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586Y1 -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화질 보상회로 - Google Patents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화질 보상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586Y1
KR910005586Y1 KR2019870014030U KR870014030U KR910005586Y1 KR 910005586 Y1 KR910005586 Y1 KR 910005586Y1 KR 2019870014030 U KR2019870014030 U KR 2019870014030U KR 870014030 U KR870014030 U KR 870014030U KR 910005586 Y1 KR910005586 Y1 KR 9100055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and component
band
pass filt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40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5494U (ko
Inventor
이활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140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586Y1/ko
Publication of KR8900054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4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5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5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5/027Analogue recor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화질 보상회로
제 1 도는 종래의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재생회로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화질 보상회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이다.
* 도면의 부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비디오 재생헤드 2 : 전치 증폭기
3 : FM 등호 증폭기 4 : 자동이득 조절기
5 : 증폭기 6 : 드롭 아웃검출기
8 : 고역 통과 필터 9 : 저역 통과 필터
10 : 더블진폭 리미터 11 : 복조기
12,13 : 증폭기 14,15 : 전압레벨 검출기
16 : 비교부 16A,16B : 비교기
본 고안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화질 보상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FM주파수 신호의 상측파 대역성분이 하측파 대역 성분에 비해 지나치게 작을 경우 또한 하측파 대역성분이 상측파 대역성분보다 지나치게 작을 경우에 발생되는 흑백 반전 현상을 보상하기 위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화질 보상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비디오 신호 재생계는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성되었던바, 비디오 재생헤드(1)에서 읽혀진 비디오 케이프(도시하지 않았음)신호는 전치 증폭기(2)에 의해 소정레벨 만큼 증폭된뒤 FM 등화 증폭기(3)에 인가된다. 이때 FM 등화증폭기(3)에서는 입력된 신호를 주파수 보상하여 자동이득 조절기(4)에 제공하고, 자동이득 조절기(4)는 좌, 우측 채널의 신호 레벨차를 줄인후 증폭기(5)와 드롭아웃(Drop Out : 열화현상)을 보상하는 드롭아웃 검출기(6)에 제공하게 된다.
드롭아웃 검출기(6)는 이득이 자동으로 조절된 신호 중에서 포락선 레벨이 빠지는가를 검출하여 가변저항(7)과의 작용에 의해 포락선 레벨이 일정수준 이하로 내려갈 경우에는 펄스신호를 발생시켜 1H 보상회로에 1H지연된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1H보상회로로 하여금 화질을 보상하게 된다. 한편 증폭기(5)에서 증폭된 신호는 고역통과 필터(8)와 저역 통과 필터(9)에 동시에 제공되는바, 고역통과 필터(8)를 통과한 상측파 대역성분과, 저역통과 필터(9)를 통과한 하측파 대역성분은 더블 진폭 리미터(10)에 인가되고, 더블 진폭 리미터(10)는 상측파 및 하측파 대역성분의 신호 진폭을 제한하여 복조기(11)에 제공함으로써 복조기(11)는 휘도 신호처리기에 복조된 신호를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재생계는 드롭아웃 검출기(6)에서 단순한 포락선 레벨의 정도에 따라 1H 보상회로를 동작 시키도록 한 것이므로 FM 신호의 주파수 성분에서 상측파 대역 성분이 하측파 대역 성분에 비해 지나치게 작을 경우 또는 하측파 대역성분이 상측파 대역성분에 비해 지나치게 작을 경우에 발생되는 흑백반전 현상을 보상할 수 없어 비디오 테이프의 재생화질이 선명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FM 주파수 신호의 상측파 대역성분과 하측파 대역성분의 레벨을 감지하여 1H보상회로를 작동시킴으로써 선명한 화질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화질 보상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측파 대역성분과 하측파 대역성분의 신호를 각각 증폭하는 2개의 증폭기와, 이들 증폭기에서 각각 증폭된 상측파와 하측파 대역성분을 직류 전압으로 각각 정류하기 위한 다이오드와 콘데서로 각각 구성된 상측파 및 하측파 대역성분 레벨 전압검출부와, 검출된 직류 전압의 상, 하측대역성분 레벨을 비교하되, 직류화된 상측파 대역성분레벨이 하측파 대역성분레벨보다 지나치게 작거나, 하측파 대역성분레벨이 상측파 대역성분 레벨보다 지나치게 작을경우 1H 보상 회로에 펄스신호를 인가하여 화질을 보상토록한 2개의 비교기로 구성시켜서 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제 2 도 및 제 3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화질 보상회로를 구비한 비디오 재생계의 블럭다이어그램인바, 제 2 도중 제 1 도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부품을 표시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고역 통과필터(8)에서 검출된 상측파 대역성분의 일부는 증폭기(12)에서 증폭되고, 저역통과 필터(9)에서 검출된 하측파 대역성분의 일부는 증폭기(13)에서 증폭된다. 증폭기(12), (13)에서 증폭된 상측파 및 하측파 대역성분은 다이오드(14A)와 콘덴서(14B)로된 상측파 대역성분레벨 검출부(14)와 다이오드(15A)와 콘덴서(15B)로된 하측파 대역성분 레벨검출부(15)에 인가되어 각각 그에 따른 전압레벨을 검출하게 된다.
이렇게 전압레벨 검출부(14)에서 검출된 직류전압은 비교기(16A), (16B)와 가변저항(16C), (16D)으로된 비교부(16)의 내부에 있는 비교기(16A)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됨과 동시에 가변저항(16D)을 경유하여 비교기(16B)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제공된다. 또한, 전압레벨검출부(15)에서 검출된 직류 전압은 비교기(16B)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됨과 동시에 가변저항(16C)을 경유하여 비교기(16A)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제공된다.
여기에서 가변저항(16C, 16D)은 상측파 대역성분과 하측파 대역성분의 차이가 그다지 심하지 않는 범위내이거나, 상, 하측파 대역성분에 따른 직류 전압레벨이 동일할 경우에는 비교기(16A, 16B)가 로우 상태의 신호를 출력토록 하고, 상측파 대역성분과 하측파 대역성분의 차이가 심할경우에는 비교기(16A, 16B)중 어느 하나가 하이상태의 신호를 출력토록한 기준 전압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데, 상,하측파 대역성분의 직류전압 레벨이 동일할 경우에는 비교기(16A, 16B)는 로우 상태의 신호를 출력하지만, 상측파 대역성분이 하측파 대역성분보다 훨씬 작을 경우에는 비교기(16A)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신호레벨은 기준전압설정용 가변저항(16C)을 통과한 비반전 입력단자의 신호레벨 보다 작으므로 비교기(16A)는 하이상태의 신호를 출력하지만, 비교기(16B)의 반전입력단자의 신호레벨은 가변저항(16D)을 통과한 비반전입력단자의 신호레벨보다 크므로 비교기(16B)는 로우상태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는 반대로, 하측파 대역성분이 상측파 대역성분보다 훨씬 작을 경우에는 비교기 (16A)는 로우상태의 신호를 출력하고, 비교기(16B)는 하이상태의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하측파 성분이 상측파 대역성분보다 작을경우에는 비교기(16B)에서 발생된 하이 상태의 신호가 다이오드(17)를 경유하여 1H 보상회로에 펄스신호를 인가하고, 상측파 성분이 하측파 대역성분보다 작을경우에는 비교기(16A)에서 발생된 하이상태의 출력이 다이오드(18)를 경유하여 1H 보상회로에 펄스를 인가함으로써 화질을 보상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측파 및 하측파 성분의 레벨차이에 의해 생기는 흑백반전현상이 나타나기 전에 1H 지연된 신호를 출력시킴으로써 화질을 보상할 수 있다.
또한, 자동이득조절기(4)의 출력자체가 일정레벨이하가 될 경우에는 제 1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같이 드롭아웃검출기(6)가 펄스출력을 발생시켜 다이오드(19)를 경유하여 1H 보상회로에 제공함으로써 화질을 보상하게 된다.
제 3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인바, 제 3 도중 제 2 도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부품을 표시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3 도는 비교부(16)의 비교기(16A, 16B)에서 출력된 신호를 스위칭 트랜지스터(51,52)와 바이어스저항(53~56)으로된 스위칭 회로부(50)를 경유하여 쵸크코일(61,62) 콘덴서(63,64) 및 저항(65,66)으로된 주파수 강조회로부(60)에 가함으로써 FM 등화증폭기(3)의 주파수 특성을 변화시켜줌으로써 흑백반전현상을 미리 제거하도록 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FM 주파수 신호의 상측파 및 하측파 대역성분의 레벨차이를 감지하여 상측파 대역성분이 하측파 대역성분에 비해 지나치게 작을 경우 또는 하측파 대역성분이 상측파 대역성분보다 지나치게 작을경우 발생되는 흑백반전현상을 효율적으로 사전에 보상함으로써 선명한 화질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지닌 것이다.

Claims (1)

  1. 비디오 재생헤드(1)에서 읽혀진 신호를 증폭하는 전치 증폭기(2), 상기의 전치증폭된 신호를 주파수 보상하는 FM 등화증폭기(3), 주파수 보상된 신호의 이득을 조절하는 자동이득조절기(4), 이득이 조절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5), 이득이 조절된 신호의 포락선 레벨이 빠질경우 펄스신호를 1H 지연회로에 제공하여 화질을 보상토록한 드롭아웃검출기(6), 상기의 증폭기(5)에서 증폭된 신호의 상측파 대역 및 하측파 대역성분을 각각 검출하는 고역통과 필터(8) 및 저역통과 필터(9), 상기의 상측파 및 하측파 성분의 진폭을 제한하는 진폭 제한부(10), 및 진폭 제한된 신호를 복조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복조기(11)를 구비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화질보상회로에 있어서; 상기의 고역통과 필터(8) 및 저역통과 필터(9)에서 검출된 상측파 대역성분 및 하측파 대역성분의 신호를 각각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12, 13); 상기의 증폭된 상측파 및 하측파 대역성분을 직류 전압으로 각각 정류하기 위해 다이오드와 콘덴서로 각각 구성된 상측파 및 하측파 대역성분 레벨검출부(14), (15); 상기의 직류화된 상, 하를 대역성분레벨을 비교화되, 상기의 직류화된 상측파 대역성분레벨이 하측파 대역성분레벨보다 지나치게 작거나, 상기의 하측파 대역성분레벨이 상측파 대역성분레벨보다 지나치게 작을경우 1H 보상회로에 펄스신호를 인가하여 화질을 보상토록한 비교부(16)로 구성시켜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화질보상회로.
KR2019870014030U 1987-08-22 1987-08-22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화질 보상회로 KR9100055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4030U KR910005586Y1 (ko) 1987-08-22 1987-08-22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화질 보상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4030U KR910005586Y1 (ko) 1987-08-22 1987-08-22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화질 보상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494U KR890005494U (ko) 1989-04-20
KR910005586Y1 true KR910005586Y1 (ko) 1991-07-27

Family

ID=19266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4030U KR910005586Y1 (ko) 1987-08-22 1987-08-22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화질 보상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558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494U (ko) 1989-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1266A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KR910005586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화질 보상회로
US4622520A (en) FM demodulator with impulse noise elimination circuit
JPS6143919B2 (ko)
US4897608A (en) Circuit arrangement for frequency-modulated picture signals
JP3325469B2 (ja) 自動利得制御ループ回路
JPS6333234B2 (ko)
KR100230258B1 (ko) 필터의 지연시간 및 흑백 반전을 개선한 비디오 기록매체 복사장치
KR940000972B1 (ko) 재생 fm신호처리회로
US5398114A (en) Circuit for compensating for the drop-out of a reproduced video signal
KR100195107B1 (ko) 비디오 신호 더빙 기록 장치
US6185361B1 (en) Informatio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detecting both dropout of information signals and absence thereof
KR0121802B1 (ko) 재생 신호 처리용 자동 이득 제어 회로
KR930007373Y1 (ko) 자동화질 개선 회로
KR940022505A (ko) 브이 씨 알(vcr)의 알 에프(rf)신호 레벨 자동 조절 장치
JPS6218673A (ja) 自動利得制御装置
JP2674401B2 (ja) 画像再生装置
KR900003269Y1 (ko) 브이시알의 화질 개선회로
JPH0739090Y2 (ja) 音質改善回路
KR950008743B1 (ko) 재생 오디오 및 알.에프(rf)신호 레벨 자동 조절장치
JPS6182378A (ja) ドロツプアウト検出回路
KR910008346Y1 (ko) Vtr의 화질 개선장치
JPH0435828B2 (ko)
JPH0335473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4223691A (ja) 映像信号利得調整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