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776Y1 - 직류모터의 회전자 - Google Patents

직류모터의 회전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776Y1
KR910004776Y1 KR2019890008155U KR890008155U KR910004776Y1 KR 910004776 Y1 KR910004776 Y1 KR 910004776Y1 KR 2019890008155 U KR2019890008155 U KR 2019890008155U KR 890008155 U KR890008155 U KR 890008155U KR 910004776 Y1 KR910004776 Y1 KR 9100047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motor
windings
present
overl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81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1658U (ko
Inventor
양성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워-텍
양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워-텍, 양성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워-텍
Priority to KR20198900081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4776Y1/ko
Publication of KR9100016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6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7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7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직류모터의 회전자
제 1 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정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회전자를 구성하는 권선들중 일단위체의 권선을 발췌도시한 발췌사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권선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발췌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자 2 : 회전자축
11 : 권선 12 : 수지층
본 고안은 직류모터의 회전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특히 한정된 범위의 좁은 공간내에 가급적 많은 수의 권선을 효율적으로 감아 배치시킨 후 이를 경화 수지로 모울드고정시켜 형성한 디스크타입의 직류모터 회전자로서 설치 공간을 극소화시킨 아주 얇은 두께이면서 효율이 좋아 모터의 경량소형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고, 관성력 감소로 모터의 제동력을 향상시켜 정밀하고 효율적인 작동이 요구되는 각종 D.C서보모터류의 제공에 매우 적합한, 그러한 개선된 구조를 지니는 직류모터의 회전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직류모터 회전자는 거의 모두가 일정수의 권선을 슬롯을 방사상으로 형성한 철심에 중첩적으로 감아 지지시켜 형성토록 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자 자체의 부피와 중량이 상당한 정도 이상으로 커짐이 불가피하여 모터의 결량소형화 및 효율향상에 많은 어려움을 초래하였으며, 근래에 모터의 중량감소와 제동력 향상을 위해 무거운 철심을 사용치 않고 회전자를 형성하는 코어리스(Coreless)회전자 권선방식(예컨대 잘 알려진 바와같은 맥슨방식이나 볼레스 캡방식)들도 제안된 바 있으나 이들 방식에 따른 회전자 역시 그 감겨진 권선들이 대단히 복잡한 공정을 통해 원통상으로, 그리고 중첩되어 감겨지기 때문에 제작이 난해하고 고가의 경비가 소요될 뿐만 아니라 회전자의 전체 부피감소는 별로 이루어지지 않아 모터의 소형, 효율화를 기하는 데에는 여전히 적합하지 않았다. 또 회전자 자체를 얇은 판상의 자성체로 구성한 극소형 모터들도 많이 안출된 바 있으나 이들은 큰 회전력의 모터를 필요로 하지않는 일부 전자기기 등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예컨대 테이프 레코더의 릴모터따위)일 뿐 보다 큰 기계적 부하가 걸리는 곳에는 적용될 수 없는 것들인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배경에서 안출한 것으로, 모터를 획기적으로 경량소형화할 수 있고 또 모터의 제동력과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회전자를 제공하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에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에 적합한 본 고안의 선택된 일구성례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중 부호 2는 전형적인 D.C모터의 회전자축 3,3'는 이 축을 모터하우징에 대해 회전자재로 지지하는 베어링, 4는 아마츄어를 나타낸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회전자축(2)의 아마츄어(4)와 근접한 일 지점에 있어서,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대략형으로 (혹은 이와 유사한 다른 형으로)권회된 단위체의 동일한 권선(11)들이, 회전자축(2)에 대해 수직으로 교차하는 일 평면상에 방사상으로 상호 약간씩(구체적으로는 권선(11)의 굵기에 해당되는 간격만큼씩) 좌우로 편위되어 중첩배치되며, 이와같이 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원판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된 권선들은 그 배치형태를 고정유지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경화수지층(12)속에 매몰되어 모울드 고정됨으로써 회전자축(2)에 대해 수직인 하나의 원판상의 회전자(1)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각 단위체의 권선(11)들 단부는 통상의 방법과 같이 아마츄어(4)에 연결된다.
여기에서, 상기와 같이 배치되어 수지층(12)속에 모울드고정되는 각 단위체의 권선(11)들은, 이들의 각 내,외측연부(11a)(11b)들은 상하 다소간의 두께로 중첩되지만 그 내,외측연부(11a)(11b) 사이를 연결하는 좌우측부(11c)(11d)들은 상술한 바와같이 그 두께만큼씩 상호 좌우로 편위되어 상하로는 서로 중첩되지 않게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권선배치양태에 따라 상기 회전자(1)는 회전자축(2)과 동심원을 이루는 그 내,외측연부(1a)(1b)만이 이의 평균 두께보다 다소 두껍게 형성된, 전체적으로 하나의 얇은 원판(DISC)형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직류모터 회전자는 설치공간을 극소화할 수 있는 아주 얇은 원판형이면서도 그안에 가능한 범위내에서 많은 수의 권선들이 효율적으로 감겨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 큰 회전력을 수득할 수 있어 모우터의 경량소형화에 획기적으로 기여할 수 있고, 회전자의 관성력 감소로 모터의 제동력이 크게 향상되어 정밀하고 효율적인 작동이 요구되는, 그리고 설치공간을 적게 차지하면서 힘이 좋은 각종 양호한 D.C서보모터류의 제공에 매우 적합한 다대한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1)

  1. 회전자(1)를 구성함에 있어서 회전자축(2)의 일지점에서 수직으로 교차하는 평면상에 동일형태로 연장되는 단위체의 권선(11)들을 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상호 약간씩 좌우로 편위시켜 중첩배치하고, 이와같이 배치된 권선들을 수지층(12)속에 매몰시켜 모울드 고정하여서 된 직류모터의 회전자.
KR2019890008155U 1989-06-13 1989-06-13 직류모터의 회전자 KR9100047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8155U KR910004776Y1 (ko) 1989-06-13 1989-06-13 직류모터의 회전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8155U KR910004776Y1 (ko) 1989-06-13 1989-06-13 직류모터의 회전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658U KR910001658U (ko) 1991-01-24
KR910004776Y1 true KR910004776Y1 (ko) 1991-07-04

Family

ID=19287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8155U KR910004776Y1 (ko) 1989-06-13 1989-06-13 직류모터의 회전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477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658U (ko) 1991-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8610A (en) Synchronous disk motor with amorphous metal stator and permanent magnet rotor and flywheel
US4459501A (en) Toroidal generator and motor with radially extended magnetic poles
US5465019A (en) High-efficiency, low-noise electronically commutated motor having improved starting capability
US4788465A (en) Armature for DC motor
US3842300A (en) Laminated rotor structure for a dynamoelectric machine
US6534894B1 (en) Axial pole motor with specific relative rotor and stator structure
JPH0150316B2 (ko)
JPH0442902B2 (ko)
JPS6419949A (en) Disc drive spindle motor
JPH0570377B2 (ko)
US5955813A (en) Electric motor
JPH0197152A (ja) 磁石装置
GB2188793A (en) Electric motor stator with axially forming pole teeth
JP2021507656A (ja) 関連する歯にスナップ係合される個別の巻線支持体を有する、モータまたは電磁発電機用ステータ
KR910004776Y1 (ko) 직류모터의 회전자
EP0162927A1 (en) Permanent magnet type ac motor
US4514654A (en) Small size electric motor
JPH03243155A (ja) 回転電機
JPS6248243A (ja) 永久磁石式電動機
JPS61185051A (ja) 交流電動機
JPS6323523A (ja) コイル一体磁性材射出成形継鉄を有する電動モ−タ
JPH027270B2 (ko)
JPS63121466A (ja) ステツピングモ−タ
JPS63171150A (ja) ブラシレス直流モ−タ
JPH03285547A (ja) 偏平ブラシレス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7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