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292B1 - 세포 현탁액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세포 현탁액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292B1
KR910005292B1 KR1019870002567A KR870002567A KR910005292B1 KR 910005292 B1 KR910005292 B1 KR 910005292B1 KR 1019870002567 A KR1019870002567 A KR 1019870002567A KR 870002567 A KR870002567 A KR 870002567A KR 910005292 B1 KR910005292 B1 KR 910005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ion
cell suspension
wall surface
liquid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2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8590A (ko
Inventor
하라구찌 마사또
모리 유이찌
이따가끼 이찌로
히로세 마사오
Original Assignee
도오레 가부시끼가이사
마에까와 노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오레 가부시끼가이사, 마에까와 노부 filed Critical 도오레 가부시끼가이사
Publication of KR870008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8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16Rotary, reciprocated or vibrated mod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4Filtering material out of the blood by passing it through a membrane, i.e. hemofiltration or dia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 B01D29/01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ring 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B01D29/5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arranged concentrically or c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76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 B01D29/86Retarding cake deposition on the filter during the filtration period, e.g. using 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1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plane filtering surfaces
    • B01D33/2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plane filtering surfaces with hollow filtering discs transversely mounted on a hollow rotary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3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33/37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B01D33/39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concentrically or c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5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68Retarding cake deposition on the filter during the filtration period, e.g. using 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01D63/087Single membran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6Use of chemical agents
    • B01D2321/168Use of other chemical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20By influencing the flow
    • B01D2321/2008By influencing the flow statically
    • B01D2321/2016Static mixers; Turbulence gen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10/00Liquid purification or separation
    • Y10S210/929Hemoultrafiltrate volume measurement or control proce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세포 현탁액 분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포 현탁액 분리장치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본 발명 장치의 우측절반부를 보인 우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포 현탁액 분리장치의 종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포 현탁액 분리장치의 종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채혈 시스템의 설명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포 현탁액 분리장치의 종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포 현탁액 분리장치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분리실 2 : 캐빈
3 : 액체처리실 7 : 처리액 배출로
8 : 액체통로 12 : 커버
14 : 분리성분실 18 : 액체수집홈
19 : 분리성분 배출로 31 : 다공판
32 : 분리막 42 : 액체유입로
44 : 노즐 51 : 회전체
52 : 회전축
본 발명은 연속 공급된 용액으로부터 소정의 성분을 분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생체(生體)에서 연속 채집되는 혈액으로부터 혈장 성분을 연속적으로 분리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는 액체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액체"라는 용어는 세포 현탁액을 나타낸다. 액체를 분리하는 방법으로서 알려져 있는 기술로는 분리막(膜)을 이용하는 방법과, 혈액으로부터 혈장(plasma)성분을 분리시키는 특수한 장치가 일본 공개특허공보 번호58-121956 (EP-85016-A) 또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번호59-155758(EP-112152-A2)에 발표되어 있다. 전자의 자료에 알려진 장치(이하, "제1종래기술"이라 칭함)는 통상의 정막(靜膜) 분리법을 이용하고, 후자의 자료에 알려진 장치(이하, "제2종래기술"이라 칭함)는 높은 전단속도와 원심력에 의하여 양성작용이 일어나는 영역에서 이 막분리법을 이용한다. 이와 같은 전단속도와 원심력의 양성작용이 일어나는 영역을 산출하기 위하여는 견고한 원통형 하우징과, 그 원통형 하우징의 내부에서 하우징벽에 일정간격 떨어져 회전하는 분리막이 주변에 부착된 회전 스피너가 이용된다.
혈액으로부터 혈장을 분리하는데 적용되는 전단속도에 관한 학술논문으로는 1983년 뉴욕의 라벤출판사(Raven Press)에서 간행된 "Plasma-Presis", 135-143면에 알려지고 있으며, 이 논문을 이용한 실험용 장치가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험용 장치(이하, 제3종래기술이라 칭함)는 혈액을 담는 컵과, 그 혈액컵의 저부에 분리막이 지지되는 평면과, 분리막의 아래에 공급되는 혈장성분을 수용 및 배출하는 공간과, 혈액컵의 내부로부터 일정간격을 가지고 분리막 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볼록한 원추형 몸체로 이루어진다.
정막 분리법이 이용되는 제1종래기술에 있어서는 분리막으로 다수의 중공섬유로 된 섬유묶음이 사용되고, 분리면의 넓이는 1000-3000㎠가 필요하다. 따라서, 장치의 크기가 불가피하게 커지게 되고, 구조가 복잡하며, 다량의 중공섬유를 사용하게 되므로 장치의 가격이 비싸게 되어 불리하다. 더욱이, 장치에 수용되는 액체의 량이 넓은 분리면적에 비례하여 대량이므로, 특히 혈액을 처리대상으로 하는 때에는 생체로부터 뽑아내야 하는 혈액의 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갖게되며, 다량의 혈액과 생체로부터의 물질이 상이한 분리물질간의 관계에 의하여 혈액의 특성이 변한다는 또다른 심각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론적으로, 중공섬유를 통과하는 혈액의 흐름속도는 전단속도를 증가시켜야 증가하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중공섬유를 통하여 순환되는 혈액의 흐름저항이 급격히 증가하고, 이에 비례하여 장치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할 것이므로, 결국 혈액의 세포성분이 파괴되거나 중공섬유의 파손에 의하여 혈액이 누출되는 심각한 사고가 쉽게 야기된다. 전단속도 및 원심력이 공히 작용하는 영역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높은 전단속도 및 원심력의 작용하에서 막분리법을 이용하는 제2종래기술에 있어서는, 회전스피너의 직경을 늘려야 되므로 장치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분리된 혈장이 회전스피너의 회전축을 통하여 누출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발생된다. 더욱 중요한 것은, 원심력이 이용되기 때문에 장치의 액체처리역에서 테일러와류가 쉽게 발생되며, 특히 처리액체가 혈액인 곳에서는 혈류의 교란에 의하여 기인되는 테일러와류가 혈소판의 파괴를 유발한다. 더욱이, 원심력에 대하여 분리막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그 압력에 비례하여 유도관의 파손으로 인한 혈액의 누출사고가 빈발한다.
일련의 장치는 제3의 종래기술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 제3의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혈액이 오랫동안 혈액컵속의 혈액의 전단속도를 갖게 됨에따라 혈소판의 파손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이러한 기술은 혈액을 처리하는 장치가 외기에 노출되는 혈액컵을 포함하는 개방 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연속적인 혈액처리에 있어서는 혈액용기에 공기를 함유한 혈액이 포함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더욱이, 이러한 종래기술은 공급 시스템, 배출 시스템 그리고 여과 시스템에 각각의 펌프가 설치되어야 하는 결점이 있으며, 따라서 임의의 방법에 있어서 여과압력의 조정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연속공급되는 액체로부터 소정의 성분을 분리하는데 사용되는 연속 액체분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으며, 특히 소형이고, 호환성을 가지며 경제적으로 유리한 채혈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되는 혈액 분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하면, 상기의 목적은 (a) 외부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폐쇄되고, 내부의 원주형의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 몸체와, (b) 케이스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순환되는 액체가 내부에 채워지는 액체처리실과, (c) 케이스 몸체의 내부에 설치된 분리성분실과, (d) 액체처리실과 분리성분실 사이에 삽입되어 소정의 성분을 분리하고 그 성분이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일정영역을 가지는 분리벽면을 구비한 분리막과, (e) 분리벽면과 일정거리를 두고 대향되는 일정영역의 전단벽면을 가지고 액체처리실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디스크형 회전체와, (f) 회전체와 맞물려 그 회전체를 회전 및 구동시켜주는 구동기구와, (g) 액체처리실과 연결되어 케이스 몸체의 외부로 연장된 액체 유입로와, (h) 액체처리실과 연결되어 케이스 몸체의 외부로 연장된 처리액 배출로와, (i) 분리성분실과 연결되어 케이스 몸체의 외부로 연장된 분리성분액 배출로로 구성되는 세포 현탁액 분리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예에 의하면, 상기에서 언급한 목적은 (a) 외부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폐쇄되고 내부의 원주형의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 몸체와, (b) 케이스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순환되는 액체가 내부에 채워지는 액체처리실과, (c) 액체처리실의 내벽면 일부에 의하여 형성된 일정 영역을 가지는 전단벽면과, (d) 소정의 성분을 분리하고 그 성분이 통과하게 되는 막과 일정거리 떨어져 전단벽면에 대향되는 일정영역을 가지는 분리벽면을 구비한 분리막과, (e) 분리막으로 지지되고 그 분리막의 후방에 분리성분실을 구비하여 액체처리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디스크형 회전체와, (f) 회전체와 맞물려 그 회전체를 회전 및 구동시켜주는 구동기구와, (g) 액체처리실과 연결되고 케이스 몸체의 외부로 연장된 액체 유입로와, (h) 액체처리실과 연결되어 케이스 몸체의 외부로 연장된 액체 배출로와, (i) 분리성분실과 연결되어 케이스 몸체의 외부로 연장된 분리성분 액체로로 구성되는 세로 현탁액 분리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효율적으로 사용되는 상기의 분리막은 전단속도가 가해지는 영역에 있는 세포 현탁액으로부터 소정의 성분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의 조건하에서 액체의 현탁이 효과적인 공지의 분리막 뿐만 아니라, 현재 개발중이거나 장래에 개발될 분리막이 상기 언급된 조건하에서 액체의 현탁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분리막의 재질로는 폴리카보네이트, 에스테르가 혼합된 세룰로스, 폴리에틸렌, 폴리술폰, 그리고 세라믹이 언급될 것이다. 분리막의 투공직경은 0.2-1.0㎛, 특히 0.4-0.8㎛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분리막의 분리벽면 면적은 10-100㎠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단벽면"이라는 용어는 이 벽면과 분리막의 분리벽면사이에 채워지는 액체에 의하여 주어지는 운동과 같은 작용을 가지는 벽면을 표기하며, 전단속도는 액체와 이 분리벽면 사이의 운동에 의하여 산출된다.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전단벽면과 분리벽면은 모두 평면이며, 그 평면간의 간격은 0.05-2㎜, 직경은 30-100㎜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단벽면과 분리벽면중 적어도 하나는 벽면에 대하여 볼록한 원추면을 가지며, 양 벽면사이에 형성되는 교차각은 0.5-5°의 범위, 특히 0.8-3°의 범위내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원추면의 직경은 20-100㎜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분리벽면은 평면이고 이와 대향되는 전단면은 원추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장치에 적용되는 전단속도는 1000-3000 sec-1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시에 회전부재의 회전수는 500-5000rpm으로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회전체는 적합한 회전구동원에 의하여 폐쇄된 액체실의 내부에서 회전하게 되고, 처리될 액체는 회전체의 전단벽면과, 대향된 위치에서 위치하고 있는 분리막에 의하여 형성되는 분리벽면사이 또는 회전체에 설치된 분리막의 분리벽면과 액체처리실의 전단벽면 사이에서 액체 유입로를 통하여 액체처리실에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한편, 이와 같이 유입된 액체는 액체처리실에 채워져 그 내부에서 흐르게 되며, 전단벽면과 분리벽면 사이의 처리공간에서 처리될 액체는 전단벽면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회전운동을 받거나 분리벽면의 회전에 의하여 전단벽면에 대항하는 회전운동을 받으며, 전단속도는 액체와 분리벽면 사이에서 산출된다. 이와 같은 전단속도 하에서는 분리막의 용량에 따라 분리막을 통과하는 액체로부터 소정의 성분이 분리되며, 분리된 성분은 분리성분실로 흘러들어가 그 분리성분실과 연결된 분리성분 배출로를 통하여 배출되고, 그 분리된 성분은 적합한 수용용기에 모아진다. 한편, 액체처리실의 여분의 액체(주로 소정의 성분이 분리된 후 남아있는 잔여액체)는 액체처리실과 연결된 액체 배출로를 통하여 배출되어 적합한 용기에 담근다. 분류조작을 일시적으로 정지하는 경우에는 필요하다면, 채집된 액체는 곧바로 또는 상기한 액체통로를 통하여 귀환되어 그 처리될 액체가 연속적으로 모아지는 시스템으로 되돌아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체현탁 장치의 설명도이고,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장치의 우측절반부를 보인 측면도이다.
분리실(1)은 액체처리실과 내부에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된 캐빈(2) 및 덮개(12)를 포함하는 분리 액체실을 가지고 있다. 캐빈(2)의 우측면(제1도)에는 원형요부(액체처리실)(3)가 형성되고, 축공(4)는 그 좌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요부(3)의 중앙을 관통하고 있다. 캐빈(2)의 주변단부 우측단면에는 O-링(5A)이 들어갈 환상홈(5)이 형성되고, 축공(4)의 중간부에는 O-링(6A)이 들어가는 홈(6)이 형성된다. 캐빈(2)의 내부에 형성된 처리액 배출로(7)의 일측단은 축공(4)에 인접한 요부(3)에 개방되고, 타측단은 캐빈(2)의 외주면으로 개방된다. 처리액 배출로(7)에 연결된 액체통로(8)는 요부(3)의 선단(제1도)에 형성되어 있다. 캐빈(2)의 주변단부에는 좌·우측면이 관통되는 다수의 보울트공(9)이 형성되어 있다.
환상요부(분리성분실)(14)는 커버(12)의 좌측면(제1도)에 형성되는 정부(頂部)(13)을 가지고 있으며, 우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요부(14)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관상의 삽입공(15)을 구비하고 있다. 패킹(16A)이 들어가는 환상홈(16)은 요부(14)의 외측에서 커버(12)의 좌단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위에 O-링(17A)이 들어가는 노치(17)가 관상의 삽입공(15)의 좌측단에 형성되어 있고, 액체 수집홈(18)은 커버(12)의 요부(14)의 외주연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분리성분 배출로(19)는 액체 수집홈(18)으로 개방된 일측단과 커버(12)의 외주면으로 개방된 타측단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좌, 우측단면이 관통되는 다수의 보울트공(20)은 커버(12)의 주변단부에 형성되고, 그 보울트공(20)의 수는 상기한 보울트공(9)의 수와 일치한다. 실질적으로 평판상인 스테인레스 스틸재의 다공판(31)은 커버(12)의 좌측단면에서 보지되어 요부(14)를 덮고 있으며 폴리카보네이트로 되어 분리벽면을 구획하는 환상의 분리막(32)은 요부(14)를 향하는 면과 반대측의 다공판(31)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다. 다공판(31)과 분리막(32)의 외주변은 패킹(16A)이 삽입되는 커버(12)의 패킹홈(16)에 위치하고, 다공판(31)과 분리막(32)의 중양부는 관상의 삽입공(33)을 가지고 커버(12)의 정부(13)에 위치하고 있다.
일측단부에 플랜지(41)와, 중앙부가 관통되는 액체 유입로(42), 그리고 주변의 일부에 너트-조임용 나사홈(43)을 가지는 노즐(44)은 관상의 삽입공(15)와 (33)사이에 삽입되어 플랜지(41)로 분리막(32)을 다공판(31)에 밀착시켜준다. 그 노즐(44)은 나사홈(43)에 조여진 너트(45)에 의하여 커버(12)에 고정되는 한편, 노치(17)에 삽입된 O-링(17A)을 밀착하여 커버(12)와 일체가 된다.
폴리카보네이트로된 회전체(회전자)(51)는 분리막(32)에 대하여 볼록한 판상의 원추로 구성되어 캐빈(2)의 요부(3)내부에 설치되며, 회전체(51)의 우측면(제1도)즉, 원추면은 전단벽면을 구획하고, 회전축(52)은 회전체(51)의 좌측면으로부터 연장되며, 그 회전축(52)은 선단부에 별도로 설치된 구동원(도시되지 않음)이 연결되는 연결부(53)을 가지고 있다. 그 회전축(52)은 캐빈(2)의 축공(4)내부에 삽입되고 캐빈(2)의 좌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O-링홈(6)에 끼워진 O-링(6A)은 회전축(52)과 축공(4)상이에 끼워져 있다.
회전체(51)는 캐빈(2)의 요부(3)내측에 설치되고, 분리막(32)과 다공판(31) 및 노즐(44)이 보지되는 커버(12)의 좌측면은 캐빈(2)의 우측면에 맞물려 고정되며, 그 캐빈(2)의 보울트공(9)와 (20)에 삽입된 보울트(61)에 의하여 O-링홈(5)에 삽입된 O-링(A)을 구비하고 이에 의하여 캐빈(2)은 커버(12)와 일체로 된다. 액체처리실은 캐빈(2)의 요부(3)와 분리막(32)에 의하여 구획된다. 커버(12)의 요부(14)와 분리막(32)에 의하여 둘러싸여진 공간은 분리성분실을 구성한다. 회전체(51)의 전단벽면은 분리막(32)의 분리벽면과 일정간격을 가지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주요부품에 대한 치수를 기재한다. 본 장치는 혈액으로부터 혈장을 분리하는 수단으로 설계되었다. 회전체(51)의 회전축(52)과 회전체(51)의 원추면 사이의 평면사각형의 각은 0.5°-5°의 범위내에 있는 특정의 각이다. 회전체(51)의 직경은 약 75㎜이고, 회전체(51) 판상부의 원추선단부와 이 판상부의 뒷면간의 축방향 거리는 약 4㎜이다. 캐빈(2)의 요부(3) 깊이는 약 7㎜이고, 그 요부(3)의 직경은 약 78㎜이다. 커버(12)의 요부(14)의 깊이는 약 1㎜이고, 그 요부(14)의 직경은 약 78㎜이다. 커버(12)와 캐빈(2)의 일체로 되어 형성된 분리실의 직경은 약 112㎜이고, 그 두께는 약 22㎜이다. 분리막(32)의 두께는 약 10㎛이고, 투공의 평균직경은 약 0.4㎛이며, 투공의 부분은 약 13%, 다공판(31)의 두께는 약 0.5㎜이다. 회전체(51)(제1도에 도시한 회전체로서 선단부는 커트되어 변형되었으나 여기서 언급되는 선단부는 완전한 원추의 선단부를 의미한다)의 판상부의 원추선 단부와 분리막(32)의 분리벽면 사이의 간격은 약 0.1㎜이다.
본 실시예에에 따른 장치의 작용은 혈액을 채집중에 혈장을 분리하는 조작에 관련시켜 설명되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제1도에 도시한 상태 즉, 회전축(52)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토끼(도시되지 않음)의 정맥에 연결된 혈액채집관(도시되지 않음)이 액체 유입로(42)를 가지는 노즐(44)에 연결된 상태로 사용된다. 필요하다면, 혈액채집관의 중간지점에 화학제품, 예를 들어 혈액응고 방지제가 첨가된다. 노즐(44)의 혈액유입로(42)로부터 혈액처리실(요부)(3)로 유입되는 혈액은 그 혈액처리실(요부)(3)에 채워져 유동상태가 되며, 처리액 배출로(7)에 연결된 처리액 배출관(도시되지 않음)을 통하여 적합한 용기(도시되지 않음)에 모아진다. 이와 같은 초기의 상태에서, 액체처리실(요부)(3)의 내부의 가스는 액체처리실(요부)(3)의 상단에 형성된 액체통로(8)를 통하여 상기 처리액 배출관으로 흘러 들어간다. 가스의 배출후 또는 가스의 배출이 완료되기 전에 원터치 시스템에 의한 적합한 회전구동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회전축(52)은 이 회전구동원에 의하여 회전되며 액체유입로(42)로부터 액체처리실(요부)(3)의 중심부에 연속공급되는 혈액은 전단벽면과 분리벽면사이에서 계속흐른다. 혈액의 회전력은 전단벽면의 회전과 그 운동에 의하여 주어지며, 전단속도는 혈액과 분리벽면에 가해지는 동작에 의하여 발생된다. 이 전단속도의 작용하에서, 혈장성분은 분리막(32)을 통하여 다공판(31)의 구멍을 통과하도록 되어 있으며, 분리성분실(환상요부)(14)로 흘러들어온 혈장성분은 분리성분 배출로(19)와 관을 통하여 그 분리성분 배출로(19) 및 관에 미리 연결된 분리성분 배출관(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적합한 용기(도시되지 않음)에 연속적으로 모아진다. 한편, 액체처리실(요부)(3)내부의 혈액 즉, 주로 혈장성분이 분리된 혈액은 처리액 배출로(7)를 통과하여, 처리액 배출로(7)에 미래 연결된 처리액 배출관(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적합한 용기(도시되지 않음)의 내부에 계속적으로 모아진다. 주된 처리조건을 이하에서 설명하면 즉, 액체유입로(42)에 혈액이 공급되는 속도는 약 50ml/min이고, 회전체(51)의 회전속도는 약 3000rpm으로 조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전단벽면은 분리벽면을 향하여 볼록한 원추형이고, 분리벽면은 원형의 평면이다. 그러나, 전단벽면과 분리벽면의 조합은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형의 평면으로 된 전단벽면과 전단벽면을 향하여 볼록한 분리벽면의 조합과, 전단벽면을 향하여 볼록한 분리벽면과 분리벽면을 향하여 볼록한 전단벽면의 조합, 그리고 원형평면으로 된 전단벽면과 원형평면으로된 분리벽면의 조합, 또는 이로부터 약간의 변경이 가능한 조합등이 언급될 것이다. 그러나, 전단벽면의 반지름 방향 위치에서 전단속도가 완전히 균일하여야 하는 것이 요구되는 두 번째의 조합은 언급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처리기구는 한쌍의 분리벽면과 하나의 전단벽면을 포함하고, 이러한 처리벽면의 여러쌍들이 이 장치내에 설치된다. 두쌍의 처리벽면을 가지는 한 실시예가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장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케이스 몸체(71)를 포함하는데 그 케이스 몸체(71)는 상단부와 하단부를 가지고 직경보다 작은 높이를 가지며 그 내부는 두 개의 분리벽(72)와(73)에 의하여 3개의 실(室), 다시말해서 상측으로부터 제1액체처리실(74)과 분리성분실(75), 그리고 제2액체처리실(76)로 분할되어 있다. 원반상으로된 원추형 회전체(77)는 제1액체처리실(74)내부에서 케이스 몸체(7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고정되어 있고, 마그네트(78)는 그 회전체(77)의 상면(제3도)에 부착되어 있으며, 케이스 몸체(71)의 외측에는 마그네트(80)가 회전축(79)에 마그네트(78)와 대향되게 부착되어 있다. 적합한 회전구동원(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회전축(79)을 회전시키기 되면, 마그네트(80)의 회전력은 마그네트(78)에 전달되어 제1액체처리실(74)의 내부에 있는 회전체(77)를 회전시킨다. 마찬가지로, 제2액체처리실(76)에는 디스크상의 원추형 회전체(81)가 케이스 몸체(71)에 회전가능하게, 부착 지지되어 있으며, 마그네트(82)는 회전체(81)의 저면(제3도)에 부착되어 있다. 케이스 몸체(71)의 외측에는 마그네트(84)가 회전축(83)에 마그네트(82)와 대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적합한 회전구동원(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회전축(83)을 회전시키게 되면, 마그네트(84)의 회전력이 마그네트(82)에 전달되어 제2액체처리실(76)의 내부에 있는 회전체(81)을 회전시킨다. 제1 및 제2액체유입로(85)(86)는 제1 및 제2액체처리실(74)(76)의 일측에서 연결되며, 제1 및 제2처리액 배출로(87)(88)는 제1 및 제2액체처리실(74)(76)의 타측에서 연결된다. 제1 및 제2도에 도시한 장치와 같은 명칭으로 표시되는 구성부품들은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된 구성부품들과 동일한 구성 및 물질을 나타낸다. 제3도에 도시한 장치의 제1액체 유입로(85) 및 제2액체 유입로(86)에 공급되는 액체들은 같을수도 있고 다를수도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상하부가 폐쇄되고 직경보다 작은 높이를 갖는 케이스 몸체(91)로 되어 있으며, 그 케이스 몸체(91)의 내부는 두 개의 분리막(92)(93)에 의해 도면의 상부로부터 제1분리성분실(94), 액체처리실(95), 제2분리성분실(96)로 분리되어 있다. 상기 액체처리실(95)에는 디스크의 상부와 하부가 원추형 정점을 갖는 원추형 회전체(97)가 상기 원통형 몸체(91)에 회전가능하게 부착 지지되어 있고, 원추형 회전체(97)의 상부원추형 정점에 부착된 회전축(98)은 제1분리성분실(94)을 관통하여 형성된 축공(99)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밀착 지지되어 있으며 케이스 몸체(91)외부에 나와있어, 적당한 회부 회전구동원(도시되지 않음)과 연결 동작하게 되어 있다. 액체유입로(100) 및 처리액 배출로(101)는 액체처리실(95)에 연결되어 있고, 제1분리성분 배출로(102) 및 분리성분 배출로(103)는 각기 제1분리성분실 및 제2분리성분실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장치와 동일한 명칭으로 표기된 구성요소는 실제로 제1도 및 제2도의 장치와 동일 재질로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구성한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나 제4도에 도시한 장치에서 제1분리성분실(94)과 제2분리성분실(96)을 구분해주기 위해 동일명칭으로 사용된 분리막(92),(93)은 상호 동일 물질로된 동일 구조일수도 있고 그러하지 아니할 수도 있다. 원추형 회전체(97)의 상부원추면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는 그의 하부 원추면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와 같을수도 있고 다를수도 있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장치의 작용과 기능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장치의 작용 및 기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채혈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제1도에 도시한 장치가 액체(혈액)분리수단으로 사용된다. 이 분류장치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실(1)을 결합하고 있고, 이 분리실(1)에는 회전축(52)과, 액체(혈액)유입로(42), 처리액(처리혈액)유출로(7) 및 분리성분(주로 혈장성분)배출로(19)가 설치되어 있다. 혈액 유통로(111)는 펌프(롤러펌프)(A)를 통해 혈액 유입관(42)에 연결된다. 처리액 배출관(7)은 처리액 유통로(113)를 통해 처리혈액 용기(B)에 연결되고, 상기 처리액 유통로(113)의 중간 부위에는 클램프메카즘(C)이 설치되어 있으며 압력게이지(D)는 상기 클램프메카니즘(C)으로부터 분리실(1)쪽으로 설치되어 있다. 혈장성분 배출로(19)에 연결된 혈장성분 유통로(114)의 단부에는 혈장성분 용기(E)가 연결되어 있다. 이 시스템에서, 분리실(1)에 있는 액체처리실(혈액실)은 펌프(A)의 작동에 의해 압력을 받아 분리실(1)의 분리막에 일정 압력을 나누어 주게되고, 이 압력과, 분리실(1)에서 회전하는 회전체에 의해 발생되어 분리막에 가해지는 절단력에 의해 혈장성분은 분류되어 혈장성분 용기(E)에 저장된다. 분리실(1)의 압력은 압력게이지(D)에 의해 검출된다. 클램프(C)의 개폐정도 또는 압력게이지(D)의 검출신호에 따라 펌프(A)의 회전수를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제어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을 설치하여 분리실 내의 분류작용을 점검함과 아울러 분류작용을 자동적으로 조정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만일 펌프(A)와 유사한 펌프(F)(제5도에 클램프(C)와 나란히 점선으로 도시됨)가 처리액을 유출시키기 위해 클램프(C) 대신에 설치되면, 분리실(1)의 압력은 감소하게 되고, 고압으로 인한 튜브로부터의 혈액 누출 또는 용혈 반응의 문제는 완화되거나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처리액 용기(B)내의 처리혈액의 귀환되어 혈액용기에 되돌아오게 하는 경우에는 펌프(A)와, 클램프(C) 대신 배설된 펌프(F)가 역회전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압력게이지(D)의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펌프(A)(F)를 자동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도시 되지 않음)을 설치하여 상기 펌프를 자동으로 조절하게 할 수도 있다. 나아가서, 제5도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G)를 혈장성분 유통로(114)에 설치함으로써 분리실(1)내의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혈장 성분의 유통률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액체처리실과 분리성분실간의 압력차는 약 10-50㎜Hg가 바람직하다.
제6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개략 종단면도이고 제7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략 종단면도로서,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얇은 원통형 모형과 액체처리실 및 분리 액체실을 내부에 갖고 있는 분리실 몸체(121)는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되어 있다. 이 분리실 몸체(121)의 내부에는 원추형의 액체처리실(122)이 폐쇄되어 있어 액체가 채워져 순환하게 된다. 제6도의 상부벽면, 즉 액체처리실(122)의 내부벽면의 일부는 일정 면적을 갖는 전단벽면(123)이고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이 전단벽면은 원추형 모양을 하고 있다. 분리실 본체(121)의 외부로 연결된 액체유입로(124)의 일단은 상기 액체처리실(122)의 원추형 전단벽면(123)의 정점에 개방 연결되어 있고, 분리실 몸체(121)의 외부로 연결된 액체 배출관(125)의 일단은 상기 액체처리실(122)의 주변측에 개방 연결되어 있다. 분리실 몸체(121)의 외부로 연결된 회전축 고정공(126)은 액체처리실(122)의 하부 벽면에 개방 연결되어 있다.
액체처리실(122)의 내부에는 판상 회전체(131)가 설치되어 있고, 이 회전체(131)는 폴리카보네이트로 된 원판형부재(132)와, 그 원판형부재(132)를 덮기위해 그 원판형부재(132)의 상부면에 부착된 분리부재(133)로 되어 있고, 폴리카보네이트튜브(134)는 상기 원판형부재(132)의 요부저면 중앙에 개방 연결되어 있다. 분리부재(133)는 실제적으로 스텐리스 강제로 된 평평한 다공판(135)과 그 다공판(135)위에 설치되는 폴리카보네이트 분리막(136)으로 구성되어 있다. 분리부재(133)에 의하여 덮어진 판상부재(132)의 요부는 분리성분실(137)을 구획하고, 분리벽면은 전단벽면(123)과 대향하는 분리막(136)의 상면에 의해 구획된다. 튜브(134)는 분리성분 배출로 (138)를 형성한다.
분리실 몸체(121)의 외부에 설치된 회전구동기구(134)는 회전체(131)의 일부를 구성하는 튜브(134)의 일부와 맞물려 동작하게 되어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 장치의 주요부분의 치수는 다음과 같다. 본 장치는 특히 혈액으로부터 혈장을 분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설계되어 있다. 전단벽면(123)을 형성하는 원추체의 중앙축에 직각인 평면과 원추면간의 각도는 0.5°내지 5°이내의 특정각이다. 액체처리실(122)의 직경은 약 78㎜이고, 전단벽면(123)을 형성하는 원추체의 높이는 약 4㎜이며, 회전체(131)의 요부의 깊이는 약 1㎜이고, 회전체(131)의 외경은 약 75㎜이다. 분리부재(133)의 직경은 약 112㎜이고, 그의 두께는 약 22㎜이다. 분리막(136)의 두께는 약 10㎛이고, 그막에 형성된 투공의 평균 직경은 약 0.4㎛이며 투공들의 부분은 약 13%이고, 다공판(135)의 두께는 약 0.5㎜이다. 액체처리실(122)의 전단벽면(123)을 형성하는 원추체의 선단과 분리막(136)의 분리벽면간의 간격은 약 0.1㎜이다. 이제 본 실시예의 장치의 작용을 혈액을 수집하면서 혈장을 분리하는 실제 동작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장치에서, 토끼의 정맥에 삽입된 채혈관(도시되지 않음)은 액체유입로(124)에 연결된다.
필요시 가령 혈액의 응고를 방지하는 화학물질을 채혈관의 중간에 첨가할 수 있다. 액체유입로(124)를 통해 액체처리실(122)로 유입된 혈액은 액체처리실(122)에 채워져 유동 액화되고 처리액 배출로(125)의 전단에 연결되는 처리액 배출관(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적당한 용기(도시되지 않음)에 수집된다. 회전부재(131)는 회전구동기구(141)에 의해 회전되고, 액체유입로(124)로부터 액체처리실(122)의 중앙으로 계속 공급되는 혈액은 전단벽면과 분리벽면 사이를 계속적으로 흐르고, 회전하는 분리벽면에 의하여 회전운동이 혈액에 주어지게 되고 이 회전운동에 의해 전단응력이 혈액과 분리벽면사이에서 발생한다. 이 전단응력의 작용하에 혈장성분은 분리막(136)과 다공판(135)의 투공을 통해 분리성분실(137)로 유입되고 분리성분 배출로(138)를 통해 그 분리성분 배출로(138)의 돌출개구부의 전단에 연결되는 적당한 용기(도시되지 않음)에 계속적으로 수집된다. 한편, 주로 혈장성분이 분리되는 액체처리실(122)의 혈액은 처리액 배출로(125)를 통해 그 처리액 배출로(125)의 전단에 연결되는 처리액 배출관(도시되지 않음)에서 적당한 용기(도시되지 않음)에 계속적으로 수집된다. 주요 동작 조건을 다음에 기술한다. 특히 액체유입로(124)에 대한 혈액의 공급율은 약 50ml/min이고 회전부재(131)의 회전속도는 약 3,000rpm이다.
제6도에서 상기 장치는 회전축(중앙축)이 수직인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실제 적용에 있어서는 만일 초기 동작시에, 장치내의 가스의 배출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 필요하다면 상기 회전축이 수평이 되도록 본 장치를 사용하거나, 초기 동작시 사용되는 가스 배출공을 별도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전단벽면은 분리벽에 대해 볼록형의 원추형면이고, 분리벽면은 원형평면으로 되어 있으나 다른 조합의 모양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원형평면의 전단벽면과 분리벽면에 대해 볼록한 원추형면의 분리벽면의 조합이라든가, 분리벽면에 대해 볼록한 원추형면의 전단벽면과 전단벽면에 대해 볼록한 원추형면의 분리벽면의 조합, 원형 평면의 전단분리벽과 원형평면의 분리벽면의 조합, 그리고 그들을 약간 수정한 여러조합의 모양들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여러조합중 분리벽면에 대해 볼록한 원추형면의 전단벽면과, 전단벽면에 대해 볼록한 원추형면의 분리벽면의 조합은 전단벽면의 방사 방향으로의 각 지점에서 전단응력이 완전히 동일한 것이 요구되는 데에는 선택되지 않는다.
하나의 분리벽면과 하나의 전단벽면의 쌍으로 구성된 처리기구가 본 실시예의 장치에 나타나있고, 이들 처리벽면들의 다수쌍으로 된 것들도 장치에 나타낼 수 있다. 4쌍의 이들 벽면으로 구성되는 장치가 제7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7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개략 종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다. 본 장치는 전체적으로 상하부가 폐쇄되어 있고 그의 직경보다 작은 높이를 갖는 원통형 몸체(151)로 구성되어 있다. 제1액체처리실(152)과 제2액체처리실(153)이 그 몸체(15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원추형벽면(154)(155)은 제1액체처리실(152)의 상하부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원추형 벽면(156)(157)은 제2액체처리실(153)의 상하부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벽면(154,155,156,157)은 전단벽면을 형성한다. 상기 원통형 몸체(151)의 중앙부에서, 상기 몸체(151)의 상하부면에는 회전축 고정공(158)(159)이 각기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의 벽면에는 유체순환공(1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액체처리실(152) 및 제2액체처리실(153)에 각기 연결되는 유입로(161) 및 처리액 배출로(162)가 원통형 몸체(151)에 형성되어 있고, 제1디스크형 회전체(171)와 제2디스크형 회전체(172)가 제1액체처리실(152) 및 제2액체처리실(153)에 각기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디스크형 회전체(171) 및 제2디스크형 회전체(172)의 상하부면에는 분리부재(173,174,175,176)가 형성되어 그의 내부에는 분리성분실이 형성되게 하고 그 분리성분실의 외부면은 분리벽면을 형성한다. 회전축(171)은 제1디스크형 회전체(171)의 상면 중앙부에 고정되어 있고 그 회전축은 원통형 몸체(151)의 외부로 회전축 고정공(15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그 회전축 고정공(158)을 통해 회전구동기구(181)와 연결 운동하게 된다. 또한 튜브(178)는 제1회전체(171)의 저면 중앙부에 고착되고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유체순환공(160)을 관통하여 제2회전체(172)에 고착되어, 회전체(172)를 관통한 다음, 몸체(151)의 외부로 최전축 고전공(159)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그 고정공(15)을 관통하게 된다. 튜브(178)의 내부 관로는 분리성분 배출로를 형성하고, 이 관로는 개방되어 제1회전체(171)의 분리성분실과 제1회전체(172)의 분리성분실로 연결된다. 제6도에서 도시된 장치와 동일한 명칭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서의 구성요소는 실제로 제6도에서 도시한 장치와 동일 구조 및 재질로 형성한다. 제7도에 도시한 장치에서, 분리부재(173,174,175,176)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구조 및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원추형 벽면(154,155,156,157)의 정점각도 같거나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 장치에서는 액체 분리막을 사용하고, 회전체에 의해 액체에 부여된 운동에 의해 전단속도는 액체 분리막과 그 액체로부터 예정된 성분을 분리하는 액체 간에서 산출된다. 따라서 분리막의 면적은 다공질 섬유를 사용하여 조직한 상기 종래기술(제1종래기술)에서의 분리막의 면적과 비교하여 과감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같은 용량을 얻기 위해, 막의 면적은 종래의 경우 약 1000-3000㎠가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전단속도가 약 500-10000sec-1로 산출되므로 막의 면적은 약 50㎠면 충분하게 된다.
또한, 회전 원통형의 종래장치에 있어서는 (제2종래기술), 전단속도가 작용하는 영역과 원심력이 작용하는 영역이 동시에 사용되므로, 혈장을 분리후에 남은 혈액의 기능은 극히 감소된다. 그러나 본 발명 장치에서는 원심력이 작용되는 영역이 실제적으로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한 문제점들은 발생하지 않으며, 혈장을 분리후에 남은 혈액이 생체에 되돌아갈 때에도 아무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원추체에 의해 혈액을 분리함에 있어 전단속도를 검사하는데 사용된 상기 실험장치(제2종래기술)는 실험에 배타적으로 사용된 장치였으므로 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아무런 검사나 고려 및 제안등이 제시되지 아니한 개방 시스템이었다. 본 발명에서는 디스크형 회전체가 전단속도를 산출하는데 회전체로 사용되고, 또 실제적으로 폐쇄된 소형요부(액체처리실)에서 회전하게한 구조를 적용하거나, 분리벽면을 갖는 디스크형 회전체가 액체처리실에 회전하게한 구조를 적용함으로서 액체 분류 장치의 크기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액체유입로 및 처리액 배출로는 실제적으로 폐쇄된 작은 액체처리실에 연결되므로 처리액은 계속적으로 액체처리실로 유입되고, 처리액은 액체처리실로부터 계속적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라서, 경제적으로 유익하고 마음대로 쓸 수 있는 액체 분류장치가 처음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장치에서는 장치의 직경이 약 10cm이고 장치의 두께가 약 2cm인 데에도 충분한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본 장치가 인체로부터 채혈된 혈액량이 가능한 적은 정도로 감소되어야 하고, 분리실(1)이 감염 예방을 충분히 해야하는 혈장 채집 장치로서 사용될 때 특히 중요하게 된다.

Claims (29)

  1. (a)외부와 완전히 폐쇄된 원추형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케이스 몸체와, (b)그 몸체안에 설치되고 세포 현탁액이 채워져 순환되는 액체처리실과, (c)케이스 몸체 내부에 설치된 분리성분실과, (d)일정 면적을 가지고, 액체처리실과 분리성분실의 사이에 위치하여 소정의 성분을 분리시켜 통과하게 하는 분리막과, (e)일정거리를 두고 분리 벽면과 대향하는 일정 면적의 전단벽면을 갖고 액체처리실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디스크형 회전체와, (f)회전체를 회전구동시킬 수 있도록 회전체와 맞물려 연결된 구동 기구와, (g)액체처리실에 연결되고 몸체 밖으로 연장 설치된 액체유입로와, (h)액체처리실에 연결되고 몸체 밖으로 연장 설치된 처리액 유출로와, (i)분리성분실에 연결되고 몸체 밖으로 연장 설치된 분리성분액 배출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현탁액 분리장치.
  2. (a)외부에 대해 실제적으로 폐쇄된 원추형 공간을 갖는 몸체와, (b)몸체안에 설치되어 세포 현탁액이 채워져 순환되는 액체처리실과, (c)액체처리실의 일부 내부벽면 상에 일정면적을 갖고 형성된 전단벽면과, (d)일정 거리를 두고 전단벽면과 대향하는 일정 면적의 분리벽면을 갖고 소정의 성분을 분리시켜 통과시키게한 분리막과 (e) 분리막을 지지하고, 분리막의 후면에 분리성분실을 가지며 액체처리실안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디스크형 회전체와, (f)회전체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도록 회전체와 맞물려 연결된 구동기구와, (g)액체처리실에 연결되고 몸체 밖으로 연장 설치된 액체유입로와 (h)액체처리실에 연결되고 몸체 밖으로 연장 설치된 처리액 배출로와, (i)분리성분실에 연결되고 몸체 밖으로 연장설치된 분리성분액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현탁액 분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세포 현탁액이 혈액이고, 소정의 성분이 혈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현탁액 분리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분리막의 투공의 평균직경이 0.2-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현탁액 분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분리막의 투공의 평균 직경이 0.4-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현탁액 분리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분리막이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현탁액 분리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분리막이 에스테르 혼합 셀룰로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현탁액 분리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분리막이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현탁액 분리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분리막이 폴리술폰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현탁액 분리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분리막이 세라믹 재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현탁액 분리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분리벽면의 면적이 10-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현탁액 분리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 분리벽면과 전단벽면이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현탁액 분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분리벽면과 전단벽면 사이의 간격이 0.05-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현탁액 분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전단벽면의 외경이 30-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현탁액 분리장치.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분리벽면과 전단벽면의 하나가 다른 벽면에 대해 볼록한 원추면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현탁액 분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분리벽면과 전단벽면간의 교각이 0.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현탁액 분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분리벽면과 전단벽면간의 교각이 0.8°-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현탁액 분리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전단벽면의 외경이 20-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현탁액 분리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분리벽면이 평면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현탁액 분리장치.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 분리벽면과 전단벽면이 다른 벽면에 대해 볼록한 원추면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현탁액 분리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분리벽면과 전단벽면간의 교각이 0.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현탁액 분리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분리벽면과 전단벽면간의 교각이 0.8°-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현탁액 분리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전단벽면의 외경이 20-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현탁액 분리장치.
  2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나의 분리벽면과 하나의 전단벽면을 배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현탁액 분리장치.
  2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두 개의 분리벽면과 두 개의 전단벽면을 배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현탁액 분리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하나의 분리벽면이 하나의 분리성분실의 양면에 각기 배열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현탁액 분리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하나의 분리벽면이 하나의 액체처리실의 양면에 각기 배열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현탁액 분리장치.
  2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회전체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기구와 회전체에 고착되어 몸체 외부로 연장 설치된 구동축과 구동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현탁액 분리장치.
  2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회전체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기구와 회전체에 설치된 자기결합 부재와, 몸체 외부에 배열되어 자기결합 부재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도록 그 자기 결합 부재에 자기적으로 연결된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현탁액 분리장치.
KR1019870002567A 1986-03-20 1987-03-20 세포 현탁액 분리장치 KR9100052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780 1986-03-20
JP61-60780 1986-03-20
JP61060780A JPS62217973A (ja) 1986-03-20 1986-03-20 液体を分別する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590A KR870008590A (ko) 1987-10-19
KR910005292B1 true KR910005292B1 (ko) 1991-07-24

Family

ID=13152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2567A KR910005292B1 (ko) 1986-03-20 1987-03-20 세포 현탁액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968600A (ko)
EP (1) EP0238335B1 (ko)
JP (1) JPS62217973A (ko)
KR (1) KR910005292B1 (ko)
CN (1) CN1009709B (ko)
AU (1) AU587114B2 (ko)
CA (1) CA1334395C (ko)
DE (1) DE3771535D1 (ko)
ES (1) ES2023894B3 (ko)
IN (1) IN1707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595B2 (ja) * 1988-05-31 1994-04-06 工業技術院長 血液分離装置
US4935002A (en) * 1988-06-29 1990-06-19 Biodynam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autotransfusion of blood
US5679249A (en) * 1991-12-24 1997-10-21 Pall Corporation Dynamic filter system
US5298016A (en) * 1992-03-02 1994-03-29 Advanced Haemotechnologies Apparatus for separating plasma and other wastes from blood
DE4207614C1 (ko) * 1992-03-10 1993-09-23 Pall Corp., Glen Cove, N.Y., Us
US5318376A (en) * 1992-12-07 1994-06-07 Prescott Sr Everett J Manhole frame
US6117322A (en) * 1993-06-23 2000-09-12 Pall Corporation Dynamic filter system
DE29611336U1 (de) * 1996-06-28 1996-09-19 Biotechnolog Forschung Gmbh Filtrationsvorrichtung
WO2000007701A1 (de) 1998-08-03 2000-02-17 Plasmaselect Aktiengesellschaft Filtriervorrichtung und filtrierverfahren
US6692702B1 (en) * 2000-07-07 2004-02-17 Coulter International Corp. Apparatus for biological sample preparation and analysis
WO2003049837A1 (en) * 2001-12-13 2003-06-19 Foss Analytical A/S Method and device for extraction and filtration of a sample
US9144583B2 (en) 2002-03-29 2015-09-29 Tissue Genesis, Inc. Cell s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US8895298B2 (en) 2002-09-27 2014-11-25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Microfluidic device for cell separation and uses thereof
DE102005023152A1 (de) * 2004-12-21 2006-06-22 Rwth Aachen Oxygenator zum Gasaustausch
US20070196820A1 (en) 2005-04-05 2007-08-23 Ravi Kapur Devices and methods for enrichment and alteration of cells and other particles
US8921102B2 (en) 2005-07-29 2014-12-30 Gpb Scientific, Llc Devices and methods for enrichment and alteration of circulating tumor cells and other particles
CN100398451C (zh) * 2006-01-16 2008-07-02 王雄鹰 一种结合陶瓷生产从石煤提钒并根治污染的方法
US11174458B2 (en) 2007-04-23 2021-11-16 Koligo Therapeutics, Inc. Cell s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WO2010072237A1 (de) * 2008-12-23 2010-07-01 Kmpt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handeln von fluiden
WO2012006006A1 (en) * 2010-07-07 2012-01-12 Fenwal, Inc. Fluid separators employing a fluidic bearing
DE102010043900A1 (de) * 2010-11-15 2012-05-16 Voith Patent Gmbh Scheibenfilter
RU2013148149A (ru) * 2011-05-02 2015-06-10 Технише Университейт Эйндховен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ногофазного и однофазного контактирования
CN103509717B (zh) * 2012-06-21 2016-01-20 中国农业机械化科学研究院 一种动态流膜浓缩装置
US8900169B2 (en) 2013-03-15 2014-12-02 Tbi Innovations, Llc Methods and devices to reduce the likelihood of injury from concussive or blast forces
CN103551038B (zh) 2013-11-15 2015-03-11 周小山 膜分离装置
EA201891055A1 (ru) 2015-11-16 2018-11-30 Кью30 Спортс Сайенс, Ллк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защиты от травматического повреждения головного мозга
EP3422959A4 (en) 2016-03-02 2019-11-27 Q30 Sports Science, LLC METHOD AND DEVICES FOR REDUCING THE HARMFUL EFFECTS OF VIBRATION OR SPRING ON A PERSON
WO2017171638A1 (en) * 2016-03-28 2017-10-05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Cross-flow membrane filtration with inclined filtration channel
CN107522192B (zh) * 2017-07-11 2019-08-16 南通大学 连续流立式平面型液相剪切方法
TWI644883B (zh) * 2017-10-03 2018-12-21 淡江大學 多孔性薄膜的製備方法、乳化元件及乳化裝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4015A (en) * 1956-02-07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hydrolyzed adrenocorticotrophin
US2362231A (en) * 1942-07-27 1944-11-07 Oliver United Filters Inc Filter
GB1451432A (en) * 1972-10-25 1976-10-06 Atomic Energy Authority Uk Reverse osmosis apparatus
AU516046B2 (en) * 1975-10-08 1981-05-14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Dialyzer construction
US4069151A (en) * 1976-03-31 1978-01-17 C. R. Bard, Inc. Thin polycarbonate membranes for use in hemodialysis
US4071444A (en) * 1976-10-12 1978-01-31 Purdue Research Foundation Portable chemical reactor for use as an artificial kidney
US4191182A (en) * 1977-09-23 1980-03-04 Hemotherap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plasmaphersis
DE2812042A1 (de) * 1978-03-20 1979-10-31 Harold Hebding Trennanlage zum abtrennen von stoffen aus emulsionen
AU517953B2 (en) * 1980-01-29 1981-09-03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Plate dialyzer
JPS57121956A (en) * 1981-01-22 1982-07-29 Nissan Motor Co Ltd Anti-skid controller
DD206937A1 (de) * 1981-12-24 1984-02-15 Siegfried Dreyer Flachmembran-trenngeraet
JPS58155758A (ja) * 1982-03-10 1983-09-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電変換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A1258053A (en) * 1982-12-13 1989-08-01 Halbert Fischel Blood fractionation system and method
US4668394A (en) * 1983-01-10 1987-05-26 Mcneilab, Inc. Filtration media and supporting frame
EP0165992B1 (en) * 1983-12-20 1989-11-29 Membrex, Inc. Filt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4713176A (en) * 1985-04-12 1987-12-15 Hemascience Laboratories, Inc. Plasmapheresis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N170744B (ko) 1992-05-09
KR870008590A (ko) 1987-10-19
DE3771535D1 (de) 1991-08-29
AU587114B2 (en) 1989-08-03
EP0238335A2 (en) 1987-09-23
EP0238335A3 (en) 1988-01-07
ES2023894B3 (es) 1992-02-16
JPH044908B2 (ko) 1992-01-29
US4968600A (en) 1990-11-06
CN87103201A (zh) 1987-12-16
EP0238335B1 (en) 1991-07-24
AU7018587A (en) 1987-09-24
CN1009709B (zh) 1990-09-26
JPS62217973A (ja) 1987-09-25
CA1334395C (en) 1995-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5292B1 (ko) 세포 현탁액 분리장치
US4871462A (en) Enhanced separation of blood components
CA126176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on of matter from suspension
US64918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suspension of medical and biological fluids or the like
US4808307A (en) Couette membrane filtration apparatus for separating suspended components in a fluid medium using high shear
Bouzerar et al. Influence of geometry and angular velocity on performance of a rotating disk filter
EP0231623A2 (en) Couette membrane filtration apparatus for separating suspended components in a fluid medium using high shear
WO1996011747A3 (en) Blood processing system
KR900701367A (ko) 혼탁물 분리용 필터 분리기
US20060086675A1 (en) System, chamber, and method for fractionation and elutriation of fluids containing particulate components
KR900006013A (ko) 마이크로필터 장치
US4647376A (en) Device for removing the liquid phase from a suspension
US6659288B2 (en) Plasma- or serum-collecting device
US4035156A (en) Filter type rotor for multistation photometer
US5914042A (en)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plasma from a blood product
US6328167B1 (en) Blood filter cartridge
US4690754A (en) Filter device for a minute volume of liquid
EP0801590B1 (en) Filtration apparatus
EP0310205B1 (en) Filtering a liquid suspension
Ali et al. Design and fabrication of a nano-microfluidic device for blood and cancer cells separation
JP2001321366A (ja) 血漿又は血清採取具
JPS62243560A (ja) 液体分別装置
JPS62160101A (ja) 膜分離装置
JPH05154359A (ja) 膜分離装置
JPH01155266A (ja) 液体を分別す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0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