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742B1 - 바테리의 급속충전 제어방식 - Google Patents

바테리의 급속충전 제어방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742B1
KR910005742B1 KR1019870014746A KR870014746A KR910005742B1 KR 910005742 B1 KR910005742 B1 KR 910005742B1 KR 1019870014746 A KR1019870014746 A KR 1019870014746A KR 870014746 A KR870014746 A KR 870014746A KR 910005742 B1 KR910005742 B1 KR 910005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battery
charging
voltage valu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4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1159A (ko
Inventor
주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870014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742B1/ko
Publication of KR890011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1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2Over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바테리의 급속충전 제어방식
제1도는 종래의 바테리 충전제어회로도.
제2도는 제1도의 동작설명을 위한 파형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바테리 급속충전 제어방식의 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바테리 충전전압과 기준전압 비교파형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바테리 급속충전 제어방식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정전원부 12 : 아날로그/디지탈변환부
13 : 연산프로세스 및 제어회로부 14 : 릴레이스위치구동부
RS1: 릴레이스위치 B1: 바테리
본 발명은 바테리의 급속충전 제어방식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급속충전시 바테리의 충전전압이 피크치에 도달할 때 충전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한 급속충전 제어방식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바테리 충전제어방식은 -
Figure kpo00002
V 충전제어방식과 V-테이퍼 충전제어방식이 있다.
전자의 -
Figure kpo00003
V 충전제어방식은 제1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테리(B)의 충전전압이 연산증폭기(OP1)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됨과 동시에 다이오드(D)를 통해 콘덴서(C) 및 그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고, 이 연산증폭기(OP1)의 출력신호에 의해 정전원부(1)의 구동이 제어되어 바테리(B)의 충전을 제어하게 되어 있다.
즉, 바테리(B)에 과충전이 되기 이전에는 제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산증폭기(OP1)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압(Va)이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압(Vb)보다 높게되어 그의 출력단자에 저전위신호가 출력되므로 바테리(B)에 계속 충전되고, 이후 과충전이 되면 바테리(B)의 충전전압이 서서히 감소되므로 연산증폭기(OP1)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압(Va)이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압(Vb)보다 낮게되어 그의 출력단자에 고전위신호가 출력되고, 이에 따라 정전원부(1)에서 바테리(B)로 충전전원이 차단되어 바테리(B)의 충전이 중단된다.
그러나, 이 방식에 있어서는 바테리의 충전전압이 피크치에 도달한 후 다이오드전압만큼 감소할때까지 더 과충전이 되므로 바테리를 과충전으로부터 보호할 수 없게 되어 바테리의 수명이 단축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 후자의 V-테이퍼 충전제어방식에 있어서는 제1b도 및 제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R1), (R2)에서 분압된 바테리(B)의 충전전압(Vc)이 기준전압(Vref)보다 낮은동안 (T1)은 정전원부(1)의 정전류가 바테리(B)에 충전되고, 이후, 바테리(B)의 충전전압(Vc)이 기준전압(Vref)에 도달되면, 비교검출스위칭부(2)에 의해 RC 타이머(3)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그 RC 타이머(3)의 충전전압이 서서히 방전되고, 이에 따라, 그 전압이 전압/전류변환부(4)에서 전류도 변환되어 정전원부(1)에 제어신호로 인가됨으로써 바테리(B)의 충전전류가 서서히 감소되고, 이후 그 충전전류가 소정레벨 이하로 되면 바테리(B)의 충전이 완료되게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에 있어서는 기준전압을 바테리의 특성에 맞게 정확히 설정하기가 어렵게 되고, 만약 기준전압이 상향설정된 경우에는 바테리에 과충전되어 그 바테리의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바테리의 충전전압이 피크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곧바로 바테리의 충전을 완료하여 바테리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창안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바테리 급속충전 제어방식의 회로도로서 이를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전원부(11)의 출력측을 저항(R11)을 통해 릴레이스위치(RS1)에 접속하여 그의 일측 고정단자(NC)는 다이오드(D11) 및 저향(R12)을 통하고, 타측 고정단자(NO)는 다이오드(D12)를 통해 바테리(B1) 및 아날로그/디지탈변환부(12)의 입력측에 공통접속하고, 이 아날로그/디지탈변환부(12)의 출력측을 연산프로세스 및 제어회로부(13)의 입력측에 접속한 후 그의 충전오프제어신호출력측을 릴레이스위치구동부(14)의 입력측에 접속하여 구성한 것으로, 상기 릴레이스위치(RS1)는 릴레이스위치구동부(14)가 구동될 때 그의 일측 고정단자(NC)에 단락되고 구동되지 않을 때 그의 타측 고정단자(NO)에 단락되게 되어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급속충전 제어방식을 제4도의 파형도 및 제5도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충전온신호(CHON)가 인가되면 정전원부(11)에 정전류가 출력되고, 그리고 이때 릴레이스위치구동부(14)가 구동되지 않아 릴레이스위치(RS1)가 그의 타측 고정단자(NO)에 단락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정전원부(11)에서 출력된 정전류는 저항(R11) 및 릴레이스위치(RS1)의 타측 고정단자(NO), 다이오드(D12)를 통해 바테리(B1)에 공급되어 충전된다.
그리고, 이때 그 바테리(B1)의 충전전압은 아날로그/디지탈변환부(12)에서 디지털신호로 변환되어 연산프로세스 및 제어회로부(13)에 인가된다.
따라서, 이때 연산프로세스 및 제어회로부(13)에서 그 디지털신호를 읽어 그 디지털신호로서 내부메모리의 초기상태를 클리어시키고, 바테리전압검출 기준팩터(α)를 설정한다. 이때 바테리(B1)의 초기 충전전압을 디지털변환한 전압 V(t=0)를 기준으로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x, y점이 초기값으로 설정된다. 여기서, x지점의 전압은 초기에 읽어들인 값으로 그 값을 V(t)라 하면 y지점의 초기 기준전압값 Vo(t)는 V(t)-α로 설정하고, 전압증가분β(t)는 "0"으로 세트시키면 초기값 설정이 끝나게 된다. 이후 일정 지연시간(Ts)을 두고 아날로그/디지탈변환부(12)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다시 읽어들인다. 여기서, 일정 지연시간(Ts)이 짧으면 짧을수록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기준전압(Vo)의 계단파형은 미세한 폭으로 바테리(B1)의 충전전압을 따라가게 되는데, 그 일정지연시간(Ts)은 바테리(B1)의 충전전압 감지능력 즉, 아날로그/디지탈변환부(12)의 디지털 변환오차와 바테리의 특성에 따른 전압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그 두 팩터에 의해 결정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아날로그/디지탈변환부(12)에서 변환된 바테리(B1)의 충전전압을 일정 지연시간(Ts)을 두고 연산프로세스 및 제어회로부(13)에서 다시 읽어들인 후 그 전압값 V(t+1)으로부터 이전의 전압값 V(t)을 빼서 일정 지연시간(Ts)동안에 바테리(B1)에 충전된 전압증가분 β(t+1)을 얻고, 또 이전의 초기 기준전압값 Vo(t)에 그 충전전압증가분 β(t+1)을 합하여 일정 지연시간(Ts)후의 기준전압값 Vo(t+1)을 설정한다.
이후, 그 전압증가분 β(t+1)을 이전의 전압증가분 β(t)와 비교하여 큰 쪽의 전압증가분을 다시 전압증가분 β(t)로 설정한다. 여기서, 큰쪽의 전압증가분을 전압증가분β(t)으로 설정하는 것은 초기의 기준전압이 바테리(B1)의 충전전압보다 낮은 위치에서 출발하므로 충전이 진행됨에 따라 두전압의 차이가 줄어들어 반전되는 지점을 만들어주기 위해서이다.
상기와 같이 전압증가분 β(t)을 다시 설정한 후에는 충전전압값 V(t+1)을 기준전압값 Vo(t+1)과 비교하여 충전전압값 V(t+1)이 기준전압값 Vo(t+1)보다 큰 경우에는 기준전압값 Vo(t)을 Vo(t+1)로 설정하고 충전전압값 V(t)을 V(t+1)로 설정한 후 상기 초기값 설정이후의 루틴을 반복수행하고, 충전전압값 V(t+1)이 기준전압값 Vo(t+1)보다 낮은 경우에는 충전완료로 판별하여 충전오프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이 충전오프신호는 릴레이스위치구동부(14)를 구동시키므로 릴레이스위치(RS1)가 그의 일측 고정단자(NC)에 단락되어 바테리(B1)의 충전이 중단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테리의 충전전압에 따라 기준전압을 설정해주어 바테리 충전전압 변동분의 최대치만큼 기준전압이 계속 증가되므로 초기 기준전압과 일정 지연시간을 바테리의 특성에 맞게 설정시켜 놓음으로써 바테리의 충전전압이 피크치에 도달할 때 바테리의 충전을 완료하게 되고, 또한 기준전압은 충전이 거의 완료되어갈 때 최대의 폭으로 계속 증가하므로 과충전은 거의 발생되지 않게 되어 바테리의 손상이 방지되고, 사용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게된다.

Claims (1)

  1. 충전온신호가 인가될 때 연산프로세스 및 제어회로부(13)는 아날로그/디지탈변환부(12)에서 변환된 바테리(B1)의 충전전압값 V(t)을 읽어 그 값 V(t)으로부터 초기 기준전압값 Vo(t)을 설정하고, 전압증가분 β(t)을 "0"으로 세트하여 초기값을 설정하며, 이후 일정 지연시간(Ts)을 두고 충전전압값 V(t+1)을 다시 읽어들여 전압증가분 β(t+1)을 얻고, 그 전압증가분 β(t+1)을 상기 기준전압값 Vo(t)에 합하여 일정지연시간(Ts)후의 기준전압값Vo(t+1)을 설정하며, 이후 상기 전압증가분 β(t+1)을 이전의 전압증가분 β(t)와 비교하여 큰쪽의 전압증가분을 다시 전압증가분 β(t)로 설정하고, 이후 상기 충전전압값 V(t+1)이 기준전압값 Vo(t+1)보다 큰 경우에는 충전전압값 V(t) 및 기준전압값 Vo(t)를 V(t+1), Vo(t+1)로 각각 설정한후 상기 초기값 설정이후의 동작을 반복 수행하고, 충전전압값 V(t+1)이 기준전압값 Vo(t+1)보다 낮은 경우에는 충전완료로 판별하여 충전오프제어신호를 출력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테리의 급속충전 제어방식.
KR1019870014746A 1987-12-22 1987-12-22 바테리의 급속충전 제어방식 KR910005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4746A KR910005742B1 (ko) 1987-12-22 1987-12-22 바테리의 급속충전 제어방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4746A KR910005742B1 (ko) 1987-12-22 1987-12-22 바테리의 급속충전 제어방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159A KR890011159A (ko) 1989-08-12
KR910005742B1 true KR910005742B1 (ko) 1991-08-02

Family

ID=19267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4746A KR910005742B1 (ko) 1987-12-22 1987-12-22 바테리의 급속충전 제어방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574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159A (ko) 198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6882B1 (ko) 아날로그 신호를 자동 환산하는 대수적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를 갖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
US3938021A (en) Battery charging circuit with full-charge cutoff
KR920009364B1 (ko) 충전 제어장치
JPS6162325A (ja) 充電器
US4387332A (en) Apparatus for successively charging rechargeable batteries
US5172045A (en) Battery charger for mobile apparatus
US4977364A (en) Method and a taper charger for the resistance free charging of a rechargeable battery
KR910005742B1 (ko) 바테리의 급속충전 제어방식
JPH0919073A (ja) 二次電池の急速充電方法
US4499415A (en) Battery rapid charging circuit
JP3177955B2 (ja) 二次電池の充電方法および充電システム
EP0439116B1 (en) Charge device capable of lengthening a lifetime of a storage cell
JP3242985B2 (ja) 二次電池の充電回路
GB2159351A (en) Charge/discharge circuit
JPS5992717A (ja) 電気負荷用の耐短絡制御回路
EP0081891B1 (en) Fixed frequency voltage regulator
JP3601032B2 (ja) 充電制御装置、充電器、およびバッテリパック
SU126591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р да аккумул торной батареи
JPS6013252Y2 (ja) 充電装置
JP2988670B2 (ja) 2次電池の充電制御方法
KR0151494B1 (ko) 충전 가능한 배터리의 충전 모드 변환 회로
KR910005697Y1 (ko) 밧데리의 충전 제어회로
JP3480854B2 (ja) 二次電池の充電回路
JP2874287B2 (ja) 蓄電池のメモリ効果判別方法並びにメモリ効果対応充電器
JP2577656B2 (ja) 二次電池の充電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