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222Y1 - 밀어 올림식 경사 개구장치 - Google Patents

밀어 올림식 경사 개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222Y1
KR910006222Y1 KR2019880015013U KR880015013U KR910006222Y1 KR 910006222 Y1 KR910006222 Y1 KR 910006222Y1 KR 2019880015013 U KR2019880015013 U KR 2019880015013U KR 880015013 U KR880015013 U KR 880015013U KR 910006222 Y1 KR910006222 Y1 KR 9100062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ush
levers
fram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50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8876U (ko
Inventor
쇼오이치 쿠와하라
노부아끼 시미즈
Original Assignee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고시바 헤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고시바 헤이지 filed Critical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88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88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2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2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5/00Cam or other direct-acting shedding mechanisms, i.e. operating heald frames without intervening power-supply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13/00Shedd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Bli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밀어 올림식 경사 개구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밀어 올림식 경사개구장치의 일부를 분해한 정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밀어올림식 경사 개구장치의 측면도.
제 3 도 및 제 4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밀어올림식 경사 개구 장치 5 : 도피부
7, 8 : 죠인트(Joint) 9, 10 : 연결핀
20, 21…29 : 개구틀 30, 31…34 : 개구 샤프트
40, 41…44 : 개구레버 60, 61… : 밀어올림호드 (Rod)
본 고안은 직기의 밀어 올림식 경사개구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 이와 같은 종류의 밀어올림식 경사개구장치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60-28542호 공보의 제 1 도 및 제 2 도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샤프트의 각 끝단부분에 대하여 개구 레버를 개구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겹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착설되어 각각의 개구레버의 앞끝단 부분을 밀어올림로드로서 대응의 개구틀에 연결시키고 있다.
이 개구 샤프트는 직물 조직의 순환수와 동일한 수만큼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같은 연결구조에 의하면, 순환수가 많은 직물조직에 있어서는, 밀어올림로드의 개구틀과의 연결위치는, 개구틀을 구성하고 있는 세로틀에 대하여 길이방항 즉 짜기폭 방향으로 거리가 길어진다.
이 때문에, 반대로 상하 운동의 작용력의 위치가 개구틀의 중심에 가까워져서 개구틀의 지지대의 강도부족에 의한 휘어짐이나 진동등이 발생하기 쉽게 되어 있다.
직물조직의 순환수가 많아지면, 개구틀의 휘어짐이나 진동이 무시할 수가 없게 되고, 그것에 의하여 개구운동의 속도가 제한되기도 한다.
여기에 본 고안의 목적은 개구틀과 밀어올림식 로드와의 연결위치를 가능한한 짜기폭 방향으로 개구틀의 끝단부에 접근시켜 개구틀의 휘어짐이나 진동을 미연에 방지하여 고속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하에, 본 고안은, 복수개의 개구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2개 이상의 개구레버를 고정하고, 각 개구레버와 대응의 개구틀과를 밀어올림로드로서 연결할 때에 아래쪽의 개구레버의 도피부를 형성하고, 이 도피부의 부분에서 위쪽의 개구레버와 아래쪽의 밀어올림로드와를 간섭하지 않는 상태에서 교차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적어도 2개 이상의 개구레버가 짜기폭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밀어올림로드와 대응의 개구틀과의 연결위치는 종래의 것에 비교하여 개구틀의 끝단부분에 있어서 짜기폭 방향으로 좁은 범위에 집중적으로 설정할 수가 있게 된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 및 제 2 도는, 본 고안의 밀어올림식 경사개구장치(1)의 한쪽의 끝단 부분만을 나타내고 있다.
이 밀어올림식 경사개구장치 (1)는 복수개 예를들면 10매의 개구틀(10),(21)…(29)을 구동하기 위하여 5개의 개구 샤프트(30),(31)…(34)의 각 끝단부마다, 5개의 개구 레버(40),(41)…(44)을 형성하고 있다.
5개의 개구 샤프트(30),(31)…(34)는, 개구틀(20),(21)…(29)에 평행한 수평방향으로 상하의 위치에 배치되어 각각 개구레버(40),(41)…(44)을 지지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개구레버(40),(41),(42)는, 개구샤프트(30),(31),(32)에 각각 어긋난 상태에서 착설되어 있고, 또한 나머지의 개구레버(43),(44)는, 기본 끝단부분에서부터 앞끝단부분에 걸린 긴 구멍에 의한 도퍼부(5)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고 개구샤프트(33),(34)에 대하여 상기의 개구 레버(40),(41)와 동일한 위치의 위쪽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개구틀(20),(21)…(29)의 아래쪽부는 개구 레버(40),(41)…(44)의 앞끝단 부분에 대하여 2개마다 한조로 되어 밀어올림 로드(60),(61)…(69), 죠인트(7),(8) 및 연결핀(9),(10)에 의하여 각각 회전이 가능한 상태에서 연결되어 있다.
이들의 밀어올림로드(60),(61)…(69)중, 4개의 밀어올림 로드(62),(63),(67),(68)는 위쪽의 개구레버(3),(44)의 도피부(5)의 부분을 관통하고, 그것들과 간섭하지 않는 상태 그대로 교차하는 상태에서 개구틀(22),(23),(27),(28)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같이, 각 개구레버(40),(40)…(44)에 대하여 밀어올림 로드(60),(61)…(69)가 2개조로 되어 접속되어있고 또한 밀어올림로드(60),(62),(65),(67)및 밀어올림로드(61),(63),(66),(68)는 각각의 짜기폭 방향의 동일한 위치에서 겹쳐있기 때문에, 10개의 밀어올림로드(60),(61)…(69)의 연결에 필요한 짜기폭 방향의 피치는, 3개의 밀어올림 로드(62),(63),(64)의 연결에 필요한 폭으로 충분하다.
그 결과, 모든 개구틀(20),(21)…(29)은, 3개의 밀어올림로드(62),(63),(64)의 연결에 필요한 범위내에서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도 및 제 2 도는, 개구틀(20),(21)…(29)의 한쪽의 끝단부에서의 연결만을 나타내고 있으나, 다른쪽에서도 이것과 대칭인 상태에서 연결된다.
개구샤프트(30),(31)…(34)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기구에 의하여 직기의 다른 운동과 동기상태에서 구동되어 개구 레버(40),(41)…(44)에 소정의 순서로서 요동운동을 부여함으로써 밀어올림로드(60),(61)…(69)를 상하 방향으로 구동하고, 개구틀(20),(21)…(29)에 상하 방항의 왕복 운동을 부여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개구틀(20),(21),(29)은, 도시하지 않은 모아진 솜(綜絲)을 구동함으로써 짜기 조직에 필요한 개구 운동을 도시하지 않은 경사에 부여하게 된다.
이때에 개구틀(20),(21)…(29)과 밀어올림로드(60),(61)…(69)와의 연결위치가 개구틀(20),(21)…(29)을 구성하는 세로틀에 대하여 길이 방향 즉 짜기폭 방향으로 접근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개구틀(20),(21)…(29)은, 밀어올림 로드(60),(61)…(69)로부터 작용력을 받았을 때에 연결부분에서 휘어지지 않고, 또한 진동등을 유발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하 방향의 왕복운동을 반복한다.
물론 이와 같은 운동시에도, 개구레버(40),(41)…(44) 및 밀어올림로드(60),(61)…(69)는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상기한 실시예는 가장 바람직한 예로서 개구레버(43),(44)의 부분에 긴 구멍에 의한 도피부(5)를 형성하고 있으나 이 도피부(5)는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어올림로드(62),(67)의 부분에서 길이 방향의 긴구멍으로서 형성하여도 좋고, 또한,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레버 (43)또는 밀어올림로드(62),(67)중 한쪽 또는 양쪽의 굴곡부분으로 하여, 서로 간섭하지 않는 형상으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서는, 아래쪽의 개구레버의 밀어을림로드와 동일한 위치에서 위쪽의 개구레버가 도피부에 의하여 서로 간섭하지 않는 상태에서 교차하고 있고 개구틀과 밀어올림로드와의 연결부분이 짜기폭 방향으로 좁은 범위에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개의 개구틀을 지지위치가 가능한한 개구틀을 구성하는 세로틀에 접근하고, 따라서 그것의 상하운동시에 개구틀의 강도부족에 의한 휘어짐이나 또한 진동등을 방지할 수가 있어, 결과적으로는 고속의 개구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다수개의 밀어올림로드가 좌우의 공간부분에서 집중적으로 배치할 수가 있기 때문에 이들의 밀어올림로드의 존재에 의하여 다른 기구의 위치관계가 제한되는 일도 없이 구동 부분의 수습이 좋게 된다.

Claims (2)

  1. 복수개의 개구틀(20),(21)…(29)에 평행 방향으로 복수개의 개구샤프트(30),(31),(34)를 상하로 배치하고, 각 개구샤프트(30),(31)…(34)양쪽의 각 끝단부에 개구레버(40),(40)…(40)를 고정함과 동시에, 각 개구레버(40),(41)…(44)와 대응의 개구틀(20),(21)…(29)과를 밀어올림로드(60),(61)…(69)로서 연결하는 밀어올림식 경사개구장치에 있어서, 2개이상의 개구레버를 개구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고정하고, 그 중 아래쪽의 개구레버의 밀어올림 로드 및 위쪽의 개구 레버의 적어도 어느 것인가 한쪽에 도피부(5)를 형성하고, 아래쪽의 개구레버의 밀어올림로드와 위쪽의 개구레버와를 상기 도피부(5)에 의하여 간섭하지 않는 상태에서 교차시켜, 각 개구레버(40),(41)…(44)의 밀어올림로드(60),(61)…(69)를 각 개구틀(20),(21)…(29)에 대하여 동일한 위치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어올림식 경사개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도피부(5)를 위쪽의 개구레버에 긴구멍으로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어올림식 경사개구장치.
KR2019880015013U 1987-10-30 1988-09-10 밀어 올림식 경사 개구장치 KR91000622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7166397U JPH0512315Y2 (ko) 1987-10-30 1987-10-30
JP166397 1987-10-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8876U KR890008876U (ko) 1989-05-29
KR910006222Y1 true KR910006222Y1 (ko) 1991-08-19

Family

ID=31453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5013U KR910006222Y1 (ko) 1987-10-30 1988-09-10 밀어 올림식 경사 개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512315Y2 (ko)
KR (1) KR91000622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8876U (ko) 1989-05-29
JPH0512315Y2 (ko) 1993-03-29
JPH0170884U (ko) 1989-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14644A (ja) 三位置製織機構の改良
KR910006222Y1 (ko) 밀어 올림식 경사 개구장치
US5538046A (en) Mechanism for controlling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griffe frames
JP3390557B2 (ja) 織機構
JPS62133144A (ja) 織機の綜絖枠を制御する積極カム機械装置用のダブルローラ付レバー
US5183080A (en) Shed forming device for griffe frames
US3949788A (en) Web weaving machine with several heald shafts
US4481979A (en) Heald frame driving method in negative dobby machines or cam machines
US4841750A (en) Control member for threading tube lifters in crochet galloon looms
JPH0223613B2 (ko)
US4715408A (en) Gauze or leno harness for weaving machines
US5285819A (en) Dobby drawing device
JP3423080B2 (ja) ジャカード機構
EP0085108B1 (en) Method of driving heald frame for negative dobby machine, negative cam machine
RU1813130C (ru) Двухподъемна негативна ремизоподъемна каретка ткацкого станка
KR880006397A (ko) 원형 직기
US5116364A (en) Harness cord pulley arrangement for jacquard shed forming device
GB2274470A (en) Driving weft-inserter in narrow loom
US4337801A (en) Device for shedding warp yarns in a weaving loom
KR840001905B1 (ko) 직기의 개구형성 장치
JPH0538068Y2 (ko)
JP3272097B2 (ja) 織機の開口形成装置の把持フレームの往復運動の制御機構
CS239001B1 (en) Plain weave shed forming device
KR840000332B1 (ko) 직기에 있어서 경사개구장치
US4005736A (en) Eccentric mechanism for driving a plurality of heddle carrying fra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7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