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350B1 - 암호등록 시스템 - Google Patents

암호등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350B1
KR910005350B1 KR1019870009054A KR870009054A KR910005350B1 KR 910005350 B1 KR910005350 B1 KR 910005350B1 KR 1019870009054 A KR1019870009054 A KR 1019870009054A KR 870009054 A KR870009054 A KR 870009054A KR 910005350 B1 KR910005350 B1 KR 910005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input
customer
registration
cash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9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3260A (ko
Inventor
노리아기 아나다
다다오 아베
Original Assignee
오끼뎅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하시모도 나미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19293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49971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004900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74172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009052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78381A/ja
Application filed by 오끼뎅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하시모도 나미오 filed Critical 오끼뎅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3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8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 G06Q20/1085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involving 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1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together with a coded signal, e.g. in the form of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like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or biometric data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암호등록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기능 블록도.
제2도는 제1실시예에서 사용된 금전 출납계 창구 거래 시스템.
제3도는 제1실시예에 의하여 수행된 암호 등록 처리를 표시하는 순서도.
제4도는 제1도의 금전 출납계 창구 중앙 제어 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기능 블록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기능 블록도.
제6도는 제2실시예에 의하여 수행된 암호 등록 처리를 표시하는 순서도.
제7도 및 제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암호 변화 처리를 표시하는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금전 출납계의 계산대 2 : 카드슬롯
3 : 고객의 도형 표시 장치 4 : 입력판
5 : 통장슬롯 6 : 금전출납계의 도형 표시 장치
7 : 키보드 8 : 현금 등록 지급기
9 : 통장 처리기.
본 발명은 암호등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융기관과 은행계좌 또는 카드를 위한 사용간의 금전의 예입 또는 인출과같은 일에서 고객확인을 위하여 사용되는 암호를 데이터센터에서 등록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금융기관 및 기타장소에서 많은 서비스들에 카드사용을 만들고 있다. 그와 같은 카드가 사용되는 경우에 고객 확인 수단으로서 암호가 사용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카드가 발행될 때 각 카드를 위한 암호는 이미 등록되어 있다. 암호 등록은 다음 단계의 순서로 수행된다.
(1) 고객은 적합한 형식 위에 필요한 정보를 집어넣고 도시에 등록될 암호를 집어넣는다.
(2) 완성된 형식을 금융기관의 직원이 검사한다.
(3) 완성된 형식은 금융기관의 저장 처리 부서에 송부된다.
(4) 완성된 형식은 등록 처리부에서 2차로 검사된다.
(5) 등록될 암호는 기타 잠정정보 기록 테이터와 함께 단말 작업자에 의하여 입력된다.
(6) 입력된 거래 테이터는 테이터 센터의 파일 저장 장치에 등록된다.
상기 단계를 사용하여 암호가 등록된 후에, 데이터 센터의 파일 저장 장치로부터 자기카드 위의 자기스트립이나 아이시(IC)카드의 기억모듈에 기입되고 그런 다음 카드는 고객에게 발행되는 어떤 경우에는 암호가 인쇄된 서류가 고객에게 송부되기도 한다. 그러나 등록될 암호가 형식 위에 기입된 다음 금융기관의 여러 직원 및 기타 관련인에 의하여 처리된 이 종래의 시스템은 비밀암호가 용이하게 관련되지 않는 사람에게 누설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련없는 사람에게 암호를 누설하는 위험부담과 입력오차의 발생을 제거하고 개선된 안전보장을 기대할 수 있는 암호 등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거래 데이터를 처리 및 저장하는 데이터 센터와 거래 데이터를 입력하는 금전 출납계에 의하여 사용되는 제1입력 수단을 갖는 금전 출납계 창구 거래장치와 거래 데이터를 표시하는 금전 출납계에 의하여 사용되는 제1표시장치와 고객에 의하여 사용되는 제2입력장치와 고객에 의하여 사용되는 제2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특징된다.
금전 출납계는 고객이 그의 암호를 등록할 것을 지시하는데 제1입력 장치를 사용한다. 이것이 되었을 때 암호를 등록하기 위한 스크린은 제1표시 장치 위에 표시되는 반면에 암호 입력 잠정 표시가 제2표시 장치에 표시된다. 이 잠정 표시에 대하여 고객은 금전 출납계 창구의 고객측에 마련된 제2입력 수단을 직접 그의 암호에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다음에 기입된 암호는 통신 제어기 및 원거리 통신 채널에 의하여 데이터 센터에 보내지고 데이터 센터 속의 파일 저장 장치에 기억 등록된다. 이것이 암호 등록 처리의 완료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관계없는 사람에게 암호를 누설하는 위험 부담을 제거하는 암호 등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안전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부수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능 블록도이고 제2도는 이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금전 출납계 창구 거래의 사시도이다. 제1도에서 참조번호 1번은 금전 출납계 산대를 지정하고, 2번은 다음에 기술하는 카드 슬롯(21)속에 삽입된 카드 위에 기입된 거래 데이터를 판독하는 카드판독/기입기이고, 3번은 데이터 입력 및 거래 데이터와 상술한 키보드(7)을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위한 잠정표시를 고객을 위하여 표시하는 고객의 표시 장치이고, 4번은 고객이 잠정 표시에 따라서 그의 암호를 입력하고 핀패드 또는 터치 파넬로 구성되는 입력 파넬이고, 5번은 삽입된 통장이 기입되고 그 다음 사출되는 통장 슬롯이며, 6번은 카운터의 금전 출납계쪽에 장치되고 하기 하는 키보드나 입력파넬을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금전 출납계의 표시 장치이고 7번은 금융 기관 직원들에 의하여 데이터의 키입력을 위한 키보드이며, 8번은 돈을 수령하고 지급하는 현금 예탁 지급기이고, 9번은 처리자의 통장 슬롯에 삽입된 통장 위에 정보를 기입하는 통장 처리기이고, 10번은 여러 가지 시스템 구성부품으로부터 받은 신호를 처리하고 이들 여러 가지 시스템 구성부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금전 출납계 창구 중앙 제어장치이며, 11번 및 14번은 통신 제어기이고, 12번 및 13번은 송/수신기이고, 15번은 중앙처리장치이며, 16번은 고객 데이터 및 암호를 포함하는 파일 저장 장치이다.
제2도에서 제1도 속의 똑같은 부분은 참조번호로 도시된다. 제2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금전 출납계의 카운터(1)의 고객측은 카드 판독/기입기(2)가 장치되어 있고 그의 카드 슬롯(21)와 아울러 고객의 표시 장치(3), 입력파넬(4), 통장슬롯(5)이 장비되어 있다. 금전 출납계 카운터(1)의 금전 출납계측은 금전 출납계의 표시 장치(6), 키보드(7) 및 구성부품으로 장비되어 있다. 또 금전 출납계측은 현금 등록 지급기(8), 통장처리기(9) 및 금전 출납계 창구 거래를 위하여 필요한 기타장치를 위한 지정된 자리를 갖는다.
제1도에서 볼 수 있듯이 각 시스템 구성부품은 금전 출납계 창구 중앙 제어 장치(10)에 연결되고 금전 출납계 창구 거래장치는 이 중앙 제어 장치(10)와 아울러 통신 제어기(11)와 송/수신기(12)로 구성된다. 송/수신기(12)는 또 원거리 통신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 센터에 있는 또 다른 송/수신기(13)에 연결되고 이 송/수신기는 통신 제어기(14)를 통하여 중앙처리장치(15)에 연결되고 중앙처리장치(15)를 통하여 파일 저장 장치(16)에 연결된다.
이하에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이 실시예의 암호 등록 시스템에 의한 암호 등록 처리가 제3도에 도시한 순서도를 사용하여 설명된다.
암호를 등록하고자 하는 고객은 적합한 형식에 암호를 제외한 필요한 모든 정보를 기입하고 그 형식을 금전 출납계에 건네주거나 또는 필요한 정보를 구두로 보고하여 출납계가 원서에 써 넣도록 한다. (101단계) 출납계는 키보드(7)로 암호 등록 처리 모드나 또는 선택을 선택하고(102단계), 출납계의 표시에 표시된 암호 등록 처리 스크린 지시(103)를 따라서 고객의 주소, 성명 기타의 고객의 데이터를 키보드로 입력한다. (104단계) 출납계에 의하여 기입된 고객데이터는 또 고객의 표시 위에 표시된다. (105단계 및 106단계)
고객은 이들 표시된 데이터를 검사하고(107단계) 오류가 발견되면 바로 잡을 것을 출납계에 요청하거나 또는 잘못이 없으면 고객은 그의 소망하는 암호를 n번 입력한다. (108단계 및 110단계) 고객이 그의 암호를 입력할 때 각 디지트(digit)가 기호에 의하여 표시된다. (109 단계 및 111단계)
예를 들면 숫자의 첫째 자리가 입력되면 한 개의 별표(*)가 나타나고 둘째자리수가 입력되면 두 개의 별표(**)가 나타난다. 각 디지트에 주어진 특정 숫자는 고객용 표시 장치(3)에도 출납계용 표시 장치(6)에도 표시 되지 않는다. 암호가 n번 입력된 다음에 n 세트(set)의 암호는 출납계 창구 중앙 제어 장치(10) 속의 논리회로에 의하여 비교되고 (112단계) 그들이 모두 일치하지 않으면 처리과정은 암호의 재입력을 위하여 108단계로 되돌아 온다. 그들이 모두 일치하면 고객의 입력처리의 완료가 출납계의 표시 장치(6)상에 표시되고 (113단계) 출납계는 키보드(7)위의 종료키를 눌러서 (114단계) 통신 제어기(11 및 14) 및 송/수신기(12 및 13)를 통하여 데이터 센터와 중앙처리장치(15)에 고객데이터 및 암호의 거래를 초기화하고 그러면 이 중앙처리장치(15)는 고객 데이터 및 암호를 파일 등록 장치(16)에 기억 등록한다. (115단계) 다음에 데이터 센터는 출납계 창구 거래시스템에 암호가 기억 등록 되었음을 통고하고 이것은 출납계 창구에서 암호 기억 등록 처리를 완료한다. 그러나 카드나 또는 기타 그와 같은 물건이 발행되어야 할 경우에 데이터 센터에 있는 관련부서는 이어서 이 암호가 적힌 카드나 기타의 그런 물건을 아무에게도 누설함이 없이 제조하기 위하여 중앙처리장치(15)에 연결된 발행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고 그 다음에 고객에게 송부된다. (116단계)
제4도는 제1도의 출납계창구 중앙 제어 장치(10)의 구성을 표시하는 기능 블록도인데 그 속에 암호가 두 번 입력되어야 한다. 제4도에서 제1도에서와 같은 구성부품은 같은 참조번호로 표시된다.
또 다음의 구성부품 즉 스크린 버퍼(41 및 42), 기억모듈(43), (44), (45), (46), 스위치(47), 일치회로(48), 및 채널 제어기(49) 등이 또 포함된다. 스위치(47)은 입력파넬(4)로부터의 암호의 입력 중에 제1 및 제2입력간의 입력설정을 스위칭한다.
환언하면 제1암호 입력은 기억모듈(43)속에 잠정적으로 기억되고 제2암호 입력은 기억모듈(44)에 잠정적으로 기억된다. 일치회로(48)는 두 개의 암호-기억모듈(43)에 잠정적으로 기억된 제1입력과 기억모듈(44) 속에 기억된 제2입력을 비교하여 그들이 일치하면 이 일치한 암호는 기억모듈(46) 속에 기억되기 위하여 보내진다. 이하에 출납계 창구 중앙 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4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키보드(7)을 통하여 출납계에 의하여 기입된 고객데이터는 기억모듈(45)에 기억된 다음 스크린 버퍼(41)를 통하여 출납계용 표시장치(6)위에 표시되는 한편 또 스크린 버퍼(42)를 통하여 고객용 표시장치(3) 위에 표시된다. 입력파넬(4)에 의하여 고객에 의해서 제1차로 입력된 암호는 스위치(47)에 의하여 선로가 정해져서 기억모듈(43)속에 기억되고 이 숫자를 위한 자리수 표시기는 스크린 버퍼(42)를 통하여 고객용 표시장치(3)에 기입된 자리의 수를 표시한다.
다음에 암호가 2차로 입력되면 이 숫자는 스위치(47)에 의하여 선로가 정해져서 기억모듈(44)속에 기억되고 기입된 자리수는 제1차 입력 때와 똑같은 방법으로 표시된다. 제2차 입력이 완료되면 일치회로(48)는 기억모듈들(43), (44) 속의 데이터를 비교하고 이들 데이터가 일치하면 그들은 고객데이터와 함께 기억모듈(45)로부터 기억모듈(46) 속에 기억되기 위하여 보내진다. 그 다음에 기억모듈(46)의 내용들은 채널 제어기(49)에 의하여 통신 제어기(11)로 보내진다. 채널 제어기(49)로부터 데이터 센터로의 정확한 데이터의 전송이 확인된 후에 기억모듈들(43), (44), (46)은 그들의 내용들이 지워지고 아무 암호의 추적도 출납계 창구 거래시스템 속에 남아 있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고객이 그의 암호를 수차(n번) 입력할 필요가 있는 것과 이들 입력된 숫자가 일치하는가 검사하는 처리 과정은 고객이 정확하게 번호숫자를 기억하는 데 도움을 주도록 한다. 자연히 고객이 또 숫자를 단 한번만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는 고객이 직접 그의 암호를 입력파넬을 통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며 그 다음에 이 번호 숫자는 데이터 센터에 있는 파일 기억 장치속에 기억 등록되기 위하여 원거리 통신 채널을 통하여 보내지며 이것은 관계없는 사람에게 암호의 조기 누설의 위험 부담을 제거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렇게 그 안전을 개선하다. 더구나 고객이 그의 암호를 수차 입력하도록 하고 이들 입력된 숫자등이 데이터 센터에 필요 숫자를 보내기 전에 일치하는가 여부를 검사하게 하므로서 부정확한 데이터 입력의 발생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카드 판독/기입기(2)가 사용된다. 그러나 기입 기능이 없는 카드 판독기가 대신해서 사용될 수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1내지 제4도의 실시예의 파일 저장 장치(16)와 똑같은 주파일 저장 장치(16)에 대하여 임시 파일 저장 장치(17)가 설치된다. 기타의 제1도의 그것들과 같은거나 유사한 기능을 같은 구성부품은 같은 참조번호로 표시된다. 제5도의 실시예의 동작을 제6도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암호를 등록하기 원하는 고객은 적당한 서식 위에 암호를 제외한 모든 필요정보를 입력하고 그 서식을 출납계에 건네주거나 또는 필요정보를 구두로 일러주어서 출납계원이 서식 속에 기입할 수 있도록 한다. (210단계) 그러면 출납계원은 키보드(7)를 통하여 암호 등록 처리 양식이나 선택을 선택하고(202단계) 출납계용 표시속에 표시된 암호 등록 처리 스크린이 지시에 따라서 고객의 주소 성명 및 기타의 고객데이터를 키보드(7)를 통하여 입력한다. (204단계) 출납계에 의하여 입력된 고객데이터는 또 고객용 표시(3)위에 표시된다. (205단계 및 206단계) 고객은 이들 표시된 데이터를 검사하고 잘못이 발견되면 출납계원에게 고칠 것을 요청하고 잘못이 없으면 고객은 그의 소망하는 암호를 입력한다. (208단계 및 210단계)
고객이 그의 암호를 입력할 때 각 숫자의 자리가 기호로 표시된다. (209단계 및 211단계)
예를 들면 첫째자리 숫자가 입력되면 한 개의 별표(*)가 나타나고, 둘째자리 숫자가 입력되면 두 개의 별표(*)(*)가 나타나다. 각 자리수에 주어진 특정숫자는 고객용 표시 장치(3)에도 출납계용 표시 장치(6)에도 표시되지 않는다. 암호가 입력된 후에 고객의 입력 처리의 완료가 출납계용 표시장치(6)상에 표시되고(210단계) 다음에 출납계원은 키보드(7)위의 종료키를 눌러서(211단계) 고객데이터 및 암호의 전송을 초기화하여 통신제어기(11 및 14)와 송/수신기(12 및 13)를 통하여 데이터 센터의 중앙처리장치(15)에 초기화하고 그 다음 이 중앙처리장치(15)는 고객데이터 및 암호를 임시 파일 저장 장치(17)에 기억등록한다. (212단계) 다음에 데이터 센터는 출납계 창구 거래 시스템에 암호가 임시 파일 저장 장치 속에 기억되었음을 통고한다. 이 통고는 통신 제어기(11 및 14)와 송/수신기(12 및 13)을 통하여 보내진다. 이 통고를 수령하면, 출납계용 표시 장치(6) 및 고객용 표시 장치(3)는 확인 스크린을 표시한다. (213단계 및 214단계)
고객용 표시 장치(3) 위의 표시에 따라서 고객은 암호를 다시 재차 입력한다. (215단계) 입력 중에 고객용표시 장치(3) 및 출납계용 표시 장치(6)는 209단계에서의 그것과 같은 표시를 만든다. (216단계) 입력완료시에는 출납계용 표시장치(6)가 고객에 의한 입력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한다. (217단계) 다음에 출납계원은 키보드(7)상의 종료키를 누른다.(118단계) 이 종료키가 눌러지면 고객데이터 및 암호는 통신제어기(11 및 14)와 송/수신기(12 및 13)를 통하여 데이터 센터에 있는 중앙처리장치(15)에 보내진다.
중앙처리장치(15)는 전송된 암호와 임시 파일 저장 장치(17)속에 기억된 암호가 서로 일치하는 가의 여부를 검사한다. (219단계) 그들이 일치하지 않으면 중앙처리장치(15)는 재차 출납계용 표시장치(6) 및 고객용 표시 장치(3)로 확인 스크린을 보낸다. 일치가 확인될 시에는 임시 파일 저장 장치(17)속에 기억된 고객데이터 및 암호는 주파일 저장장치(16)속에 기억 등록된다. (220단계)
임시(시험적) 파일 저장 장치(17)위에 기억되었던 데이터는 소거된다. 데이터 센터가 기억등록이 완료되었음을 통고하면 출납계 창구에서의 암호등록의 처리는 완료된 것이다. 그러나 카드나 또는 기타 그런 물건이 발행되어야 할 경우에 데이터 센터에 있는 관련부서는 이 암호가 기입된 카드나 기타 그런 물건을 아무에게나 암호를 누설함이 없이 제작하기 위하여 중앙처리장치(16)에 연결된 발행 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고 다음에 고객에게 보내진다.(221단계) 이 실시예에서 제1차로 입력하는 암호는 데이터 센터에 있는 임시파일 저장 장치 속에 등록 기억되고 제2차로 입력되는 암호는 임시 파일 저장 장치 속에 기억된 암호와 비교된다. 그들이 일치하면 암호는 주파일 저장 장치 속에 기억된다. 그와 같은 과정을 사용하므로서 암호의 잘못된 입력이 회피된다. 더구나 고객이 암호를 정확하게 기억하도록 돕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제7도 및 제8도에 따라서 다음에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시스템은 대체로 제1도에 도시한 것과 같다.
이 실시예에서 암호의 등록은 구(현재)암호를 대신하여 이루어진다. 암호의 그와 같은 변경은 가령 암호가 타인에게 알려졌을 경우에 필요하다. 이 실시예에서 카드 판독/기입기(2)는 카드 상의 암호를 바꾸는 데 사용된다. 출납계 창구 중앙 제어 장치(10)는 다음의 제기능을 갖는데 즉 카드 판독/기입기의 제어, 고객용 표시 장치(3) 및 출납계용 표시 장치(6)에 의한 표시의 제어, 입력 파넬(4)과 키보드(7)에 의한 입력이 제어, 기타 기능과 아울러 채널 등이다. 입력 제어 기능은 입력된 암호와 동일인임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억 등록된 암호를 비교하기 위한 수단과, 다수의 반복된 입력간의 암호에 있어서의 일치를 확인하는 부합 일치 장치를 포함한다. 반복된 입력과정은 고객이 암호를 정확하게 기억하도록 돕기 위하여 또 암호의 잘못된 입력을 피하기 위하여 채용된다. 비교수단은 다음 설명과 같이 출납계 창구 거래장치에 장치될 수 있으나 그것을 양자택일적으로 데이터 센터 속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의 동작은 제7 및 제8도에 따라서 기술된다. 제7도는 고객이 카드를 소지하고 있는 경우를 표시한다. 제8도는 고객이 카드를 소지하고 있지 않는 경우 즉, 가령 잃어버렸을 경우를 표시한다. 같은 처리단계는 같은 기호에 의하여 식별된다. 암호를 바꾸기 원하는 고객은 적당한 서식 위에 암호를 제외한 모든 필요정보를 기입하여 그 서식을 출납계원에게 수교하거나 또는 구두로 필요정보를 명하므로서 출납계원이 원서를 기입하도록 한다. (301단계) 그 다음 출납계원은 키보드(7)를 통하여 암호 변경 처리 모드 또는 선택모드를 선택하고(302단계) 다음에 암호 변경 처리 스크린의 지시(303단계)가 출납계용 표시에 표시되며 고객은 표시상의 지시를 따른다.
카드슬롯(21)속에 카드를 넣는다. (304단계) 그 다음 그는 현재(구)암호를 입력 파넬(4)의 수단에 의하여 입력한다. (305단계) 출납계용 창구 제어장치(10) 속의 비교장치(도시되지 않음)는 입력 파넬에 의하여 입력된 암호와 카드상에 기입된 암호를 비교한다. (306단계) 그들이 일치하면 중앙 제어 장치(10)는 카드상의 데이터의 기초근거 위에 데이터 센터 속의 고객데이터로의 접근을 만든다. 고객이 가령 분실했기 때문에 카드를 소지하고 있지 않으면 그는 통장 슬롯(5)속으로 해당 계좌의 통장을 넣는다. (제8도 322단계) 통장 위의 자기 스트립의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데이터 센터 속에 기억 등록된 고객암호로의 접근이 만들어진다. (제8도 323단계) 데이터 센터 속의 고객데이터를 접근하는 암호입력의 105단계 암호비교의 106단계 그리고 107단계는 고객이 카드를 소지하고 있는 경우의 그것들과 같다.
데이터 센터로부터 보내진 고객데이터는 출납계용 표시장치(6)위에 표시되고 (308단계) 출납계원은 고객이 제시하는 운전면허증과 같은 어떤 공식증명서를 비교하므로서 고객의 동일성을 검사하고 고객데이터는 출납계용 표시장치(6)위에 표시된다. (309단계) 고객의 동일성의 확인에 있어서 출납계원은 키보드(7)상의 확인키를 누른다.(301단계)
확인키가 눌러지면 데이터 센터로부터 받은 고객데이터는 역시 고객용 표시 장치(6) 위에 표시된다. 그러면 고객은 성명, 주소 등의 고객용 표시장치(3)상에 표시된 데이터를 확인하고 표시장치(3)위에 표시된 장점표시에 따라서 그는 그의 소망하는 새 암호를 n번 입력한다. (312단계 및 314단계) 고객이 그의 암호를 입력할 경우 각 자리수는 기호로 표시된다. (313단계 및 315단계) 예를 들면 첫째 자리수의 번호숫자가 입력되면 한 개의 별표(*)가 나타나고, 둘째 자리수가 입력되면 두 개의 별표(**)가 표시된다.
각 자리수에 주어진 특정숫자는 고객용 표시 장치(3)에도 출납계용 표시장치(6)에도 표시되지 않는다. 암호가 n번 입력된 다음에 n번의 암호가 출납계 창구 중앙 제어 장치(10)속의 논리회로에 의하여 비교되고 (316단계) 그들이 모두 일치하지 않으면 처리과정은 암호의 재입력을 위하여 312단계로 되돌아간다. 그들이 모두 일치하면 고객 입력 처리과정의 완료가 출납계용 표시장치(6)위에 표시되고 (317단계) 그 다음 출납계원은 키보드(7)위의 종료키를 누르고(318단계) 통신제어기(11 및 14)와 송/수신기(12 및 13)을 경유하여 데이터 센터에 중앙처리장치(15)로 새 암호의 전송을 초기화하고 그러면 이 중앙처리장치(15)는 파일 저장 장치(16)상의 암호를 변경한다.(319단계)
다음에 데이터 센터에 암호가 변경되었음을 출납계 창구 거래 시스템에 통고한다.
카드슬롯(21)속에 카드가 삽입되었으면 그리고 카드 판독/기입기(2)에 유지되었으면 카드 판독/기입기(2)는 카드 속의 암호를 변경한 다음(320단계) 사출한다. 고객은 암호가 변경된 카드를 수취하고(321단계) 이것으로서 암호변경처리는 완료된다. 카드상의 암호가 변경된 후에 출납계 창구 중앙 제어장치(10)속의 기억소자는 새 암호를 기억하기 위하여 지워지므로 출납계 창구 거래장치 속에 암호는 남아있지 않는다.
고객이 카드를 소지하고 있지 않으면 출납계 창구에서의 암호 변경 처리과정은 데이터 센터가 암호가 변경되었음을 통고할 때 완료된다. 카드나 기타 그런 물건이 발행되어야 할 때 데이터 센터에 있는 관련 부서는 계속하여 이 암호가 기입된 카드나 기타 그런 물건을 그 암호를 아무에게도 누설함이 없이 제작하기 위하여 중앙처리장치(15)에 연결된 발행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고 그것을 고객에게 보내진다. (324단계, 제8도)
출납계 창구에 있는 카드 판독/기입기가 암호를 재 기입하는데 사용되면 고객은 카드를 가져갈 수 있으므로 데이터 센터에서 발행되고 송부될 때까지 고객이 기다려야 하는 것과 같은 불편이 없다.

Claims (4)

  1. 거래데이터를 등록하고 처리하는 데이터 센터와, 거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하여 출납계원에 의하여 사용되는 제1입력 수단, 거래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하여 출납계원에 의하여 사용되는 제1표시 수단, 고객에 의하여 사용되는 제2입력 수단과, 거래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하여 고객에 의하여 사용되는 제2표시수단을 갖으며 데이터 센터와 통신하는 출납계 창구 거래 장치와, 상기한 제1입력장치는 고객의 확인을 위하여 암호의 등록을 위한 입력을 수행하도록 고객에게 지시하기 위하여 상기한 출납계에 의하여 사용되고 상기한 제1표시 수단은 암호의 등록을 위하여 스크린을 표시하기 위한 그와 같은 지시명령에 응답하고 암호의 입력을 위하여 잠정표시를 표시하기 위한 지시 명령에 응답하는 상기한 제2표시 수단과, 고객에 의한 암호의 입력을 위하여 사용되는 상기한 제2 입력수단을 포함하는 암호 등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출납계 창구 거래 장치는 고객에 의하여 반복하여 입력되는 암호를 비교하고 암호가 모두 일치할 경우 데이터 센터에 등록을 위하여 암호를 보내는 장치를 포함하는 암호 등록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데이터 센터는 암호의 임시등록장치와 암호의 최종 등록 장치를 갖으며 상기한 암호를 등록하는 임시 등록 장치는 첫 번째로 입력하고, 암호의 제2입력을 위한 잠정표시를 표시하기 위하여 임시등록에 응답하는 상기한 제2표시 수단과, 암호의 제2입력을 위하여 사용되는 상기한 제2입력수단과, 상기한 데이터 센터는 제2차로 입력하는 암호와 임시로 등록된 암호를 비교하는 수단과, 두 개의 암호가 일치 부합될 때 최종 등록을 만드는 암호 등록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암호의 등록은 이미 등록된 암호를 대신하는 등록이고, 시스템은 등록된 암호와 고객의 확인을 위하여 입력된 암호를 비교하는 수단을 표함하고, 제2입력 수단은 현재의 암호를 대신하여 새 암호를 입력하는 데 사용되고 고객의 동일성을 확인할 목적으로 현재의 암호가 사용되고 상기한 제1표시수단은 제1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과 같이 암호의 변경을 위한 지시명령에 응답하여 암호의 변경을 위한 스크린을 표시하고, 다른 한편 상기한 제2표시 수단은 암호의 입력을 위한 잠정표시를 표시하고, 상기한 데이터 센터는 상기한 비교수단이 구 암호가 기억된 암호와 부합하는 입력을 발견할 때 구 암호를 대신하여 새 암호를 등록하고 새 암호는 상기한 제2입력 수단의 사용에 의하여 등록되는 암호 등록 시스템.
KR1019870009054A 1986-08-20 1987-08-19 암호등록 시스템 KR9100053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2934 1986-08-20
JP61192934A JPS6349971A (ja) 1986-08-20 1986-08-20 暗証番号登録方式
JP61-192934 1986-08-20
JP004900 1987-01-14
JP62004900A JPS63174172A (ja) 1987-01-14 1987-01-14 暗証番号登録方式
JP62-004900 1987-01-14
JP62009052A JPS63178381A (ja) 1987-01-20 1987-01-20 暗証番号変更方式
JP62-009052 1987-01-20
JP009052 1987-0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260A KR880003260A (ko) 1988-05-16
KR910005350B1 true KR910005350B1 (ko) 1991-07-25

Family

ID=27276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9054A KR910005350B1 (ko) 1986-08-20 1987-08-19 암호등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535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260A (ko) 198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7149A (en) System and method for registering passwords
US4304990A (en) Multilevel security apparatus and method
US4328414A (en) Multilevel security apparatus and method
US4357529A (en) Multilevel security apparatus and method
US4962531A (en) Transaction system comprising one or more host exchanges and a number of distributed terminal stations
US4091448A (en) Off-line, one-level/on-line, two-level timeshared automated banking system
US6484936B1 (en) Terminal
US3641315A (en) System for automatically conducting office work required for transactions at a bank and the like
US20080249947A1 (en) Multi-factor authentication using a one time password
JPS61196388A (ja) Icカ−ド
EP0208453A2 (en) Operator-Interactive ve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KR910005350B1 (ko) 암호등록 시스템
US70281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validity of a data processing transaction
JP5141102B2 (ja) 自動取引装置及び自動取引システム
JPH0488555A (ja) カード喪失届システム
JPH0348548B2 (ko)
JPH04245586A (ja) Icカード発行方式
JP2579491B2 (ja) カ−ド発行方式
JPS5899880A (ja) カ−ドの有効性検査方法
JPS6128149B2 (ko)
JP2006099313A (ja) 取引システム
JPS61253580A (ja) Idカ−ドによる口座指定方式
JPS6349971A (ja) 暗証番号登録方式
JP4586439B2 (ja) 本人確認装置
JPS63178381A (ja) 暗証番号変更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10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