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2596Y1 - 전선연결 짹 - Google Patents

전선연결 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2596Y1
KR200192596Y1 KR2020000006960U KR20000006960U KR200192596Y1 KR 200192596 Y1 KR200192596 Y1 KR 200192596Y1 KR 2020000006960 U KR2020000006960 U KR 2020000006960U KR 20000006960 U KR20000006960 U KR 20000006960U KR 200192596 Y1 KR200192596 Y1 KR 2001925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res
conductor
connec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69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중남
Original Assignee
손중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중남 filed Critical 손중남
Priority to KR20200000069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25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25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25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2End caps, i.e. of insulating or conductive material for covering or maintaining connections between wires entering the cap from the same e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선연결 짹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선을 연결할 때는 절단된 전선의 절단부에 있는 전선 피복층을 벗겨내어 노출된 전선코일을 서로 꼬아서 연결한 후 이 연결부에 절연테이프를 감아 붙임하거나, 금속튜브로 압압고정하였던 관계로 연결 상태가 불안전하여 접속 불량이나, 누전 현상이 생겨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이의 고안요지는 절연체로 된 몸체(1)의 내부에는 도전체(2)가 장입되고, 이 도전체(2)의 좌우측에는 깔때기 형상의 끼움부(2')와 접속공(2') 및 나사부(2'')를 형성하여 절연체로된 좌우 접속구(3)(3')를 끼움하여 나사조임할 수 있게 좌우 접속구(3)(3')의 선단부에는 다수의 절결부가 있는 협지부(4)가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조임부(5)와 나사부(6)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피복전선 끼움공(7)을 형성한 것으로 이를 짹으로 사용할 시는 좌우 접속구(3)(3')의 전선 끼움공(7)으로 피복전선(8)을 끼움한 후 이의 선단에 돌출된 피복전선(8)을 볏겨서 코일선(8')이 노출되게 한 상태에서 도전체(2)의 끼움부(2')에 끼워서 나사조임하면 전기한 코일선(8')은 도전체(2)의 접속공(2')에 긴밀히 접속됨과 동시 협지부(4)에 의해 긴체되어 외부의 당김힘을 받아도 접속 상태가 이완되거나 빠지는 현상이 생기지 않게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선연결 짹{Cable joint}
본 고안은 전선연결 짹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선을 연결할 때는 절단된 전선의 절단부에 있는 전선 피복층을 벗겨내어 노출된 전선코일을 서로 꼬아서 연결한 후 이 연결부에 절연 테이프를 감아 붙임하거나 또는 연결캡을 씌워서 뺀치로 압착 고정하였기 때문에 작업성이 저조할 뿐만 아니라, 접속이 불량하여 누전되는 등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이의 고안요지는 절연체로 된 몸체의 내부에 장입된 도전체의 양측에 나사부가 있는 깔때기 형상의 끼움부를 형성하여 이에 전선이 끼움된 나사부가 있는 깔때기 형상의 접속구가 나사조임되면서 전선의 접속이 간편이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
*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몸체 2-도전체 2'-끼움부 2'-접속공
2''-나사부 3,3'-접속구 4-협지부 5,-걸림턱
6-나사부 7-전선끼움공 8-피복전선 8'-코일선
절연체로 된 몸체(1)의 내부에 도전체(2)가 장입되어 있으되, 이의 양측에는 깔때기형 끼움부(2')와 접속공(2') 및 나사부(2'')가 형성되고, 이 끼움부(2')와 나사부(2'')에 끼움되어 나사조임될 수 있게한 절연체로된 좌우 접속구(3)(3')의 선단에는 다수의 절결부가 있는 협지부(4)가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조임부(5)가 있는 나사부(6)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전선 끼움공(7)이 형성되어진 구조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전선 연결짹으로 사용하는 것인 바 이를 사용할 때는 좌우 접속구(3)(3')의 전선끼움공(7)에 피복전선(8)을 끼움한 후 이의 선단에 코일선(8')이 노출되게 한 상태에서 도전체(2)의 좌우측에 형성된 깔때기형 끼움부(2')에 끼워서 나사조임하면 피복 전선(8)의 선단 코일선(8')은 도전체(2)의 접속공(2')에 긴밀히 접속되어지므로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거나 빗물에 접하여도 누전될 염려가 없는 것이다. 특히, 좌우 접속구(3)(3')의 내선단에는 다수의 절결부가 있는 협지부(4)가 형성되어 있어 좌우 접속구(3)(3')를 끼움부(2')에 끼워서 나사조임하면 코일선(8')과 피복전선(8)을 협지 고정하여 주기 때문에 외부에서 상당한 힘을 갖고 당겨도 빠지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전선 연결을 짹 형상으로 하고, 이의 피복전선(8)의 선단 코일선(8')이 좌우 접속구(3)(3')에 끼움되어 도전체(2)의 좌우 깔때기형 끼움부(2')에 나사조임할 때 접속구(3)의 선단에 형성된 협지부(4)에 의해 긴체 고정되게 하였기 때문에 작업성 제고는 물론 접속 상태가 확실하고, 안전하여 매우 실용적이다.

Claims (1)

  1. 절연체로된 몸체(1)의 내부에는 도전체(2)가 장입되고, 도전체(2)의 좌우측에는 접속공(2')이 있는 깔때기형 끼움부(2') 및 나사부(2'')를 형성하여 절연체로된 나사부(6)가 있는 좌우 접속구(3)(3')의 깔때기부가 이에 끼움되어 나사조임되게하고, 접속구(3)(3')의 선단에는 다수의 절결부가 있는 협지부(4)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전선끼움공(7)이 형성되어진 전선연결짹.
KR2020000006960U 2000-03-13 2000-03-13 전선연결 짹 KR2001925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960U KR200192596Y1 (ko) 2000-03-13 2000-03-13 전선연결 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960U KR200192596Y1 (ko) 2000-03-13 2000-03-13 전선연결 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2596Y1 true KR200192596Y1 (ko) 2000-08-16

Family

ID=19646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6960U KR200192596Y1 (ko) 2000-03-13 2000-03-13 전선연결 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2596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557B1 (ko) 2008-01-24 2008-09-26 (주)토인이앤씨건축사사무소 송전 또는 배전선 이음 장치.
KR100876299B1 (ko) 2008-08-22 2008-12-31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전선 이음 장치.
KR100941474B1 (ko) * 2008-01-24 2010-02-11 전명수 도선용 절연 고정구
KR200461533Y1 (ko) 2010-10-25 2012-07-23 김윤환 전선연결장치
KR102105896B1 (ko) * 2019-11-25 2020-05-04 (주)수양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옥내전기케이블관 보호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557B1 (ko) 2008-01-24 2008-09-26 (주)토인이앤씨건축사사무소 송전 또는 배전선 이음 장치.
KR100941474B1 (ko) * 2008-01-24 2010-02-11 전명수 도선용 절연 고정구
KR100876299B1 (ko) 2008-08-22 2008-12-31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전선 이음 장치.
KR200461533Y1 (ko) 2010-10-25 2012-07-23 김윤환 전선연결장치
KR102105896B1 (ko) * 2019-11-25 2020-05-04 (주)수양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옥내전기케이블관 보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3921A (en) Cable jointing clamp
US6341979B1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401178Y1 (ko) 방수 및 절연용 슬리브
KR200192596Y1 (ko) 전선연결 짹
KR100739899B1 (ko) 병렬형 무-주름 전기 커넥터
CN202363601U (zh) 双向旋压式电气接头
US3377609A (en) Replacement connector
US3137764A (en) Multiple cable connector
KR200461136Y1 (ko)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
US6000963A (en) Contact element with a connection for stranded conductors
KR200342004Y1 (ko)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FI96726B (fi) Kiskoliitin maakaapelin liittämiseksi jonovarokkeeseen
US4196958A (en) Connector plug
JP4381549B2 (ja) 防水型分岐コネクター
KR101750269B1 (ko) 절연커버 일체형 케이블 커넥터
US2952729A (en) Electrical connector
JP6654482B2 (ja) 断線復旧用接続部材
US4334726A (en) Bonding device
CN216698903U (zh) 一种使用自攻螺钉的电缆连接结构
CN212323691U (zh) 一种电缆热缩终端头
KR20100008546A (ko) 동축케이블 커넥터
JP3342005B2 (ja) コネクタ構造体
JPH0356969Y2 (ko)
CN105119063B (zh) 电气接点快速连接器
KR200237241Y1 (ko) 전기 계량기용 도선의 터미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