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514B1 - 휴대용 스캐너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스캐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514B1
KR910005514B1 KR1019890005393A KR890005393A KR910005514B1 KR 910005514 B1 KR910005514 B1 KR 910005514B1 KR 1019890005393 A KR1019890005393 A KR 1019890005393A KR 890005393 A KR890005393 A KR 890005393A KR 910005514 B1 KR910005514 B1 KR 910005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cusing lens
hole
scanner device
lens
scanning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5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6899A (ko
Inventor
정재용
Original Assignee
금성기전 주식회사
김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기전 주식회사, 김희수 filed Critical 금성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05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514B1/ko
Publication of KR900016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6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휴대용 스캐너 장치
제1a, b도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 평면도 및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 다른 설치상태 정면도.
제3a, b도는 제1도 및 2도에 따른 집속렌즈 정면도.
제4도는 종래의 설치상태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트라이 포컬렌즈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레이저 다이오드 1a : 포커스렌WM
2 : 집속렌즈 2a : 구멍
3 : 스캐닝미러 3a : 스캐닝모터
4 : 바코드레벨 5 : 포토디렉터
6 : 광축
본 발명은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이용하여 바코드 레벨(Bar Code Label)상의 광학적 정보를 읽어내기 위한 휴대용 스캐너(Scanner)장치에 관한 것으로 라이트 스캐닝 및 반사빔의 탐지가 용이하며 간단구조로서 그 설치가 용이하며 소형화시키기에 적합토록 안출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캐너장치는 예를 들어 가격정보등을 바코드레벨로 구성하여 신속히 가격정보들을 읽어내기 위한 장치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스캐너 장치를 미합중국 특허 제4,678,288호에 따라 설명하면 도면 4도 및 5도에서와 같이, He-Ne레이저(19)로부터의 출력빔은 빔 익스펜더를 걸쳐 트라이 포컬 렌즈(25)의 프리즘(53)에서 반사되어 포커싱 렌즈(55)를 지나 스캐닝미러(31)에 의해 바코드 레벨(35)상에 주사되고, 반사된 빔(39)은 다시 스켄닝 미러(31)에 의해 재반사된후 집속렌즈(59)를 통해 집속되어 포토 디렉터(43)에 전달되어 바코드레벨의 정보를 검출하도록 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는 프리즘(53)의 전단에 빔 익스펜더 소자(51)를 구성하고, 포커싱렌즈(55)와 집속렌즈(59)를 한 몸체로하는 트라이 포컬 렌즈(Tri focal Lens)(25)시스템은 광원으로서 He-Ne레이저를 전제한 것으로 그 구성이 복잡하고, 트라이 포컬 렌즈 자체의 가동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전방에 포커스렌즈를 구비한 레이저 다이오드와 빔홀을 가지는 집속렌즈 및 스캐닝모터에 의해 좌우회전 가능한 스캐닝미러와 정보검출을 위한 포토 디렉터로 구성됨으로서 광학계의 구성이 간단하고 그 설치가 간편하므로 스캐너장치를 소형화시킴에 적당하도록 된 것이다.
이하에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바코드 레벨의 정보를 읽어내기 위한 것에 있어서; 포커스렌즈(1a)를 구비한 레이저 다이오드(1)와, 그 전방에는 광축(6)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빔 통과용 구멍(2a)을 구비한 집속렌즈(2)가 경사설치됨과 동시, 그 전방에는 스캐닝모터(3a)에 의해 각도가 변자재되는 스캐닝미러(3)가 설치되고 바코드레벨(4)로부터의 반사빔이 집속되는 위치 포토디렉터(5)가 설치되도록 된 것이다.
이때, 집속렌즈(2)의 구멍(2a)은 그 설치 X, Y축을 피하여 도면 제3a도와 같이 설명하거나, 도면 제2도 및 3b도에서와 같이 Y축을 피하여 X축 선상에 설정하도록 하며, 구멍(2a)의 직경은 2-3mm로 설정하고 그 재질은 가공이 용이할 재질의 광학유리나 플래스틱등으로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구멍(2a)의 직경을 2-3mm로 하는 것은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의 빔 직경과 집속렌즈의 집속율을 고려하여 설정된 수치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설치 및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에서와 같이 레이저 다이오드(1)로부터의 출력빔(a1)은 집속렌즈(2)로부터 아무런 영향도 받지 아니하고 스캐닝미러(3)에 도달되기 위하여 집속렌즈(2)상의 구멍(2a)을 통과하여 지나간다. 이 통과된 빛은 스캐닝미러(3)에서 반사된 후 2차 광축(a2)을 따라서 바코드 레벨(4)위에서 스폿을 형성한다.
이때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의 출력빔이 바코드 레벨(4)위에서 가장 작은 스폿사이즈를 형성할 수 있도록 포커싱렌즈(1a)가 부착되어 있으며, 가시광영역의 출력빔을 갖는 레이저 다이오드(1)가 우선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바코드 레벨(4)로부터의 반사빔(b1)은 스캐닝미러(3)로부터 재반사된 빔(b2)이 집속렌즈(2)에 의해 모아진 집속빔(b3)이 포토디렉터(5)에 전달된다.
이때 집속렌즈(2)은 반사빔(b2)을 효과적으로 모아줄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그 광축(6)은 스캐닝미러(3)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모두 모아 줄 수 있도록 미러의 중심축에 맞추어 놓여지며, 그 광축(6)과 떨어져서 레이저 다이오드(1)로부터의 출력빔(a1) 아무런 영향없이 통과시켜주는 구멍(2a)을 갖는다.
이 구멍(2a)은 도면 제1도 및 3a도에서와 같이, 렌즈의 X, Y축을 따라서 렌즈 중심으로부터 모두 떨어져 위치할 수 있으며, 도면 제2도 및 3b도에서와 같이 Y축에는 중심에 위하며 X축상에서만 중심에서 벗어난 곳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때는 스캐닝미러(3)로부터 반사된 빔이 집속렌즈에 의해 모아지는 정의위치가 X축상을 따라 벗어나는 만큼의 위치에 포토디렉터(5)가 위치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설치 작동되는 본 발명은, 광원으로는 포커싱된 레이저 다이드를 사용하고 하나의 스캐닝미러와 구멍을 갖는 하나의 집속렌즈를 결합하여 스캐닝 헤드를 구성함으로서, 광학계의 구성이 간단하고 그 설치가 간편하므로서 휴대용 스캐너를 소형화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바코드 레벨의 정보를 읽어내기 위한 것에 있어서; 포커스 렌즈(1a)를 구비한 레이저 다이오드(1)와, 그 전방에는 광축(6)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출력빔(a1)통과용 구멍(2a)을 구비한 집속렌즈(2)가 경사 설치됨과 동시 그 전방에는 스캐닝모터(3a)에 의해 각도가변 자재되는 스캐닝미러(3)가 설치되고 바코드레벨(4)로부터의 반사빔(b1)이 집속되는 위치에 포토 디렉터(5)가 부설됨을 특징으로 한 휴대용 스캐너 장치.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집속렌즈(2)의 구멍(2a)은 직경 2-3mm로 됨을 특징으로하는 휴대용 스캐너 장치.
KR1019890005393A 1989-04-24 1989-04-24 휴대용 스캐너 장치 KR910005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5393A KR910005514B1 (ko) 1989-04-24 1989-04-24 휴대용 스캐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5393A KR910005514B1 (ko) 1989-04-24 1989-04-24 휴대용 스캐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899A KR900016899A (ko) 1990-11-14
KR910005514B1 true KR910005514B1 (ko) 1991-07-31

Family

ID=19285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5393A KR910005514B1 (ko) 1989-04-24 1989-04-24 휴대용 스캐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55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0132B1 (ko) * 1997-11-18 2001-11-15 신현준 2차원 레이저 스캐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899A (ko) 1990-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0911A (en) Apparatus for scanning and reading bar codes
US4603262A (en) Optical device for detecting coded symbols
US6260763B1 (en) Integral illumination source/collection lens assembly for data reading system
US5010241A (en) Sensor array and illumination system for a large depth-of-field bar code scanner
US5140146A (en) Bar code symbol reader with modulation enhancement
JP3056590B2 (ja) 焦点深度を拡大した光スキャナ
EP0752680A1 (en) Optical scanners having dual surface optical elements for dual working ranges
US5475208A (en) Barcode scanner having a dead zone reducing system and a multifocal length collector
EP0057370A3 (en) Optical scanner
EP0575894B1 (en) Retro-reflective scanner with return path free of collection optics
JPH06333080A (ja) 光バーコードスキャナ
US5710418A (en) Optical image sensor
US7428999B2 (en) MEMS-based electro-optical reader and method with extended working range
KR910005514B1 (ko) 휴대용 스캐너 장치
US4935609A (en) Composite lens for a hand-held bar code label reader
JPS59172081A (ja) バ−コ−ド読取装置
US6045045A (en) Offset barcode scanner
JP2738116B2 (ja) 記号読取装置
CN211087248U (zh) 一种扫描模组
KR900010611Y1 (ko) 광주사 장치
KR930006882Y1 (ko) 휴대용 레이저 스캐너 헤드의 렌즈구조
KR920002927B1 (ko) 휴대용 레이저 스캐너 헤드구조의 광학부 시스템
KR930002268Y1 (ko) 바코드 스캐너 장치
JPS57199902A (en) Detection of scanning distortion
JPH07104895B2 (ja) 記号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