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805Y1 - 저휘도에서의 주파수 보상회로 - Google Patents

저휘도에서의 주파수 보상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805Y1
KR910005805Y1 KR2019870024572U KR870024572U KR910005805Y1 KR 910005805 Y1 KR910005805 Y1 KR 910005805Y1 KR 2019870024572 U KR2019870024572 U KR 2019870024572U KR 870024572 U KR870024572 U KR 870024572U KR 910005805 Y1 KR910005805 Y1 KR 9100058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resistor
ray tube
cathode ray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45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5287U (ko
Inventor
이윤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700245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805Y1/ko
Publication of KR8900152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52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8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8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04N5/205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for correcting amplitude versus frequency characteri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저휘도에서의 주파수 보상회로
제 1 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주파수 보상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캐스코드증폭부 2 : 휘도조정히로부
3 : 음극선관 4 : 수평출력회로부
5 : 보상회로부
본 고안은 모니터의 주파수 보상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휘도가 낮을때에 발생하는 오버슈트나 언더슈트로 인하여 모니터에서 발생되는 피킹현상을 보상회로에 의해 제거할 수 있게 한 저휘도에서의 주파수 보상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모니터 휘도 제어회로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저항(R1, R2) 및 콘덴서(C1), 트랜지스터(TR1, TR2)로 구성된 캐스코드증폭부(1)의 출력측이 음극선관(3)의 캐소드에 접속되고, 플라이백트랜스(FBT1)의 2차권선(T21)에 접속된 휘도저정회로부(2)의 출력측이 저항(R6)을 통해 상기 음극선관(3)의 그리드(G1)에 접속되며, 상기 휘도조정회로부(2)의 다이오드(D1) 및 콘덴서(C3)의 접속점이 저항(R3) 및 코일(L1)을 통해 음극선관(3)의 캐소드에 접속되어 구성된 것으로, 도면의 설명중 미설명 부호 4는 수평출력회로부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회로는 휘도조정회로부(2)의 가변저항(VR1)을 가변함에 따라 음극선관(3)의 그리드(G1)에 인가되는 전압이 가변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음극선관(3)의 그리드(G1)에 인가되는 전압이 상승하면 휘도가 밝아지고, 감소하면 휘도가 어두워지게 된다.
한편, 영상신호 입력단자(V1)에 입력된 영상신호의 크기에 따라 케스코드증폭부(1)의 출력신호 레벨이 변환되어 음극선관(3)의 캐소드에 인가된다.
즉, 영상입력신호가 크면, 저항(R3)의 전압강하가 커지므로 음극선관(3)의 캐소드에 연가되는 전압이 낮아져 휘도가 낮아지고, 영상입력신호가 작으면 음극선관(3)의 캐소드에 인가되는 전압이 높아져 휘도가 높아진다.
이와같은 종래의 회로에 있어서는 영상입력신호의 크기에 따라 음극선관의 휘도가 구분되어 문자나 도형등을 음극선관의 화면상에 나타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전체의 밝기의 조정은 휘도가변저항을 통해 밝은 부분의 휘도를 조정하는데 휘도가 어두울때는 화면의 미소한 변화에 따라 문자나 도형등을 판별하여야 한다. 따라서, 문자나 도형등의 밝은 부분 옆의 그림자등이 눈에 쉽게 나타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휘로가 낮을때 발생되는 피킹현상을 별로의 주파수 보상 회로에 방지할 수 있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저항(R1, R2) 및 제너다이오드(ZD1), 콘덴서(C2), 트랜지스터 (TR1, TR2)로 구성된 캐스코드증폭부(1)의 출력측을 음극선관(3)의 캐소드에 접속함과 아울러 코일(L1) 및 저항(R2)을 통해 휘도조정회로부(2)의 다이오드(D2) 및 콘덴서(C5)의 접속점에 접속하고, 이 휘도조정회로부(2)의 출력측을 상기 음극선관(3)의 그리드(G1)에 접속하여 된 모니터의 휘도 제어회로에 있어서, 전원단자(B+)를 저항(R7) 및 저항 (R8)을 통해 트랜지스터(TR4)의 베이스에 접속하여, 그의 에미터를 제너다이오드(ZD2) 및 저항(R8)을 통해 상기 휘도조정회로부(2)의 출력측에 접속하고, 그 트랜지스터(TR4)의 콜렉터 저항(R9)을 통해 트랜지스터(TR5)의 베이스에 접속함과 아울러 저항(R10)을 다시 통해 그 트랜지스터(TR5)의 에미터, 상기 다이오드(D1) 및 콘덴서(C5)의 접속점에 접속하며, 이 트랜지스터(TR5)의 콜렉터를 다이오드 (D1) 및 저항(R11), 코일(L2)을 통해 상기 캐스코드증폭부(1)의 출력측에 접속하여 보상회로부(5)를 구성한 것으로,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휘도조정회로부(2)의 휘도가변저항(VR1)의 가변단자가 높은 전압이 출력되게 조정되어 있으면, 보상회로부(5)의 트랜지스터(TR4) 및 제너다이오드(ZD2)가 오프되므로 그 보상회로부(5)는 음극선관(3)의 캐소드 전압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때는 상기 제 1 도의 동일하게 동작된다.
그러나, 휘도가변저항(VR1)의 가변단자가 낮은 전압이 출력되게 조정되어 트랜지스터(TR4)의 에미터 전압과의 차이 전압이 제너다이오드(ZD2)의 제너전압 이상이 되면, 제너다이오드(ZD2)와 트랜지스터(TR4)가 온되어 그의 콜렉터에 콜렉터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에따라 트랜지스터(TR5)도 온되어 그의 콜렉터에 인가된다.
결국, 이때는 저항(R2) 및 코일(L1)에 저항(R11) 및 코일(L2)이 병렬 접속된 상태로 되어 부하저항이 감소되므로 주파수 특성이 좋아지게 된다. 그리고, 가변저항(VR2)의 조정위치와 제너다이오드 (ZD2)의 제너전압을 조정함으로써 일정휘도 이하에서의 주파수를 보상할 수 없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휘도가 일정레벨 이하로 낮아지게 될때 주파수 보상회로가 동작되어 주파수를 보상해주므로 휘도에 관계없이 항상 최상의 화질을 유지할 수 있게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캐스트코드증폭부(1)의 출력측을 음극선관(3)의 캐소드에 접속함과 아울러 코일(L1) 및 저항(R2)을 통해 휘도조정회로부(2)의 다이오드(D1) 및 콘덴서(C3)의 접속점에 접속하고, 이 휘도조정회로부(2)의 출력측을 상기 음극선관(3)의 그리드에 접속하여서된 모니터의 휘도 제어회로에 있어서, 전원단자 (B+)를 저항(R7) 및 가변저항(VR2)의 가변단자를 통해 트랜지스터(TR4)의 베이스에 접속하여, 그 트랜지스터(TR4)의 에미터는 제너다이오드(ZD2)를 통해 상기 휘도조정회로부(2)의 출력측에 접속하고, 그 트랜지스터(TR4)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측에 접속함과 아울러 저항 (R10)을 다시 통해 그 트랜지스터(TR5)의 에미터, 상기 다이오드(D1) 및 콘덴서(C5)의 접속점에 접속하고, 이 트랜지스터(TR3)의 콜렉터를 다이오드(D4) 및 저항(R11)코일(L2)을 통해 상기 음극선관(3)의 캐소드에 접속하여 보상회로부(5)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휘도에서의 주파수 보상회로.
KR2019870024572U 1987-12-31 1987-12-31 저휘도에서의 주파수 보상회로 KR9100058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4572U KR910005805Y1 (ko) 1987-12-31 1987-12-31 저휘도에서의 주파수 보상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4572U KR910005805Y1 (ko) 1987-12-31 1987-12-31 저휘도에서의 주파수 보상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287U KR890015287U (ko) 1989-08-12
KR910005805Y1 true KR910005805Y1 (ko) 1991-08-03

Family

ID=19271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4572U KR910005805Y1 (ko) 1987-12-31 1987-12-31 저휘도에서의 주파수 보상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580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287U (ko) 198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1849A (en) Plural operating mode ambient light responsive television picture control
RU213023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ки яркости и контраста в телевизионном приемнике
US4549216A (en) Focusing voltage output circuit for cathode ray tube
KR910009882B1 (ko) 비데오 신호 처리 시스템
CA2082243C (en) Contrast beam current limiting arrangement with secondary brightness beam current limiting provisions
US5313294A (en) Beam current limiting arrangement having a peak amplitude, responsive threshold
KR910005805Y1 (ko) 저휘도에서의 주파수 보상회로
US4237479A (en) Blanking voltage generator for a cathode ray tube
KR100688133B1 (ko) 동적 초점 전압 진폭 제어기
GB2234132A (en) Sensed eht level controls brightness, contrast and therefore beam current
US4870331A (en) Circuit arrangement for a picture display device for the stabilization of the size of the picture displayed
KR910004793Y1 (ko) 칼라텔레비젼의 화면밝기 자동조절회로
JPS5610781A (en) Automatic brightness correcting circuit of television receiver
KR920001483Y1 (ko) 칼라 tv의 자동휘도 제한회로
KR900000565Y1 (ko) 휘도변화 보상회로
KR0185573B1 (ko) 픽크 진폭 응답 드레쉬 홀드를 갖는 빔전류 제한 장치
KR910003669Y1 (ko) 수직크기 보상회로
KR970006986Y1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흑레벨 보정회로
KR910007545B1 (ko) 자동 휘도 제한 회로
KR900000776Y1 (ko) 빔 전류 자동 제어 회로의 스피드 업 장치
KR910006192Y1 (ko) 자동휘도 제한 (abl) 보상회로 장치
KR950001131B1 (ko) 모니터의 비임전류제어회로
US5032770A (en) Image distortion correcting circuit
KR830002172B1 (ko) 자동 키네스코프 바이어스 장치
KR900009586Y1 (ko) 모니터에서의 수직 사이즈 보상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2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