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928B1 - 핵연료봉을 채널 트레이에 적재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핵연료봉을 채널 트레이에 적재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928B1
KR910005928B1 KR1019840004215A KR840004215A KR910005928B1 KR 910005928 B1 KR910005928 B1 KR 910005928B1 KR 1019840004215 A KR1019840004215 A KR 1019840004215A KR 840004215 A KR840004215 A KR 840004215A KR 910005928 B1 KR910005928 B1 KR 910005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rod
seal
lamp
loa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4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1620A (ko
Inventor
에이. 호웰 세실
알. 래시 어네스트
Original Assignee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피. 이. 레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피. 이. 레고우 filed Critical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850001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fuel or fuel elements outside the reactor core, e.g. for burn-up, for contamination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2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reactor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16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 B65G57/18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elongated, e.g. sticks, rods, ba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4/00Material or article handling
    • Y10S414/10Associated with forming or dispersing groups of intersupporting articles, e.g. stacking patterns
    • Y10S414/102Associated with forming or dispersing groups of intersupporting articles, e.g. stacking patterns including support for group
    • Y10S414/103Vertically shif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 Chute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Container Filling Or Packaging Operation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핵연료봉을 채널 트레이에 적재하는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핵연료봉을 채널 트레이에 적재하기 위한 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트레이가 상술된 수평위치에 있을 때 제1도의 선 Ⅱ-Ⅱ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3도는 트레이가 경사된 위치에 있는 것을 제외하고 제2도와 동일한 단면도.
제4도는 트레이가 핵연료봉을 적재하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 제3도와 동일한 단면도.
제5도는 트레이가 하향된 수평 위치에 있는 것을 제외하고 제4도와 동일한 단면도.
제6도는 제1도에 도시한 장치에서 하부 표면의 구멍을 도시한 부분을 잘라낸 밀봉체의 사시도.
본발명은 일반적으로 신장된 봉을 취급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단의 핵연료봉을 램프(ramp)에서 채널 트레이로 적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새롭게 제조된 핵연료봉 그룹들은 (연료펠릿을 포함) 핵연료봉 품질 관리 라인을 따라 검사지역 사이의 수송을 위해 채널 트레이에 적재된다. 과거에는 이들 봉의 그룹들은 램프를 단순히 굴러 내려와 채널 트레이에 떨어지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내부에 세라믹 펠릿을 구비한 연료봉은 충격에 민감하며, 그러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봉에 밀봉된 펠릿에 손상을 야기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라믹 펠릿 파손 및 관의 충돌과 같은 봉 충격 문제를 최소화하여 램프에서 채널 트레이의 저부로 통과하는 동안에 그러한 봉을 부드럽게 취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하부 종점을 갖는 경사 램프에서 트레이로 일단의 신장봉을 장진하기 위한 장치에 있으며 상기 장치는 램프상에 설치된 제어 가능한 봉 정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정지체는 봉이 차단되는 속박 위치와 봉이 느슨해지는 풀린 위치를 가지고 있으며, 대기압의 공기를 포함하고 보통 두 개의 대향 단부를 갖는 밀봉체의 한단부가 램프의 하부 종점에 부착되고, 밀봉체는 램프의 하부 종점에 인접한 구멍을 구비한 하부 표면을 가지며, 일봉체는 또한 봉을 적재하지 않았을 때 대기로 자체 팽창하여 충분히 단단해지고 램프의 하부 종점에서 떨어져 다른쪽 단부로 자체 돌출하는 것과 지지체가 봉이 트레이로 적재될 때 밀봉체의 하부에 트레이를 접하게 하도록 구비되며, 정지체가 풀려질 때 트레이와 접하도록 밀봉체를 밀며 램프에서 밀봉체로 봉이 구르게 되며, 봉의 무게로 밀봉체의 구멍으로 공기를 밀어내며 밀봉체는 트레이의 저부로 봉을 천천히 내려오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부수 도면을 참고로한 실시예의 하기 설명으로부터 좀더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면은 봉 취급장치(도면에 도시안됨)에 의해 경사램프(12)로 이동된 핵연료봉(10)과 같은 일단의 신장봉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일단의 봉(10)을 트레이로 적재하며, 하나의 트레이는 연료봉 채널 트레이(22)와 같이 깊이가 충분히 깊어 한층 이상의 봉을 완전히 간직할 수 있게한 것이 바람직하다.
적재장치는 램프(12)상에 위치한 봉 정지체를 포함하고 있다. 봉정지체(24)은 봉(10)을 차단하는 속박 위치(제2도 및 5도 참조)를 가지고 있으며, 두 개 이상의 간격진 봉 정지체가 램프상에서 봉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봉정지체(24)는 봉(10)이 램프의 하부 종점(14)를 향해 구르도록 풀린 위치(제3도 및 4도참조)를 가지고 있다. 봉정지체(24)는 당업계에서 공지된 것과 같이 제어 가능하며, 전기제어기, 압축공기 제어기 혹은 유압제어기등과 같은 것으로 작동하게 된다. 봉(10)은 간격진 램프 레일(16)상에서 유사하게 간격져 램프의 하부 종점(14)에 위치하는 램프 플랫포옴(18)으로 구르게 된다. 플렛포옴(18)은 봉이 적재되어 질 때 램프(12)와 트레이(22) 사이의 틈을 연결하는 하향 경사진 연장부(20)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대기압의 공기를 포함하는 밀봉체(26)(제6도에 상세하게 도시됨)은 봉을 트레이(22)에 적재하는 동안 필요한 봉의 쿠션효과를 제공한다. 밀봉체(26)는 보통 두 개의 대향단부(28, 34)를 가지고 있다.
한단부(28)은 하부 종점(14) 근처에서 램프(12)에 연결되어 있다. 밀봉체(26)의 하부 표면(30)은 램프의 하부 종점(14) 근처에 구멍(32)을 가지고 있다. 밀봉체(26)는 봉(10)(또는 그와 같은 것)을 적재하지 않았을 때 대기로 자체 팽창하기에 충분하고, 봉(10) 또는 트레이(22)(또는 그와 유사한 것) 등을 적재하지 않았을 때 설정된 거리만큼 램프의 하부 종점(14)에서 떨어져 다른 단부(34)를 자체 돌출시키기에 충분한 강직성을 갖는 물질롤 만들어진다.
밀봉체(26)는 보통 사각형 모양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체 팽창되었을때는 상하 양쪽이 볼록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체(26)를 제조하는 적당한 제료로는 당업계에 잘알려진 것과 같이 6밀(mil) 폴리에틸렌 관 재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것이 있다. 구멍(32)의 크기와 수는 당업계에 종사하는 숙련공들은 알 수 있겠지만 필요한 쿠션효과를 얻도록 조정되어야 한다. 단 하나의 밀봉체(26a)가 충분한 폭을 가졌다면 필요한 봉의 쿠션을 얻을 수 있겠지만, 원 밀봉체(26a)에서 서로 떨어져 그룹을 이룬 다수의(최소한 하나) 다른 밀봉체(26c와 같은 것)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 밀봉체(26a)와 함께 그룹을 이룬 다수의(최소한 하나) 추가된 밀봉체(26b와 같은 것)를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앞서도 언급했지만 짐을 적재하지 않았을 때 밀봉체가 자체 돌출하는 설정된 거리는 트레이(22)가 봉(10)을 적재하려는 위치에 있을 때 트레이(22)에 걸쳐져야 할 것이며, 봉이 트레이(22)로 들어갈 때 봉(10)에 쿠션효과를 제공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또한 설정된 거리는 트레이의 폭과 높이를 더한 것보다 커야 한다.
봉(10)이 트레이(22)로 적재될 때 밀봉체(26) 아래로 접해서 트레이(22)를 지지하기 위해 장치가 제공된다. 봉 정치체(24)가 풀렸을 때 봉(10)들은 랜에서 밀봉체(26)까지 굴러내려와 밀봉체(26)가 트레이(22)와 접하도록 밀어낸다. 봉(10)의 무게로 구멍(32)을 통해 밀봉체(26)의 밖으로 공기를 밀어내면서 봉(10)은 트레이(22)의 저부로 내려온다.
트레이 지지수단은 전기적으로, 유압적으로 또는 압축 공기등으로부터 동력을 받는 트레이 상승 피스톤(38)을 구비한 리프트(lift)(36)(공장의 바닥(48)에 의해 지지됨)를 포함하고 있지만, 당업자에게는 공지된 것처럼 로버트의 사용을 포함하는 어떤 종래의 물체 취급 장치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리프트(36)와 같은 트레이 지지수단은 또한 봉(10)이 밀봉체(26)의 정부에서 트레이(22)로 적재될 때 트레이(22)가 밀봉체(26)에서 떨어져 나와 당겨지기에 충분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체의 길이 이상으로 리프트(36)를 하강시키면 밀봉체(26)가 자유롭게 되어 다음 그룹의 봉(10)을 기다리며 자체 팽창되고 자체 돌출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리프트(36)은 봉(10)이 트레이(22)로 적재될 때 트레이(22)와 수평이 되도록 위치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트레이 지지장치는 또한 봉(10)이 트레이(22)로 적재될 때 램프의 하부 종점(14)을 향해 수평위치에서 설정된 각도(바람직한 각도는 보통 45°)로 트레이(22)를 기울게 하고, 봉(10)이 트레이(22)로 적재되고 난후 수평위치로 트레이(22)를 복귀시키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트레이 상승 피스톤(38)이 힌지된 트레이 지지체의 저부부재(44)에 부착된 반면 트레이 기울기 장치는 상단부가 힌지된 트레이 지지채의 정부부재(42)에 부착된 트레이 기울기 피스톤(40)을 포함하고 있다. 트레이(22)가 기울어질 때 트레이는 트레이 지지체의 회전 정부 부재(42)에 부착된 트레이 지지체 측벽(46)에 의해 지지된다. 또다른 트레이 기울기 장치가 당업자에게 알려진 것과 로버트의 사용을 포함하는 종래의 물체 취급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 작동을 하면, 봉(10)의 그룹이 램프(12)상에서 봉정치체(24)에 의해 차단되었을 때 트레이(22)는 하부 수평위치에서 시작한다. 다음, 트레이 기울기 피스톤(40)은 램프의 하부 종점(14)을 향해 보통 45°로 트레이(22)로 회전하며, 그때 봉정지체(24)가 봉(10)을 풀어 놓는다. (제3도참조) 봉(10)은 밀봉체(26)를 트레이(22)와 접촉하게 하면서 굴러내려 갈 때 쿠션을 받게된다. 봉(10)의 무게로 인해 공기가 구멍(32)을 통해 밀봉체(26) 밖으로 내보내며, 부드럽게 봉은 트레이(22)의 저부로 내려온다.(제4도 참조) 그때 트레이 기울기 피스톤(40)은 짐을 적재한 트레이(22)를 수평위치로 복귀시키며, 트레이 상승 피스톤(38)은 트레이를 하향시켜 밀봉체(26)이 빠져 나가도록 하며, 밀봉체(26)은 다음 그룹의 봉을 기다리기 위해 자체 팽창되고 자체 돌출된다.

Claims (7)

  1. 하부종점(14)을 갖는 경사램프(12)에서 트레이(22)에 신장봉(10)의 그룹을 적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램프(12)상에 설치된 제어가능한 봉정지체(24)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봉정지체(24)는 봉(10)이 차단되는 속박위치와 봉(10)이 느슨해지는 풀린위치로 변화될 수 있으며, 대기압의 공기를 포함하며 두 개의 대향단부(28,34)를 갖는 밀봉체(26)은 한단부(28)가 램프(12)의 하부종점(14)에 부착되었으며, 밀봉체의 하부표면(30)은 램프의 하부 종점(14) 근처에 구멍(32)을 가지고 있으며, 밀봉체(26)은 봉을 적재하지 않았을 때 대기를 흡입하여 자체 팽창되고 램프의 하부종점에서 멀리 떨어져 두 단부중 다른 단부(34)를 자체 돌출시키기에 충분한 강직성을 가지고 있는 것과, 봉(10)이 트레이(22)에 적재되려고 할 때 지지체(36-46)가 구비되어 트레이(22)를 밀봉체(26)밑에 접하도록해서, 정지체(24)가 풀리고, 봉(10)은 밀봉체(26)이 트레이(22)와 접촉하도록 밀면서 램프(12)에서 굴러내려오면, 봉(10)의 무게에 의해 밀봉체(26)의 구멍(32) 밖으로 공기를 밀어내면서 밀봉체(26)이 천천히 트레이(22)의 저부로 내려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체(26)은 자체 팽창시 상하팽창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트레이 지지체(36-46)은 봉(10)이 트레이(22)에 적재되려고 할 때 각이진 위치로 지지하기 위한 정부부재(42)를 포함하며, 봉(10)을 적재하지 않았을 때 수평으로 자체 돌출하는 밀봉체(26)의 두 단부중 다른 단부(34)가 트레이(22)속으로 독출하게 되며, 밀봉체(26)의 길이는 트레이(22)의 폭과 높이를 합한것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봉(10)은 원자로 연료봉이며, 트레이는 한층 이상의 봉(10)을 수용하기에 충분한 깊이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밀봉체(26)는 보통 4각형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밀봉체(26)는 서로 떨어져 그룹을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지지체(36-46)는 봉(10)이 적재되려고 할 때 트레이(22)가 수평위치에서 램프의 하부종점을 향해 기울도록 하고, 적재가 완료되었을 때 트레이(22)가 수평위치로 복귀하도록 하기위해 트레이 기울기 피스톤(40)과 리프트(36)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
KR1019840004215A 1983-08-12 1984-07-18 핵연료봉을 채널 트레이에 적재하는 장치 KR9100059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522,898 US4573847A (en) 1983-08-12 1983-08-12 Nuclear fuel rod channel tray loading system
US522898 1983-08-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620A KR850001620A (ko) 1985-03-30
KR910005928B1 true KR910005928B1 (ko) 1991-08-08

Family

ID=24082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4215A KR910005928B1 (ko) 1983-08-12 1984-07-18 핵연료봉을 채널 트레이에 적재하는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573847A (ko)
JP (1) JPS6061421A (ko)
KR (1) KR910005928B1 (ko)
BE (1) BE900349A (ko)
ES (1) ES8702717A1 (ko)
FR (1) FR2550651B1 (ko)
GB (1) GB2144703B (ko)
IT (1) IT1176415B (ko)
SE (1) SE4552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2552A (en) * 1987-02-25 1989-04-18 Westinghouse Electric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passively gamma scanning a nuclear fuel rod
US4765453A (en) * 1987-04-27 1988-08-23 Westinghouse Electric Corp. Pellet-press-to-sintering-boat nuclear fuel pellet loading system
US4807734A (en) * 1987-07-24 1989-02-28 Westinghouse Electric Corp. Pellet-press-to-sintering-boat nuclear fuel pellet loading apparatus
JPH05126987A (ja) * 1991-10-24 1993-05-25 Mitsubishi Nuclear Fuel Co Ltd 燃料集合体の組立装置
NL1033209C2 (nl) * 2006-01-12 2007-12-04 Food Processing Systems Inrichting voor het vullen van dozen of kratten.
KR101732884B1 (ko) * 2016-04-07 2017-05-08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핵연료봉 제조용 소결체 육안검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75855A (en) * 1952-11-10 1961-03-21 Dudek Ludwig Jumping bellows
DK130622B (da) * 1973-02-28 1975-03-17 Schmidt As J P Jun Opsamlingsapparat for portionsvis opsamling af stangformede genstande, navnlig cigarer og cerutter.
JPS5277368A (en) * 1975-12-22 1977-06-29 Babcock Hitachi Kk Reducing apparatus for impact noises produced when heavy article is dr opped
JPS5414895A (en) * 1977-07-01 1979-02-03 Sumitomo Metal Ind Ltd Cradle device for binding steel material
DE2831248C3 (de) * 1978-07-15 1981-10-29 C. Deilmann AG, 4444 Bad Bentheim Sammelvorrichtung für rollfähige Gegenstände, insbesondere Metallroh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8419399D0 (en) 1984-09-05
JPS6061421A (ja) 1985-04-09
GB2144703A (en) 1985-03-13
IT8421934A1 (it) 1986-01-18
JPS6330250B2 (ko) 1988-06-17
ES8702717A1 (es) 1986-12-16
ES534953A0 (es) 1986-12-16
GB2144703B (en) 1986-09-03
IT1176415B (it) 1987-08-18
SE8403887L (sv) 1985-02-13
US4573847A (en) 1986-03-04
IT8421934A0 (it) 1984-07-18
KR850001620A (ko) 1985-03-30
FR2550651B1 (fr) 1988-10-14
FR2550651A1 (fr) 1985-02-15
SE455241B (sv) 1988-06-27
SE8403887D0 (sv) 1984-07-27
BE900349A (fr) 1985-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5928B1 (ko) 핵연료봉을 채널 트레이에 적재하는 장치
US2755950A (en) Drum handling apparatus
GB2003818A (en) Loading pallets
US4016986A (en) Closure system
CA1254536A (en) Pallet unloading fixture and method
US3102751A (en) Contact-type lifting device
US4355925A (en) Adjustable support for underwater pipe distant from the sea bed
US3874477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shoring up the base frame of lifts hoists and the like
FI69815B (fi) Lastningssystem
KR900014085A (ko) 로울형상 자재의 격납장치
US3603635A (en) Load holding apparatus
JP2011111836A (ja) 車両持ち上げ装置
JPS6056724A (ja) ロ−ラコンベヤ搬送用の敷板介挿装置
JPH083365Y2 (ja) 円筒状物取扱設備
KR102610785B1 (ko) 길이가 긴 자재의 이송 및 적재장치
JPH058259Y2 (ko)
JP3377804B2 (ja) 箱のシュート押上機構
JPS6217456Y2 (ko)
JPS58113031A (ja) デパレタイザ
US896271A (en) Unloading apparatus.
SU1527125A1 (ru) Захват-кантователь
SU1654190A1 (ru) Система дл перевозки и механизированной погрузки и выгрузки газовых баллонов
US3555749A (en) Collapsible housing
SU821326A1 (ru) Стеллаж дл хранени листовогоМАТЕРиАлА
GB2115369A (en) Palletisers and depalletis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