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552Y1 - 실린더형 자물쇠 - Google Patents

실린더형 자물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552Y1
KR200217552Y1 KR2019980014512U KR19980014512U KR200217552Y1 KR 200217552 Y1 KR200217552 Y1 KR 200217552Y1 KR 2019980014512 U KR2019980014512 U KR 2019980014512U KR 19980014512 U KR19980014512 U KR 19980014512U KR 200217552 Y1 KR200217552 Y1 KR 2002175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driving
locking
cylinder plug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45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4218U (ko
Inventor
김창학
Original Assignee
김한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섭 filed Critical 김한섭
Priority to KR20199800145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552Y1/ko
Publication of KR200000042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2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5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552Y1/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린더형 자물쇠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고안은, 원통형 실린더 쉘(1)에는 실린더 플러그(2)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설치공(3)이 형성된다. 설치공(3)에서 연직 상방을 향해 수 개의 핀공(4)이 관통,형성되고, 각 핀공(4)과 일대일로 대응하는 핀공(7)이 실린더 플러그(2)에 형성된다. 실린더 플러그(2)에는 열쇠(5)가 끼워지는 열쇠통로(6)가 형성되고, 이 열쇠통로(6)가 실린더 플러그(2)의 각 핀공(7)에 연통된다. 실린더 플러그(2)의 각 핀공(7)에는 열쇠(5)의 패턴에 의해 상승되는 로킹핀(50)이 이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실린더 쉘(1)의 각 핀공(4)에는 각 로킹핀(50)의 상승에 의해 같이 상승되는 드라이빙핀(60)이 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각 드라이빙핀(60)의 상단은 스프링 덮개(40)로 지지된 코일 스프링(30)에 의해 하향으로 탄력,지지된다. 로킹핀(50)과 드라이빙핀(60)의 접촉면 각각에는 좌우로 미세하게 이동가능하게 링(56,66)이 끼워져서, 이 링(56,66)이 실린더 플러그(2)의 외주면 또는 설치공(3)의 내벽에 걸려서, 로킹핀(50)의 하단이 하강하지 못하거나 또는 드라이빙핀(60)이 상승하지 못하는 되는 상태를 마치 해제 조건으로 정렬된 것처럼 무단 해제자로 하여금 착각하게 만든다.

Description

실린더형 자물쇠
본 고안은 실린더형 자물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높이 정렬에 의해 자물쇠 해제 조건을 갖추게 하는 로킹핀과 드라이빙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린더형 자물쇠는, 원통형 쉘내에 일련의 로킹핀이 다수 배열되어, 열쇠 통로에 진정열쇠를 꽂아 회전시키면, 이 진정열쇠에 형성된 패턴에 따라 각 로킹핀의 위치, 즉 각각의 높이가 정렬되면서 로킹 상태가 해제되도록 된 것으로, 이와 같은 실린더형 자물쇠의 한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형 자물쇠는 실린더 쉘(1)과, 이 실린더 쉘(1)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실린더 플러그(2)로 구성되어 있다. 실린더 쉘(1)에는 실린더 플러그(2)를 삽입,설치하기 위한 설치공(3)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있고, 이 설치공(3)의 연직 상방으로 다수개(도시예에서는 5개)의 핀공(4)이 상하로 관통,형성되어 있다. 즉, 설치공(3)과 핀공(4)은 직교를 이루게 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 플러그(2)에는 소정 패턴을 갖는 열쇠(5)가 삽입되는 열쇠통로(6)가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있고, 이 열쇠통로(6)의 연직 상방으로 다수개(도시예에서는 5개)의 핀공(7)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쉘(1)의 핀공(4)과 실린더 플러그(2)의 핀공(7)은 서로 일치하여, 각각의 핀공(4,7)이 일대일 대응하도록 되어 있다.
실린더 플러그(2)의 핀공(7)에는, 열쇠통로(6)로의 진정열쇠(5) 삽입시, 그 열쇠(5)의 소정 패턴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로킹핀(10)이 각각 삽입,설치되어 있다. 로킹핀(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의 몸체(11)의 상단에는 플랜지(12)가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12)로부터 소정 길이로 몸체(11)에는, 몸체(11)의 직경보다 짧은 단경부(1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몸체(11)의 하단에는 원추부(13)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11)는 핀공(7)을 따라 왕복이동할 정도의 직경을 갖는다. 이러한 형상의 각각의 로킹핀(10)은 그 높이가 서로 다른 크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원추부(13)는 열쇠(5)의 패턴, 예컨대 열쇠의 블레이드에 형성된 여러 모양의 V형 절단부(5a)에 안착되는 것으로써, 이 V형 절단부(5a)의 크기에 따라 각각의 로킹핀(10)이 소정 높이로 상승하여 자물쇠 해제를 위한 높이 조건으로 정렬된다.
상기와 같은 자물쇠 해제 조건, 즉 로킹핀(10)의 높이 정렬 조건을 얻기 위하여, 각각의 로킹핀(10)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드라이빙핀(20)이 실린더 쉘(1)의 핀공(4)에 삽입,설치되어 있다. 드라이빙핀(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의 상하단 각각에 플랜지(22,23)가 형성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플랜지(22,23)는 핀공(4)내에서 왕복이동이 가능할 정도의 직경을 갖는다.
한편, 드라이빙핀(20)의 상부 플랜지(2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30)에 의해 하향으로 탄력지지되어 있다. 스프링(30)은 실린더 쉘(1)의 외주면에 끼워진 스프링 덮개(40)로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로킹핀(10)과 드라이빙핀(20)이 상기된 바와 같이, 원통부에 플랜지가 형성된 형상을 갖도록 한 이유가 있는데, 그 이유는 진정열쇠가 아닌 유사열쇠나 갈고리를 갖춘 핀으로 자물쇠를 열기 어렵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서, 진정열쇠(5)를 실린더 플러그(2)의 열쇠통로(6)에 끼우면 도 4와 같이 된다. 즉, 진정열쇠(5)의 각 절단부(5a)에 각 로킹핀(10)의 원추부(13)가 안착되므로써, 서로 다른 길이의 각 로킹핀(10)이 핀공(7)내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각 드라이빙핀(20)도 스프링(30)을 압축시키면서 핀공(4)내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로킹핀(10)의 플랜지(12)는 동일 높이에 정렬되어서, 상기 플랜지(12)와 드라이빙핀(20)의 하부 플랜지(23)가 접촉하는 면이 실린더 쉘(1)과 실린더 플러그(2)의 경계면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 진정열쇠(5)를 돌리면, 실린더 플러그(2)가 회전되므로써, 자물쇠가 열리게 된다.
그러나, 유사열쇠나 갈고리를 갖춘 핀을 열쇠통로(6)에 끼우면, 각 로킹핀(10)은 동일 높이에 정렬되지 못하게 되므로, 실린더 플러그(2)가 회전될 수가 없다. 즉, 어느 한 개의 로킹핀(10)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도하게 상승하여 실린더 쉘(1)의 핀공(4)으로 진입되고, 또 어느 하나의 로킹핀(10)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소하게 상승하여 해당 드라이빙핀(20)이 실린더 플러그(2)의 핀공(7)내에 위치하게 되므로써, 해제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실린더 플러그(2)를 회전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 자물쇠를 열 수가 없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의 실린더형 자물쇠를 반드시 진정열쇠로만 열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즉, 진정열쇠가 아닌 유사열쇠나 갈고리를 갖춘 핀과 같은 도구(이하에서는 무단 해제 도구로 총칭함)를 사용해서, 어떻게 해서든 로킹핀(10)과 드라이빙핀(20)을 해제 위치에 정렬시키기만 하면, 자물쇠를 열 수가 있다.
무단 해제 도구를 사용하는 무단 해제자는, 무단 해제 도구를 실린더 플러그(2)의 열쇠통로(6)에 끼워서 각 로킹핀(10)과 드라이빙핀(20)의 높이를 조정하게 된다. 이때, 각 로킹핀(10)과 드라이빙핀(20)이 해제 위치로 정렬되었는지를 인식하기 위해서, 무단 해제자는 무단 해제 도구를 수시로 약간씩 돌려보면서, 실린더 플러그(2)가 회전가능한 상태인지를 확인하게 된다.
이와 같이 무단 해제 도구를 사용하는 무단 해제자가 마치 해제 조건이 된 것처럼 착각을 일으키도록, 로킹핀(10)과 드라이빙핀(20)이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핀(10)이 실린더 쉘(1)의 핀공(4)내로 진입된 상태에 있을 때, 로킹핀(10)의 몸체(11)는 실린더 플러그(2)의 핀공(7)에 위치하게 된다. 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빙핀(20)이 실린더 플러그(2)의 핀공(7)내에 위치한 상태에 있을 때, 드라이빙핀(20)의 몸체(21)는 실린더 쉘(1)의 핀공(4)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로킹핀(10)과 드라이빙핀(20)의 각 몸체(11,21)는 핀공(4,7)보다 직경이 짧으므로, 자물쇠를 열 수는 없지만, 실린더 플러그(2)를 약간 회전시킬 수는 있다.
따라서, 무단 해제자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상태가 마치 해제 조건인 것으로 착각하여, 각 로킹핀(10)과 드라이빙핀(20)의 높이를 조정하는 작업을 중단하고, 무단 해제 도구로 실린더 플러그(2)를 돌리게 된다. 그러나, 각 로킹핀(10)과 드라이빙핀(20)이 해제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상태가 아니므로, 실린더 플러그(2)는 약간 회전되지만, 완전히 회전되지는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무단 해제자는 처음부터 다시 각 로킹핀(10)과 드라이빙핀(20)의 높이를 조정해야만 되므로, 무단 해제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따라서 자물쇠를 무단 해제하기가 매우 어려워진다. 로킹핀(10)과 드라이빙핀(20)이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갖춘 이유가 이러한 기능을 발휘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로킹핀(10)과 드라이빙핀(20)은 전술된 바대로, 무단 해제를 어렵게 하는 장점이 있지만, 반면에 다음과 같은 단점도 갖고 있다.
로킹핀(10)과 드라이빙핀(20)의 각 플랜지(12,22,23) 직경은 각 핀공(4,7)의 직경과 동일하지 않고 약간 짧기 때문에, 무단 해제 도구로 로킹핀(10)을 상승시키면, 로킹핀(10)과 드라이빙핀(20)이 각 핀공(4,7)내에서 약간 회전될 수가 있다. 즉,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핀(10)이 회전되어 그의 플랜지(12)가 핀공(4)의 내벽에 기울어져 접촉되거나, 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빙핀(20)이 회전되어 각 플랜지(22,23)가 핀공(4,7)의 내벽에 기울어져 접촉될 경우가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실린더 플러그(2)는 조금도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무단 해제자는 현재 상태가 해제 조건을 만족하지 않았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어, 해당 로킹핀(10)과 드라이빙핀(20)을 해제 조건에 정렬시키는 무단 해제 작업을 계속 진행하게 된다.
그러므로, 무단 해제 작업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지 않게 되므로, 무단 해제 작업 시간이 덜 소요되어, 자물쇠를 보다 쉽게 열 수가 있게 되는 사태가 발생될 우려가 높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태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무단 해제 도구의 사용으로 로킹핀과 드라이빙핀이 기울어져 핀공의 내벽에 접촉된 해제 조건이 아닌 상태에서 실린더 플러그가 약간 회전되도록 하여, 무단 해제자가 로킹핀과 드라이빙핀이 해제 조건을 만족한 것처럼 착각하게 할 수 있는 실린더형 자물쇠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린더형 자물쇠 전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로킹핀을 확대해서 나타낸 상세도
도 3은 종래의 드라이빙핀을 확대해서 나타낸 상세도
도 4는 종래의 로킹핀과 드라이빙핀이 진정열쇠에 의해 해제 조건으로 정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종래의 로킹핀과 드라이빙핀의 무단 해제 방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a 및 도 6b는 종래의 로킹핀과 드라이빙핀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실린더형 자물쇠 전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주요부인 로킹핀과 드라이빙핀을 확대해서 나타낸 상세 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로킹핀과 드라이빙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실린더 쉘 2 - 실린더 플러그
3 - 설치공 5 - 진정열쇠
6 - 열쇠통로 4,7 - 핀공
30 - 코일 스프링 40 - 스프링 덮개
50 - 로킹핀 60 - 드라이빙핀
51,61 - 몸체 53,63 - 원통형 홈부
54,64 - 핀 55,65 - 플랜지
56,66 - 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실린더형 자물쇠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원통형 실린더 쉘에는 축방향을 따라 실린더 플러그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설치공이 형성된다. 설치공에서 연직 상방을 향해 수 개의 핀공이 관통,형성되고, 각 핀공과 일대일로 대응하는 핀공이 실린더 플러그에 형성된다. 실린더 플러그에는 축방향을 따라 열쇠가 끼워지는 열쇠통로가 형성되고, 이 열쇠통로가 실린더 플러그의 각 핀공에 연통된다. 실린더 플러그의 각 핀공에는 열쇠의 패턴에 의해 상승되는 로킹핀이 이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실린더 쉘의 각 핀공에는 각 로킹핀의 상승에 의해 같이 상승되는 드라이빙핀이 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각 드라이빙핀의 상단은 스프링 덮개로 지지된 코일 스프링에 의해 하향으로 탄력,지지된다.
로킹핀은 열쇠 패턴에 안착되는 원추부가 하단에 형성되고, 상단 중앙에는 원통형 홈부가 형성된 몸체와, 몸체의 홈부에 억지끼움식으로 끼워지고, 상단에는 드라이빙핀의 하단과 접촉되는 플랜지가 형성된 핀, 및 핀의 플랜지와 몸체 상단 사이에 끼워지는 환형 돌출부가 하부 내주면에 형성되고, 핀의 플랜지를 중심으로 좌우로 미세하게 유될 정도의 내경을 갖는 링을 포함한다.
드라이빙핀은 하단의 중앙에 원통형 홈부가 형성된 몸체와, 몸체의 홈부에 억지끼움식으로 끼워지고, 하단에는 로킹핀의 핀과 접촉되는 플랜지가 형성된 핀, 및 핀의 플랜지와 몸체 상단 사이에 끼워지는 환형 돌출부가 하부 내주면에 형성되고, 핀의 플랜지를 중심으로 좌우로 미세하게 유동될 정도의 내경을 갖는 링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무단 해제 도구를 열쇠통로에 끼워서 로킹핀과 드라이빙핀을 해제 높이로 조정할 때, 로킹핀의 플랜지 밑면 또는 드라이빙핀의 하단 플랜지가 해제 위치인 실린더 쉘과 플러그의 경계면상에 위치하게 될 때, 각 링이 로킹핀 또는 드라이빙핀의 플랜지를 중심으로 좌우로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실린더 플러그는 약간 회전되어서, 각 핀공의 중심선이 어긋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로킹핀을 하강시키거나 또는 드라이빙핀을 상승시킬려고 하면, 로킹핀의 링은 실린더 플러그의 외주면에, 드라이빙핀의 링은 실린더 쉘의 설치공 내주면에 부딪혀서, 하강 또는 상승될 수가 없다. 무단 해제자는 이러한 상태를 핀의 플랜지가 해제 위치로 정렬된 것으로 착각하여, 다음 로킹핀과 드라이빙핀의 해제 조건을 맞추는 작업을 하게 된다. 그러나, 전자의 상태는 해제 조건으로 정렬된 상태가 아니므로, 자물쇠는 절대로 열리지 않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실린더형 자물쇠 전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주요부인 로킹핀과 드라이빙핀을 확대해서 나타낸 상세 단면도이며, 도 10a 및 도 10b는 로킹핀과 드라이빙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를 상술하기 전에, 로킹핀과 드라이빙핀을 제외한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 부번을 부여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실린더 쉘(1)에는 축방향을 따라 설치공(3)이 형성되고, 실린더 플러그(2)가 설치공(3)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진다. 설치공(3)의 연직 상방을 향해, 수 개(도시예에서는 5개)의 핀공(4)이 관통,형성된다. 이 핀공(4)들과 일대일로 대응하는 수 개의 핀공(7)들이 실린더 플러그(2)에 형성된다. 실린더 플러그(2)에는 진정열쇠(5)가 삽입되는 열쇠통로(6)가 형성되고, 각 핀공(7)들은 열쇠통로(6)의 연직 상방을 향해 형성된다.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5개의 로킹핀(50)이 실린더 플러그(2)의 각 핀공(7)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각 로킹핀(50)은 진정열쇠(5)에 형성된 패턴, 즉 V자형 절단부(5a)에 안착되어서, 그의 높이가 정렬된다. 각 로킹핀(50)과 일대일로 대응하는 5개의 드라이빙핀(60)이 실린더 쉘(1)의 핀공(4)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즉, 드라이빙핀(60)의 하단과 로킹핀(50)의 상단이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어서, 진정열쇠(5)의 패턴에 의해 로킹핀(50)이 상승하게 되면, 드라이빙핀(60)도 같이 상승하게 되므로써, 로킹핀(50)과 드라이빙핀(60)이 해제 높이로 정렬된다.
한편, 각 드라이빙핀(60)의 상단은 핀공(4)내에서 스프링 덮개(40)로 지지된 코일 스프링(30)에 의해 하향으로 탄력,지지된다.
본 고안에 따른 로킹핀(50)이 도 8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플러그(2)의 핀공(7)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진 몸체(51)의 상단 중앙에 핀(54)이 억지끼움식으로 끼워지고, 핀(54)과 몸체(51)의 상단 사이에 링(56)이 끼워지는데, 이 링(56)은 핀(54)을 중심으로 좌우로 미세한 유동이 가능하게 끼워진다.
로킹핀(5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몸체(51)의 직경은 핀공(7)내에서 이동가능할 정도이다. 몸체(51)의 하단에는 진정열쇠(5)의 절단부(5a)에 안착되는 원추부(52)가 형성된다. 몸체(51)의 상단 중앙에는 핀(54)이 억지끼움식으로 끼워지는 원통형 홈부(53)가 형성된다. 몸체(51)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길이 부분의 외주면에 다른 외주면보다 직경이 짧은 단경부(58)가 형성된다. 단경부(58)는 무단 해제 도구 사용할 때, 실린더 플러그(2)의 미세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무단 해제자에게 해제 조건으로 맞추어졌다고 착각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핀(54)의 상단에는 드라이빙핀의 하단과 접촉되는 플랜지(55)가 형성된다. 플랜지(55)는 몸체(51)의 상단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된다. 링(56)의 하부 내주면에는 플랜지(55)와 몸체(51)의 상단 사이로 진입되는 환형 돌출부(57)가 형성되는데, 상하부 내주면 모두 핀(54) 및 플랜지(55)의 외주면과 일정 간격(대략 1㎜)을 두고 이격,배치된다. 따라서, 링(56)은 핀(54)의 플랜지(55)를 중심으로 좌우로 이동, 즉 약간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링(56)의 외경은 몸체(51)의 직경과 동일하다.
여기서, 핀(54)을 먼저 몸체(51)에 조립하고 이후에 링(56)을 조립하는 것처럼 설명하였지만, 실제로는 링(56)을 몸체(51) 상단에 위치시키고, 핀(54)을 홈부(53)에 끼워서 조립하게 된다. 후술되는 드라이빙핀(60) 역시 마찬가지이다.
드라이빙핀(60)의 형상도 로킹핀(50)의 형상과 거의 동일하고, 다만 원추부(52)만이 없을 뿐이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빙핀(60)의 몸체(61) 하단 중앙에 핀(64)이 억지끼움식으로 끼워지는 원통형 홈부(63)가 형성되고, 또한 하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부분에 단경부(68)가 형성된다. 핀(64)의 하단에는 로킹핀(50)의 플랜지(55)와 접촉되는 플랜지(65)가 형성되고, 플랜지(65)와 몸체(61) 상단 사이에 링(66)이 개재된다. 이 링(66)에도 환형 돌출부(67)가 형성되고, 또한 로킹핀(50)의 링(56)과 마찬가지로 드라이빙핀(60)의 링(66)도 핀(64)을 중심으로 좌우로 미세하게 이동될 수 있다. 링(66)의 외경 역시 로킹핀(50)과 마찬가지로, 몸체(61)의 직경과 동일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을 도 10a 및 도 10b를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진정열쇠(5)로 로킹핀(50)과 드라이빙핀(60)을 해제 조건으로 정렬시키는 동작은 종래와 동일하고 종래 기술을 언급하면서 상세히 설명되었으므로, 여기에서는 무단 해제 도구를 사용하였을 때의 동작, 즉 무단 해제자가 로킹핀(50)과 드라이빙핀(60)이 마치 해제 조건을 만족한 것처럼 착각하게 되는 경우만을 설명한다.
로킹핀(50)과 드라이빙핀(60) 각각에 링(56,66)이 구비된 사실을 알지 못하는 무단 해제자는 무단 해제 도구를 열쇠통로(6)에 삽입하여 로킹핀(50)과 드라이빙핀(60)을 동시에 상승 또는 하강시키면서, 실린더 플러그(2)를 약간씩 돌려서, 현재 상태가 해제 조건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무단 해제자가 해제 조건으로 인식하는 경우를, 링(56,66)이 없다는 전제하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로킹핀(50)과 드라이빙핀(60)이 해제 위치에 정렬되면, 실린더 플러그(2)를 약간 돌리게 있게 된다. 따라서, 실린더 플러그(2)의 핀공(7)과 실린더 쉘(1)의 핀공(4)은 중심선이 일치하지 않고 어긋나게 된다. 즉, 실린더 플러그(2)가 실린더 쉘(1)의 핀공(4)내로 약간 진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로킹핀(50)의 상단은 실린더 쉘(1)의 설치공(3) 내주면에 접촉되어 상승되지 못하고, 또한 드라이빙핀(6)의 하단은 실린더 플러그(2)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하강하지 못하게 된다. 무단 해제자는 이러한 상태를 촉감으로 감지하여 각 로킹핀(50)과 드라이빙핀(60)이 해제 조건으로 정렬되었는지를 인식하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하면 로킹핀(50)과 드라이빙핀(60)이 해제 위치에 정렬되지 않았는데도, 로킹핀(50)이 상승되지 못하도록 하거나 또는 드라이빙핀(60)이 하강되지 못하도록 하여, 무단 해제자로 하여금 해제 조건으로 착각하게 만들 수가 있다.
예를 들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단 해제 도구로 로킹핀(50)을 상승시켜, 로킹핀(50)의 링(56) 밑면이 실린더 쉘(1)과 실린더 플러그(2)의 경계면상에 위치된 경우에, 해제 조건이 아니지만 실린더 플러그(2)는 약간의 회전이 가능하다. 즉, 핀(54)과 링(56) 사이에는 틈새가 존재하므로, 이 틈새 범위내에서 링(56)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핀(54)과 몸체(50)를 약간 회전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실린더 플러그(2)가 좌측으로 약간 회전되면, 실린더 플러그(2)의 핀공(7)도 좌측으로 약간 기울어지게 되므로써, 실린더 플러그(2)와 실린더 쉘(1)의 각 핀공(4,7)이 어긋나게 되고, 실린더 플러그(2)의 외주면이 실린더 쉘(1)의 핀공(4)내로 약간 진입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로킹핀(50)을 하강시키게 되면, 링(56)이 핀공(4)내로 진입된 실린더 플러그(2)의 외주면에 걸려서, 로킹핀(50)은 하강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무단 해제자는 이러한 상태를 마치 드라이빙핀(60)의 하단이 실린더 플러그(2)의 외주면에 걸려서 하강하지 못하는 것처럼 느끼게 되므로써, 해제 조건으로 정렬된 것처럼 착각하게 된다.
다른 예를 들어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빙핀(60)의 링(66) 윗면이 상기 경계면상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실린더 플러그(2)를 약간 회전시킬 수가 있다. 각 핀공(4,7)은 어긋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드라이빙핀(60)을 상승시키면, 드라이빙핀(60)의 상단이 실린더 쉘(2)의 설치공(3) 내벽에 걸리므로, 드라이빙핀(60)은 상승되지 않는다. 역시 이러한 상태를 무단 해제자는 로킹핀(50)의 상단이 설치공(3) 내벽에 걸려서 상승하지 못하는 것처럼 느끼게 되므로, 해제 조건으로 착각하게 된다.
더군다나,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갖는 로킹핀(50)과 드라이빙핀(60)이 하나가 아니라 여러 개이므로, 각 로킹핀(50)과 드라이빙핀(60)에서 무단 해제자가 상기와 같이 착각을 일으키게 되면, 모든 로킹핀(50)과 드라이빙핀(60)을 해제 조건으로 정렬시키는 것이 시간도 많이 걸리게 되고, 따라서 자물쇠를 열기가 거의 불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로킹핀(50)과 드라이빙핀(60)에 구비된 링(56,66)으로 인해서, 무단 해제자가 로킹핀(50)과 드라이빙핀(60)이 해제 조건으로 정렬된 것처럼 착각을 일으키게 되므로, 자물쇠를 무단 해제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무단 해제 도구로 자물쇠를 열기도 거의 불가능해진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축방향으로 설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 개의 핀공이 관통,형성된 실린더 쉘; 상기 실린더 쉘의 설치공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소정 패턴을 갖는 열쇠가 삽입되는 통로가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열쇠통로와 직교하면서 상기 핀공과 일대일로 대응하는 핀공들이 형성된 실린더 플러그; 상기 실린더 플러그의 각 핀공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열쇠의 패턴에 의하여 왕복 이동하는 수 개의 로킹핀; 상기 로킹핀과 일대일 대응하도록 실린더 쉘의 핀공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진 수 개의 드라이빙핀; 및 상기 실린더 쉘의 핀공내에서 상기 드라이빙핀을 하방으로 탄력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실린더형 자물쇠에 있어서,
    상기 로킹핀은 열쇠 패턴에 안착되는 원추부가 하단에 형성되고, 상단 중앙에는 원통형 홈부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홈부에 억지끼움식으로 끼워지고, 상단에는 상기 드라이빙핀의 하단과 접촉되는 플랜지가 형성된 핀; 및 상기 핀의 플랜지와 몸체 상단 사이에 끼워지는 환형 돌출부가 하부 내주면에 형성되고, 내경은 상기 핀의 플랜지를 중심으로 좌우로 미세한 유동이 가능할 정도의 내경을 갖는 링을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빙핀은 하단의 중앙에 원통형 홈부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홈부에 억지끼움식으로 끼워지고, 하단에는 상기 로킹핀의 플랜지와 접촉되는 플랜지가 형성된 핀; 및 상기 핀의 플랜지와 몸체 상단 사이에 끼워지는 환형 돌출부가 하부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핀의 플랜지를 중심으로 좌우로 미세한 유동이 가능할 정도의 내경을 갖는 링을 포함하여,
    상기 로킹핀과 드라이빙핀을 진정열쇠가 아닌 무단 해제 도구를 사용해서 해제 조건으로 정렬시킬려고 할 때, 상기 몸체와 핀을 중심으로 좌우로 미세하게 이동가능한 상기 각 링으로 인해서 실린더 플러그가 약간 회전되어 실린더 플러그와 실린더 쉘의 각 핀공의 중심선이 어긋나서, 상기 로킹핀의 링이 실린더 플러그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하강되지 못하거나 또는 상기 드라이빙핀의 링이 실린더 쉘의 설치공 내벽에 접촉되어 상승되지 못하는 것에 의해, 무단 해제 도구를 사용하는 무단 해제자가 상기와 같은 상태를 로킹핀과 드라이빙핀이 해제 조건으로 정렬된 것처럼 착각을 일으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형 자물쇠.
KR2019980014512U 1998-08-01 1998-08-01 실린더형 자물쇠 KR2002175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512U KR200217552Y1 (ko) 1998-08-01 1998-08-01 실린더형 자물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512U KR200217552Y1 (ko) 1998-08-01 1998-08-01 실린더형 자물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218U KR20000004218U (ko) 2000-03-06
KR200217552Y1 true KR200217552Y1 (ko) 2001-04-02

Family

ID=69502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512U KR200217552Y1 (ko) 1998-08-01 1998-08-01 실린더형 자물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5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865B1 (ko) 2009-05-19 2011-10-31 (주)리슨트 3방향 핀 배열 높이 및 각도 정렬 해정조건의 실린더형 자물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865B1 (ko) 2009-05-19 2011-10-31 (주)리슨트 3방향 핀 배열 높이 및 각도 정렬 해정조건의 실린더형 자물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218U (ko) 200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9099A (en) Combination lock
RU2315160C2 (ru) Зам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щенное от открывания отмычкой
US4996856A (en) Structure of cylinder lock
US6776017B2 (en) Adaptable radial tumbler lock
PT2563996E (pt) Conjuntos de chave e fechadura
KR20060009915A (ko) 신속 변경 자물쇠
KR20010032880A (ko) 맹꽁이 자물쇠
US20120192603A1 (en) High security lock core structure
US6644078B1 (en) Lock furnished with a replaceable lock core
US4838051A (en) Padlock and key assembly with transversely movable tumbler units and vertically movable tumbler units
WO2006017408A2 (en) Lock system with improved auxiliary pin tumbler stack
KR200217552Y1 (ko) 실린더형 자물쇠
US6357271B1 (en) Multi-layer type lock core structure of a cylindrical lock
US5163310A (en) Cylindrical lock structure
US5349835A (en) Cylindrical lock
KR19980702786A (ko) 기계적으로 변경가능한 실린더 자물쇠, 및 회전 핀을 갖는 키이
AU740923B2 (en) A cylinder lock
US4682484A (en) Tumbler plate cylinder lock
US4152909A (en) Lock
KR102392068B1 (ko) 볼링 인서트 고정장치
EP2500493B1 (en) High security lock core structure
JP2001234648A (ja) シリンダー錠
US20040226327A1 (en) Multi-stage burglar-proof lock core
KR910006250Y1 (ko) 자물쇠
KR200241522Y1 (ko) 작동편이 하나의 쌍으로 이루어진 실린더형 열쇠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