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520Y1 - 네온사인 점등용 트랜스 - Google Patents

네온사인 점등용 트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520Y1
KR910005520Y1 KR2019890006410U KR890006410U KR910005520Y1 KR 910005520 Y1 KR910005520 Y1 KR 910005520Y1 KR 2019890006410 U KR2019890006410 U KR 2019890006410U KR 890006410 U KR890006410 U KR 890006410U KR 910005520 Y1 KR910005520 Y1 KR 9100055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secondary side
primary
wound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64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21081U (ko
Inventor
정병화
Original Assignee
정병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화 filed Critical 정병화
Priority to KR20198900064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520Y1/ko
Publication of KR9000210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210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5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5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22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25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coo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22Cooling by heat conduction through solid or powdered fil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08High-leakag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 H01F38/10Ballasts, e.g. for discharge 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ng Of Coi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네온사인 점등용 트랜스
제 1 도는 본 고안에 의한 트랜스의 구조를 보인 전체 분해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의한 트랜스의 1차 코일 보빈과 2차 코일 보빈이 지지부재에 의해 조립된 상태를 보인 부분 절결 정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A-A선 단면도.
제 4 도는 제 2 도의 B-B선 단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에 의한 트랜스 본체가 케이스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1차측보빈 11 : 권선부
12, 12' : 플랜지부 13, 13' : 접속단자
20 : 2차측보빈 21 : 권선부
22 : 환성격벽 22a : 경사절결홈
22b : 테이퍼상 유도턱 23, 23' : 플랜지부
24 : 절연안전벽 24a : 누설코어 삽입부
24b : 위치조절공 25 : 돔형 안전벽
26,26' : 접속단자 16, 28 : 절연캡
28a : 돌출핀 30 : 덮개
40 : 외부케이스 41 : 방열핀
50 : 지지부재 52 : 안내홈
60 : 지지철편 70 : 고정보울트
본 고안은 네온사인 점등용 트랜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2차측 출력선에 흐르는 고압 전류와 코어측 유기전압간의 방전현상을 방지할수 있으며 다수회 적층권회되는 2차즉 코일의 매 적층구간 및 코어측과 코일측간의 절연을 위한 별도의 절연공전을 배제하여 제품의 생산성과 안전도를 월등이 향상 시킬수 있게한 네온사인 점등용 트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네온사인 점등용 트랜스에는 입력측 코일이 감기는 1차측 보빈과 고압의 출력측 코일이 감기는 2차측 보빈이 코일의 상, 하측에 배치되어 있고, 그 하부의 2차측 보빈에는 그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걸쳐 다수층(통상 15층)의 2차 코일이 적층 권회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적층형 권선구조를 갖는 종래의 2차측 권선 보빈은 단일 섹숀으로 된 보빈동체의 외주면 즉, 2차측 보빈의 내, 외측간에 걸쳐 다수층으로 감겨지는 2차측 코일의 매 적층구간마다 절연지를 수차에 걸쳐 감아야만 하므로, 상기와 같은 2차 코일의 권선공정에서 번거롭고 까다로운 절연테이프를 감는 공정이 필수적으로 추가됨으로써 제품의 생산성 저하와 제조원가의 상승요인을 갖게 되고 절연지가 가지는 흡습성으로 인하여 그 절연효율이 쉽게 저하됨에 따라 정확한 전류치의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게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네온사인 점동관과 연결되는 2차측 코일의 출력선과 코어 사이가 소정간격을 두고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트랜스의 구동시 상기 2차측 코일에서 발생되는 고압의 전류가 네온사인 점등관과 연결되는 각 출력선을 통하여 출력되는 과정에서 코어의 유기전업과 방전을 이르키게 됨으로써 트랜스의 효율 및 안전도를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2차측 코일을 감싸는 캡이 상, 하 분리형으로 되어 있어 그 분리 틈새를 통하여 내전압 불량이 발생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트랜스에 있어서는 1차측 코일에 연결되는 콘덴서가 통상 트랜스 케이스의 내부에 임의로 설치되는 것으므로 트랜스 본체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그 사용수명이 쉽게 저하되고, 2차측 권선의 납땜에 의해 직접 연결되므로 2차측 코일의 권선시 코일 출력단부의 처리가 용이하지 않으며, 1차 코일 보빈과 2차코일 보빈이 각기 분리되어 있어 코어의 삽입시 자동삽입이 불가하여 조립공정의 자동화가 불가능하고, 옥외에 노출 설치되는 트랜스의 철판제 케이스가 쉽게 부식됨에 따라 건물의 미관을 해치고, 그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등 여러 가지의 단점과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갖지 않는 네온사인 점등용 트랜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1차측 보빈과 2차측 보빈이 그 각 권선부에 끼워지는 4각통체상 지지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 조립되게 하고 그 지지부재의 외측에는 코어와 합성 수지제 외부케이스에 연결되는 지지철편이 슬리이드 식으로 끼워져 고정되게 함으로써 코어 삽입 공정의 자동화가 가능하게 하고, 트랜스 본체와 합성수지 외부케이스간의 긴밀하고 안정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 네온사인 점등용 트랜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2차측 보빈에 감기는 다수층의 2차측 코일이 그 수직 보빈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획된 각 격판 사이에 걸쳐 순차적으로 분리 권선되게 함으로써 번거로운 작업공정이 소요되는 절연테이프의 사용을 배제하여 제품의 생산성을 월등히 향상시키고 각 코일측간의 완벽한 절연을 기할 수 있게 하여 고압 전류의 분산에 의한 안정된 전압을 얻을 수 있는 네온사인 점등용 트랜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을 2차측 출력전원선에 배치되는 2차측 보빈의 상. 하 플랜지부에 2차측 고압절류에 대한 절연 안전벽을 설치하고, 그 외부케이스 덮개에는 1차측 전원 퓨우즈와 콘덴서가 내장되는 퓨우즈 및 콘덴서박스를 구비함으로써 2차측 출력선을 통해 출력되는 고압전류가 코어의 유기전압과 방전됨을 방지함과 아울러 트랜스 내부의 과열에 다른 소손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는 네온사인 점등용 트랜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1차측과 2차측 보빈 사이에 개재되는 누설코어가 조절공이 형성된 절연안전벽 사이 양측의 누설코어 삽입부내에 안정되게 삽입지지 되게 함므으로써, 주코어의 삽입시 누설코어의 지지를 확실하게 하고 2차단락 전류의 조정이 용이한 네온사인 점등용 트랜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1차측 입력전원선 2차측 출력전원 및 2차 코일의 양단부가 1차측 보빈과 2차측 보빈의 플랜지부에 각각 설치된 접속단자에 각기 연결되게 함으로써 1, 2차 코일의 다련 권선 및 1, 2차측 전원선의 접속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네온사인 점등용 트랜스를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과 그 이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의한 트랜스의 1, 2차측 보빈과 지지부재 및 케이스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제 2 도 및 제 3, 4 도는 1, 2차 코일과 지지부재가 조립된 트랜스 본체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제 5 도는 트랜스본체와 외부케이스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1차측 코일(C1) 즉 콘덴서측 및 입력전원측 코일이 내, 외측에 권취되는 1차측 보빈(10)과 다수층의 코일이 감기는 2차측 보빈(22)이 덮개(30)로 복개되는 외부케이스(40)에 내장되는 네온사인 점등용 트랜스에 있어서, 본 고안에 의한 트랜스는 상기 1차측 보빈(10)의 권선부(11) 상단의 상부플랜지부(12) 일측에 그 1차 코일(C1)의 탭부분 및 1차측 입력전원선(IP)이 각기 연결되는 접속단자(13)(13')가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있고, 그 4각 플랜지부(12)의 일측에는 1차 코일(C1)의 권선에 따른 플랜지부(12)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항 보강리브(14) 및 2차측 출력전원선(OP)의 절연 안전거리의 확보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2개 1조의 지지공(15)(15')이 상, 하 플랜지부(12)(12')의 양측 모서리부에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된 1차측 보빈(10)의 하측에 설치되는 2차측 보빈(20)은 세선이 무리없이 감길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된 권선부(21)의 외주벽에 일정폭을 가지는 다수개의 환상격벽(22)이 그 권선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 승압에 필요한 다수층의 코일이 각 환상격벽(22) 사이에 분리 수용되게 함으로써 각 분리층간의 절연이 완벽히 이루어질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안정된 전압을 얻을 수 있게 되어 있고, 상기 각 환상격벽(22)의 외주연 일측에는 코일의 권선시 자동으로 권선되는 코일이 다음층으로 원활이 이소 권취되게하기 위한 경사절경홈(22a)과 이송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테이퍼상 유도턱(22b)이 각기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2차측 보빈(20)의 권선부(21)의 상, 하단에 형성되는 상, 하 플랜지부(23)(23')는 코어의 조립과정에서 보빈(20)의 상, 하 플랜지부(23)(23')의 중간부 양측에 일정높이의 절연안전벽(24)(24')이 수직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어, 2차측과 2차측 코일간의 절연 안전거리를 확보함과 아울러 2차측 출력선(OP)에 흐르는 고압의 전류가 코어(MC)와 방전함을 방지하도록 하였으며, 그중 중앙 코어 삽입공(21a)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부 절연안전벽(24)의 사이에는 다수매 적층된 일정규격의 누설코어(LC)가 용이하고 안정되게 삽입 지지될 수 있는 누설코어 삽입부(24a)가 형성되게 하여 주코어(MC)의 자동 삽입시 임의로 이탈됨을 방지토록 하고, 그 누설코어 삽입부(24a)를 이루는 각 절연안전벽(24)의 양측벽 중간부에는 이들 사이에 삽입된 누설코어(LC)의 위치를 임의로 이동 조정함으로써 2차 단락 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조절공(24b)이 각기 형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4c 상기 절연안전벽(24)의 누설코어 삽입부(24a) 상측에 형성된 이탈 방지턱을 보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 하 플랜지부(23)(23')의 일측 모서리부는 그 플랜지부(23)923')를 상, 하로 만곡시켜서된 돔형 안전벽(25)(25')이 각기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 각 안전벽(25)(25')의 내측에는 최초의 권선시와 권선의 마감시 각 코일의 양단을 용이하게 권취 연결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2차측 전원선(OP)의 접속을 용이하게 하게 위한 접속단자(26)(26')가 각기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측 돔형 안전벽(25)의 만곡부 중간부와 그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부 플랜지부(23)의 일측 모서리부에는 2차측 전원선(OP)이 각기 안정되게 안내 지지될 수 있는 통공을 가진 안내보스(27)(27')가 각기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1차측 보빈(10)과 2차측 보빈(20)의 외부에는 절연을 위한 캠(16)(28)이 각기 씌워지는 바, 상기 1차측 켑(16)은자형단면을 가지는 좌, 우캡의 상,하 수평부(16a)(16a')가 1차측 보빈(10)의 상, 하 플랜지부(12)(12')의 외면에 긴밀히 접촉 고정되어 그 수직부(16b)로써 주코어(MC)와 1차 코일(CI)간의 절연을 기하도록 하였으며, 2차측 캡(28)은 상기 환상격벽(22)이 형성된 2차측 보빈(20)의 권선부(21) 외주연을 감쌀수 있도록 좌, 우로 분리된 반원통형캡의 내면에 상기 각 환상격벽(22)의 사이에 끼워지는 다수개의 원호상의 돌출편(28a)이 각기 형성되어 있어 각 권선층간 및 주코어(MC)간의 완벽한 절연을 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1차측 보빈(10)과 2차측 보빈(20)은 그 각 권선부(11)(21)에 끼워지는 4각통체상 지지부재(50)에 의해 상호 연결 조립되어 그 지지부재(50)의 내부에 주코어(MC)의 중간 철편이 삽입되도, 그 지지부재(50)의 외부 양측벽에는 상기 각 보빈(10)(20)과 주코어(MC)가 결합된 트랜스본체(T)와 외부케이스(40)를 안정되게 체결 고정하기 위한 지지철편(60)이 끼워진다.
상기 지지부재(50)는 상, 하단이 트여진 중공통체의 양측벽 중간부에 상기 누설코어 삽입부(24a)를 통해 삽입되는 누설코어(LC)의 내측단부가 끼워질 수 있는 일정폭의 통공(51)이 그 지지부재(50)의 폭방향을 따라 각기 형성되어 있고, 그 지지부재(50)의 외주벽 전, 후면에는 상기 지지철편(60)이 끼워질 수 있는 안내홈(52)이 각기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주벽 모서리부에는 상기 각 통공(51)의 내부로 끼워지는 누설코어(LC)의 삽입위치를 일정하게 제한함과 아울러 그 중공부내에 끼워지는 주코어(MC)측 중간철편(M1)의 자동 삽입을 원활히 안내하기 위한 스토퍼겸 안내돌조(53)가 각기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된 지지부재(50)의 안내홈(52)에 끼워지는 지지철편(60)은 그 전체 형상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호 평행한 양 지지편(61)의 상단 고정부가 상기 지지부재(50)의 상측에 조립된 1차측 보빈(10)의 상부로 일정길이 노출되어 있고, 그 하단 중간부에 절곡 형성된 하측 지지편(62) 역시 지지부재(50)의 하측에 조립된 그 하측보빈(20)의 하부로 노출되어 있어, 그 삭 상, 하 고정단부에 형성된 보울트공(63)을 통해 외부케이스(40)의 외부 상, 하에서 체결되는 고정보울트(70)가 끼워지게 함으로써 지지부대(50)와 1, 2차측 보빈(10)(20) 및 코어(NC)(LC)가 상호 조립되어 중량물인 트랜스본체(T)와 외부케이스(40)를 확실하고 안정되게 체결 고정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기 지지부재(30)를 사이에 두고 지지철편(60)의 양 지지편(61) 내측에 위치하는 주코어(MC)의 중간 철편부(M1)를 협지하여 상호 적층되는 철편간의 밀착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트랜스본체(T)의 외부에 씌워지는 외부케이스(40)는 직육면체상 엔지지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케이스(40)의 외면에 다수개의 방열핀(fin)(41)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그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브(42)가 형성되어 있으며, 덮개(30)로 복개되는 개구부의 내부면 양측에는 이에 삽입되는 덮개(30)의 주벽 양측에 돌출 형성한 수개의 걸림돌기(31)가 각기 끼워져 고정되는 걸림홈(43)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 설명 부호 44는 외부케이스(40)의 양측벽 상, 하에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철편(60)의 상, 하 보울트공(63)에 끼워지는 고정보울트(70)가 각기 체결되는 보울트공을 보인 것이고, 45는 트랜스의 취급시 케이스 본체를 보호하기 위한 받침돌기를 보인 것이다.
한편, 상기한 외부케이스(40)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덮개(30)는 2개 1조로된 2차측 출력전원선 인출용 소켓(32)과 1차측 전원선(IP)이 삽입되는 소켓(33)이 각기 구비되고, 외부케이스(40)와 같은 재질로된 덮개(30) 본체의 일측에는 일정깊이의 주벽을 갖는 퓨우즈 및 콘덴서박스(34)가 형성되어 1차측 전원선과 콘덴서측 코일에 연결되는 퓨우즈(F)와 콘덴서(S)가 각기 삽입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그 박스(34)의 개구부측은 슬라이드식 커버(35)로 복개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80은 상기와 같은 본 고안 트랜스의 취급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로서 그 손잡이(80)는 보강철선이 매입된 엔지니어링 프라스틱으로 채널형으로 제조되고 그 양단부에 형성된 보울트공(81)에는 상기 외부케이스(40)의 상부 양측 보울트공(44)에 체결되는 고정보울트(70)가 끼워져 외부케이스(40)와 일체로 고정되며, 그 고정보울트(70)의 선단부가 관출되는 일측 보울트공(81)의 외측에는 고정너트(82)가 일체로 매설 고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트랜스는 상, 하에 조립되는 1차측 보빈(10)과 2차측 보빈(20)이 그각 권선부(11)(21)에 끼워지는 지지부재(50)에 의해 상호 일체로 연결 조립되고 그 지지부재(50)의 외측에는 외부케이스(40)와 고정보울트(70)로 연결되는 지지철편(60)이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져 고정되어 있으므로, 그 지지부재(50)의 중공부를 통한 주코어(MC) 삽입공정의 자동화가 가능하게 되고 트랜스본체(T)와 외부케이스(40)간의 긴밀하고 안정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2차측 보빈(20)에 감기는 다수층의 코일(C2)이 상기 권선부(21)의 주벽에 등 간격으로 배치되고 그 일측에는 경사절결홈(22a) 및 테이퍼상 유도턱(22b)이 형성된 환상격벽(22) 사이에 걸쳐 순차적으로 분리 권선되게 함으로써 번거롭고 까다로운 작업공정이 소요되는 절연 테이프의 사용을 배제하고 코일의 자동권선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제품의 생산성을 월등히 향상시키고 각층간의 완벽한 절연을 기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고압전류의 분산에 의한 안정된 전압을 얻을 수가 있다.
또한, 2차측 전원선(OP)이 배치되는 2차측 보빈(20)의 상, 하 플랜지부(23)(23')에는 2차측 고압전류에 대한 절연안전벽(24)(24')이 설치되어 있고, 그 외부케이스(40)의 덮개(30)에는 1차측 전원퓨우즈(F)와 콘덴서(S)가 내장되어 퓨우즈 및 콘덴서박스(34)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2차측 출력선(OP)을 통해 출력되는 고압전류가 코어의 유기저압과 방전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트랜스의 과열에 따른 소손우려를 배제하고 퓨우즈(F) 및 콘덴서(S)의 지지 및 교체작업이 안정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다.
더우기, 본 고안에 의한 트랜스에 있어서는 1차측 보빈(10)과 2차측 보빈(20) 사이에 개재되는 누설코어(LC)가 조절공(24b)이 형성된 절연안전벽(24) 양측의 누설코어삽입부(24a) 내에 안정되게 삽입 설치되게 함으로써 주코어(MC)의 삽입시 누설코어(LC)의 고정위치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누설코어(LC)의 위치조정에 따른 2차 단락 전류의 조절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1차측 보빈(10)의 프랜지부(12) 일측과 2차측 보빈(20)의 프랜지부(24)(24')에 형성된 돔형 안전벽(25)(25')의 내측에는 접속단자(13)(13'), (26)(26')가 각기 설치되어 있으므로, 코일(C1)(C2)의 다련 권선시 각 코일의 양단을 손쉽고 간결하게 연결 처리할 수 있게 되고 1, 2차측 전원선(IP)(OP)의 접속 및 배치작업이 용이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 1, 2차측 보빈(10)(20)의 외측에는 절연캡(16)(28)으로 둘러 씌워져 있으므로, 주코어(MC)와 1, 2차측 코일(C1)(C2)간의 완벽한 절연을 기할 수가 있게 되는 등의 다양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차 코일이 감기는 1차측 보빈(10)과 다수층의 2차측 코일이 감기는 2차측 보빈(20)이 덮개(30)로 복개되는 외부케이스(40)에 내장되는 네온사인 점등용 트랜스에 있어서, 절연캡(16)(28)으로 감싸져지는 1차측 보빈(10)과 2차측 보빈(20)이 그 각 권선부(11)(21)에 삽입되는 지지부재(50)로 연결되어 그 지지부재(50) 양측의 안내홈(52)을 통해 끼워지는 지지철편(60)과 고정보울트(70)에 의해 방열핀(41)이 구비된 외부 케이스(40)와 체결 조립되고, 상기 1차측 보빈(10)의 상측 플랜지부(12) 양측과 2차측 보빈(20)의 상, 하 플랜지부(23)(23')에 돌출 형성한 돔형 안전벽(25)의 내측에는 1, 2차측 코일의 양단 및 입출력 전원선이 각기 연결 접속되는 접속단자(13)(13'), (26)(26')가 구비되며, 상기 2차측 보빈(20)의 플랜지부(23) 상면에 대향되게 설치된 절연안전벽(24)의 사이 양측에는 누설코어가 삽입 지지되는 누설코어 삽입부(24a)가 형성됨과 아울러 2차측 보빈(20)의 원통형 권선부(21) 외주벽에는 다수층의 코일이 분리 권선되는 일정폭의 환상격벽(22)이 권선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구성됨은 특징으로 하는 네온사인 점등용 트랜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측 보빈(20)은 그 누설코어 삽입부(24a)를 형성하고 절연안전벽(24)의 양측 중간부에 그 내측에 삽입된 누설코어의 위치 조정을 위한 위치조절공(24b)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온사인 점등용 트랜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측 보빈(20)의 각 환상격벽(22)은 그 각 격벽(22) 사이에 결쳐 순차적으로 감기는 코일이 다음층으로 원활히 이송 권취도게 하는 경사절결홈(22a)과 테이퍼상 유도턱(22b)을 구비하여서된 네온사인 점등용 트랜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측 보빈(20)의 절연캡(28)은 좌, 우로 분리된 반원통형 캡의 내주면에 상기 환상격벽(22) 사이에 끼워지는 원호상 돌출편(28a)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온사인 점등용 트랜스.
KR2019890006410U 1989-05-17 1989-05-17 네온사인 점등용 트랜스 KR9100055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6410U KR910005520Y1 (ko) 1989-05-17 1989-05-17 네온사인 점등용 트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6410U KR910005520Y1 (ko) 1989-05-17 1989-05-17 네온사인 점등용 트랜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21081U KR900021081U (ko) 1990-12-14
KR910005520Y1 true KR910005520Y1 (ko) 1991-07-27

Family

ID=19286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6410U KR910005520Y1 (ko) 1989-05-17 1989-05-17 네온사인 점등용 트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552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21081U (ko) 1990-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4113A (en) Transformer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US4405913A (en) Coil body
US7345565B2 (en) Transformer structure
JPH0217452Y2 (ko)
US5266916A (en) Compact transformer
GB2216729A (en) A compact transformer
US8284009B2 (en) Transformer
US8125306B2 (en) Transformer set
US4510478A (en) Coil body
JP3153261B2 (ja) 変圧器用ボビン
US4980664A (en) Transformer bobbin
KR100534375B1 (ko) 인버터용 변압기
US3750072A (en) Apparatus for insulating adjacent coils in an electrical coil former
KR910005520Y1 (ko) 네온사인 점등용 트랜스
US4812798A (en) Electric transformer for microwave ovens
JP5151432B2 (ja) 巻線部品のボビン
US5754086A (en) Transformer unit and coil case and coil bobbin for use therefor
US2815491A (en) Inductive device
KR101932232B1 (ko) 전원공급장치의 트랜스포머용 분리형 보빈 구조
KR200416467Y1 (ko) 보조코일 권선부가 구비된 2-인-1 트랜스포머
CN109585137B (zh) 线圈装置
JPH0268911A (ja) 変成器
KR200155313Y1 (ko) 네온관용 변압기의 2차 코일 권선용 권선케이스 구조
US2976503A (en) Transformer construction
KR200298739Y1 (ko) 네온관용 변압기의 2차 코일용 몰드형 케이스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3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