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250Y1 - 자물쇠 - Google Patents

자물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250Y1
KR910006250Y1 KR2019890001955U KR890001955U KR910006250Y1 KR 910006250 Y1 KR910006250 Y1 KR 910006250Y1 KR 2019890001955 U KR2019890001955 U KR 2019890001955U KR 890001955 U KR890001955 U KR 890001955U KR 910006250 Y1 KR910006250 Y1 KR 9100062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key
lock
locking ring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19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5803U (ko
Inventor
박기식
Original Assignee
박기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식 filed Critical 박기식
Priority to KR20198900019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6250Y1/ko
Publication of KR9000158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58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2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2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05B37/0031Locks with both permutation and key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05B37/0068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in pad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38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using permanent magnets
    • E05B47/0044Cylinder locks with magnetic tumb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38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using permanent magnets
    • E05B47/0045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using permanent magnets keys with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물쇠
제 1 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로서 열쇠를 꽂기전 상태를 나타낸 것.
제 2 도는 해정상태의 종단면도.
제 3 도는 자석식 자물쇠-열쇠의 작동을 나타낸 것으로서 (a)도는 열쇠를 삽입시킨상태, (b)도는 열쇠를 회전시켜 자석이 일치되게 하므로서 실린더정을 회전시킬 수 있게 함을 보인 상태.
제 4 도는 다이얼링 구조의 분해도(잠금고리의 구속단 단속장치).
제 5 도는 잠금고리의 구속단 안전부재의 분해도.
제 6 도는 열쇠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잠금고리 3 : 다이얼 유니트
9 : 승강봉 9c : 하단
11 : 실린더홈 11a : 내부턱
12 : 슬라이더 12a : 선단
12b : 키구멍 12d : 턱
13 : 압축코일 스프링
본 고안은 자물쇠의 개량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자물쇠에 있어서 잠금고리의 자유단은 자석식열쇠에 의하여 단속되고 또한 잠금고리의 구속단은 다이얼식 구조와 상기 열쇠의 2중 구조에 의하여 단속되는 자물쇠로써 보안이 한층 강화된 새로운 구조의 안전 자물쇠에 관한 것이다.
이제까지 출현된 자물쇠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자석식과 다이얼식 및 키방식등 크게 3종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들 각자는 독톡한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그들 형식에 적합한 열쇠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자물쇠의 구성 형태에 부합되는 열쇠가 아니고서는 잠그거나 함부로 열수가 없다. 그러나, 어떤 형식으로 된 자물쇠이든 한가지 문제가 있다. 즉, 자물쇠의 열쇠 구멍에 변칙적인 구조의 도구를 밀어넣어 조작하면 어떤 자물쇠라도 쉽게 열리는 취약점 때문에 보안성 불안하다는 것이다.
본 고안은 바로 이점을 해결하는데 역점을 둔 것이다.
즉, 본 고안자는 잠금고리의 자유단은 자석식 열쇠에 의해서만 괘, 해정이 실행되는 방식을 취하고 동시에 잠금고리의 구속단은 다이얼 방식만으로 괘,해정이 가능하며 이와 함께 열쇠구멍의 개폐와 잠금고리의 괘,해정 선택 여부에 보안을 철저히 유지 가능한 수단을 모두 갖춘 새로운 구조의 자물쇠를 제공함으로써, 자물쇠에 기대한 안전 문제를 한껏 높일수 있는 자물쇠를 실현하는데 전력한 결과, 그 완성을 보게 된 것으로서, 이하바람직한 실시예를 토대로 작성한 첨부도면과 관련지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1 도 및 제 2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물쇠-열쇠와 관련된 괘정 상태와 해정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이들 그림에서 보듯이 본 고안의 자물쇠에 있어서 잠금고리(1)의 자유단(1a)은 오로지 자석식 열쇠(2)에 의해 괘,해정이 가능하고, 또한 동시에 그 구속단(1b)는 상기(자석식) 열쇠(2)와 연관된 작동과 더불어 별도로 지닌 다이얼(3)에 의한 특히 적합한 다이얼링에 의해서만 확실한 괘,해정이 이뤄질 수가 있다.
이렇듯 보안유지가 철저한 본 고안의 자물쇠-열쇠에 있어서, 우선 잠금고리(1)의 자유단(1a)을 단속하는 요소부터 설명한다.
잠금고리(1)의 자유단(1a)에는 강구(4)가 안쪽에서 걸릴 대체로 반구형 또는 반원 모양의 홈(1c)이 파여있다.
그리고, 자물쇠 본체(5)에서 잠금고리(1)의 자유단(1a)의 출입을 위해 마련된 흠(5a)의 안쪽에는 잠금고리(1)의 괘,해정 작동 방향으로 뚫린 실린더좌(5b)가 위치하고, 이 실린더좌(5b)에는 열쇠홈이 파여진 실린더정(6)이 삽입되어 소정의 각도 범위내에서 제자리 선회가능하도록 고정 위치하고 있다.
이와함께 잠금고리(1)의 자유단(1a)이 출입할 홈(5a)의 아래쪽 본체(5)상에는 횡방향으로 뚫린 여러 단의 홈(15)이 존재하고 이 홈(15)의 바깥쪽에는 고정 영구자석(7a)이 고정끼움되어 있으며, 이 홈(15)의 내측에는 활동이 자유로운 이른바 가등 영구자석(7b)이 헐겁게 끼워져 있다.
이들 영구자석(7a)(7b)은 서로 마주하는 극성이 등극이기 때문에 가등 영구자석(7b)은 언제나 실린더정(6)을 향해 반발되어 밀려나 있는 상태로 된다.
한편, 실린더정(6)에 있어서의 외주면의 적소, 더욱 정확히 말하자면 상기 홈(15)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이 홈(15)과 등수의 홈(6a)이 파여 있다. 그러나, 이 홈(6a)은 실린더정(6)의 키홈(6b)과는 격리되어 있다.
그래서, 괘정시에는 가등자석(7b)이 고정자석(7a)에 밀려져 실린더정 (6)의 홈(6a)의 속으로 삽입되어 일부는 본체(5)의 홈(15)에 그리고 나머지 부분은 실린더(6)의 홈(6a)에 각각 걸리며, 이에 따라 실린더정(6)은 본체(1)에 고정되어 열쇠(2)를 끼우지 않는 한 괘정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열쇠(2)를 끼워 돌렸을 때에는 열쇠(2)측 영구자석(7c)에 의한 반발력이 더욱 크기 때문에 가등영구자석(7b)은 고정 영구자석(7a)쪽으로 밀려나 실린더정(6)으로부터 벗어나 걸림(잠금)이 해제된다.
이러기 위하여는 열쇠(2)측 영구자석(7c)의 극성은 가등 영구자석(7b)의 실린더정측 극성과도 등극이고 또한 자력도 고정 영구자석(7a)에 비해 강력해야 하는 것이 전제된다.
또 실린더정(6)의 키 홈(6b)상에는 돌출된 형태의 스토퍼(6c)가 있는데, 이것은 열쇠(2)가 올바르게 끼워진 상태하에서 열쇠(2)가 소정의 각도 범위만큼은 겉들고 그 이후 소정의 각도 범위 즉, 완전해정이 이뤄질때까지의 선회각도 범위 내에서는 실린더정(6)을 함께 물고 선회토록 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여기에 필요한 열쇠(2)는 등 그림에서 보듯이 상기 고정 영구자석(7a) 및 가등 영구자석(7b)의 설치 위치에 맞게 그것과 등수의 고정 영구자석(7c)을 구비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열쇠(2)는 상기 스토퍼(6c)를 비껴지나가 소정각도 선회한 후에 걸릴 ㄴ자 모양의 안내홈(2a)도 물론 지니고 있다. 이상의 구조는 통상의 자석식 자물쇠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잠금고리(1)의 구속단을 단속하는 구조에 대하여 살펴본다. 잠금고리(1)의 구속단(1b)에는 내측또는 외측에 ㄷ자 모양으로 파여진 홈(1c)이 있다.
이 홈(1c)부분은 승강봉(9)상단에 형성된 홈(9d)내에 완전수납되며, 이 홈(9d)을 가로질러 꽂힐 핀(9e)에 의해 위,아래로 주어진 활동폭을 벗어나지 못하게 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8)은 승강봉(9)에 의해 압축되거나 팽창된다.
즉, 이 코일 스프링(8)은 상기 수직홈(5c)의 상단에 위치한 턱(5d)과 승강봉(9)의 상단 언저리 사이에 장전되어 있으므로 승강봉(9)이 상승하면 탄력적으로 수축되고 승강봉(9)이 하강하면 반대로 팽창된다. 그래서, 스프링 (8)과 승강봉(9)의 상승은 곧 잠금고리(1)의 해정을 의미하고, 스프링(8)과 승강봉(9)의 하강은 그 자체가 곧 잠금고리(1)의 괘정을 뜻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발휘하는 승강봉(9)은 다이얼(3)방식에 의해 제어된다. 이 다이얼(3)은 제 4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정의 위치에 하나의 내향 돌기(10a)를 갖고 또한 바깥둘레를 10등분하고 이렇게 등분한 위치에 0-9의 숫자를 부여한 링(10)과 상기 승강봉(9)상에 이 링(10)의 직경과 두께가 같은수, 크기로 환상홈(9a)이 형성된 것, 그리고 이들 홈(9a)을 축방향으로 난 단일 수직홈(9b)으로 서로 이어지게 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승강봉(9)의 각홈(9a)에 링(10)이 끼워진 상태에서 수직홈(9b)에 각 링(10)의 들기(10a)가 일치할 경우에 한하여 승강봉(9)은 본체(5)의 수직홈(9c)상에서 승강작동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다이얼링 방식 또한 공지의 사실이다.
본 고안의 요지는 이후 설명에서 더욱 명백히 이해될 것이다.
본체(5)에 있어서, 하단 가까운 내부에는 잠금고리(1)의 자유단(1a)과 구속단(1b)을 잇는 방향으로 실린더홈(11)이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피스톤 형태의 봉으로 된 슬라이더(12)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홈(11)의 일단은 승강봉(9)이 수납된 수직홈(5c)의 하단과 서로 통해 있으며, 슬라이더(12)는 이 실린더홈(11)의 길이방향 범위내에서 피동적으로 움직이도록 설정되어 있다. 슬라이더(12)의 선단홈(12a)은 우하향으로 구배져있고, 후단에는 수직으로 관통한 구멍(12b)이 있다.
선단(12a)이 구배져 있는데 사용하여 여기에 접촉할 승강봉(9)의 하단(9c)도 구배져 있다. 이러한 구배에 의해서 슬라이더(12)가 제 1 도의 위치서서 제 2 도의 위치로 수평 이동하게 되면 승강봉(9)은 수직홈(5c)내에서 수직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대로 다이얼링이 이뤄져 있어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다이얼링이 준비되어 있지 아니한 상태하에서는 이러한 수직 상승이 도저히 이뤄질 수가 없다.
슬라이더(12)의 후단에 뚫려 있는 홈(12b)은 키홈으로서 진원이다. 이것은, 이것과 그 이전에 설명한 바를 유추 종합하면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이 홈(12b)은 상기 실린더정(6)의 키홈(6b)과 이것과의 등심선상에 위치한 본체(5)의 저면 키구멍(5e)과는 평소 어긋나 있다(제 1 도 참조).
다만 이(12b)에 있어서 선단쪽 밑 가장자리(12c)는 구배진 면으로 되어 있고, 이 부분만이 상기 키구멍(5e)에 접해있다.
이렇게 좁게 빗면으로 열린 곳을 통하여 원추형 끝을 가진 열쇠(2)를 들이밀수가 있고, 이에 따라 슬라이더(12)는 그 선단(12a)쪽으로 밀려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렇듯 슬라이더(12)가 열쇠(2)의 진입에 의해 선단쪽으로 미끄러져 이동하는데 대하여, 열쇠(2)가 제거됐을 때에는 상기 실린더홈(11)의 내부 턱(11a)과 슬라이더(12)의 저면 턱 사이에 장진된 압축코일 스프링(13)의 탄성에 의하여 반사적으로 제자리(제 1 도의 위치)로 되돌아가 키구멍(5e)과 키홈(6b)간의 경로를 차단, 당해 열쇠(2) 이외의 다른 도구의 무단 출입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제 1, 2 도 및 제 5 도에 있어서, 슬라이더(12)의 안내홈(12d)과 핀(12e)은 그 실린더홈(11)과 슬라이더(12)의 단면형상이 원을 이룰때 자세안정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부가될 요소이며 4각 단면등 별도의 자세안정요소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생략해도 무방하다.
이상 설명한 대로 본고안의 자물쇠에 의하면 잠금고리의 구속단측에서 다이얼링이 선행되지 않고서는 실린더정으로의 열쇠 꽂음이 이뤄지지 아니하므로 자물쇠에 있어서의 보안 유지가 보다 철저하다.

Claims (1)

  1. 잠금고리(1)의 자유단(1a)은 자석식 열쇠(2)에 의하여 괘,해정되는 통상의 수단을 갖고, 잠금고리(1)의 구속단(1b)은 다이얼 유니트(3)에 의해 괘,해정이 선택되는 수단을 지니며, 본체(5)의 하방에 잠금상태하에서의 잠금고리(1)의 자유단과 구속단을 연결하는 가상선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실린더홈(11)을 형성하고, 여기에 선단(12a)은 우하향 구배면을 갖고 후단에는 수직관통 키구멍(12b)을 가진 슬라이더(12)를 내장하며, 이 슬라이더(12)의 저면턱과 실린더홈(11) 바닥면의 내부턱(11a)사이에 압축코일 스프링(13)을 장전하며 잠금고리(1)의 구속단(1b)을 수용하는 승강봉(9)의 하단(9c)에 상기 슬라이더(12)의 선단(12a)에 대응하는 구배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
KR2019890001955U 1989-02-24 1989-02-24 자물쇠 KR9100062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1955U KR910006250Y1 (ko) 1989-02-24 1989-02-24 자물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1955U KR910006250Y1 (ko) 1989-02-24 1989-02-24 자물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803U KR900015803U (ko) 1990-09-03
KR910006250Y1 true KR910006250Y1 (ko) 1991-08-19

Family

ID=19283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1955U KR910006250Y1 (ko) 1989-02-24 1989-02-24 자물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625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759A (ko) * 2001-09-25 2003-03-29 (주)이도전자 이중잠금장치를 갖는 자물쇠
KR20030025760A (ko) * 2001-09-25 2003-03-29 (주)이도전자 이중잠금장치를 갖는 자물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803U (ko) 199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96856A (en) Structure of cylinder lock
US5363678A (en) Padlock with ball-locked shackle
US6718807B2 (en) Lock device with removable core
CN113302369B (zh) 具有防撬和解码机构的组合挂锁
US10533345B2 (en) Electronic locking device
EP0572222B1 (en) Improvements to pin tumbler locks and keys therefor
US9157256B2 (en) Lock system
US5720191A (en) Padlock
JP2001303809A (ja) 盗難防止用タンブラー錠の錠芯装置
US4967578A (en) Sleeve-type latch bolt mechanism
KR910006250Y1 (ko) 자물쇠
US6481254B1 (en) Cylinder lock combined with a magnetic pin and a non-magnetic pin
US5163310A (en) Cylindrical lock structure
US11306507B2 (en) High security locking system which forms a deviating picking path and associated deviated key
US5402662A (en) Cylindrical lock and key therefor
JP7278265B2 (ja) ロック装置
US3319443A (en) Lock cylinder
KR102470773B1 (ko) 핀 커버가 개선된 자물쇠
PL198114B1 (pl) Zamek bębenkowy z kluczem płaskim
US6854307B2 (en) Lock-picking prevention apparatus
CN219931870U (zh) 一种护锁器
KR200420902Y1 (ko) 금고함의 도어록킹장치
KR200217552Y1 (ko) 실린더형 자물쇠
KR200243733Y1 (ko) 카드키 도어록
US528114A (en) John scha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