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256Y1 - 코오드 결속구 - Google Patents

코오드 결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256Y1
KR910005256Y1 KR2019880021077U KR880021077U KR910005256Y1 KR 910005256 Y1 KR910005256 Y1 KR 910005256Y1 KR 2019880021077 U KR2019880021077 U KR 2019880021077U KR 880021077 U KR880021077 U KR 880021077U KR 910005256 Y1 KR910005256 Y1 KR 9100052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insertion hole
circular tube
hole
c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210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3979U (ko
Inventor
정진택
Original Assignee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정진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정진택 filed Critical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210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256Y1/ko
Publication of KR9000139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39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2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2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1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코오드 결속구
제 1 도는 본 고안을 일부 절결한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결속구로 코오드선을 결속시킨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결속구 2,2A : 삽입구
3 : 단턱 4 : 원형관
6 : 링턱
본 고안은 하나의 입력선과 다수의 출력선을 결속시켜 줄수 있게된 터미날을 원형(순동 99.9%에 주석도금을 시킴)으로 형성하되 외부에는 절연성의 피복층(Nylon 66,UL99, V-O등)을 취급에 편리하도록 도포시키고 사요시 압착기로 압인하여 전선을 이음매 없이 견고하게 결속시키게된 코오드 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세탁기나 냉장고 등의 배선을 입력선과 출력선을 결속시키면서 결속된 부위에 열수축성 튜브 또는 테이프로 감싸주게 되었으나 이러한 전원 연결 부위는 산업기계의 취급시 습기가 침투되며 열수축성 튜브나 테이프가 결속부 위로부터 분리되는 사례가 생기고 심지어는 감전사고를 유발하게 되었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해 그구조와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절연체로 형성된 결속구(1)의 전면 삽입부(2)와 단턱(3)을 형성한 삽입구(2A)내단에 밀폐시켜 놓은 결속구(1)내로 순동과 주석도금을 시킨 원형관(4)을 삽입하면서 원형관(4)의 확개된 링턱(6)을 삽입구(2A)의 단턱에 끼워 맞춤 되도록 조립된 결속구(1)의 삽입구(2)(2A)외면 중간에 경사면(5)을 형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결속구(1)의 삽입구(2)에서 삽입구(2A)의 원형관(4)내로 세탁기 또는 냉장고의 입력 전원선과 배선될 다수의 출력선의 연결부를 함께 묶어 끼워 놓을 때 피복된 전원 코오드는 결속구(1)의 삽입구(2)내부 경사면(5)에 접촉되고 철심의 연결부가 원형관(4)내로 삽입되는데 이때 피복된 전원 코오드는 결속구(1)의 삽입구(2)에 철심은 결속구(1)의 삽입구(2A)내의 원형관(4)에 설치되어 결속부의가 은닉된 상태로 내외면을 격리시키게 되어 입력선과 다수의 출력선을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될 경우 습한 공기의 침습을 막으며 매듭부위가 없는 상태로 간편하게 배선 연결을 할수 있으며 삽입구(2)(2A)의 외면 중간에 경사면(5)가 있어 전선의 철심이 용이하게 삽입되므로 냉장고 또는 세탁기의 제조측이나 구입자들이 배선 취급에 불편등을 완전히 배제하도록 안출된 새로운 고안이다.

Claims (1)

  1. 결속구(1)의 삽입구(2A)내로 원형관(4)을 끼워 맞춤할때 원형관(4)의 확개된 링턱(6)은 삽입구(2A)의 단턱(3)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결속구(1)의 원형관(4)내로 전원코오드선의 다수의 철심 연결부가 삽입시 전원코오드선의 피복층이 결속구(1)의 삽입구(2)내로 내외면을 차단하도록 결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코오드 결속구.
KR2019880021077U 1988-12-20 1988-12-20 코오드 결속구 KR9100052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1077U KR910005256Y1 (ko) 1988-12-20 1988-12-20 코오드 결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1077U KR910005256Y1 (ko) 1988-12-20 1988-12-20 코오드 결속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979U KR900013979U (ko) 1990-07-06
KR910005256Y1 true KR910005256Y1 (ko) 1991-07-22

Family

ID=19282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21077U KR910005256Y1 (ko) 1988-12-20 1988-12-20 코오드 결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525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979U (ko) 199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3037B1 (en) Waterproof wire connector
CN201134283Y (zh) 无机矿物绝缘防火预制分支电缆
CN101221835B (zh) 预制分支电缆的制造方法
KR910005256Y1 (ko) 코오드 결속구
CN208608689U (zh) 一种电力工程用隐蔽型接线盒
CN207409673U (zh) 一种具有防潮功能的电缆中间接头
CN212361637U (zh) 防拉脱装饰灯和防拉脱灯串
CN202872005U (zh) 一种节能电气接头
KR200192596Y1 (ko) 전선연결 짹
CN111810855A (zh) 防拉脱装饰灯和防拉脱灯串
CN220230854U (zh) 一种双插头漏液感应线
CN209929518U (zh) 一种电气接头组合
US5939678A (en) Screw on wire connector
CN208738446U (zh) 一种电线连接头
JPH0210768Y2 (ko)
CN2241923Y (zh) 一种电线连接器
JPS6121185Y2 (ko)
JPH0121494Y2 (ko)
JPH0233992Y2 (ko)
CN105119063B (zh) 电气接点快速连接器
JPS6011720Y2 (ja) プラスチツク絶縁電力ケ−ブルの直線型接続部
KR870003179Y1 (ko) 전선 연결구
TH18247A (th) โครงเชื่อมต่อระหว่าง สายไฟขดลวดและสายไฟนำ
JPS603627Y2 (ja) 多分岐導体
CN88200544U (zh) 电气接线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70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