터 링크 설정완료(34과정)은 설정완료 단계로써 데이터 링크 계층의 기능과 서비스를 활용 가능한 상태로써 계층3의 정보에 의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데이터 링크 해제 요구(36과정)는 해제할 데이터 링크를 선택하여 해당 데이터 링크를 물리적으로 폐쇄하도록 유도한다. 데이터 링크 해제완료(39과정)는 해제완료된 상태이므로 데이터 링크 계층의 기능 및 서비스를 사용 가능하지 못하는 상태로써 계층3기능은 처리되지 못하게 된다. 위 관련 프리미티브에 관한 처리는 각각 하나의 동작(Action)으로 수행된다.
제1도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의 방법은 실제적인 해당 데이터 링크가 설정 상태인지 해제 상태인지는 계층2의 프리미티브 정보에 의해서만 판단 가능하며, 프리미티브 정보가 없는 경우에 계층3에서는 해당 데이터 링크상태로 파악할 수 없게 되어 있었다. 물리적으로 해당 데이터 링크가 설정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 데이터 링크 해제요구시에는 비정상적으로 처리되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된다. 그러므로 각 신호상태점 데이터 링크의 상태를 각 링크별로 관리하여 각 경우에 대한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제1의 흐름도와 같이 데이터 링크를 관리하는 종래의 방법은 해당링크가 설정되어 있지도 않은 상태에서 데이터 링크 해제요구시에도 비정상적으로 처리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CCITT 권고안 I450에서의 계층3이 I440에서의 적절한 데이터 링크 계층이 기능과 서비스(적절한 물리적 계층 서비스에 제공되는)의 활용을 데이터 링크의 상태에 따라 활용기능 또는 비가용 상태로 나타냄에 있어서 계층2의 데이터 링크 프리미티브 정보에 의해 변화되는 데이터 링크상태에 따라 데이터 링크상태를 관리하여 프리미티브를 통한 계층3 메시지 시그날을 처리하여 계층3내에 적용하여 통신망 접속을 설정하며 유지와 복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데이터 링크상태 관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이 수행되는 시스템의 계략적인 구성도로서, ISDN용 가입자(11a∼11b)와, 소정 제어에 의해 상기 가입자(11a)(11b)와 물리적인 연결을 실행하여 계층1을 수행하는 가입자측 연결회로(15)와, 상기 가입자측 연결회로(15)의 통신과 소정 프로그램에 의해 시스템의 계층1, 계층2, 계층3을 실행하고 그 상태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17)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7)에 소정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롬(19)과, 상기 중앙처리장치(17)의 제어에 의해 가입자측 연결회로(15)의 출력중 "D"채널 루프를 형성하는 라인카드 콘트롤러(21)와, 상기 라인 카드콘트롤러(21)의 입출력 정보를 선입선출하는 피포(23)와, 상기 피포(23)의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거나 상기 중앙처리장치(17)의 프리미터 정보를 일시 저장하는 램(25)과, 상기 중앙처리장치(17)의 제어에 의해 "B"채널을 스위칭 하는 타임스위치(27)와, 상기 타임스위치(27)와 교환기간에 인터페이싱을 담당하는 교환망측 연결회로(29)로 구성되어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로써, 각 데이터 링크별로, 데이터 링크상태에 따라 데이터 링크 프리미티브에 따른 수행 및 수행후의 상태를 해당 링크테이블에 저장토록하여 링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흐름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데이터 링크상태 정보저장테이블로써 데이터 링크당 데이터 상태표시 저장 버퍼를 가지고 있으며 저장되는 내역은 다음 4가지 상태중 하나만이 저장되어진다.
데이터 링크 미설정상태, 데이터 링크 설정상태, 데이터 링크 설정 대기상태, 데이터 링크 해제 대기상태이며 각 데이터 링크의 초기상태는 데이터 링크 미설정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데이터 링크 계층 즉 계층1로부터 들어오는 프리미티브 정보를 정의한다.
상기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부터의 프리미티브 정보는 각 상태에서 한순간에 하나만 입력되며, 데이터 링크 설정요구, 데이터 링크 설정완료, 데이터 링크 해제요구, 데이터 링크 해제완료가 이에 해당된다.
제3도의 41과 같은 상태는 가입자(11a)(11b)로부터 데이터 설정요구가 없는 데이터 링크 미설정상태로써, 제2도의 데이터 링크의 물리적 연결(13)이 설정되지 않은 상태이다.
상기의 41과정상태인 데이터 링크 미설정상태는 계층1에 의해 중앙처리장치(17)에 전달되며, 이 상태를 제4도와 같이 내부에 구성된 해당 링크의 ID영역에 "미설정"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이때 가입자(11a) 또는 (11b)가 링크 연결 메시지 송출하면 이는 입력되며, 중앙처리장치(17)는 입력메세지에 의해서 롬(3-g)으로부터의 내용에서 데이터 링크를 계층2의 43과정에서 선택하여 데이터 링크의 물리적 연결요구를 44과정에서 요구한다.
상기 44과정에서 데이터 링크의 물리적 요구는 중앙처리장치(17)를 통해서 가입자측 연결회로(15)에게 데이터 링크의 물리적 연결13을 요구한다.
이때 중앙처리장치(17)는 제4도와 같은 링크 테이블에서 해당 링크 ID영역의 상태를 45과정에서 설정상태로 한다.
한편 43과 같은 데이터 설정완료가 계층2로부터 계층3로 입력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부터 데이터 링크 설정완료 프리미티브 정보가 입력된다. 이때 데이터 링크설정이 완료되어 데이터 링크를 동작 상태에 있게되어 계층3은 계층2인 데이터 링크 계층의 기능 및 서비스48과정에서 활용 가능하게 하고 제4도와 같은 테이블의 링크 ID에의 해당 데이터 링크의 상태를 "설정"으로 저장하게 되며, 데이터 링크 설정상태로 넘어가게 된다.
한편 전술한 45과정에 의해 데이터 링크 설정상태(45과정)에 있는 상태 즉, 제2도의 데이터 링크의 물리적연결(13)이 연결되기를 기다리는 상태로 설명되는 점에서 데이터 링크의 물리적 연결(13)의 연결이 완료되면 가입자측 연결회로(15) 및 중앙처리장치(17)를 통해 롬(19)의 계층2로부터 계층3로 데이터 링크 설정 완료 프리미티브 정보를 51과정에서 입력하는 경우 데이터 링크는 동작상태에 있으므로 계층3는 데이터 링크 계층의 기능 및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53과정에서 제4도와 같은 테이블의 해당 링크 ID영역의 해당 데이터 링크 상태는 "설정"으로써 그 내역을 저장하게 되고 54에서 데이터 링크 설정상태로 된다. 데이터 링크 물리적 연결요구후 데이터 설정 대기상태(46과정)에서 연결이 실패인 경우,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계층 2로부터 계층3로 데이터 링크 해제 요구하는 프리미티브 정보가 55과정에서 입력된다.
이때 해당 데이터 링크를 56과정에서 선택하여 데이터 링크의 물리적 폐쇄를 57과정에서 확인하도록 하며, 제4도의 해당 데이터 링크의 상태를 58과정에서 "미설정"상태로 초기화하여 해당 테이블에 저장하고 59과정에서 데이터 링크 미설정상태로 천이한다.
한편 제2도 60과정의 상태는 데이터 링크 설정상태로서 전술한 데이터 링크 미설정상태(41)의 데이터 링크 설정요구(42)와, 데이터 링크 설정 대기상태(46)의 데이터 링크 설정완료(51)의 데이터 링크 설정완료 프리미티브 정보에 의해 데이터 링크 설정이 되어 동작가능한 상태이며, 계층3은 계층2의 기능 및 서비스 활용 가능한 상태이다.
66과정은 제2도의 가입자측 연결회로(15) 및 가입자(11a)의 동작실패가 발생되면 계층3, 데이터 링크 물리적 연결(13)가 동작 불능상태로 만들기 위해 중앙처리장치(17)를 통해 롬(3g)의 계층3로 데이터 링크 해제요구를 하는 경우다.
이때 계층2는 67과정에서 해제할 데이터 링크를 선택하여 데이터 링크 물리적 연결을 해제하도록 중앙처리장치(17) 및 가입자측 연결회로(15)를 통해 데이터 링크 물리적 연결(13)의 연결 해제를 68과정에서 요구하고, 제4도의 해당 데이터 링크의 상태를 69과정에서 "해제대기"상태로 하여 해당 테이블에 저장하고 70과정의 데이터 링크 해제 대기상태로 제3도의 61과정은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에러로 인해 회복 불능인 경우로써 데이터 링크의 재설정을 요구하는 데이터 링크 설정요구 프리미티브 정보가 계층3으로부터 입력되었을 때 계층 2에서 설정할 데이터 링크를 62과정에서 선택하여 제2도의 중앙처리장치(17) 및 가입자측 연결회로(15)를 통해 데이터 링크 물리적연결(13)의 연결을 63과정에서 요구하고, 64과정에서 제4도의 해당 데이터 링크상태를 "설정대기"로 두고 해당 테이블에 그 내역을 저장한다.
이때의 상태는 65과정 데이터 링크설정 대기상태로 전술한 46과정의 데이터 링크설정 대기상태와 동일하다.
제3도 75과정은 데이터 링크가 사용의 경우로써, 제3도의 데이터 링크 물리적연결(13)이 폐쇄되는 경우이며, 이때 가입자측 연결회로(15) 및 중앙처리장치(17)를 통해 롬(19)에 저장된 계층2로부터 데이터 링크 해제완료 프리미티브 정보가 계층3으로 입력된다.
이때도 데이터 링크가 동작되지 않으므로 계층3은 데이터 링크 계층의 기능 및 서비스의 활용이 76과정과 같이 불가능하게 되고 제4도의 해당 데이터 링크의 상태를 "미설정"으로 테이블에 77과정에서 저장한다.
제3도 70과정의 상태는 데이터 링크 해제 대기상태로써 전술한 66과정에 의해서 데이터 링크가 해제된 경우의 동작후의 상태이다. 71과정의 경우는 이미 데이터 링크 해제요구에 따라 제2도의 데이터 링크의 물리적 연결(13)가 완전히 절단되어 가입측 연결회로(15) 및 중앙처리장치(17)를 통해 롬(19)의 프로그램에 의한 계층2에서 계층3로 데이터 링크 헤제완려 프리미티브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이다. 이때는 데이터 링크의 해제로 인해 데이터 링크동작이 불가능하므로 계층3는 계층2의 기능 및 서비스의 활용이 72과정에서 비가용 상태로 한다. 이후 73과정에서는 제4도의 해당 데이터 링크의 상태를 "미설정"상태로 초기화하여 해당 테이블에 저장하고 제3도 41과정과 같은 데이터 링크 미설정상태로 한다.
상기한 각 상태에서 관련 프리미티브 정보 이외의 정보가 계층2로 들어오는 경우는 위관련 동작과 상관없이 아무런 동작을 처리하지 않으며 제4도의 해당상태는 변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현재의 상태에 따른 정보를 처리하므로써 프리미티브 정보가 없는 경우에도 해당 데이터 링크의 상태가 동작되는지, 되지 않는지를 쉽게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계층2의 데이터 링크의 현재 상태가 어떠한 상태인가를 검사할 수 있으며, 계층2의 프리미티브 정보처리는 해당 관련상태의 프리미티브만 처리됨으로 비정상 입력처리에 대한 비정상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관련 데이터 링크에 따른 상태변화를 감지하여 링크의 사용/비사용 여부를 판단함으로서 링크관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Claims (1)

  1. 가입자망간 접속장치의 계층3에서 데이터 링크상태 관리방법에 있어서, 초기 데이터 링크 미설정 상태에서 가입자의 링크형성 메시지수신시 계층2에서 데이터 링크를 설정하고 데이터 링크가 물리적 연결토록 계층2로 데이터 링크설정을 요구하고 해당 데이터 링크가 설정 대기상태임을 나타내는 상태 데이터를 소정버퍼에 저장한 후 데이터 링크설정 대기상태로 천이하는 제1단계와, 초기 데이터 링크 미설정 상태에서 계층 2로부터 데이터 링크 설정완료 메시지가 입력시 계층2에서 제공되는 기능 및 서어비스를 계층3이 활용하고 해당 데이터 링크상태가 데이터 링크설정 상태임을 나타내는 상태데이터를 소정 버퍼에 저장한 후 데이터 링크 설정 상태로 천이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데이터 링크 설정 대기상태에서 계층2로부터 데이터 링크 설정완료 메시지가 입력시 계층2에서 제공되는 기능 및 서어비스를 계층3이 활용하고 해당 데이터 링크상태가 데이터 링크 설정상태임을 나타내는 상태데이터를 소정버퍼에 저장한 후 데이터 링크설정상태로 천이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데이터 설정 링크 대기상태에서 가입자로부터 데이터 링크 해제 메시지수신시 계층2로 데이터 링크해제를 요구하여 계층 2에서 해제할 데이터 링크를 선택도록하고 계층2로부터 데이터 링크의 물리적 해제를 확인하고 해당 데이터링크가 미설정임을 나타내는 상태데이터를 소정버퍼에 저장한 후 데이터 링크 미설정상태로 천이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2단계 및 제3단계의 데이터 링크상태에서 가입자의 링크 해제 메시지 수신시 계층2에서 해제될 데이터 링크를 선택하고 데이터 링크가 물리적 해제도록 계층2로 데이터 링크 해제를 요구하고 해당 데이터 링크가 해제 대기상태임을 나타내는 상태데이터를 소정 버퍼에 저정한 후 데이터 링크해제 대기상태로 천이하는 제5단계와, 데이터 링크 설정 대기상태에서 가입자의 데이터 링크 형성 메시지수신시 계층2에서 데이터 링크를 설정하고 데이터 링크가 물리적 연결도록 계층2로 데이터 링크 설정을 요구하고 해당 데이터 링크가 설정 대기상태임을 나타내는 상태데이터를 소정 버퍼에 저장한 후 데이터 링크 대기상태로 천이하는 제6단계와, 상기 제5단계 후의 데이터 링크 해제 대기상태에서 계층2로부터 데이터 링크 해제완료 메시지수신시 데이터 링크 계층의 기능 및 서어비스를 해제로 하고 계층3이 링크를 비가용하며 해당데이터 링크가 미설정 상태임을 나타내는 상태데이터를 소정 버퍼에 저장하고 데이터 링크 미설정상태로 천이하는 제7단계와, 상기 제3단계의 데이터 링크 설정상태에서 계층2로부터 데이터 링크 해제완료 메시지 입력시 상기 제7단계 해제와 동일한 과정을 실행하는 제8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880018071A 1988-12-31 1988-12-31 가입자망간 접속장치의 계층 3에서 데이터 링크상태 관리방법 KR910006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8071A KR910006455B1 (ko) 1988-12-31 1988-12-31 가입자망간 접속장치의 계층 3에서 데이터 링크상태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8071A KR910006455B1 (ko) 1988-12-31 1988-12-31 가입자망간 접속장치의 계층 3에서 데이터 링크상태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181A KR900011181A (ko) 1990-07-11
KR910006455B1 true KR910006455B1 (ko) 1991-08-26

Family

ID=19281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8071A KR910006455B1 (ko) 1988-12-31 1988-12-31 가입자망간 접속장치의 계층 3에서 데이터 링크상태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645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181A (ko) 1990-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73348C (en) Redundant call processing
US5345503A (en) Method for managing and re-connecting a speech path link in a switching network
KR910006455B1 (ko) 가입자망간 접속장치의 계층 3에서 데이터 링크상태 관리방법
JP2616388B2 (ja) 呼救済処理方式
KR100326114B1 (ko) 브이5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장치의 가입자 포트 상태관리방법
US20090116491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port resource thereof
JP2750923B2 (ja) ネットワーク接続障害回避方式
JP3320108B2 (ja) Isdn伝送制御方法とそのisdn端末装置
JP2666849B2 (ja) 遠隔監視装置
JP4017298B2 (ja) 構内電話交換機システム
JP3102353B2 (ja) 通信ルート切り戻し制御方式
JP3100464B2 (ja) パケット交換機
JP2645134B2 (ja) 復旧信号リンクへのメッセージ送出制御方式
JP2508272B2 (ja) メッセ―ジ応答監視装置
KR940000182B1 (ko) 회선교환망용 단말기를 위한 네트워크 시뮬레이팅 회로 및 방법
KR100326117B1 (ko) 데이타 링크 장애처리방법
JPH05244265A (ja) 通信システム
JPH11103349A (ja) Isdn電話交換システムにおける回線保留方法およびisdn電話サービスシステム
JPS6352829B2 (ko)
JPS61166257A (ja) 遠方監視制御装置
JPS58173941A (ja) 通信装置ヘルスチエツク方式
KR20020053241A (ko) 데이터 전송시스템의 핑테스트 방법
KR20000061834A (ko) V5.2 기동 절차 방법
JPH06164644A (ja) 中継機のデータ転送方法とデータ転送装置
JPS5858629A (ja) バス切替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9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